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는 12세기의 비잔틴 제국 학자이자 작가였다. 그는 부계로는 그리스인, 모계로는 그루지야인이라고 스스로를 묘사했으며, 한때 지방 총독의 비서로 일했지만 이후 가르치고 글을 쓰며 생계를 유지했다. 트제트제스는 자만심이 강하고 경쟁을 싫어하는 성격이었으며,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12,674행의 정치적 운문으로 구성된 《역사서》, 107편의 편지 모음집,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보완하는 일련의 작품, 그리고 헬레니즘 시인 리코프론의 작품에 대한 주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0년대 출생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동로마 제국의 시인 - 논노스
논노스는 4~5세기에 활동한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시인으로, 48권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를 저술했으며, 후기 그리스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동로마 제국의 시인 - 미하일 프셀로스
미하일 프셀로스는 11세기 동로마 제국의 학자이자 철학자, 정치가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의 수석 철학자였으며, 여러 황제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정치에 관여했고, 비잔틴 황제들의 역사를 다룬 《연대기》를 포함한 철학, 과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겨 고대 철학 연구를 비잔틴 학문에 재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 동로마 제국의 문법학자 - 막시모스 플라누디스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13~14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수도사이자 외교관으로, 서양 고전 번역,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영향을 미친 《그리스 선집》 편집 등에 기여했다. - 동로마 제국의 문법학자 - 테살로니카의 에브스타티오스
테살로니카의 에브스타티오스는 12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테살로니카 대주교였으며, 고대 그리스 시인에 대한 주석, 신학 논문, 연설, 편지를 저술했고, 1185년 테살로니카 약탈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
로마자 표기 | Iōánnēs Tzétzēs |
출생 | 년 |
사망 | 1180년 |
사망 장소 | 콘스탄티노폴리스 |
국적 | 비잔티움 제국 |
직업 | 시인 학자 |
![]() |
2. 생애
트제트제스는 아버지가 그리스계였고 어머니는 이베리아 지방(조지아인) 출신이었다.[8] 그의 작품에서 자신의 할머니가 조지아의 바그라티오니가 공주 알라니아의 마리아의 친척이었으며,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하여 이후 메가스 드룽가리오스인 세바스토스 콘스탄티노스 케룰라리오스의 두 번째 부인이자 총대주교 미카엘 케룰라리오스의 조카가 되었다고 언급하였다.[9]
그는 한동안 지방 총독의 비서로 일하다 나중에는 교직과 문필로 생계를 유지하기 시작하였다.[10] 그는 자만심이 강한 사람으로 묘사되었는데, 자신과 경쟁하려는 어떤 시도에도 분개하였으며, 동료 문법학자들을 격렬하게 공격하였다. 필적 자료가 부족하여 자신의 기억에 의존하여 저작을 하였기에 그의 작품을 읽을 때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지만, 그는 교육받은 사람으로서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큰 공헌을 하였다.
2. 1. 가계와 출생
트제트제스는 스스로를 부계로는 순수한 그리스인, 모계로는 이베리아인(그루지야인)이라고 묘사했다.[2] 그의 작품에서 트제트제스는 자신의 할머니가 조지아의 바그라티드 공주 알라니아의 마리아의 친척이었으며, 마리아와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와서 나중에 세바스토스 콘스탄티노스 케룰라리오스(메가스 드롱가리오스이자 총대주교 미하일 케룰라리오스)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다고 언급한다.[3]2. 2. 활동
트제트제스는 한동안 지방 총독의 비서로 일하다가, 이후에는 가르치는 일과 글쓰는 일로 생계를 유지하기 시작했다.[10] 그는 자만심이 강하고 경쟁을 몹시 싫어했으며, 동료 문법학자들을 격렬하게 공격했다고 묘사된다. 저술에 필요한 자료가 부족하여 자신의 기억에 의존해야 했으므로 그의 작품을 읽을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그는 학식이 풍부했고,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3. 주요 저작
트제체스는 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크게 서한집, 《역사서》(칠리아데스), 호메로스 관련 저작, 리코프론 관련 저작, 기타 저작으로 나눌 수 있다.
- 서한집: 107편의 편지를 모은 것으로, 허구 인물이나 당대의 권력자들에게 보낸 것이다. 역사, 수사학, 신화 등에 대한 학문적인 내용과 함께 사회적, 전기적 정보가 담겨 있다.[4]
- 《역사서》(칠리아데스): 12,674행의 정치적 운문으로 쓰여진 책으로, 660개의 주제로 나뉜다. 각 주제는 서한집에 있는 문학적, 역사적 내용에 대한 주석 역할을 한다.[4] 12세기 중반 콘스탄티노플의 지적 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소실된 많은 고대 작가들의 단편을 보존하고 있다.
- 호메로스 관련 저작: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파리스의 탄생부터 아카이아인들의 귀향까지의 이야기를 덧붙였다.[4] 《호메로스 풍유》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세 가지 종류의 풍유를 통해 호메로스와 호메로스 신학을 설명하는 교훈적인 시이다.[5][6] 《안테호메리카》, 《호메리카》, 《포스트호메리카》는 각각 《일리아스》 이전, 당시, 이후의 사건을 다룬다.
- 리코프론 관련 저작: 헬레니즘 시인 리코프론의 ''카산드라''를 해설하는 주석으로, "리코프론에 관하여"라고 불린다.[4] 형제 이삭이 공동 작업했다.[4]
- 기타 저작: 이암보스 운문으로 운명의 변덕과 학자들의 불행을 묘사한 극적인 스케치와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죽음에 대한 이암보스 시가 있다. 이들은 피에트로 마트랑가의 ''아네크도타 그라이카''(1850)에 수록되어 있다.
3. 1. 《역사서》 (칠리아데스)
트제체스의 서한들은 르네상스 시대에 그의 많은 작품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이 된 《역사서》의 발판이 되었으며, 첫 번째 편집자(N. 게르벨, 1546)가 각 책을 1,000행으로 임의로 나누어 《칠리아데스》( "수천")라고 불렀다.[4] 이 작품은 12,674행의 정치적 운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60개의 주제로 나뉘는데, 각 주제는 출판된 서한 중 하나에 있는 문학적, 역사적 또는 기타 학문적 참고 사항에 대한 주석이다. 처음 141개의 역사는 콘스탄티노플의 관리였던 요한 라카나스에게 보낸 운문 서한에 대한 시적 각주 역할을 한다.[4]이 문학적, 역사적, 신학적, 골동품적 잡동사니 모음은 12세기 중반 콘스탄티노플의 지적 세계에 대한 중요한 스냅샷을 제공하며, 작품이 유실된 많은 작가를 포함하여 200명 이상의 고대 작가의 단편을 보존한다. 저자는 이후 산문 및 운문으로 된 주석이 있는 개정판을 출판했다.
3. 2. 서한집
트제체스는 허구적이거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인물들과 작가 시대의 영향력 있는 남녀들에게 보낸 107편의 서한 모음을 출판했다. 이 서한들에는 상당한 양의 사회적, 전기적 정보가 담겨 있으며, 역사, 수사학, 신화에 대한 학문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있다.[4]3. 3. 호메로스 관련 저작
트제체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파리스의 탄생부터 아카이아인들의 귀향까지의 이야기를 덧붙였다.[4]《호메로스 풍유》는 "정치적" 운문으로 쓰여졌으며, 처음에는 독일 출신 황후 아이린에게, 그 다음에는 콘스탄티노스 코르테르체스에게 헌정되었다.[5][6] 이 작품은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하는 두 편의 교훈적인 시이다. 호메로스와 호메로스 신학은 세 가지 종류의 풍유: 유헤메리스적 (πρακτικήgrc), 아나고게적 (ψυχικήgrc), 물리적 (στοιχειακήgrc)을 통해 설명된다.
《안테호메리카》에서 트제체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이전에 일어난 사건들을 다룬다. 이어서 《호메리카》에서는 《일리아스》의 사건을 다루고, 《포스트호메리카》에서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사이의 사건을 다룬다.
3. 4. 리코프론 관련 저작
헬레니즘 시대의 시인 리코프론의 모호한 ''카산드라'' 또는 ''알렉산드라''를 설명하는 주석으로, 일반적으로 "리코프론에 관하여"라고 불린다.[4] 이 주석을 제작하는 데에는 그의 형제 이삭이 함께 참여했다.[4]3. 5. 기타 저작
트제체스는 이암보스 운문으로 운명의 변덕과 학자들의 비참한 처지를 묘사한 극적인 스케치를 남겼다.[4] 또한 각 행의 시작 부분에 이전 행의 마지막 단어를 넣는 특징을 가진,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죽음에 대한 이암보스 시도 언급할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피에트로 마트랑가의 ''아네크도타 그라이카''(1850)에 수록되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John Tzetzes – Byzantine scholar
https://www.britanni[...]
2024-04-12
[2]
서적
Individualism and Conformity in Classical Islam
Otto Harrassowitz
[3]
서적
Byzantine Women: Varieties of Experience, 800–1200
Ashgate Publishing, Ltd.
[4]
간행물
The Historiai of John Tzetzes: a Byzantine ‘Book of Memory’?
2017-10
[5]
서적
Allegories of the Iliad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Allegories of the Odyssey
Harvard University Press
[7]
웹인용
John Tzetzes - Byzantine scholar
https://www.britanni[...]
[8]
서적
Individualism and Conformity in Classical Islam
[9]
서적
Byzantine Women: Varieties of Experience, 800-1200
Ashgate Publishing, Ltd.
[10]
웹인용
John Tzetzes - Byzantine scholar
https://www.britanni[...]
[11]
서적
Allegories of the Iliad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