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호의 외인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장호의 외인구단은 이현세의 만화를 원작으로 1986년에 개봉한 영화이다. 가난한 환경에서 야구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혜성과 그를 사랑하는 엄지, 그리고 엄지를 두고 혜성과 경쟁하는 마동탁의 이야기를 다룬다. 혜성은 부상으로 야구를 포기하지만, 손병호 감독의 지도로 외인구단에 합류하여 다시 야구계로 돌아온다. 1988년에는 속편이 제작되었으나 흥행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만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 다세포 소녀
다세포 소녀는 대한민국 무쓸모고등학교를 배경으로, 가난과 빚에 시달리는 소녀가 매춘, 자살 시도, 여장남자, 짝사랑하는 남학생과의 관계를 겪으며 학교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그리는 영화이다. - 대한민국 만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 그래서 나는 안티팬과 결혼했다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그래서 나는 안티팬과 결혼했다》는 영화, 드라마, 웹툰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2016년 중국 영화와 2021년 한국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웹툰으로도 연재되었다. - 이장호 감독 영화 - 어우동 (영화)
어우동은 조선 성종 시대 유교 사상 속 여성 억압을 배경으로 이보희, 안성기 주연의 영화로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백상예술대상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이장호 감독 영화 - 무릎과 무릎 사이
1984년 개봉한 영화 무릎과 무릎 사이는 어머니의 과보호 속에서 자란 음대생 자영이 성충동을 느끼는 이야기를 다루며 이보희와 안성기가 주연을 맡아 흥행에 성공했다. - 대한민국의 야구 영화 - 아는 여자
2004년 개봉한 장진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아는 여자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야구 선수 동치성과 그를 짝사랑하는 여자 한이연의 이야기를 정재영과 이나영 주연으로 그려내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이나영은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야구 영화 - 글러브 (영화)
글러브는 2011년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로, 폭행 사건으로 징계를 받은 야구 선수가 청각 장애인 야구부 코치를 맡아 아이들과 소통하며 전국대회 출전을 돕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장호의 외인구단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한국어) | 이장호의 외인구단 |
제목 (영어) | Lee Jang-ho's Baseball Team |
원작 | 이현세의 "외인구단" |
영화 정보 | |
감독 | 이장호 |
제작 | 이장호 |
각본 | 지상학 |
기획 | 이명원, 이은수 |
음악 | 정성조 |
촬영 | 박승배 |
편집 | 현동춘 |
미술 | 김신희, 왕숙영 |
출연 | |
주연 | 안성기, 이보희, 최재성 |
제작 정보 | |
제작사 | 판필름 |
배급사 (일본) | 업링크 |
개봉일 | 대한민국: 1986년 8월 2일 일본: 1988년 5월 28일 |
상영 시간 | 125분 (대한민국), 120분 (일본) |
언어 | 한국어 |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기타 | |
후속작 | 이장호의 외인구단 2 |
2. 줄거리
혜성은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야구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엄지는 어릴 적부터 그를 지켜봐 왔으며, 혜성은 엄지를 사랑하게 되지만, 그녀가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그들은 몇 년 동안 서로를 보지 못한다. 혜성과 엄지는 야구장에서 다시 만나지만, 엄지는 이제 고등학교 최고의 타자 마동탁의 여자친구가 되어 있다. 혜성은 엄지를 두고 동탁과 끊임없이 경쟁한다. 그러나 그는 심각한 어깨 부상을 입고 야구를 포기한다. 그 후, 야구 감독 손병호는 해고된 야구 선수들을 모아 팀을 결성한다. 손 감독은 팀을 극한 훈련에 투입하고, 혜성은 야구계로 돌아온다. 그는 엄지를 곁에 둔 동탁과 다시 한번 경쟁한다.
해성과 동탁은 엄지라는 여성을 두고 고등학교 시절부터 대립 관계에 있었고, 프로 야구 선수가 된 후에도 그 관계는 지속되었다.
동탁이 "타이거즈"에서 활약하는 한편, 해성은 부상으로 구단을 떠나 엄지의 지원을 받는다. 이후 해성은 5명의 불량배와 함께 "타이거즈"의 전 감독 손의 지도 아래 특훈을 받은 후, 약소 구단 "카우보이스"에 입단한다. 그곳에서 연승을 거두고, 코리안 시리즈에서 "타이거즈"와의 경기를 앞두고 있던 찰나, 엄지가 동탁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2. 1. 원작 기반 줄거리
혜성은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야구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엄지는 어릴 적부터 그를 지켜봐 왔으며, 혜성은 엄지를 사랑하게 되지만, 그녀가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그들은 몇 년 동안 서로를 보지 못한다. 혜성과 엄지는 야구장에서 다시 만나지만, 엄지는 이제 고등학교 최고의 타자 마동탁의 여자친구가 되어 있다. 혜성은 엄지를 두고 동탁과 끊임없이 경쟁한다. 그러나 그는 심각한 어깨 부상을 입고 야구를 포기한다. 그 후, 야구 감독 손병호는 해고된 야구 선수들을 모아 팀을 결성한다. 손 감독은 팀을 극한 훈련에 투입하고, 혜성은 야구계로 돌아온다. 그는 엄지를 곁에 둔 동탁과 다시 한번 경쟁한다.해성과 동탁은 엄지라는 여성을 두고 고등학교 시절부터 대립 관계에 있었고, 프로 야구 선수가 된 후에도 그 관계는 지속되었다.
동탁이 "타이거즈"에서 활약하는 한편, 해성은 부상으로 구단을 떠나 엄지의 지원을 받는다. 이후 해성은 5명의 불량배와 함께 "타이거즈"의 전 감독 손의 지도 아래 특훈을 받은 후, 약소 구단 "카우보이스"에 입단한다. 그곳에서 연승을 거두고, 코리안 시리즈에서 "타이거즈"와의 경기를 앞두고 있던 찰나, 엄지가 동탁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2. 2. 속편 줄거리 (1988)
1988년 2편에서는 조감독 출신 조민희 감독이 영화 연출 데뷔를 했다.[7] 《깜동》에 이어 판영화사와 서울필름이 두 번째로 공동제작했다.[8] 최재성(오혜성 역), 나한일(최관 역), 권순철(최경도 역) 외의 배우들은 대부분 교체되거나 새롭게 합류했으며, 서울 관객 4만에 그쳐 흥행에 실패했다. 해당 영화(1편)에서 손병호 감독 역을 맡았던 안성기는 2편에서 오혜성(최재성 분)의 부상과 손병호 감독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져 외인구단이 해체된 뒤[9] 하국상(이환지 분)이 이적한 팀의 코치로 특별출연했다. 2편의 시나리오는 원작에서는 이미 끝난 이야기를 새롭게 부활시키는[10] 작업이었던 터라 진통이 많았다.3. 등장인물
최재성이 오혜성(까치) 역을,[6] 안성기가 손병호 역을,[6] 이보희가 엄지 역을,[6] 맹상훈이 마동탁 역을 맡았다.[6] 이진영이 백두산 역, 권순철이 최경도 역, 권용운이 하국상 역, 조상구가 조상구 역, 나한일이 최관 역, 임도완이 배도협 역, 이은영이 홍 기자 역, 김선애가 현지 역으로 출연하였다. 김미경, 이석구, 이기영, 박용팔, 유명순, 안연홍, 정종훈, 박암, 신충식, 박정자 등이 출연하였고, 하일성은 특별출연하였다.[6]
일본어 더빙에서는 혜성 역에 이케다 슈이치, 엄지 역에 오카모토 마아야, 동탁 역에 이시마루 히로야, 송 역에 하즈미 쥰이 참여했다.[6] 도산 역은 고우리 다이스케, 경토 역은 요시무라 요우, 상구 역은 야마노 후미토, 국산 역은 치바 시게루, 강 역은 아키모토 요스케가 더빙했다.[6] 혜성의 아버지 역은 신충식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사와 리츠오가 담당했다.[6] 홍 역은 이은영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코미야 카즈에가 담당했다.[6] 카우보이스 회장 역은 박암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가토 마사유키가 담당했다.[6]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1987년 12월 5일 방영) |
---|---|---|
오혜성(혜성) | 최재성 | 이케다 슈이치 |
엄지 | 이보희 | 오카모토 마아야 |
마동탁(동탁) | 맹상훈 | 이시마루 히로야 |
손병호(송) | 안성기 | 하즈미 쥰 |
백두산(도산) | 이진용 | 고우리 다이스케 |
최경도(경토) | 권순철 | 요시무라 요우 |
조상구(상구) | 조상구 | 야마노 후미토 |
하국산(국산) | 권영운 | 치바 시게루 |
최관(강) | 나한일 | 아키모토 요스케 |
혜성의 아버지 | 신충식 | 사와 리츠오 |
홍 | 이은영 | 코미야 카즈에 |
카우보이스 회장 | 박암 | 가토 마사유키 |
타이거즈 사장 | 문태선 | 이나바 미노루 |
최 감독 | 신찬일 | 타하라 아르노 |
엄지의 어머니 | 박정자 | 토모에 세이코 |
배도협(도협) | 임도완 | 메구로 유이치 |
현지 | 김선애 | 미즈타니 유코 |
어린 엄지 | 안연홍 | 코미야 카즈에 |
3. 1. 주요 등장인물
최재성이 오혜성(까치) 역을,[6] 안성기가 손병호 역을,[6] 이보희가 엄지 역을,[6] 맹상훈이 마동탁 역을 맡았다.[6] 이외에도 이진영이 백두산 역, 권순철이 최경도 역, 권용운이 하국상 역, 조상구가 조상구 역, 나한일이 최관 역, 임도완이 배도협 역, 이은영이 홍 기자 역, 김선애가 현지 역으로 출연하였다. 김미경, 이석구, 이기영, 박용팔, 유명순, 안연홍, 정종훈, 박암, 신충식, 박정자 등이 출연하였고, 하일성은 특별출연하였다.[6]일본어 더빙에서는 혜성 역에 이케다 슈이치, 엄지 역에 오카모토 마아야, 동탁 역에 이시마루 히로야, 송 역에 하즈미 쥰이 참여했다.[6] 도산 역은 고우리 다이스케, 경토 역은 요시무라 요우, 상구 역은 야마노 후미토, 국산 역은 치바 시게루, 강 역은 아키모토 요스케가 더빙했다.[6] 혜성의 아버지 역은 신충식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사와 리츠오가 담당했다.[6] 홍 역은 이은영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코미야 카즈에가 담당했다.[6] 카우보이스 회장 역은 박암이 연기했고, 일본어 더빙은 가토 마사유키가 담당했다.[6]
3. 2. 외인구단 선수
최재성이 오혜성(까치) 역을, 맹상훈이 마동탁 역을 맡았다.[6] 이진영은 백두산 역, 권순철은 최경도 역, 권용운은 하국상 역, 조상구는 조상구 역, 나한일은 최관 역, 임도완은 배도협 역을 연기했다.[6] 안성기는 손병호 역을, 이보희는 엄지 역을 맡았다.[6]그 외 이은영이 홍 기자 역, 김선애가 현지 역을 맡았고, 김미경, 이석구, 이기영, 박용팔, 유명순, 안연홍, 정종훈, 박암, 신충식, 박정자 등이 출연했다. 하일성은 특별출연했다.[6]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1987년 12월 5일 방영) |
---|---|---|
오혜성(혜성) | 최재성 | 이케다 슈이치 |
엄지 | 이보희 | 오카모토 마아야 |
마동탁(동탁) | 맹상훈 | 이시마루 히로야 |
손병호(송) | 안성기 | 하즈미 쥰 |
백두산(도산) | 이진용 | 고우리 다이스케 |
최경도(경토) | 권순철 | 요시무라 요우 |
조상구(상구) | 조상구 | 야마노 후미토 |
하국산(국산) | 권영운 | 치바 시게루 |
최관(강) | 나한일 | 아키모토 요스케 |
혜성의 아버지 | 신충식 | 사와 리츠오 |
홍 | 이은영 | 코미야 카즈에 |
카우보이스 회장 | 박암 | 가토 마사유키 |
타이거즈 사장 | 문태선 | 이나바 미노루 |
최 감독 | 신찬일 | 타하라 아르노 |
엄지의 어머니 | 박정자 | 토모에 세이코 |
배도협(도협) | 임도완 | 메구로 유이치 |
현지 | 김선애 | 미즈타니 유코 |
어린 엄지 | 안여논 | 코미야 카즈에 |
3. 3. 그 외 인물
최재성이 오혜성(까치) 역을,[6] 안성기가 손병호 역을,[6] 이보희가 엄지 역을,[6] 맹상훈이 마동탁 역을 맡았다.[6] 이진영은 백두산 역을, 권순철은 최경도 역을, 권용운은 하국상 역을, 조상구는 조상구 역을 연기했다.[6] 나한일은 최관 역을, 임도완은 배도협 역을, 이은영은 홍 기자 역을, 김선애는 현지 역을 맡았다. 김미경, 이석구, 이기영, 박용팔, 유명순, 안연홍, 정종훈, 박암, 신충식, 박정자도 출연했다. 하일성은 특별출연했다.[6]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
---|---|---|
혜성 | 최재성 | 이케다 슈이치 |
엄지 | 이보희 | 오카모토 마아야 |
동탁 | 맹상훈 | 이시마루 히로야 |
송 | 안성기 | 하즈미 쥰 |
도산 | 이진용 | 고우리 다이스케 |
경토 | 권순철 | 요시무라 요우 |
상구 | 조상구 | 야마노 후미토 |
국산 | 권영운 | 치바 시게루 |
강 | 나한일 | 아키모토 요스케 |
혜성의 아버지 | 신충식 | 사와 리츠오 |
홍 | 이은영 | 코미야 카즈에 |
카우보이스 회장 | 박암 | 가토 마사유키 |
타이거즈 사장 | 문태선 | 이나바 미노루 |
최 감독 | 신찬일 | 타하라 아르노 |
엄지의 어머니 | 박정자 | 토모에 세이코 |
도협 | 임도완 | 메구로 유이치 |
현지 | 김선애 | 미즈타니 유코 |
어린 엄지 | 안연홍 | 코미야 카즈에 |
4. 제작진
감독은 이장호이며, 이현세의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을 원작으로 한다.[6] 각본은 지상학이 썼고, 촬영은 박승배, 음악은 정성조가 맡았다.[6] 이장호는 감독과 제작을 모두 담당했다.[6] 기획은 이명원과 이은수가 담당했다.[6] 스틸은 윤진호가 담당했다.[6]
역할 | 내용 |
---|---|
감독·제작 | 이장호 |
원작 | 이현세 (공포의 외인구단) |
각본 | 지상학 |
기획 | 이명원, 이은수 |
촬영 | 박승배 |
조명 | 김강일 |
편집 | 현동춘 |
음악 | 정성조 |
미술 | 김신희, 왕숙영 |
소품 | 김호길 |
녹음 | 김경일 |
효과 | 양대호 |
조감독 | 박광수, 오병철 |
스틸 | 윤진호 |
현상 | 세방현상소 |
스크립터 | 신영희 |
제작진행 | 유혁주 |
촬영팀 | 조동관, 김현수, 우승룡 |
특수촬영 | 윤종두, 유재형 |
조명팀 | 박현원, 김일준, 이제후 |
작사 | 이현세, 허율, 김일구, 신철, 김일태 |
노래 | 김도향, 윤시내, 정수라 |
일본어판의 경우 연출은 시미즈 가츠노리가 맡았고 번역은 아오키 겐스케, 대본은 다카시마 치세코가 담당했다.[6]
역할 | 내용 |
---|---|
연출 | 시미즈 가츠노리 |
번역 | 아오키 겐스케 |
대본 | 다카시마 치세코 |
조정 | 카네코 요시히로 (신사카 녹음) |
송출 | 카와이 나오 |
효과 | 난부 만지, 오오하시 카츠지 |
프로듀서 | 이노타니 케이지 |
제작 | 잭 프로모션 |
4. 1. 한국
감독은 이장호이며, 이현세의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을 원작으로 한다.[6] 각본은 지상학이 썼고, 촬영은 박승배, 음악은 정성조가 맡았다.[6] 이장호는 감독과 제작을 모두 담당했다.[6] 기획은 이명원과 이은수가 담당했다.[6] 스틸은 윤진호가 담당했다.[6]역할 | 내용 |
---|---|
감독·제작 | 이장호 |
원작 | 이현세 (공포의 외인구단) |
각본 | 지상학 |
기획 | 이명원, 이은수 |
촬영 | 박승배 |
조명 | 김강일 |
편집 | 현동춘 |
음악 | 정성조 |
미술 | 김신희, 왕숙영 |
소품 | 김호길 |
녹음 | 김경일 |
효과 | 양대호 |
조감독 | 박광수, 오병철 |
스틸 | 윤진호 |
현상 | 세방현상소 |
스크립터 | 신영희 |
제작진행 | 유혁주 |
촬영팀 | 조동관, 김현수, 우승룡 |
특수촬영 | 윤종두, 유재형 |
조명팀 | 박현원, 김일준, 이제후 |
작사 | 이현세, 허율, 김일구, 신철, 김일태 |
노래 | 김도향, 윤시내, 정수라 |
일본어판의 경우 연출은 시미즈 가츠노리가 맡았고 번역은 아오키 겐스케, 대본은 다카시마 치세코가 담당했다.[6]
역할 | 내용 |
---|---|
연출 | 시미즈 가츠노리 |
번역 | 아오키 겐스케 |
대본 | 다카시마 치세코 |
조정 | 카네코 요시히로 (신사카 녹음) |
송출 | 카와이 나오 |
효과 | 난부 만지, 오오하시 카츠지 |
프로듀서 | 이노타니 케이지 |
제작 | 잭 프로모션 |
4. 2. 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혜성 역은 이케다 슈이치, 엄지 역은 오카모토 마아야, 동탁 역은 이시마루 히로야가 맡는 등 호화 성우진이 기용되었다.[6] TV 아사히에서 1987년 12월 5일 『위크엔드 시어터』에서 처음 방송되었다.[6]배역 | 일본어 더빙 |
---|---|
혜성 | 이케다 슈이치 |
엄지 | 오카모토 마아야 |
동탁 | 이시마루 히로야 |
송 | 하즈미 쥰 |
도산 | 고우리 다이스케 |
경토 | 요시무라 요우 |
상구 | 야마노 후미토 |
국산 | 치바 시게루 |
강 | 아키모토 요스케 |
혜성의 아버지 | 사와 리츠오 |
홍 | 코미야 카즈에 |
카우보이스 회장 | 가토 마사유키 |
타이거즈 사장 | 이나바 미노루 |
최 감독 | 타하라 아르노 |
엄지의 어머니 | 토모에 세이코 |
도협 | 메구로 유이치 |
현지 | 미즈타니 유코 |
어린 엄지 | 코미야 카즈에 |
5. 사운드 트랙
'''Side A'''
정수라가 부른 "난 너에게"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52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외인구단 (Main Title)"은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12초 동안 재생된다. 정수라가 부른 "창문"은 김일태가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4분 13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고독한 강자"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17초 동안 재생된다. "사랑의 테마 (경음악)"는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57초 동안 재생된다. 전영록이 부른 "산마을"은 하중희가 작사하고 이수인이 작곡했으며, 1분 55초 동안 재생된다.
'''Side B'''
:1. 불꽃이 되어 (훈련)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3:25)
:2. 꿈으로 가는 소리 - 이현세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3:27)
:3. 사랑의 테마 - 신철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58)
:4. 영원한 사랑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41)
:5. 친구여 (출전)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2:57)
:6. 꿈으로 가는 소리 (경음악) - 정성조 작곡 (3:26)
5. 1. 곡 목록
Side A정수라가 부른 "난 너에게"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52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외인구단 (Main Title)"은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12초 동안 재생된다. 정수라가 부른 "창문"은 김일태가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4분 13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고독한 강자"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17초 동안 재생된다. "사랑의 테마 (경음악)"는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57초 동안 재생된다. 전영록이 부른 "산마을"은 하중희가 작사하고 이수인이 작곡했으며, 1분 55초 동안 재생된다.
Side B
:1. 불꽃이 되어 (훈련)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3:25)
:2. 꿈으로 가는 소리 - 이현세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3:27)
:3. 사랑의 테마 - 신철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58)
:4. 영원한 사랑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41)
:5. 친구여 (출전)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2:57)
:6. 꿈으로 가는 소리 (경음악) - 정성조 작곡 (3:26)
5. 1. 1. Side A
정수라가 부른 "난 너에게"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52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외인구단 (Main Title)"은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3분 12초 동안 재생된다. 정수라가 부른 "창문"은 김일태가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4분 13초 동안 재생된다. 김도향이 부른 "고독한 강자"는 허율이 작사하고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17초 동안 재생된다. "사랑의 테마 (경음악)"는 정성조가 작곡했으며, 2분 57초 동안 재생된다. 전영록이 부른 "산마을"은 하중희가 작사하고 이수인이 작곡했으며, 1분 55초 동안 재생된다.5. 1. 2. Side B
:1. 불꽃이 되어 (훈련)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3:25):2. 꿈으로 가는 소리 - 이현세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3:27)
:3. 사랑의 테마 - 신철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58)
:4. 영원한 사랑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윤시내 노래 (2:41)
:5. 친구여 (출전) - 허율 작사, 정성조 작곡, 김도향 노래 (2:57)
:6. 꿈으로 가는 소리 (경음악) - 정성조 작곡 (3:26)
6. 속편 (1988)
1988년 2편이 만들어졌는데 2편에서는 조감독 출신 조민희 감독이 영화 연출 데뷔를 했다.[7] 《깜동》에 이어 판영화사와 서울필름이 두 번째로 공동제작했다.[8] 최재성 (오혜성 역) 나한일 (최관 역) 권순철(최경도 역) 외의 배우들이 대부분 교체됐거나 새롭게 합류했으며 서울관객 4만에 그쳐 흥행 실패했다. 해당 영화(1편)에서 손병호 감독 역을 맡았던 안성기는 2편에서 오혜성(최재성 분)의 부상과 손병호 감독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져 외인구단이 해체된 뒤[9] 하국상(이환지 분)이 이적한 팀의 코치로 특별출연했고, 2편의 시나리오는 원작에서는 이미 끝난 이야기를 새롭게 부활시키는[10] 작업이었던 터라 진통이 많았다.
7. 평가 및 영향
7. 1.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7. 2.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8. 외부 링크
9.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이장호 [47] - <공포의 외인구단>제작착수와 <어우동>기획까지
http://www.cine21.co[...]
2000-03-14
[2]
웹사이트
V-I-C-T-O-R-Y! Korean sports movies
http://blog.korea.ne[...]
2012-01-11
[3]
웹사이트
이장호 [47] - <공포의 외인구단>제작착수와 <어우동>기획까지
http://www.cine21.co[...]
2000-03-14
[4]
웹사이트
V-I-C-T-O-R-Y! Korean sports movies
http://blog.korea.ne[...]
2012-01-11
[5]
웹사이트
영화 외인구단 (1986)에 관한 영화 데이터베이스 - allcinema
https://www.allcinem[...]
2023-04-03
[6]
웹사이트
외화 더빙
http://zack-pro.com/[...]
잭 프로모션
2023-04-03
[7]
뉴스
젊은 영화감독들 새바람 일으킬 듯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8-01-09
[8]
뉴스
「외인구단 2」…허리우드 극장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88-08-19
[9]
뉴스
「외인구단 2」…허리우드 극장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88-08-19
[10]
뉴스
「외인구단 2」…허리우드 극장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88-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