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자 (배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정자는 1942년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2년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하여, 극단 '자유'와 '산울림' 소속으로 다양한 연극 작품에 출연했다. 영화 《육체의 약속》으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1970년 동아연극상, 1986년과 1987년 동아연극상, 1987년 백상예술대상, 1990년 백상예술대상 등 다수의 연극 관련 상을 수상했다. 2005년 극단 사람들 복지 재단의 초대 이사장을 맡았으며, 2007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명여자중학교 동문 - 전숙 (배우)
1955년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단편 영화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 전숙은 《나는 너를 천사라고 부른다》로 대종상 영화제 특별연기상을, 2001년에는 영화의 날 공로영화인상을 수상했다. - 신극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신극 - 추송웅
추송웅은 독특한 마스크와 발성으로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로,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을 통해 전국적인 흥행을 기록하며 모노드라마 붐을 일으켰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대상 수상자(작) - 김민기 (가수)
김민기는 1970년대 저항가요를 대표하며, 가수, 작곡가,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했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연출했으며, 2024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대상 수상자(작) - 임영웅 (연극 연출가)
박정자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박마사코 |
출생일 | 1942년 3월 12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구: 경기도 인천부 논현정) |
직업 | 배우 연극배우 성우 영화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
활동 기간 | 1962년 – 현재 |
소속 | 국립예술원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명예 졸업 |
가족 | 박상호(오빠) 박성준 (조카)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박정자 |
로마자 표기 | Bak Jeong-ja |
수상 | |
수상 내역 | 이해랑 연극상 |
서훈 | |
훈장 | 보관문화훈장 (2007) |
2. 생애
박정자는 1942년 일제 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경기도 김포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 1961년 이화여자대학교 신문학과에 입학하였고, 1962년부터 연극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대학교 3학년 때 DBS 동아방송 공채 1기 성우가 되었으며,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 성우로 활동하면서 발음 등 연극 배우로서의 자질을 키웠고, 1966년 극단 '자유'의 창단 구성원으로 연극 분야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여놓았다.[252][255]
연극배우 정식 데뷔작은 《악령(惡靈)》이다. 극단 '자유'에서 활동하며 《따라지의 향연(饗宴)》, 《해녀 뭍에 오르다》, 《살인 환상곡》, 《마리우스》, 《사자(死者)의 훈장》, 《슬픈 카페의 노래》,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부부연습》 등 30여 편의 작품에 참여했다.[255] 1970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로 첫 번째 동아연극상을 수상했고, 1974년에는 만삭의 몸으로 같은 작품에 출연하기도 했다.[11] 1986년에는 《위기의 여자》로 동아연극상, 백상예술대상, 서울연극평론가그룹상을 수상하며 연극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16]
1990년에는 연극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 딸의 자살을 막으려는 어머니 역할을 맡아 열연, 제8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과 여자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다.[17] 1991년에는 연극 '엄마는 바다를 발견했다'로 서울연극제 자유참가 부문에서 작품상, 연기상, 연출상, 번역상 등 4개 부문을 석권했다.[18] 2003년에는 《19 그리고 80》의 2차 앙코르 공연에서 모드 역을 맡았으며, 이 연극은 2008년에 뮤지컬로 각색되기도 했다.[10]
2005년 5월, 극단 사람들 복지 재단이 설립되었으며, 박정자는 초대 이사장직을 맡았다.[7]
박정자는 영화에도 출연하여 1975년 《육체의 약속》, 1985년 《자녀목》으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2회 수상했다. 그 외에도《아낌없이 주련다》, 《말미잘》, 《과부춤》등에 출연했다.[252]
박정자의 출연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박정자는 1942년 3월 12일 일제 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경기도 김포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252] 아버지는 양조장을 경영하다 광복 직후 열병으로 사망하였다. 이후 어머니는 서울 용산으로 이사와 직물 공장을 운영하며 다섯 자녀를 키웠다. 박정자는 1950년 아홉 살 때 처음 연극을 접했다.[252] 진명여자중학교와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학창시절부터 연극을 좋아하고 무대에 서는 것을 즐겼다.[252] 오빠는 영화 감독 박상호인데, 박상호도 연극을 했기 때문에 가족의 반대는 크지 않았다.[252]1961년 이화여자대학교 신문학과에 입학하였다. 1962년부터 연극배우 활동을 시작, 대학 시절 세 편의 연극에 참여했다. 박정자가 오디션을 통해 들어간 이화여자대학교 극단은 '연극 동아리'나 '학과 연극'이 아닌 '문리대 연극' 개념으로, 기성 연극계로부터 실력을 인정받는 곳이었다.[252] 기자를 꿈꾸며 신문학과에 입학했으나, 대학교 3학년 때 DBS 동아방송 공채 1기 성우가 되었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252]
2. 2. 연극 배우로서의 시작 (1962-1966)
1962년 이화여자대학교 신문학과에 재학 중이던 박정자는 장 라신의 페드라를 공연하는 이화여대 문리대 연극부 오디션에 참가했다. 파드라 역을 맡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대사가 16줄밖에 없는 하녀 파노브 역을 맡게 되었다. 무대에서 실수를 하고 연출가에게 질책을 받은 경험은 그녀에게 겸손함을 가르쳐 주었다.[8]이듬해에는 허규 연출의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에 출연하여 80대 노파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대학 연극이 기성 연극을 위협한다'는 평까지 나올 정도였다.[9] 이화여대 문리대 연극부는 단순한 동아리가 아니라 '문리대 연극' 개념으로, 드라마센터, 명동예술극장 같은 곳에서 공연하며 전문 연출가들의 지도를 받아 실력을 인정받는 곳이었다.[8]
1963년, 동아방송이 개국하면서 성우 공개 채용을 했고, 박정자는 합격했다. 그러나 대학교 규정 때문에 방송 출연과 학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고, 결국 중퇴를 선택했다.[5] 성우로 활동하면서 김무생 등 다른 연극 배우들과 함께 일하며 발음 등 연기 자질을 키웠다.[5]
1964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연극 ''피의 결혼''을 명동 국립극장에서 공연하면서 김정옥 연출을 만나 평생의 연극 동반자가 되었다.[10][9]
2. 3. 극단 '자유' 활동 (1966-1986)
1966년, 박정자는 김정옥 연출가가 주도하여 창단한 극단 '자유'의 창단 구성원으로 참여하며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252][255] 박정자는 성우 활동을 하면서 연극 배우로서의 자질을 키웠고, 극단 '자유'에서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252]박정자는 극단 '자유' 소속으로 《따라지의 향연(饗宴)》, 《해녀 뭍에 오르다》, 《살인 환상곡》, 《마리우스》, 《사자(死者)의 훈장》, 《슬픈 카페의 노래》,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부부연습》 등 30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다.[255]
1986년, 박정자는 산울림 소극장 개관 1주년 기념 공연인 《위기의 여자》(시몬 드 보봐르 원작)에 출연하여 동아연극상, 백상예술대상, 서울연극평론가그룹상을 수상하며 연극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16] 이 작품은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박정자는 이 작품을 통해 많은 관객을 동원하고 연극계에 중요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받는다.[9]
하지만 같은 해 극단 '자유' 20주년 기념 공연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에도 출연해야 했기에, 두 극단 사이에서 갈등을 겪기도 했다. 결국 박정자는 두 작품 모두에 출연하며 어려운 시기를 극복했고, 김정옥 연출과의 관계도 회복했다.[6]
2. 4. 산울림 소극장과의 협업 (1986-현재)
주어진 원본 텍스트에는 '산울림 소극장과의 협업 (1986-현재)'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2. 5. 기타 활동
박정자는 DBS 동아방송 공채 1기 성우 출신으로, 대학 3학년 때 성우가 되었다.[252] 1963년 당시에는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라디오가 주요 엔터테인먼트 수단이었기 때문에, 연기에 대한 열정으로 성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5] 성우로 활동하면서 발음 등 연극 배우로서의 자질을 키웠다.[252][255]사미자, 전원주, 김무생 등 동기생들은 라디오 성우로도 활동한 연극 배우들이었고, 장민호, 나옥주 등과 같은 연극 배우들과도 협업했다. 이러한 경험은 박정자가 발음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연극 배우로서의 기량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게 해주었다.[5]
1975년에는 김기영 감독의 《육체의 약속》으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탔고, 1985년에는 정진우 감독의 《자녀목》으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그 외에도 《아낌없이 주련다》, 《말미잘》, 《과부춤》 등의 영화에 출연했다.[252]
3. 개인사
1962년, 박정자는 저널리즘 학과 2학년 재학 중 장 라신의 페드라를 이화여대 문리대 연극부에서 공연하는 오디션에 참가했다. 그녀는 주인공 파드라 역을 맡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대사가 16줄밖에 없는 하녀 파노브 역을 맡게 되었다. 무대에서 그녀는 긴장한 탓에 실수를 했고, 연출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이 경험은 그녀에게 겸손함을 가르쳐 주었다.[8]
1962년부터 박정자는 대학 시절 동안 세 편의 연극에 참여했다. 다음 해에는 허규(1934-2000) 연출의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에 출연하여 80대 노파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대학 연극이 기성 연극을 위협한다'는 평까지 나왔다.[9] 이화여대 문리대 연극부는 단순한 동아리나 학과 프로젝트를 넘어 "예술대학 연극"의 개념을 구현했기 때문에, 이러한 경험은 그녀의 경력에 튼튼한 기반이 되었다. 공연은 대학교 강당이 아닌 드라마센터, 명동예술극장과 같은 권위 있는 장소에서 열렸고, 유명 전문 연출가들이 제작을 지도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8]
박정자는 연기에 대한 열정으로 성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당시에는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라디오가 주요 엔터테인먼트 수단이었다. 1963년, 대학 3학년 때 동아방송이 개국하면서 성우 공개 채용을 발표했다. 경쟁이 치열했지만, 박정자는 지원하여 1차, 2차, 3차 시험을 모두 통과했다. 그러나 대학교 규정 때문에 방송 출연이 어려워지자, 그녀는 중퇴를 선택했다.[5]
성우로 활동하면서 박정자는 동기생인 사미자, 전원주, 김무생 등 라디오 성우로도 활동한 다른 연극 배우들과 함께 일했다. 또한 장민호, 나옥주 등 연극 배우들과도 협업하며 발음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연극 배우로서의 기량을 더욱 발전시켰다.[5]
김갑순(1914-2005)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의 요청으로, 박정자는 퇴근 후에도 학생들과 함께 연극을 연습하고 무대에 올렸다. 1964년, 그들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피의 결혼''을 명동 국립극장에서 공연했다. 이때 그녀는 민중극장의 유명 연출가였던 김정옥을 만나 평생의 연극 동반자가 되었다. 김정옥은 중앙대학교에서 연극영화학 교수로도 재직했다.[10][9][11]
4. 출연 작품
박정자는 1963년 대학교 3학년 때 동아방송 성우 공채에 합격하여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라디오가 주요 오락 수단이었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했다. 박정자는 모든 시험을 통과했지만, 대학교 규정 때문에 중퇴를 선택해야 했다.[5] 성우로 활동하며 사미자, 전원주, 김무생 등 동기생들과 함께 일했고, 장민호, 나옥주 등 연극 배우들과도 협업하며 연기 역량을 발전시켰다.[5] 이후 2015년에는 EBS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를 진행했다.[54]
4. 1. 연극
박정자는 1962년 이화여자대학교 재학 시절 장 라신의 페드라를 통해 연극 무대에 데뷔했다.[8] 대학 시절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에서 80대 노파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9] 1964년에는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피의 결혼을 명동 국립극장에서 공연하며 연출가 김정옥을 만났다.[10][9]1986년, 박정자는 연극 '하늘만큼 먼 나라'로 동아연극상을 수상했다.[13] 같은 해, 시몬 드 보부아르의 '위기의 여자'를 한국어로 각색한 연극에서 모니크 역을 맡아 동아연극상, 백상예술대상, 서울연극평론가그룹상을 수상하며 연극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16]
1990년에는 마샤 노먼의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 딸의 자살을 막으려는 어머니 역을 통해 뛰어난 연기를 선보였다.[6] 이 작품으로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과 여자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다.[17]
1991년, 연극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로 서울연극제에서 작품상, 연기상, 연출상, 번역상 4개 부문을 석권했다.[18] 1992년에는 신의 아그네스에서 수녀원장 역을 맡았다.[21][22]
2003년부터는 콜린 히긴스의 해롤드와 모드를 원작으로 한 '19 그리고 80'에서 모드 역을 맡아 여러 차례 공연했다.[23]
연도 | 제목 | 배역 | 극장 | 날짜 | rowspan="2" | | |
---|---|---|---|---|---|---|
영어 | 한국어 | |||||
1962 | Phèdre | 페드라 | Panov | colspan="2" | | [8] | |
1963 |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 마리아 호세파 | 국립극장(명동) | [84] | |
1964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85] | ||
1965 | Evil Spirit | 악령 | colspan="2" | | [86][87] | ||
1965 | Faust | 파우스트 | colspan="2" | | [3] | ||
1966 | 따라지의 향연 | 따라지의 향연(饗宴) | 콘체타 | 국립극장(명동) | 6월 16–19일 | [88][89][90] |
신의 대리인 | 신의 대리인 | 11월 17–21일 | [91] | |||
1967 | 해녀 뭍에 오르다 | 해녀 뭍에 오르다 | 해녀 | 4월 28–5월 4일 | [92] | |
1968 | 소풍작전 | 소풍작전 | 4월 9–14일 | [93] | ||
살인환상곡 | 살인환상곡 | 10월 26–30일 | [94] | |||
1969 | 대머리 여가수 | 대머리 여가수 | 에코 | 카페 테아트르 (한국 최초의 소극장, 충무로1가 24-1) | 4월 | [10][95] |
우정 | 우정 | 스시 부부 (여자) | ||||
햇빛 밝은 아침 | 햇빛 밝은 아침 | |||||
1969 | Marius | 마리우스 | 국립극장(명동) | 6월 12–16일 | [96] | |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 낸시 매니고 | 9월 17–21일 | [97] | ||
1970 | 사자의 훈장 | 사자의 훈장 | 2월 20–26일 | [98] | ||
산불 | 산불 | 병격의 처 | 6월 26–7월 1일 | [99] |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 온달의 어머니 | 11월 18-22일 | [100] | ||
1971 | 아내학교 | 아가씨 길들이기 | 3월 9–14일 | [101] | ||
그물 안의 여인들 | 그물 안의 여인들 | 5월 26–30일 | [102] | |||
슬픈 카페의 노래 | 슬픈 까페의 노래 | 아멜리아 에반스 | 9월 2–6일 | [103] | ||
1972 | 환상여행 | 환상여행 | 윤금봉 | 2월 1–7일 | [104] | |
따라지의 향연 | 따라지의 향연(饗宴) | 콘체타 | 9월 14–18일 | [88][105] | ||
1973 |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 뜨거운 양철지붕위의 고양이 | 아르떼 극장 | 12월 20–24일 | [106] | |
1974 | 가죽버선 | 가죽버선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예회관 대극장 | 7월 5–7일 | [107] | |
흐르지 않는 강의 전설 | 흐르지 않는 강의 전설 | 언술극장 | 10월 10–14일 | [108] | ||
1975 | 괴테의 파우스트 | 파우스트 | 명동예술극장 | 6월 5–6일 | [109] | |
여인과 수인 | 여인과 수인 | 여인 | 7월 9–14일 | [110] | ||
1976 | 주머니 속의 탱고 | 주머니속에서 탱고를 | 몰트 | 시민회관 별관 | 6월 17–21일 | [111] |
1978 |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 낸시 매니고 | 세실극장 | 2월 15–21일 | [112] |
대머리 여가수 - 100회 | 대머리 여가수 - 100회째 | 에코 | 5월 31–6월 6일 | [113] | ||
무엇이 될고하니 | 무엇이 될고하니 | 10월 27–11월 1일 | [114] | |||
대머리 여가수 | 대머리 여가수 | 에코 | 엘칸토 예술극장 | 12월 14–31일 | [115] | |
1979 | 그 여자 사람 잡네 | 그 여자 사람 잡네 | 2월 13–3월 4일 | [116] | ||
1980 | 백양섬의 욕망 | 백양섬의 욕망 | 비아 | 2월 17–3월 13일 | [117] | |
1982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6월 1–7월 12일 | [85] |
달맞이꽃 | 달맞이꽃 | 국립극장 소극장 | 6월 11–16일 | [118] | ||
1983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5월 3–9일 | [119] |
1984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문예회관 서울 | 2월 16-22일 | [120] | |
Blood Wedding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피의 결혼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어머니 | 서울 문화회관 | 6월 1–7월 12일 | [121] | |
국립극장-서울 | ||||||
Theatre des Nations, 낭시, 에피날, 메츠 | ||||||
Maison des Cultures du Monde, 파리 | ||||||
Festival International du Theater Hamamett, 튀니지 | ||||||
Festival International du Theater, 아스티, 이탈리아 | ||||||
1984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어머니 | 문학극장 | 6월 1–18일 | [122] |
Theatre des Nations, 낭시, 에피날, 메츠 | 6월 18–22일 | [123] | ||||
Maison des Cultures du Monde, 파리 | 6월 24–27일 | [124] | ||||
Festival International du Theater Hamamett, 튀니지 | 7월 1–6일 | [125] | ||||
Festival International du Theater, 아스티, 이탈리아 | 7월 9–12일 | [125] | ||||
1985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칼라존 극장 페스티벌, 프랑스 | rowspan="2" | | |
바르셀로나 극장 페스티벌, 스페인 | ||||||
1985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 어머니 | 문예회관 서울 | 6월 12–15일 | [126] |
일본 | 6월 16–20일 | [127] | ||||
바르셀로나 극장 페스티벌, 스페인 | ||||||
칼라존 극장 페스티벌, 프랑스 | ||||||
하늘만큼 먼 나라 | 하늘만큼 먼 나라 | rowspan="2" |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9월 12–17일 | [128] | |
10월 20일 | [129] | |||||
달걀 | 달걀 | 마르기스 (두 번째 부인) | 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10월 18–31일 | [130] | |
1986 | 위기의 여자 | 위기의 여자 | 모니크 | 산울림 소극장 | 4월 1–30일 | [131][132]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 온달의 어머니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0월 8–12일 | [133] | |
전북 학생회관 | 11월 5일 | [134] | ||||
1987 | 불가불가 | 불가불가 | 극중 배우 | 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9월 7–10월 3일 | [135] |
1988 | 수탉이 안 울면 암탉이라도 | 수탉이 안 울면 암탉이라도 | 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5월 4–10일 | [136][137] |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8월 27–9월 5일 | [138] | ||
Blood Wedding | (1988) 문화예술축전 서울국제연극제; 피의 결혼 | 어머니 | 원주 KBS 공회당 | 10월 15–28일 | [139] | |
1989 | 금강산 호랑이 물리치기 | 금강산 호랑이 물리치기 | 한국무용 강사 | 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8월 13–16일 | [140] |
도적들의 무도회 | 도적들의 무도회 | 호암아트홀 | 10월 20–29일 | [141] | ||
1990 | 밤으로의 긴 여로 | 굿나잇, 마더 | 셀마 케이츠 (어머니) | 2월 6–3월 10일 | [142] | |
도적들의 무도회 | 도적들의 무도회 | 롯데월드 예술극장 | 3월 3–17일 | [143] | ||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 베르나르다 알바 | 국립극장 소극장 | 4월 5–19일 | [144] | |
한가위 밝은 달아 | 한가위 밝은 달아 | 어머니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9월 1–6일 | [145] | |
대머리 여가수 | 대머리 여가수 | 에코 | 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10월 5–18일 | [146] | |
1991 | 따라지의 향연 | 따라지의 향연(饗宴) | 에코 | 예술의전당 대극장 | 2월 1–7일 | [147] |
1991–1992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어머니 | 산울림 소극장 | 12월 24–2월 9일 | [148] |
1992 | 신의 아그네스 | 신의 아그네스 | 미리암 수녀 | 산울림 소극장 | 4월 4–19일 | [149] |
1993 | 햄릿 | 햄릿 | 광대 | 자유 극단 | 3월 13일부터 21일까지 | [150] |
프랑스 롤포인트 극장 | 4월 | |||||
1993 | 내사랑 히로시마 | 내사랑 히로시마 | 여자 | 현대 토아트홀 | 10월 13–11월 21일 | [151] |
1994 | 그 자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 그 자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 제인 헛슨 | 학전 소극장 | 2월 24–3월 31일 | [152] |
무녀도 | 무녀도 | 무당 | 서울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7월 2–17일 | [153] | |
박정자의 11월의 왈츠 | 박정자의 11월의 왈츠 | 압구정동 실험극장 | 10월 27일 | [154] | ||
1995 | Blood Wedding | 피의 결혼 | 어머니 | 서울 예술의전당 자유극장 | 5월 13–21일 | [155] |
일본 도쿄 삼백 극장 | 6월 7–11일 | [156] | ||||
미국 LA 윌셔 이벨 극장 | 6월 13–14일 | |||||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세계 극장 페스티벌 | 6월 23–25일 | |||||
1995–1996 | 테레사의 꿈 | 테레사의 꿈 | 테레사 | 산울림 소극장 | 12월 1–2월 4일 | [157] |
1996 | 따라지의 향연 | 따라지의 향연 | 콘체타 | 연강홀 | 3월 10–6월 16일 | [158] |
1997 | 그 여자 억척어멈 | 그 여자 억척어멈 | 어머니 | 아카데미 블루 | 4월 8–7월 6일 | [159] |
1998 | 시민연극 - 특집·대한국인 안중근 | 시민연극 - 특집·대한국인 안중근 | 조 마리아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0월 2–3일 | [160]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제1회)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어머니 | 나주 동신대학교 | 10월 28–11월 2일 | [161] | |
남도 문화예술회관 | ||||||
출세기2 | 출세기2 | 박정자 |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 12월 12–20일 | [162] | |
1999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 어머니 | 산울림 소극장 | 1월 21–3월 28일 | [163] |
Phèdre | 페드라 | Phèdre |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 | 6월 1~27일 | [164] | |
(제23회) 서울연극제 : 이병복의 옷굿 - 살 | (제23회) 서울연극제 : 이병복의 옷굿 - 살 | 오필리아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0월 2–3일 | [165] | |
이병복의 옷굿 - 살 | 이병복의 옷굿 - 살 | 오필리아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0월 2–3일 | [166] | |
대머리 여가수 | 대머리 여가수 | 에코 | 인간극장 | 10월 22–11월 28일 | [167] |
{| class="wikitable sortable plainrowheaders" style="clear:none; font-size:100%; padding:0 auto; width:100%; margin:auto"
|+ 공연 연극
! rowspan="2" scope="col" |연도
! colspan="2" scope="col" |제목
! rowspan="2" scope="col" | 배역
! rowspan="2" scope="col" | 극장
! rowspan="2" scope="col" | 날짜
! rowspan="2" scope="col" |
|-
!영어
!한국어
|-
! rowspan="2" scope="row" |2003
|''19 and 80''
|19 그리고 80
|모드
|정미소, 대학로 설치극장
|1월 9일–4월 20일
|[168]
|-
|''Mom Discovered the Sea When She Was Fifty''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9월 25일–11월 23일
|[169]
|-
! scope="row" rowspan="2" |2004
|''19 and 80''
|19 그리고 80
|모드
|정미소, 대학로 설치극장
|1월 9일–4월 29일
|[170]
|-
|''Blood Wedding''
|피의 결혼
|어머니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12월 3일–31일
|[171][172]
|-
! rowspan="3" scope="row" |2005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할머니
|국립정동극장
|4월 15일–5월 15일
|[173]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8월 2일–9월 25일
|[174]
|-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할머니
|성남아트센터 앙상블 극장
|10월 27일-30일
|[175]
|-
! scope="row" rowspan="3" |2006
|''19 and 80''
|19 그리고 80
|모드
|우리 청담 씨어터
|1월 9일–2월 19일
|[176]
|-
|''따라지의 향연: 원제 Miseria e nobiltà''
|따라지의 향연: 원제 Miseria e nobiltà
|비아제
|아르코 대극장
|6월 28일–7월 9일
|[177]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7월 25일–8월 27일
|[178]
|-
! scope="row" rowspan="4" |2007
| rowspan="2" |''Agnes of God''
| rowspan="2" |신의 아그네스
| rowspan="2" | 미리엄 수녀
(안나 마리아 부르체티)
|국립정동극장
|1월 9일–2월 7일
| [179][180]
|-
|성남아트센터
|3월 2일–4일
|[181]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4월 12일–5월 27일
|[182]
|-
| ''Agnes of God''
| 신의 아그네스
| 미리엄 수녀
(안나 마리아 부르체티)
| 서울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12월 8일–30일
| [183]
|-
! scope="row" |2008
|''침향 (沈香)''
|침향 (沈香)
|늙은 어머니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6월 11일–29일
|[184]
|-
! scope="row" rowspan="3" |2009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5월 7일–6월 6일
|[185]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온달의 어머니
|명동예술극장
|7월 10일–26일
|[186]
|-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평촌아트홀
|10월 29일–31일
|[187]
|-
! scope="row" rowspan="2" |2010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어머니
|산울림 소극장
|5월
|[188]
|-
|''나는 너다''
|나는 너다
|마리아 조
|국립극장 하늘극장
|7월 21일–8월 22일
|[189]
|-
! rowspan="7" scope="row" | 2011
| ''오이디푸스''
| 오이디푸스
|디스아트
| 명동예술극장
| 1월 20일~2월 13일
|[190][191]
|-
| rowspan="2" |''나는 너다''
| rowspan="2" |나는 너다
| rowspan="2" |마리아 조
|서울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5월 17일–6월 6일
|[192]
|-
|제주아트센터
|6월 24일–25일
|[193]
|-
|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 모래의 정거장''
| 모래의 정거장
| rowspan="3" |
| 국립극장 KB청소년 하늘극장
| 10월 7일–8일
|[194]
|-
| rowspan="2" | ''모래의 정거장''
| rowspan="2" | 모래의 정거장
| 부산 LIG아트홀
| 10월 15일–16일
|[195]
|-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 극장
| 10월 22일-23일
|[196]
|-
| ''오이디푸스''
| 오이디푸스
|디스아트
| 명동예술극장
| 11월 8일~27일
|[197]
|-
! scope="row" | 2012
|''19 and 80''
|19 그리고 80
|모드
|삼일로 창고극장
|12월 14일–30일
|[198]
|-
! scope="row" rowspan="4" |2013
|''안티고네''
|안티고네
|테이레시아스
|서울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4월 15일–28일
|[199]
|-
| rowspan="2" |''14인
4. 2.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72년 | 충녀 | ||
1977년 | 이어도 | ||
1978년 | 흙 | ||
1981년 | 반금련 | ||
1981년 | 만다라 | 법운의 어머니 역 | |
1982년 | 낮은 대로 임하소서 | 어머니 역 | |
1985년 | 자녀목 | 노 마님 역 | |
1991년 | 인어공주 | 우르슬라 역 | 목소리 출연 |
1993년 | 웨스턴 애비뉴 | 어머니 역 | |
2013년 | 박수건달 | 왕 무당 역 | |
2016년 | 마스터 | 신 선생 | 특별출연 |
2018년 | 허스토리 | 집장촌 홍 여사 역 | 특별출연 |
2024년 | 파묘 | 박지용의 고모 역 | 천만영화 |
4. 3. TV 드라마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rowspan="2" scope="col" class="unsortable" | | |
---|---|---|---|---|---|
영어 | 한국어 | ||||
1973 | 목도 | TBC 동양방송 | |||
1974 | 인목대비 | TBC 동양방송 | |||
1987 | Eolgureomneun Moksori | 얼굴없는 목소리 | MBC | [53] |
4. 4. 라디오 프로그램
1963년, 대학교 3학년 때 동아방송이 개국하면서 성우 공개 채용을 실시했다. 당시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라디오가 주요 엔터테인먼트 수단이었기 때문에, 각 채용 공고에 약 150명의 지원자가 몰릴 정도로 경쟁이 치열했다. 박정자는 1차, 2차, 3차 시험을 모두 통과했지만, 대학교 규정 때문에 중퇴를 선택해야 했다.[5]성우로 활동하면서 박정자는 사미자, 전원주, 김무생 등 동기생들과 함께 일했다. 또한 장민호, 나옥주 등 연극 배우들과도 협업하며 발음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연극 배우로서의 기량을 더욱 발전시켰다.[5]
5.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후보 / 작품 | 결과 | 참고 |
---|---|---|---|---|---|
1970 | 제6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검은 칠을 한 여자 | [231] | |
1970–1971 | 제7회 동아연극상 | 여자 연기상 | 우리가 만날 때 | [232] | |
1972 | 제8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 부문 대상 | 슬픈 카페의 노래 | [230] | |
1975 | 제1회 영희연극상 | 여자 연기상 | 박정자 | [230] | |
1975 | 제14회 대종상 | 여우조연상 | 육체의 약속 | [230] | |
1984 | 제23회 대종상 | 여우조연상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 [230] | |
1985–1986 | 제22회 동아연극상 | 여자 연기상 | 자유극장의 "알" 과 산울림의 "하늘만큼 먼 당신" | [232] | |
1986 | 제8회 서울연극평론가그룹상 | 여자 연기상 | 자유극장의 "알" 과 산울림의 "하늘만큼 먼 당신" | [230] | |
1986–1987 | 제23회 동아연극상 | 여자 연기상 | 산울림의 "위기의 여자" | [232] | |
1987 | 제23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산울림의 "위기의 여자" | [233] | |
1987 | 제9회 서울연극평론가그룹상 | 여자 연기상 | 산울림의 "위기의 여자" | [230] | |
1988 | 한국연극예술상 | 여자 연기상 | 피의 결혼 | [230] | |
1989 | 제25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 부문 인기상 | 피의 결혼 | [234] | |
1990 | 제26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 부문 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 밤으로의 긴 여로'' | [235] | |
1991 | 서울연극제, 사랑의 연극제 | 여자 연기상 | 50에 발견한 바다 | [230] | |
1997 | 제7회 이해랑연극상 | 연극상 | 박정자 | [236] | |
2000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영화상 | 자랑스러운 언론홍보영상인상 | 박정자 | [230] | |
2001 | 진명여자고등학교 총동창회, MBC 명예의 전당 | 자랑스러운 진명인상, 연극인상 | 박정자 | [230] | |
2005 | 제14회 서울어린이연극상 | 여자 연기상 | 특별한 아이 | [237] | |
2011 | 대한민국 연극대상 | 특별상 | 박정자 | [230] | |
2012 | 파라다이스상 | 제8회 문화예술 부문 | 박정자 | [238] | |
2013 | 삼성행복대상 | 여성창조상 | 박정자 | [239] | |
2014 | 제4회 아름다운 예술인상 | 연극예술인상 | 박정자 | [241] | |
2016 | 빛나는 이화인 | 감동이화인상 | 박정자 | [240] | |
2020 | 제7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3·1 문화상 | 공로상, 예술 부문 | 박정자 | [242] | |
2020 | 3·1 문화상 | 예술 부문 | 박정자 | [243][244] | |
2023 | 제21회 자랑스러운 이화인 | 박정자 | [245] |
출판사 | 연도 | 목록 | 순위 | 참고 |
---|---|---|---|---|
동아일보 | 2003 | [전문가가 선정한 우리 분야 최고] 연극 & 뮤지컬 — 여우주연상 | [248] | |
아시아투데이 | 2013 | 연극 무대를 지배하는 60, 70대 배우 | [249] | |
Book & People | 2015 | 배우는 누구인가 | [250] | |
한국연극 | 2019 | 한국 연극을 이끄는 34인의 예술가 | [251] |
참조
[1]
웹사이트
50회 맞은 동아연극상, 연기상 최다 수상자 연극계 거목 신구-박정자
https://www.donga.co[...]
2023-09-04
[2]
웹사이트
아, 이건 운명이야…무대 위에선 도망갈 수 없거든요
https://www.hani.co.[...]
2023-09-02
[3]
웹사이트
박정자 상세정보
http://www.naa.go.kr[...]
2023-09-02
[4]
웹사이트
연극은 나의 종교, 인천의 나의 고향
https://www.incheon.[...]
2023-09-02
[5]
웹사이트
박정자
https://terms.naver.[...]
2023-09-02
[6]
웹사이트
50년간 한 해도 공연 거르지 않은 朴正子
http://monthly.chosu[...]
2023-09-04
[7]
웹사이트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神氣의 연극배우 박정자
https://www.seoul.co[...]
2023-09-04
[8]
웹사이트
박정자 "난 연극밖에 할 줄 몰라···죽은 뒤 수수꽃다리 아래 의자로 남고 싶어"[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
https://www.khan.co.[...]
2023-09-02
[9]
웹사이트
'박정자전' 여는 배우 박정자 "한 해도 안 빠지고 50년간 무대 섰지요"
https://www.khan.co.[...]
2023-09-04
[10]
웹사이트
"연극은 조국이자 종교… 오늘도 내 모든 걸 짜내려 대본과 씨름"
https://www.munhwa.c[...]
2023-09-04
[11]
웹사이트
[나의 이력서] 무대의 카리스마 박정자 극단 "자유"(自由)와 만나다
https://www.hankooki[...]
2023-09-04
[12]
웹사이트
유치진 이해랑 등 최고 연출가 대표작 섭렵
https://www.hankooki[...]
2023-09-04
[13]
웹사이트
소극장 산울림 — 수상연보
http://sanwoollim.kr[...]
2023-09-04
[14]
웹사이트
정책소통 - 대학생기자단 - 나는 배우다, 이 시대 진정한 예술인 박정자를 만나다
https://www.mcst.go.[...]
2023-09-04
[15]
웹사이트
다시보는 「위기의 여자」(장명수 칼럼)
https://www.hankooki[...]
2023-09-04
[16]
웹사이트
대한민국 연극계 대모 배우 박정자 진솔토크
http://www.daejonilb[...]
2023-09-04
[17]
웹사이트
한국 백상 예술대상 "영광"
https://www.hankooki[...]
2023-09-04
[18]
웹사이트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와 '19 그리고 80 ' 재공연 무대에 서는 연극배우 박정자|여성동아
https://woman.donga.[...]
2023-09-04
[19]
웹사이트
박정자표 연극 사랑'꽃봉지회'
https://www.khan.co.[...]
2023-09-04
[20]
웹사이트
[삶과 문화]"저분이 회원이었나요?"
https://n.news.naver[...]
2023-09-04
[21]
웹사이트
92 文藝 전망…연극
https://n.news.naver[...]
2023-09-04
[22]
웹사이트
고급정통연극 몰락, 대중흥행연극은 급부상
https://n.news.naver[...]
2023-09-04
[23]
웹사이트
연극배우 박정자의 잔잔한 인생고백|여성동아
https://woman.donga.[...]
2023-09-04
[24]
웹사이트
'연극운동가' 박정자 씨
https://n.news.naver[...]
2023-09-04
[25]
웹사이트
연극인 복지재단 대표 맡은 박정자씨
https://n.news.naver[...]
2023-09-04
[26]
웹사이트
박정자
https://movie.daum.n[...]
2023-09-02
[27]
웹사이트
충녀
https://movie.daum.n[...]
2023-09-02
[28]
웹사이트
육체의 약속
https://movie.daum.n[...]
2023-09-02
[29]
웹사이트
이어도
https://movie.daum.n[...]
2023-09-02
[30]
웹사이트
한네의 승천
https://movie.daum.n[...]
2023-09-02
[31]
웹사이트
씨네21
http://m.cine21.com/[...]
2023-09-02
[32]
웹사이트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https://www.kmdb.or.[...]
2023-09-02
[33]
웹사이트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https://movie.daum.n[...]
2023-09-02
[34]
웹사이트
장마
https://movie.daum.n[...]
2023-09-02
[35]
웹사이트
흙
https://movie.daum.n[...]
2023-09-02
[36]
웹사이트
씨네21
http://m.cine21.com/[...]
2023-09-02
[37]
웹사이트
반금련
https://movie.daum.n[...]
2023-09-02
[38]
웹사이트
만다라
https://movie.daum.n[...]
2023-09-02
[39]
웹사이트
낮은 대로 임하소서
https://movie.daum.n[...]
2023-09-02
[40]
웹사이트
과부춤
https://movie.daum.n[...]
2023-09-02
[41]
웹사이트
자녀목
https://movie.daum.n[...]
2023-09-02
[42]
웹사이트
이장호의 외인구단
https://movie.daum.n[...]
2023-09-02
[43]
웹사이트
바람 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
https://movie.daum.n[...]
2023-09-02
[44]
웹사이트
안개기둥
https://movie.daum.n[...]
2023-09-02
[45]
웹사이트
아낌없이 주련다
https://movie.daum.n[...]
2023-09-02
[46]
웹사이트
씨네21
http://m.cine21.com/[...]
2023-09-02
[47]
웹사이트
말미잘
https://movie.daum.n[...]
2023-09-02
[48]
웹사이트
박수건달
https://movie.daum.n[...]
2023-09-02
[49]
웹사이트
초대
https://movie.daum.n[...]
2023-09-02
[50]
웹사이트
마스터
https://movie.daum.n[...]
2023-09-02
[51]
웹사이트
허스토리
https://movie.daum.n[...]
2023-09-02
[52]
웹사이트
보는 것을 사랑한다
https://movie.daum.n[...]
2023-09-02
[53]
웹사이트
얼굴없는 목소리
https://www.kmdb.or.[...]
2023-09-02
[54]
웹사이트
100인의 배우 '목소리 기부' 릴레이
https://www.seoul.co[...]
2023-09-05
[55]
웹사이트
'제7회 천상병 예술제' 23일 의정부서 개막
https://n.news.naver[...]
2010-04-19
[56]
웹사이트
배우 박정자, 국립국악관현악단 '정오의 음악회' 해설자로 만난다
https://www.newscult[...]
2018-04-26
[57]
웹사이트
강릉 씨마크 페스티벌 티켓 문의 쇄도
http://www.kado.net/[...]
2018-08-07
[58]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8 9월
https://www.ntok.go.[...]
2023-09-05
[59]
웹사이트
50일간 마포서 펼쳐지는 문화의 향연
https://www.chosun.c[...]
2020-07-19
[60]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8 10월
https://www.ntok.go.[...]
2023-09-05
[61]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8 11월
https://www.ntok.go.[...]
2023-09-05
[62]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9 3월
https://www.ntok.go.[...]
2023-09-05
[63]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9 4월
https://www.ntok.go.[...]
2023-09-05
[64]
웹사이트
국립극장 - 국립국악관현악단 5월 정오의 음악회
https://www.ntok.go.[...]
2023-09-05
[65]
웹사이트
국립극장 - 2019 6월
https://www.ntok.go.[...]
2023-09-05
[66]
웹사이트
가톨릭관동대, 강릉국제영화제 스페셜 네트워킹 콘서트.. 9일 강릉아트센터 소공연장
http://www.veritas-a[...]
2019-11-07
[67]
웹사이트
배우 박정자 정동환 윤석화 송일국, 명작 낭독 브런치 음악회 '책 읽어주는 배우' 공연
https://www.mhns.co.[...]
2020-02-15
[68]
웹사이트
실험성 강한 모노극 「11월의 왈츠」
https://n.news.naver[...]
2023-09-05
[69]
뉴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박정자 1인극
https://www.munhwa.c[...]
2009-01-29
[70]
웹사이트
공연,아침에 볼까? 심야에 보러갈까?
https://www.fnnews.c[...]
2009-03-11
[71]
웹사이트
천안아산 문화공연 소식
https://n.news.naver[...]
2023-09-06
[72]
웹사이트
여주,박정자의 낭만콘서트 '11월의 왈츠'개최
https://www.news1.kr[...]
2023-09-06
[73]
웹사이트
의정부 예술의 전당 2~3월 공연 '풍성'
https://n.news.naver[...]
2023-09-06
[74]
웹사이트
이천문화재단
https://www.artic.or[...]
2023-09-06
[75]
웹사이트
낭독연극 '엄마를 부탁해' 27일 부평아트센터 공연
http://www.incheonne[...]
2023-09-06
[76]
웹사이트
박정자의 60년 연기인생을 담은 무대… 박정자의 배우론 '노래처럼 말해줘'
https://www.vop.co.k[...]
2023-09-05
[77]
웹사이트
박정자의 노래대화극 [노래처럼 말해줘]
https://www.artgy.or[...]
2023-09-05
[78]
웹사이트
로맨틱코메디 뮤지컬 한여름밤의 꿈
https://www.daarts.o[...]
2023-09-03
[79]
웹사이트
[문화마당]뮤지컬 「넌센스」,박정자등 「빅5」출연
https://www.donga.co[...]
2023-09-03
[80]
웹사이트
19 그리고 80
https://www.themusic[...]
2023-09-03
[81]
웹사이트
박정자 주연의 '어머니의 노래' 서울공연, 8월22~24일 아르코대극장
https://sports.chosu[...]
2023-09-06
[82]
웹사이트
빌리 엘리어트 2017
https://www.themusic[...]
2023-09-03
[83]
웹사이트
팔순 박정자 "무대 위 아이들 보면 눈물난다" 모든 연령 등장 뮤지컬
https://www.joongang[...]
2023-09-03
[84]
웹사이트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https://www.daarts.o[...]
2023-09-03
[85]
웹사이트
[공연]연극 '피의 결혼'의 박정자씨
https://n.news.naver[...]
2023-09-03
[86]
웹사이트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神氣의 연극배우 박정자
https://n.news.naver[...]
2023-09-03
[87]
웹사이트
연극배우 박정자는…아홉살때 처음 본 연극 "온몸에 소름 돋는 경험"
https://www.munhwa.c[...]
2023-09-04
[88]
웹사이트
따라지의향연공연 14일부터18일까지
https://www.mk.co.kr[...]
2023-09-03
[89]
웹사이트
40주년 기념공연 극단 자유 제작진
https://n.news.naver[...]
2023-09-03
[90]
웹사이트
따라지의 향연(饗宴)
https://www.daarts.o[...]
2023-09-03
[91]
웹사이트
신의 대리인
https://www.daarts.o[...]
2023-09-03
[92]
웹사이트
해녀 뭍에 오르다
https://www.daarts.o[...]
2023-09-03
[93]
웹사이트
픽크닉 작전
https://www.daarts.o[...]
2023-09-03
[94]
웹사이트
살인환상곡
https://www.daarts.o[...]
2023-09-03
[95]
웹사이트
까페 떼아뜨르
https://encykorea.ak[...]
2023-09-04
[96]
웹사이트
마리우스
https://www.daarts.o[...]
2023-09-03
[97]
웹사이트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https://www.daarts.o[...]
2023-09-03
[98]
웹사이트
사자의 훈장
https://www.daarts.o[...]
2023-09-03
[99]
웹사이트
산불
https://www.daarts.o[...]
2023-09-03
[100]
웹사이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https://www.daarts.o[...]
2023-09-03
[101]
웹사이트
아가씨 길들이기
https://www.daarts.o[...]
2023-09-03
[102]
웹사이트
그물안의 여인들
https://www.daarts.o[...]
2023-09-03
[103]
웹사이트
슬픈 까페의 노래
https://www.daarts.o[...]
2023-09-03
[104]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9-02
[105]
웹사이트
따라지의 향연(饗宴)
https://www.daarts.o[...]
2023-09-03
[106]
웹사이트
뜨거운 양철지붕위의 고양이
https://www.daarts.o[...]
2023-09-03
[107]
웹사이트
가죽버선
https://www.daarts.o[...]
2023-09-03
[108]
웹사이트
흐르지 않는 강의 전설
https://www.daarts.o[...]
2023-09-03
[109]
웹사이트
파우스트
https://www.daarts.o[...]
2023-09-03
[110]
웹사이트
여인과 수인
https://www.daarts.o[...]
2023-09-03
[111]
웹사이트
주머니속에서 탱고를
https://www.daarts.o[...]
2023-09-03
[112]
웹사이트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https://www.daarts.o[...]
2023-09-03
[113]
웹사이트
대머리 여가수 - 100회째
https://www.daarts.o[...]
2023-09-03
[114]
웹사이트
무엇이 될고하니
https://www.daarts.o[...]
2023-09-03
[115]
웹사이트
대머리 여가수
https://www.daarts.o[...]
2023-09-03
[116]
웹사이트
그 여자 사람 잡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17]
웹사이트
백양섬의 욕망
https://www.daarts.o[...]
2023-09-03
[118]
웹사이트
달맞이꽃
https://www.daarts.o[...]
2023-09-03
[119]
웹사이트
피의 결혼
https://www.daarts.o[...]
2023-09-03
[120]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1]
웹사이트
피의 결혼;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2]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3]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4]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5]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6]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7]
웹사이트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28]
웹사이트
하늘만큼 먼 나라
https://www.daarts.o[...]
2023-09-03
[129]
웹사이트
하늘만큼 먼 나라
https://www.daarts.o[...]
2023-09-03
[130]
웹사이트
Blood Wedding
https://www.daarts.o[...]
2023-09-03
[131]
웹사이트
위기의 여자 (危機의 女子)
https://www.daarts.o[...]
2023-09-03
[132]
웹사이트
연극배우 박정자 "신인지, 영혼인지 날 도와주는 존재가 있는 듯해요"
https://www.khan.co.[...]
2023-09-04
[133]
웹사이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https://www.daarts.o[...]
2023-09-03
[134]
웹사이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https://www.daarts.o[...]
2023-09-03
[135]
웹사이트
불가불가
https://www.daarts.o[...]
[136]
웹사이트
수탉이 안 울면 암탉이라도
https://www.daarts.o[...]
2023-09-03
[137]
웹사이트
수탉이 안울면 암탉이라도
https://www.daarts.o[...]
2023-09-03
[138]
웹사이트
피의 결혼
https://www.daarts.o[...]
2023-09-03
[139]
웹사이트
(1988) 문화예술축전 서울국제연극제; 피의 결혼
https://www.daarts.o[...]
2023-09-03
[140]
웹사이트
금강산 호랑이 물리치기
https://www.daarts.o[...]
2023-09-03
[141]
웹사이트
도적들의 무도회
https://www.daarts.o[...]
2023-09-03
[142]
웹사이트
연극배우 박정자 50년 삶의 궤적, 한자리에 모인다
https://www.cnbnews.[...]
2023-09-04
[143]
웹사이트
도적들의 무도회
https://www.daarts.o[...]
2023-09-03
[144]
웹사이트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http://archive.ntck.[...]
2023-09-02
[145]
웹사이트
한가위 밝은 달아
https://www.daarts.o[...]
[146]
웹사이트
대머리 여가수
https://www.daarts.o[...]
2023-09-03
[147]
뉴스
오랜 연륜자랑하는 극단들 공연러시
https://n.news.naver[...]
1991-01-31
[148]
웹사이트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https://www.daarts.o[...]
2023-09-03
[149]
웹사이트
신의 아그네스
https://www.daarts.o[...]
2023-09-03
[150]
뉴스
'93 문예전망...연극
https://n.news.naver[...]
2023-09-02
[151]
웹사이트
내사랑 히로시마
https://www.daarts.o[...]
2023-09-03
[152]
웹사이트
그 자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https://www.daarts.o[...]
2023-09-03
[153]
웹사이트
무녀도
https://www.daarts.o[...]
2023-09-03
[154]
뉴스
朴正子 1인극, 초연부터 만원사례
https://n.news.naver[...]
2023-09-02
[155]
웹사이트
피의 결혼
https://www.daarts.o[...]
2023-09-03
[156]
뉴스
극단 자유, 창단 30주 기념공연 '피의 결혼'
https://n.news.naver[...]
2023-09-02
[157]
웹사이트
테레사의 꿈
https://www.daarts.o[...]
2023-09-03
[158]
웹사이트
따라지의 향연
https://www.daarts.o[...]
2023-09-03
[159]
웹사이트
그 여자 억척어멈
https://www.daarts.o[...]
2023-09-03
[160]
웹사이트
시민연극 - 특집·대한국인 안중근
https://www.daarts.o[...]
2023-09-03
[161]
웹사이트
(제1회)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https://www.daarts.o[...]
2023-09-03
[162]
웹사이트
출세기2
https://www.daarts.o[...]
2023-09-03
[163]
웹사이트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https://www.daarts.o[...]
2023-09-03
[164]
뉴스
극단 자유의 총체극 「페드라」
https://n.news.naver[...]
2023-09-02
[165]
웹사이트
(제23회) 서울연극제 : 이병복의 옷굿 - 살
https://www.daarts.o[...]
2023-09-03
[166]
웹사이트
이병복의 옷굿 - 살
https://www.daarts.o[...]
2023-09-03
[167]
웹사이트
대머리 여가수
https://www.daarts.o[...]
2023-09-03
[168]
웹사이트
자유와 사랑, 인류보편 가치 말하다
https://entertain.na[...]
2023-09-05
[169]
뉴스
[문화 게시판] 클래식·연극 外
https://n.news.naver[...]
2023-09-06
[170]
뉴스
"문화 불모지 강남에 연극의 꽃 피우겠다"
https://n.news.naver[...]
2023-09-05
[171]
뉴스
박정자 주연 연극 '피의 결혼'
https://n.news.naver[...]
2023-09-02
[172]
뉴스
"40년전 열정 그래로 무대쏟을 것"
https://n.news.naver[...]
2023-09-02
[173]
뉴스
연기인생 40여만에 아동극 도전 박정자
https://www.khan.co.[...]
2005-03-27
[174]
웹사이트
Mom
https://www.daarts.o[...]
2023-09-03
[175]
뉴스
[문화게시판]뮤지컬 '미녀와 야수' 외
https://n.news.naver[...]
2005-10-28
[176]
웹사이트
[이주일의 공연]전제덕 언플러그드 콘서트 외
https://www.khan.co.[...]
2023-09-05
[177]
웹사이트
연극 '따라지의 향연', 5번째 막 오른다
https://n.news.naver[...]
2023-09-03
[178]
웹사이트
박정자주연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https://www.khan.co.[...]
2023-09-06
[179]
웹사이트
신의 아그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80]
웹사이트
박정자-손숙 씨 "라이벌의식은 다 옛날 얘기죠…"
https://www.donga.co[...]
2023-09-09
[181]
웹사이트
신의 아그네
https://www.daarts.o[...]
2023-09-03
[182]
웹사이트
Mom
https://www.daarts.o[...]
2023-09-03
[183]
웹사이트
'신의 아그네스' 아그네스 역 이진희
https://n.news.naver[...]
2022-07-17
[184]
웹사이트
원로배우 총출동 연극 '침향'
https://www.seoul.co[...]
2023-09-05
[185]
웹사이트
'엄마는 오십에..' 주연 박정자
https://n.news.naver[...]
2023-09-06
[186]
웹사이트
[화제 공연] 연극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https://n.news.naver[...]
2023-09-06
[187]
웹사이트
박정자 주연 연극 '엄마는 오십에…'
http://www.kyeongin.[...]
2023-09-06
[188]
웹사이트
Mom
https://www.daarts.o[...]
2023-09-03
[189]
웹사이트
[NTN포토] 연극 '나는 너다' 제작발표회 열려
https://nownews.seou[...]
2023-09-01
[190]
웹사이트
20년만에 돌아온 '이중생 각하'…번뜩이는 사회풍자
https://www.hankyung[...]
2023-03-10
[191]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9-02
[192]
웹사이트
[연극 리뷰] '나는 너다'…인간 안중근 아픔을 응시하다
https://www.mk.co.kr[...]
2023-09-01
[193]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194]
웹사이트
2021 SPAF 공식초청작 '물의 정거장', 오는 21일 첫 공연
http://www.slist.kr/[...]
2023-09-06
[195]
웹사이트
모래 위에 몸으로 쓰는 '모래의 정거장' 부산공연
https://n.news.naver[...]
2023-09-06
[196]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197]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9-02
[198]
웹사이트
[공연 리뷰]'박정자의 힘' 참 세다
https://www.donga.co[...]
2023-09-05
[199]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9-02
[200]
웹사이트
'14人(in) 체홉'
https://auditorium.k[...]
2023-09-06
[201]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202]
웹사이트
[포토]박정자 '단테의 신곡 기대하셔도 좋아요'
https://www.edaily.c[...]
2023-09-06
[203]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204]
웹사이트
지옥·연옥·천국 순례…화제작 '단테의 신곡'
https://www.news1.kr[...]
2023-09-06
[205]
웹사이트
연극계 '강하늘 효과' 톡톡…'해롤드&모드' 예매율 1위
https://news.sbs.co.[...]
2023-09-05
[206]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207]
웹사이트
인터파크 티켓
https://tickets.inte[...]
2023-09-05
[208]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9-02
[209]
웹사이트
'햄릿' 전무송 "故이해랑 선생님은 내면을 느끼라는 가르침주신 분"
http://www.newscultu[...]
2023-07-21
[210]
웹사이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월 어린이·가족 대상 다양한 행사
https://news.bbsi.co[...]
2023-09-06
[211]
웹사이트
국민배우 손숙·박정자·윤석화, '강릉국제영화제'에서 관객 위한 스페셜 콘서트 개최!
http://www.queen.co.[...]
2023-09-06
[212]
웹사이트
문화예술공연
https://www.mcst.go.[...]
2023-09-06
[213]
웹사이트
연극계 거장 박정자 '영영이별 영이별' 낭독 콘서트
http://www.sjpost.co[...]
2018-01-31
[214]
웹사이트
['다'리뷰] 박정자·한태숙 연출, 베테랑들의 위엄이란 이런 것!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
https://www.viva100.[...]
2017-05-17
[215]
웹사이트
박정자 드라마 콘서트 '꿈속에서 다정하였네' 개최
https://www.newscult[...]
2019-02-28
[216]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3-09-06
[217]
웹사이트
[정중헌의 문화와 사람] '꿈 속에선 다정하였네' 고연옥·한태숙·박정자 3인이 입체화한 사도세자의 비극
http://www.interview[...]
2019-05-03
[218]
웹사이트
연극배우 박정자, 모교 이화여대서 공연… 수익금 전액 기부키로
https://metroseoul.c[...]
2023-09-06
[219]
뉴스
80세 박정자x19세 오승훈·임준혁 파격 로맨스 어떨까
https://www.hankyung[...]
2021-03-22
[220]
웹사이트
안산문화재단 5월 다양한 공연프로그램 준비
https://newspim.com/[...]
2023-09-05
[221]
웹사이트
[홍종선의 결정적 장면㉒]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메리 크리스마스, 엄마'
https://www.dailian.[...]
2022-03-03
[222]
웹사이트
'햄릿' 박건형·박지연 "굳은살 도려내고 배우로의 시간 돌아보는 날들"
http://biz.heraldcor[...]
2022-08-09
[223]
웹사이트
권성덕·전무송·손숙·유인촌→박지연·김수현, '햄릿' 세대 초월
https://entertain.na[...]
xportsnews
2022-05-17
[224]
웹사이트
인천출신 원로 연극배우 박정자, 고향무대서 관객들과 만난다
http://www.kyeongin.[...]
2022-09-20
[225]
웹사이트
박정자·오현경·손숙·이호재 "내가 연극에 빠진 이유는요…"
https://www.chosun.c[...]
2022-10-21
[226]
웹사이트
연극 '러브레터' 오영수·박정자 "반백년 우정…호흡도 척척"
https://www.yna.co.k[...]
2022-09-07
[227]
웹사이트
이순재·신구·박정자·김성녀, 연극 '장수상회' 마지막 시즌 장식
https://www.newdaily[...]
2023-03-24
[228]
웹사이트
배우 이순재·박정자 출연, 노년의 사랑이야기 '장수상회' 제주 공연
https://www.sentv.co[...]
2023-09-05
[229]
웹사이트
arte : 대한민국 문화예술 플랫폼
https://www.arte.co.[...]
2023-09-05
[230]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 박정자
http://archive.ntck.[...]
2023-09-02
[231]
웹사이트
제6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9-02
[232]
웹사이트
동아연극상
https://www.donga.co[...]
2023-09-02
[233]
웹사이트
제23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9-02
[234]
웹사이트
제25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9-02
[235]
웹사이트
제26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9-02
[236]
웹사이트
이해랑 상 과거 수상자 (1회~10회)
http://leehaerang.ca[...]
2023-09-02
[237]
뉴스
단신 연극
https://n.news.naver[...]
2005-05-04
[238]
웹사이트
2012년 파라다이스상 수상자 조병국·박정자씨
https://n.news.naver[...]
2023-09-04
[239]
웹사이트
김정자·박정자씨 등 '삼성행복대상'
https://www.munhwa.c[...]
2023-09-04
[240]
웹사이트
박정자씨 등 5명 '빛나는 이화인상'
https://news.kmib.co[...]
2016-05-26
[241]
웹사이트
신영균예술문화재단 — 제4회 아름다운예술인상
http://www.shinyoung[...]
2023-09-03
[242]
웹사이트
'특별상' 박정자·곽신애 대표 "코로나로 침체된 예술계 활기 찾길"
https://n.news.naver[...]
2020-05-20
[243]
뉴스
3·1문화상 예술상에 연극배우 박정자
http://www.womennews[...]
2020-01-31
[244]
웹사이트
3·1문화상 — 역대 수상자
http://www.31cf.or.k[...]
[245]
웹사이트
이화여대,'제21회 자랑스러운 이화인'에 박정자/김순덕 동창 선정
http://www.veritas-a[...]
2023-05-24
[246]
웹사이트
72년 전통 '서울시 문화상' 수상자 추천 접수…온·오프라인 동시 접수
https://news.seoul.g[...]
2023-06-16
[247]
웹사이트
'빛나는 예술인들' 故 송범, 보아, 유인택…
https://n.news.naver[...]
2007-10-16
[248]
웹사이트
[프로들이 선정한 우리분야 최고]연극·뮤지컬
https://n.news.naver[...]
2003-01-19
[249]
웹사이트
연극무대 주름잡는 60~70대 배우 "나이는 숫자에 불과"
https://www.asiatoda[...]
2013-06-28
[250]
웹사이트
배우 15인에게 묻다 "배우로 산다는 것은…"
https://www.segye.co[...]
2015-12-18
[251]
웹사이트
"카리스마의 박정자, 지성·감성의 손숙, 신데렐라 윤석화"
https://www.munhwa.c[...]
null
[252]
웹사이트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배우 박정자
http://navercast.nav[...]
2013-08-09
[253]
웹사이트
대한민국 연극계 살아있는 역사, 배우 박정자
https://news.naver.c[...]
2013-12-14
[254]
웹사이트
극단 '자유'와 만나다
https://news.naver.c[...]
2003-12-03
[255]
간행물
박정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