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민 (197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민은 1979년생으로, 2002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018년 은퇴한 전 야구 선수이다. 2003년 이승엽에게 홈런을 허용했으나, 1군 첫 승리를 기록했다. 2006년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으며, 2011년 최동원의 영구 결번으로 등번호를 변경했다. 2016년에 개인 최다 경기 출전을 기록했으며, 2018년 임의탈퇴로 은퇴 후 롯데 자이언츠 코치로 활동했다. 통산 12시즌 동안 324경기에 출전하여 17승 22패 11세이브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삼초등학교 동문 - 박지철
박지철은 전 KBO 리그 투수였으며, 1997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14승을 기록했으나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는 신정중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활동한다. - 동삼초등학교 동문 - 진해수
진해수는 2005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2007년 데뷔 후 SK 와이번스를 거쳐 2015년부터 2023년까지 LG 트윈스에서 활동했으며, 2024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경남중학교 동문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경남중학교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경남고등학교 동문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경남고등학교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이정민 (197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이정민 |
영어 표기 | Lee Jeong-Min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생년월일 | 1979년 3월 2일 |
신장 | 183 |
체중 | 83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입단 연도 | 2002년 |
드래프트 순위 | 2002년 1차 지명 |
첫 출장 | 2002년 4월 5일 |
마지막 출장 | 2017년 8월 12일 |
계약금 | 1억 8,000만원 |
선수 경력 | |
경력 | 롯데 자이언츠 (2002년 ~ 2018년) 상무 야구단 (2007년 ~ 2008년) |
감독/코치 경력 | |
경력 | 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투수코치 (2019년) |
국가대표 경력 | |
야구 월드컵 | 2007년 대만 |
2. 선수 경력
2002년 지역 우선 드래프트에서 롯데에 입단했다. 이듬해인 2003년 10월 2일 이승엽에게 아시아 신기록인 56호 홈런을 맞았지만, 이날 1군 첫 승리도 기록했다.
2006년 시즌 종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병역 의무를 수행했고, 2008년 11월 10일에 전역했다.
2009년 시즌에는 팀에 복귀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
2010년에는 주로 롱 릴리프로 활동했다.
2011년 9월, 최동원이 사망하자, 그가 사용했던 등번호 11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하게 되었고, 당시 11번을 달고 있던 이정민은 2012년부터 등번호를 45번으로 변경했다.
2013년에는 1군 등판 없이 시즌을 마쳤다.
2014년에는 시즌 후반 1군에서 구원 투수로 기용되어 2년 만에 승리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개인 최다인 67경기에 등판했다.
2018년에는 1군 등판이 없었고, 8월 7일 임의탈퇴 선수로 롯데를 떠나 현역에서 은퇴했다.
2018년 11월, 롯데에 코치로 복귀했지만, 2019년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2. 1. 아마추어 시절
경남고등학교 시절 1~2학년 때 투수로 활동하다 3학년 때 대통령배 고교야구대회에서 타자로 출전해 2점 홈런을 쳐 냈다. 1998년 동아대학교에서는 우완 에이스로 활약했다. 2001년 4학년 때 제 56회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8강전에서 14.2이닝동안 11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며 동국대학교를 꺾고 팀을 4강으로 이끌었다.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2002년 지역 우선 드래프트에서 롯데에 입단하였다. 2003년 10월 2일 이승엽에게 아시아 신기록인 56호 홈런을 맞았지만, 이날 1군 첫 승리도 기록했다. 2006년 시즌 종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병역 의무를 수행했고, 2008년 11월 10일에 전역했다. 2009년 시즌에는 팀에 복귀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2010년에는 주로 롱 릴리프로 활동했다. 2011년 9월, 최동원이 사망하자, 그가 사용했던 등번호 11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하게 되었고, 당시 11번을 달고 있던 이정민은 2012년부터 등번호를 45번으로 변경했다. 2013년에는 1군 등판 없이 시즌을 마쳤고,2014년에는 시즌 후반 1군에서 구원 투수로 기용되어 2년 만에 승리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개인 최다인 67경기에 등판했다. 2018년에는 1군 등판이 없었고, 8월 7일 임의탈퇴 선수로 롯데를 떠나 현역에서 은퇴했다.2. 3. 상무 야구단 시절
2006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008년 11월 10일 제대했다.2. 4. 롯데 자이언츠 복귀
2008년 롯데 자이언츠에 복귀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2] 2010년에는 ABL 윈터 리그에 참가하기도 했다.[2] 2010년에는 주로 롱 릴리프로 활동했다. 2011년 9월, 1980년대 롯데의 에이스로 활약했던 최동원이 사망하자, 그의 등번호 11번을 영구 결번하기로 결정하였고, 당시 11번을 달고 있던 이정민은 2012년부터 등번호를 45번으로 변경했다.[2] 2012년 8월 29일에는 3254일 만에 선발승을 기록했다.[2] 2013년에는 1군 등판이 없었다. 2014년 시즌 후반 1군에 복귀하여 구원 투수로 기용되어 2년 만에 승리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개인 최다인 67경기에 등판했다.3. 은퇴 이후
2018년 8월 7일 임의탈퇴 선수로 롯데 자이언츠를 떠나 현역에서 은퇴했다. 2019년에 롯데 자이언츠의 잔류군 투수코치로 활동했다. 2019년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4. 에피소드
2003년 10월 2일 삼성 라이온즈전에 선발 등판해 이승엽에게 아시아 단일 시즌 개인 최다 홈런 기록인 56호 홈런을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 맞상대 팀이 삼성 라이온즈가 아니었지만, 우연히도 2012년은 이승엽이 한국에 복귀한 시즌이었다. 2003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는 SK 와이번스와 치른 준 플레이오프에서 우승 후보답지 않은 최악의 경기력을 보이며 2연패로 스윕당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는데, 선발 승을 따내고도 묻힌 그의 저주라는 설이 있다. 이 경기 이후로 허용투수라는 별명이 생겼다. 2011년 9월 14일 롯데 자이언츠의 프랜차이즈 투수 최동원이 암으로 타계했고, 그 때 당시 그의 배번이었던 11번이 예전에 최동원이 썼던 번호여서 영구 결번을 위해 양보했다.[3]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프로 통산 12시즌 동안 324경기에 등판하여 17승 22패 11세이브 34홀드, 평균자책점 4.38을 기록했다.
년도 | 팀 | 평균자책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드 | 완투 | 완봉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2 | 롯데 | 3.27 | 8 | 0 | 0 | 0 | 0 | 0 | 0 | 11 | 8 | 1 | 7 | 1 | 6 | 4 |
2003 | 6.00 | 2 | 1 | 0 | 0 | 0 | 0 | 0 | 9 | 10 | 3 | 3 | 1 | 6 | 6 | |
2004 | 5.51 | 48 | 2 | 2 | 0 | 3 | 0 | 0 | 78 1/3 | 94 | 4 | 54 | 60 | 52 | 48 | |
2005 | 3.82 | 56 | 6 | 7 | 7 | 4 | 0 | 0 | 94 1/3 | 86 | 6 | 52 | 63 | 41 | 40 | |
2006 | 3.46 | 29 | 0 | 1 | 0 | 4 | 0 | 0 | 39 | 43 | 8 | 12 | 21 | 16 | 15 | |
2009 | 3.74 | 31 | 1 | 2 | 1 | 5 | 0 | 0 | 43 1/3 | 52 | 3 | 14 | 26 | 19 | 18 | |
2010 | 6.67 | 20 | 1 | 0 | 0 | 1 | 0 | 0 | 29 2/3 | 42 | 3 | 15 | 11 | 24 | 22 | |
2011 | 3.72 | 9 | 0 | 0 | 0 | 1 | 0 | 0 | 9 2/3 | 12 | 3 | 4 | 6 | 4 | 4 | |
2012 | 5.18 | 14 | 1 | 4 | 0 | 0 | 0 | 0 | 33 | 44 | 2 | 13 | 14 | 21 | 19 | |
2014 | 2.43 | 25 | 1 | 1 | 0 | 8 | 0 | 0 | 33 1/3 | 42 | 1 | 15 | 25 | 14 | 9 | |
2015 | 5.84 | 34 | 1 | 4 | 1 | 5 | 0 | 0 | 44 2/3 | 59 | 4 | 31 | 36 | 34 | 29 | |
2016 | 3.27 | 48 | 3 | 2 | 2 | 3 | 0 | 0 | 55 | 59 | 5 | 14 | 45 | 22 | 20 | |
통산 | 12시즌 | 4.38 | 324 | 17 | 22 | 11 | 34 | 0 | 0 | 480 1/3 | 551 | 43 | 219 | 309 | 259 | 234 |
참조
[1]
서적
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2009-03-10
[2]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giantsclu[...]
[3]
뉴스
무쇠팔 최동원, 부산의 '영원한 11번'이 되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