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친왕 (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옹정제의 동생인 윤상이 초대 이친왕에 봉해진 이후 여러 인물에게 세습되었다. 이친왕가는 정치적 변동과 연루되어 작위를 잃거나 추봉되는 등 부침을 겪었으며, 신유정변과 의화단 운동 등의 사건을 거치며 쇠퇴했다. 마지막 이친왕 육치는 청나라 멸망 이후에도 작위를 유지했으나, 이친왕가는 사실상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친왕 - 재원 (1816년)
    재원(1816년)은 청나라 황족으로 이현친왕 윤상의 후손이며, 1852년 이친왕 작위를 세습받아 함풍제 치세에 요직을 역임하고 아편 전쟁 협상에 참여했으나 실패 후 신유정변으로 자살을 강요받았다.
  • 이친왕 - 윤상 (청나라)
    윤상은 강희제의 아들이자 옹정제의 측근으로, 옹정제 치세 동안 청나라의 최고 실권자였으며, 옹정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군기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45세에 사망했다.
  • 청나라의 귀족 작위 - 예친왕 (睿)
    예친왕은 청나라의 세습 친왕 작위 중 하나로, 누르하치의 14남 도르곤이 초대 예친왕에 봉해졌다가 작위 추탈 및 복작 과정을 거쳐 이후 다른 왕족들이 계승했으며, 청나라 멸망 후에는 김기수가 마지막 예친왕이 되었으나 승습을 거부했다.
  • 청나라의 귀족 작위 - 장친왕
    장친왕은 청나라의 세습 친왕 작위 중 하나로, 서이합제 사후 추존과 숭덕제의 아들 석새의 계승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강희제의 아들 윤록의 후손들에게 이어지다 마지막 장친왕 부서에 이르렀다.
이친왕 (怡)

2. 역대 이친왕가 가주

윤상(允祥)은 옹정제의 동생으로, 청나라 초기의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였다. 그는 1722년부터 1730년까지 제1대 이친왕(怡親王)을 지냈으며, 시호는 현(賢)이다.

홍효(弘曉)는 윤상(允祥)의 일곱번째 아들로, 1730년부터 1778년까지 이친왕(怡親王) 작위를 세습받았다. 그는 학문과 예술에 조예가 깊었다고 전해진다.

영낭(永琅)은 홍효의 아들로, 아버지 홍효가 사망하자 1779년 이친왕(怡親王) 작위를 세습받았다. 1799년까지 이친왕가를 이끌었다.

면표(綿標)는 영낭의 둘째 아들이다. 1800년 이친왕(怡親王)으로 추봉되었다. 그는 요절하였다.

혁훈(奕勳)은 영낭의 아들이자 면표의 형이다. 1799년부터 1818년까지 제4대 이친각친왕(怡親恪親王)이었다.

제5대 이친왕 재방(載坊)은 혁훈의 아들이다. 재위 기간은 짧다.

재원(載垣)은 혁훈의 아들로, 1825년부터 1861년까지 제6대 이친왕이었다. 1861년 신유정변에 연루되어 작위를 잃었다. 신유정변은 서태후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된 사건으로, 이친왕가의 몰락을 초래했다.

재태(載泰)는 한산종실 혁증(閒散宗室奕增)의 차남이다. 1862년부터 1864년까지는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이었다. 재원의 작위가 박탈된 이후 재태는 잠시 불입팔분보국공으로 강등되었다. 1864년부터 1866년까지는 봉은보국공(奉恩輔國公) 작위에 있었으나, 1866년에 작위가 박탈되었다.

녕군왕 가주 출신 영복(永福)은 패륵(貝勒)으로, 면예(綿譽)는 패륵으로, 혁격(奕格)은 패자(貝子)로 1864년 이친왕(怡親王)으로 추봉되었다. 이들은 재돈(載敦)의 이친왕 습작을 위해 추봉되었다. 재돈은 제5대 녕군왕가 가주이자 혁격의 차남으로, 1864년부터 1890년까지 이친왕 작위를 받았다.

재돈(載敦)은 제5대 녕군왕가(寧郡王家) 가주였던 혁격의 차남으로, 1858년 봉은진국공(奉恩鎭國公)에 봉해졌다가 1864년 이친왕(怡親王)을 세습하였다. 녕군왕 가주 출신으로, 이친왕가를 다시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1890년 사망하여 단(端)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부정(溥靜)은 재돈의 장남으로 1891년부터 1900년까지 제9대 이친왕이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에 연루되어 작위를 잃었다. 의화단 운동은 청나라 말기 외세에 반대하여 일어난 농민 봉기로, 이친왕가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

육치(毓麒)는 재돈의 손자로, 1902년부터 1945년까지 이친왕 작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이친왕가도 사실상 몰락의 길을 걸었다.

2. 1. 제1대 이친현친왕 윤상 (怡親賢親王 允祥, 1722년 ~ 1730년)

윤상(允祥)은 옹정제의 동생으로, 청나라 초기의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였다. 그는 1722년부터 1730년까지 제1대 이친왕(怡親王)을 지냈으며, 시호는 현(賢)이다.

2. 2. 제2대 이친희친왕 홍효 (怡親僖親王 弘曉, 1730년 ~ 1778년)

홍효(弘曉)는 윤상(允祥)의 일곱번째 아들로, 1730년부터 1778년까지 이친왕(怡親王) 작위를 세습받았다. 그는 학문과 예술에 조예가 깊었다고 전해진다.

2. 3. 제3대 이친공친왕 영낭 (怡親恭親王 永琅, 1779년 ~ 1799년)

영낭(永琅)은 홍효의 아들로, 아버지 홍효가 사망하자 1779년 이친왕(怡親王) 작위를 세습받았다. 1799년까지 이친왕가를 이끌었다.

2. 4. 추봉 이친왕 면표 (綿標, 1800년 추봉)

면표(綿標)는 영낭의 둘째 아들이다. 1800년 이친왕(怡親王)으로 추봉되었다. 그는 요절하였다.

2. 5. 제4대 이친각친왕 혁훈 (怡親恪親王 奕勳, 1799년 ~ 1818년)

혁훈(奕勳)은 영낭의 아들이자 면표의 형이다. 1799년부터 1818년까지 제4대 이친각친왕(怡親恪親王)이었다.

2. 6. 제5대 이친왕 재방 (載坊, 1818년)

제5대 이친왕 재방(載坊)은 혁훈의 아들이다. 재위 기간은 짧다.

2. 7. 제6대 이친왕 재원 (載垣, 1825년 ~ 1861년)

재원(載垣)은 혁훈의 아들로, 1825년부터 1861년까지 제6대 이친왕이었다. 1861년 신유정변에 연루되어 작위를 잃었다. 신유정변은 서태후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된 사건으로, 이친왕가의 몰락을 초래했다.

2. 8. 제7대 불입팔분보국공 재태 (不入八分輔國公 載泰, 1862년 ~ 1864년)

재태(載泰)는 한산종실 혁증(閒散宗室奕增)의 차남이다. 1862년부터 1864년까지는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이었다. 재원의 작위가 박탈된 이후 재태는 잠시 불입팔분보국공으로 강등되었다. 1864년부터 1866년까지는 봉은보국공(奉恩輔國公) 작위에 있었으나, 1866년에 작위가 박탈되었다.

2. 9. 추봉 이친왕 영복, 면예, 혁격 (1864년 추봉)

녕군왕 가주 출신 영복(永福)은 패륵(貝勒)으로, 면예(綿譽)는 패륵으로, 혁격(奕格)은 패자(貝子)로 1864년 이친왕(怡親王)으로 추봉되었다. 이들은 재돈(載敦)의 이친왕 습작을 위해 추봉되었다. 재돈은 제5대 녕군왕가 가주이자 혁격의 차남으로, 1864년부터 1890년까지 이친왕 작위를 받았다.

2. 10. 제8대 이친단친왕 재돈 (怡親端親王 載敦, 1864년 ~ 1890년)

재돈(載敦)은 제5대 녕군왕가(寧郡王家) 가주였던 혁격의 차남으로, 1858년 봉은진국공(奉恩鎭國公)에 봉해졌다가 1864년 이친왕(怡親王)을 세습하였다. 녕군왕 가주 출신으로, 이친왕가를 다시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1890년 사망하여 단(端)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2. 11. 제9대 이친왕 부정 (溥靜, 1891년 ~ 1900년)

부정(溥靜)은 재돈의 장남으로 1891년부터 1900년까지 제9대 이친왕이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에 연루되어 작위를 잃었다. 의화단 운동은 청나라 말기 외세에 반대하여 일어난 농민 봉기로, 이친왕가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

2. 12. 제10대 이친왕 육치 (毓麒, 1902년 ~ 1945년)

육치(毓麒)는 재돈의 손자로, 1902년부터 1945년까지 이친왕 작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이친왕가도 사실상 몰락의 길을 걸었다.

3. 이친왕가와 한국사와의 관계

3. 1. 흥선대원군과의 관계

3. 2. 대한제국 시기

4. 평가 및 의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