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상 (청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상(胤祥)은 강희제의 아들이자 옹정제의 측근으로, 옹정제 치세 동안 청나라의 최고 실권자였다. 1686년에 태어나 1730년에 사망했으며, 옹정제의 즉위 후 화석이친왕에 봉해졌다. 옹정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군기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형제들과 달리 숙청을 면하고 부귀영화를 누렸다. 윤상은 4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9남 5녀를 두었다. 그의 적복진 조가씨는 이례적으로 많은 자녀를 낳았으며, 옹정제는 그의 충성을 기려 사후 이름을 다시 윤상(胤祥)으로 바꾸어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친왕 - 재원 (1816년)
    재원(1816년)은 청나라 황족으로 이현친왕 윤상의 후손이며, 1852년 이친왕 작위를 세습받아 함풍제 치세에 요직을 역임하고 아편 전쟁 협상에 참여했으나 실패 후 신유정변으로 자살을 강요받았다.
  • 이친왕 - 이친왕 (怡)
    이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옹정제의 측근 윤상이 1대 이친왕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대를 이었으나 10대 육치를 마지막으로 단절되었다.
  • 강희제의 황자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강희제의 황자 - 윤사
    청나라 강희제의 여덟 번째 아들 윤사는 옹정제의 형제이자 황위 계승 경쟁자였으나, 옹정제 즉위 후 아키나로 개명당하고 유폐되어 사망, 건륭제 시대에 복권된 인물이다.
  • 청나라의 제독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청나라의 제독 - 정여창 (청나라)
    정여창은 태평천국의 난에 가담 후 청군에 투항하여 공을 세우고 이홍장 휘하에서 북양 함대 창설에 기여한 청나라 해군 제독으로, 청일 전쟁 황해 해전 패배 후 웨이하이웨이에서 자결했으며 사후 관직이 박탈되었다가 명예가 회복되었다.
윤상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1686–1722 & 사후)윤상 (胤祥)
이름 (1722–1730)윤샹 (允祥)
전체 이름아이신 교로 윤상
사후 시호 (전체)화석 이 충경 성지 근신 염명 현 친왕 (和碩怡忠敬誠直勤慎廉明賢親王)
사후 시호 (약칭)화석 이현 친왕 (和碩怡賢親王)
신분
칭호이친왕 (怡親王)
작위화석 이친왕
생애
출생일1686년 11월 16일
사망일1730년 6월 18일
매장지내수현 이현친왕 묘
가문
가문아이신 교로
아버지강희제
어머니경민황귀비
배우자
배우자조갸 씨
자녀홍창
홍돈
홍교, 녕군왕
홍흠
홍효, 이친왕
제3계급 공주
제3계급 공주
화석화혜공주
관직
직책수석 대학사
재임 기간1729–1730
이전없음
이후마사이
기타
만주어|Aisin Gioro In Siyang}}

2. 생애

윤상(胤祥)은 14세에 생모를 여의고, 옹정제의 어머니인 오야(烏雅)씨에게 길러졌다. 성장하여 군직에 종사했고, 금군을 관장했다.

1709년, 강희제가 여러 아들들에게 작위를 수여했을 때, 윤상은 포함되지 않았다. 동생 윤제는 '패자'로 봉해졌다. 윤상이 아버지의 총애를 받았음에도 작위를 받지 못한 이유는 1차 사료에 설명되어 있지 않다. 강희제 아들들 사이의 황위 쟁탈전 동안, 윤상은 강희제에 의해 10년 동안 투옥되었다. 1712년부터 1722년까지 윤상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으며, 이 기간 동안 눈에 띄는 업적을 이루지 못했지만 여러 자녀를 두었다.

강희 61년(1722년), 강희제가 붕어하고 옹정제가 즉위하자 윤상은 이친왕에 봉해졌고, 총리호부삼고에 임명되었다. 옹정제는 윤상의 공로를 기념하여 '윤상(允祥)'의 이름을 윤상(胤祥)으로 되돌리는 것을 허락했다.

윤상의 5대손 이친왕 아이신 교로 재원(愛新覚羅載垣)은 함풍제의 고명팔대신의 필두였다.

적복진 조가씨는 역대 황자들의 적복진 중 이례적으로 각별한 총애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강희제의 다른 황자들은 적복진에게서 소생이 적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지만, 조가씨는 7명의 자녀를 낳았고 다른 측실들은 각각 소생이 한 명뿐이라는 점으로 보아 이친왕이 조가씨를 각별히 총애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2. 1. 어린 시절

강희제와 후궁 경민황귀비 장가씨(敬敏皇貴妃 章佳氏) 사이에서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윤상이 10살이 되던 1699년, 어머니 경민황귀비 장가씨가 세상을 떠나면서 옹정제 윤진의 친모인 효공인황후 오아씨가 윤상을 길렀다. 이러한 이유로 윤상은 옹정제의 사람이 되었다.[1]

윤상은 강희제의 외삼촌인 통국강의 둘째 아들 파해에게서 학문과 고전을 배웠다. 파해는 윤제 (윤진과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14번째 황자)의 스승이기도 했다. 윤상은 어린 시절부터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네 차례의 남순(南巡)에 아버지를 따라 함께했다.

2. 2. 옹정제 치세

강희제가 1722년에 사망하자, 옹정제가 황위에 올랐다. 같은 해, 윤상은 이친왕(怡親王) 작위를 받았는데, 이 작위는 청나라 12개의 "철모자" 친왕 작위 중 하나였다.[1] 옹정제는 즉위 후 작위가 없었던 윤상에게 화석이친왕 작위를 내리고 세습을 허락했다.

윤상은 옹정제의 확고한 지지자였으며,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황제를 돕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옹정제 즉위 직후, 윤상은 호부의 세 개의 창고를 감독하는 직책에 임명되었다. 옹정제는 황권 강화를 위해 설치한 군기처에 윤상을 천거하여, 청나라 최고 실권자 중 한 명이 되도록 하였다. 1725년, 윤상은 직례성의 치수 문제, 홍수 방지 및 운송을 감독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이후 베이징으로 돌아왔을 때에도 계속해서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

옹정 원년(1723년)에는 총리호부에 임명되었다. 윤상은 옹정제의 치세를 잘 보좌했기에 세습이 허용되는 철모자왕의 지위를 획득했다.

윤상은 1730년 6월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충경성직근신렴명현"(忠敬誠直勤慎廉明賢)으로 정해져, 그의 정식 시호는 화석이충경성직근신렴명현친왕(和碩怡忠敬誠直勤慎廉明賢親王)이 되었다. 옹정제는 윤상의 조문 조서에서 그를 칭찬하고 3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했으며, 이 기간 동안 조정 회의는 열리지 않았다. 칙령에서 옹정제는 또한 윤상의 이름을 "윤상"(胤祥)으로 되돌리는 것을 허용하는 예외를 두었다.[1] 옹정제의 형제들은 옹정제 즉위 후, 옹정제의 를 피하기 위해 '윤(胤)' 자를 '윤(允)'으로 바꾸었지만, 윤상만이 자신의 이름에 '윤(胤)' 자를 유지할 수 있었다.

3. 가족 관계

구 분내용
부황강희제
친모경민황귀비 장가씨 (敬敏皇貴妃 章佳氏)
여동생화석온각공주(1687년 ~ 1709년)
화석돈각공주(1691년 ~ 1709년)
처남옹우특부 두릉군왕 박이제길특 창진
양모효공인황후
이복형제옹정제
애신각라 윤조(1680년 ~ 1685년)
순근군왕 애신각라 윤제(1688년 ~ 1756년)
정실적복진 조가씨(1686년 ~ 1730년) - 상서 마이한(1634년 ~ 1718년)의 7녀
자녀 (정실)차녀군주(1707년 ~ 1726년)
사위이르근각라 부승액 - 대학사 이상아의 손자이며 산서총독 이도립의 아들, 이도립은 조가씨의 언니와 결혼
3남다라패륵 홍돈(1710년 ~ 1725년)
4남홍교(1713년 ~ 1764년)
4녀화석화혜공주(1714년 ~ 1731년) - 옹정제의 양녀
사위박이제길특 다이제색포등
5남홍형(1715년 ~ 1722년) - 요절
7남홍효(1722년 ~ 1778년)
자녀(정실)8남수은(1725년 ~ 1727년) - 요절
측실측복진 부찰씨 - 좌령 승격의 딸
자녀 (측실)3녀군주(1710년 ~ 1711년) - 요절
측실측복진 오소씨 - 금보의 딸
자녀 (측실)6남다라패륵 홍금(1716년 ~ 1729년) - 요절
측실측복진 과이가씨 - 낭중 아합점의 딸
자녀 (측실)장녀군주(1703년 ~ 1776년)
사위진제리 살극신
장남다라패륵 홍창(1706년 ~ 1771년)
측실서복진 석가씨 - 영초 장격의 딸
자녀 (측실)차남미상(1708년 ~ 1709년) - 요절
측실서복진 납라씨 - 경차도위 오이돈의 딸
자녀 (측실)9남아목산랑(1726년 ~ 1727년) - 요절


4. 평가 및 영향

윤상은 옹정제를 도와 큰 공을 세웠고, 그 후손들은 청나라 황실로부터 특별한 영예인 철모자왕 작위를 세습받았다.[1] 그의 6대손 재원은 동치제 때 섭정을 맡았으나 쿠데타로 실각했고,[1] 5대손 이친왕 아이신 교로 재원은 함풍제의 고명팔대신 중 한 명이었다.[1]

4. 1. 긍정적 평가

윤상(胤祥)은 옹정제의 치세를 잘 보좌하여 세습이 허용되는 철모자왕의 지위를 획득했다.[1] 사후에는 '현(賢)'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 옹정제는 윤상의 공로를 기념하여 '윤상(允祥)'의 이름을 윤상(胤祥)으로 되돌리는 것을 허락했는데, 이는 옹정제의 형제들이 옹정제 즉위 후 옹정제의 를 피하기 위해 '윤(胤)' 자를 '윤(允)'으로 바꾼 것과 대비된다. 즉, 윤상만이 자신의 이름에 '윤(胤)' 자를 유지할 수 있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