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예순덕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예순덕왕후는 고려 문종의 비이자, 순종, 선종, 숙종의 어머니이다. 경원 이씨 가문의 이자연의 딸로 태어나 문종의 후궁이 되어 연덕궁주로 불렸고, 1052년 왕비가 되었다. 문종과의 사이에서 여러 아들과 딸을 낳았으며, 맏아들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왕후로서의 지위가 더욱 공고해졌다. 문종 사후, 순종이 즉위했으나 곧 사망하고 선종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왕태후가 되었으며, 불교를 후원하고 국청사를 건립하는 등 불교 사업에 힘썼다. 1092년 사망 후 인예순덕태후로 추존되었으며, 성선, 효목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1년 출생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1031년 출생 - 스피티흐네프 2세
    스피티흐네프 2세는 브르제티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1055년부터 1061년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하면서도 반독일 정책을 추진하고 교황과의 관계 강화, 모라비아 귀족 권리 박탈 등으로 통치했다.
  • 1092년 사망 - 금관후
    문종과 인예태후의 아들이며 순종, 선종, 숙종의 동생인 왕족 금관후는 금관후에 봉해진 후 수사도, 수태위 겸 중서령 등을 역임하다 사망했고, 적경궁주와 부여공 왕수의 근친혼에 반대했으며 사후 장헌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 1092년 사망 - 콘라트 1세 (보헤미아)
    콘라트 1세는 브르제티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브라티슬라프 2세의 동생으로, 모라비아 남부를 통치하다가 조카 브르제티슬라프 2세에게 보헤미아 공작위를 물려주었다.
  • 인천 이씨 - 이주명
    이주명은 2016년 모델로 데뷔하여 2019년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2024년 서울국제영화대상 신인 여우상과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신인 연기상을 수상했다.
  • 인천 이씨 - 리승엽
    리승엽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남로당 간부, 한국 전쟁 당시 서울시 인민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월북 후 금강정치학원 사건으로 처형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삶은 한국 현대사의 이념 갈등과 권력 투쟁을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인예순덕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후 인예 (王后 仁睿)
휘호성선효목인예순덕왕태후 (聖善孝穆仁睿順德王太后)
생몰1026년 ~ 1092년 10월 5일 (음력 9월 2일)
신분고려의 왕비, 왕태후
배위문종
아버지이자연
어머니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
자녀선종, 숙종, 의천
능묘대릉
생애
출생1026년 고려에서 태어남.
가문경원 이씨
혼인1047년 문종과 혼인.
왕비 책봉1052년 왕비로 책봉됨.
왕태후 책봉문종 사후 왕태후가 됨.
사망1092년 서경에서 사망.
시호성선효목인예순덕왕태후 (聖善孝穆仁睿順德王太后)
가족 관계
아버지이자연
어머니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
배우자문종
자녀왕자: 왕훈, 왕운, 왕옹, 왕후, 왕수, 왕탱, 왕비, 왕음, 왕침, 왕경
딸: 적경공주, 보령궁주, 2명의 이름 없는 딸
칭호
초기 칭호연덕궁주 (延德宮主), 연덕궁비 (延德宮妃)
사후 칭호왕태후 인예순덕 (王太后 仁睿順德), 왕대비 인예 (王大妃 仁睿)
시호 (전체)성선효목 인예순덕왕태후 (聖善孝穆 仁睿順德王太后)

2. 생애

인예순덕왕후는 문종의 두 번째 부인으로, "연덕궁"에 거처하여 '''연덕궁주'''(延德宮主) 또는 '''연덕궁비'''(延德宮妃)로 불렸다.[4] 1047년 첫 아들을 낳았고,[5] 2년 후에는 둘째 아들을 낳았다.[6] 1052년 정식으로 왕비가 되었는데, 이 사건은 많은 지방에서 축하를 받았다.[7] 문종과의 사이에서 8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낳았지만, 딸 중 두 명은 일찍 사망했다. 1054년 맏아들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지위가 더욱 공고해졌다.[8]

인예순덕왕후는 독실한 불교 신자로 인품이 좋았고 항상 불교를 숭배했다고 전해진다. 아버지 이자연이 건립한 "감로사"(甘露寺)에서 후손들의 번영을 기원했다.[11] 1089년에는 "국청사"(國淸寺)를 건립했으며,[12] 넷째 아들 의천에게 ''천태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기뻐했다.[13] ''유가현양론''(瑜伽顯揚論)을 은서(銀書)로 필사했으며, 이는 이후 숙종이 완성했다.[14] 1090년, 선종과 함께 북한산(三角山) ''승가굴''을 방문하고,[15] "인수사"(仁壽寺)에 방문하였으며,[16] "신혈사"(神穴寺)에서 "오백나한재"(五百羅漢齋)에 참여했다.[17]

선종 9년(1092년) 10월 5일 왕대비는 서경에서 세상을 떠났고, 시신은 개경 대릉에 안장되었다.[18] 그녀가 추진했던 불교 관련 사업은 사후 셋째 아들 숙종과 넷째 아들 의천이 완료했다. 1096년, 숙종은 건덕전에서 3일간 도량을 열고, 어머니가 시작하고 완성한 화엄경 전체를 읽었다.[19] 1년 후 국청사가 완공되자, 숙종은 직접 경찬도량을 열고 유신에 화답하기 위해 경찬시를 지었다.[20]

선종은 그녀를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 또는 '''인예태후'''(仁睿太后)로 추존하였다. 선종의 명에 따라 국청사에 반혼전(返魂殿)이 건립되었고, 그녀는 남편의 사당에 안치되었다.[21][22] "대각국사문집"에 따르면, '''인예국모'''(仁睿國母; "자애롭고 현명한 국모")로 불렸다.[23]

1140년 4월(인종 18년) '''성선'''(聖善), 1253년 10월(고종 40년) '''효목'''(孝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아름다운 마음과 성품, 유순함, 온화함을 지녔으며, 덕행은 고대 현자 못지않았다. 남편과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고, 자손을 번성시키며, 경원 이씨 시대를 열었고, 백성들은 그녀를 매우 존경했다고 전해진다.[24][25]

2. 1. 가계와 배경

인예순덕왕후는 강력한 경원 이씨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다.[3] 아버지는 이 가문의 수장인 이자연이었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 출신 김인위의 딸이었다. 슬하에 8명의 남동생과 2명의 여동생이 있었는데, 두 여동생 모두 문종의 왕비가 되어 각각 인경현비인절현비가 되었다.

구 분내용
아버지이자연(1003~1061)
어머니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 - 김인위의 딸
자매문종 제3비 인경현비
자매문종 제4비 인절현비[27]
형제이석, 이호, 이정(1025~1077)
시아버지제8대 현종(992~1031, 재위: 1009~1031)
시어머니원혜태후 김씨(?~1022)
남편제11대 문종(1019~1083, 재위:1046~1083)
자녀순종(1047~1083, 재위: 1083), 선종(1049~1094, 재위: 1083~1094), 숙종(1054~1105, 재위: 1095~1105), 의천 대각국사 왕후(1055~1101), 상안공 왕수(?~1095), 도생승통 왕탱, 금관후 왕비(?~1092), 변한후 왕음(?~1086), 낙랑후 왕침(?~1083), 총혜수좌 왕경, 적경궁주, 경순 보령궁주(?~1113)
사위인경현비의 아들 부여공 왕수(?~1112), 평양공 왕기(1021~1069)의 아들 낙랑공 왕영(1043~1112)


2. 2. 왕후 시절

이씨는 문종의 두 번째 부인으로, "연덕궁"에 거처하여 '''연덕궁주'''(延德宮主)로 불렸다.[4] '''연덕궁비'''(延德宮妃)라고도 불렸다. 1047년 첫 아들을 낳았고,[5] 2년 후에는 둘째 아들을 낳았다.[6] 1052년 정식으로 왕비가 되었는데, 이 사건은 많은 지방에서 축하를 받았다.[7] 문종과의 사이에서 8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낳았지만, 딸 중 두 명은 일찍 사망했다. 1054년 맏아들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지위가 더욱 공고해졌다.[8]

2. 3. 불교 후원

인예순덕왕후는 생전에 독실한 불교 신자였기에 인품이 좋았고 항상 불교를 숭배했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또한 아버지 이자연에 의해 건립된 "감로사"(甘露寺)에서 자신의 후손들의 번영을 기원했다.[11]

그녀는 1089년에 "국청사"(國淸寺)를 건립했으며,[12] 넷째 아들인 의천으로부터 ''천태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기뻐했다.[13] 또한, ''유가현양론''(瑜伽顯揚論)을 은서(銀書)로 필사했으며, 이는 이후 숙종에 의해 완성되었다.[14] 1090년, 선종과 함께 북한산(三角山)에 가서 ''승가굴''을 방문하고,[15] "인수사"(仁壽寺)에 방문하였으며,[16] "신혈사"(神穴寺)에 와서 "오백나한재"(五百羅漢齋)에 참여했다.[17]

2. 4. 죽음과 사후

선종 9년(1092년) 10월 5일 왕대비는 서경에서 세상을 떠났고, 시신은 개경으로 옮겨져 대릉에 안장되었다.[18]

그녀가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불교 관련 사업은 사후에 그녀의 셋째 아들 숙종과 넷째 아들에 의해 완료되었다. 1096년, 숙종은 건덕전에서 3일간 도량을 열고, 돌아가신 어머니가 시작하고 완성한 화엄경 전체를 읽었다.[19] 1년 후 국청사가 완공되자, 숙종은 직접 경찬도량을 열고 유신에 화답하기 위해 경찬시를 지었다.[20]

선종은 그녀를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 또는 간단히 '''인예태후'''(仁睿太后)로 추존하였다. 선종의 명에 따라, 국청사에 그녀를 위한 반혼전(返魂殿)이 건립되었고, 그녀는 남편의 사당에 안치되었다.[21][22] "대각국사문집"에 따르면, 그녀는 '''인예국모'''(仁睿國母; "자애롭고 현명한 국모")로 불렸다.[23]

1140년 4월(인종 재위 18년)에 그녀는 '''성선'''(聖善)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1253년 10월(고종 재위 40년)에 그녀의 전체 시호로 '''효목'''(孝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남겨진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아름다운 마음과 성품, 유순함, 온화함을 지녔으며, 그녀의 덕행은 유명한 고대 현자 못지않았다고 한다. 또한 그녀는 남편과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고, 자손을 번성시키며, 국가의 어머니로서의 의무를 다하여 경원 이씨 시대를 열었고, 백성들은 그녀를 매우 존경했다고 전해진다.[24][25]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자연경원군개국공 장화공(慶源郡開國公 章和公), 1003년 ~ 1061년
어머니김인위의 딸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鷄林國大夫人 慶州 金氏)
자매인경현비문종 제3비
자매인절현비문종 제4비, ? ~ 1082년[27]
형제이석생몰년 미상
형제이호수사공 경원군개국백 상주국(守司空 慶源郡開國伯 上柱國), 생몰년 미상
형제이정문하시중 정헌공(門下侍中 貞憲公), 1025년 ~ 1077년
시아버지현종원문대왕(元文大王), 992년 ~ 1031년, 재위 1009년 ~ 1031년
시어머니원혜태후김씨(金氏), ? ~ 1022년
남편문종인효대왕(仁孝大王), 1019년 ~ 1083년, 재위 1046년 ~ 1083년
장남순종선혜대왕(宣惠大王), 1047년 ~ 1083년, 재위 1083년
차남선종사효대왕(思孝大王), 1049년 ~ 1094년, 재위 1083년 ~ 1094년
3남숙종명효대왕(明孝大王), 1054년 ~ 1105년, 재위 1095년 ~ 1105년
4남의천대각국사 왕후(大覺國師 王煦), 1055년 ~ 1101년
5남상안공 왕수? ~ 1095년
6남도생승통 왕탱
7남금관후 왕비? ~ 1092년
8남변한후 왕음? ~ 1086년
9남낙랑후 왕침? ~ 1083년
10남총혜수좌 왕경
적경궁주
부마 겸 이복아들부여공 왕수인경현비의 아들, ? ~ 1112년
보령궁주경순(慶順), ? ~ 1113년
부마낙랑공 왕영평양공 기(平壤公 基)의 아들, 1043년 ~ 1112년


4. 평가

선종은 사후에 그녀를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 또는 '''인예태후'''(仁睿太后)로 추존하였다. 선종의 명에 따라 국청사에 그녀를 위한 반혼전(返魂殿)이 건립되었고, 그녀는 남편의 사당에 안치되었다.[21][22]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에 따르면, 그녀는 '''인예국모'''(仁睿國母; "자애롭고 현명한 국모")로 불렸다.[23]

1140년 4월(인종 18년)에 '''성선'''(聖善)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1253년 10월(고종 40년)에 '''효목'''(孝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남겨진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아름다운 마음과 성품, 유순함, 온화함을 지녔으며, 그녀의 덕행은 유명한 고대 현자 못지않았다고 한다. 또한 남편과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고, 자손을 번성시키며, 국가의 어머니로서의 의무를 다하여 경원 이씨 시대를 열었다고 하며, 백성들은 그녀를 매우 존경했다고 전해진다.[24][25]

참조

[1] 웹사이트 문종 소생 공주 http://db.history.go[...] 2022-01-06
[2] 웹사이트 고려사 > 권90 > 열전 권제3 > 종실(宗室) > 문종 소생 왕자 http://db.history.go[...] 2022-03-30
[3] 웹사이트 고려사 > 권56 > 지 권제10 > 지리1(地理 一) > 양광도 > 인주 > 연혁 http://db.history.go[...] 2022-03-30
[4] 서적 고려사 - 열정과 자존의 오백년 - Volume 1 https://books.google[...] Deullyeok 2014
[5] 웹사이트 고려사 > 권7 > 세가 권제7 > 문종(文宗) 원년 > 12월 > 왕자 왕휴가 태어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6] 웹사이트 고려사 > 권7 > 세가 권제7 > 문종(文宗) 3년 > 9월 > 왕자 왕증이 태어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7] 웹사이트 고려사 > 권7 > 세가 권제7 > 문종(文宗) 6년 > 2월 > 연덕궁주 이씨를 왕비로 책봉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8] 웹사이트 고려사 > 권7 > 세가 권제7 > 문종(文宗) 7년 > 11월 > 왕자 휴를 훈으로 개명하고 태자로 책립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9] 서적 韓國史年表 https://books.google[...] Dongbang Media 2004
[10] 서적 신편 고려사 2, Volume 2 https://books.google[...] Sinseowon 2002
[11] 서적 韓國人物史硏究, Issue 5 https://books.google[...] Jingren Cultural Society 2006
[12]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6년 > 10월 > 왕태후가 국청사를 짓다 http://db.history.go[...] 2022-03-30
[13] 서적 韓國佛教史學論集: 曉城趙明基先生遺文稿 https://books.google[...] National Society 1989
[14] 서적 한국 의 불상 조각: 삼매 와 평담미 : 高麗, 朝鮮佛敎彫刻史硏究 https://books.google[...] Yekyung 2003
[15]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7년 > 10월 > 왕이 승가굴과 장의사에 가다 http://db.history.go[...] 2022-03-30
[16]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7년 > 10월 > 왕이 인수사에 가서 분향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17]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7년 > 10월 > 왕이 신혈사에서 오백나한재를 지내다 http://db.history.go[...] 2022-03-30
[18] 웹사이트 고려사 > 권64 > 지 권제18 > 예6(禮 六) > 흉례 > 국휼 > 선종이 문종의 비 인예순덕태후 이씨를 대릉에 장사지내다 http://db.history.go[...] 2022-03-30
[19] 웹사이트 고려사 > 권11 > 세가 권제11 > 숙종(肅宗) 원년 > 10월 > 도량을 열고 화엄경을 전독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20] 웹사이트 고려사 > 권11 > 세가 권제11 > 숙종(肅宗) 원년 > 9월 > 인예태후의 기신도량에서 분향하다 http://db.history.go[...] 2022-03-30
[21]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10년 > 9월 > 인예태후의 소상제를 지내다 http://db.history.go[...] 2022-03-30
[22] 웹사이트 고려사 > 권10 > 세가 권제10 > 선종(宣宗) 11년 > 3월 > 인예태후의 제사를 지내다 http://db.history.go[...] 2022-03-30
[23] 서적 대각국사문집 천줄읽기 https://books.google[...] CommunicationBooks 2015
[24] 웹사이트 고려사 > 권88 > 열전 권제1 > 후비(后妃) > 문종 후비 인예순덕태후 이씨 http://db.history.go[...] 2022-03-30
[25] 웹사이트 인예왕후, 고려 황금기를 이끈 인천 이씨 가문의 주역 https://m.post.naver[...] 2022-03-30
[26] 문서 고려사》 권10 〈세가〉 권10 - 선종 9년 9월 임오(壬午) 기사
[27] 웹인용 《고려사》권9〈세가〉권9 - 문종 36년 7월 - 숭경궁주 이씨가 죽다 http://db.history.go[...] 2014-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