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제 한계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제 한계산성은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에 위치한 산성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축조되었으며, 성안에 계곡을 품고 산을 둘러싸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신라 경순왕 때 지어져 고려와 후백제군 간의 전투가 벌어졌으며, 몽골의 침입 당시 조휘의 반란군을 격퇴한 역사적 장소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규모가 기록되어 있으며, 망경대 관련 전설이 전해진다. 상·하성 구조, 독특한 성문, 별설 돈후 시설 등 특징을 가지며,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제군의 문화유산 - 용아장성
    제공된 정보가 없어 용아장성에 대한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 인제군의 문화유산 -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과 양양군에 걸쳐 있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의 명소로, 기암괴석과 깊은 계곡, 가을 단풍이 어우러진 절경을 자랑하며 2016년 탐방로 개방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성 - 춘천 봉의산성
    춘천 봉의산성은 고려 시대 몽골 침입에 맞서 춘천 주민들이 항전했던 곳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 때도 요충지였고, 둘레 약 1,280m의 성벽과 봉의산 순의비가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성 - 정선 고성리 산성
    정선 고성리 산성은 강원도 정선군 해발 425m 산 능선에 위치한, 삼국 시대 고구려가 축조했다는 설과 청동기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산성으로, 조선 시대 기록에도 남아있으며 현재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인제 한계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문화재 정보
이름인제 한계산성
한자 표기麟蹄 寒溪山城
국가대한민국
유형사적
지정 번호553
지정일2019년 10월 21일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산1-1번지 일원
면적문화재구역 3필지 2,101,731m2
문화재청 ID13,05530000,32
문화재 정보 (구)
이름한계산성
한자 표기寒溪山城
국가강원도
유형기념물
번호17
지정일1973년 7월 31일
해제일2019년 11월 15일
문화재청 ID23,00170000,32
이미지
인제 한계산성
인제 한계산성

2. 역사

한계산성은 인제군 북면 한계리에 있는 산성으로, 천연적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성안에 계곡을 품고 산을 빙둘러 쌓았다. 자연석을 다듬어 쌓고 군데군데 쐐기돌을 박은 성벽은 현재도 그 형태가 보존되어 있다. 성안에는 우물터, 대궐터, 절터가 있었지만, 현재 우물터는 찾을 수 없고 대궐터와 절터만 기와장들과 함께 흔적을 알아볼 수 있다.

2. 1. 신라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6278척(1902m), 높이 4척(1.3m)이라 기록되어 있어, 상당히 큰 규모의 산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은 신라 경순왕 때 지어져 고려후백제군이 대치하여 혈전을 벌이던 곳이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성안에 망경대가 있어 경순왕이 망해가는 신라를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기도 하다.

2. 2. 고려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6278척(1902m), 높이 4척(1.3m)이라 기록되어 있어, 상당히 큰 규모의 산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은 신라 경순왕 때 지어져 고려후백제 군이 대치하여 혈전을 벌이던 곳이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성안에 망경대가 있어 경순왕이 망해가는 신라를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기도 하다. 고려사, 조휘열전에는 고종 46년(1259) 몽골군과 조휘가 이끄는 반란군이 이 성을 공격하였으나, 산성방호별감 안홍민이 야별초를 거느리고 출격하여 무찔렀다는 기록이 있다.

3. 구조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천연적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지어진 산성으로, 성안에 계곡을 품고 산을 빙둘러 쌓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6278척(1902m), 높이 4척(1.3m)이라 기록되어 있어, 상당히 큰 규모의 산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은 신라 경순왕 때 지어져 고려와 후백제군이 대치하여 혈전을 벌이던 곳이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성안에 망경대가 있어 경순왕이 망해가는 신라를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기도 하다. 또한 고려사, 조휘열전에는 고종 46년(1259)에 몽고군과 조휘가 이끄는 반란군이 이 성을 공격하였으나, 산성방호별감 안홍민이 야별초를 거느리고 출격하여 무찔렀다는 기록이 있다.

자연석을 다듬어 쌓고 군데군데 쐐기돌을 박은 성벽은 현재도 그 형태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성안에는 우물터, 대궐터, 절터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우물터는 찾을 수 없고,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기와장들과 함께 대궐터와 절터를 알아볼 수 있다.[2]

4. 특징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에 있는 산성으로, 천연적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지어졌으며 성안에 계곡을 품고 산을 빙 둘러 쌓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1902m, 높이 1.3m라고 기록되어 있어, 상당히 큰 규모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은 신라 경순왕 때 지어져 고려후백제군이 대치하여 혈전을 벌이던 곳이다. 옛 기록에는 성안에 망경대가 있어 경순왕이 망해가는 신라를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또한 고려사, 조휘열전에는 고종 46년(1259)에 몽고군과 조휘가 이끄는 반란군이 이 성을 공격하였으나, 산성방호별감 안홍민이 야별초를 거느리고 출격하여 무찔렀다는 기록이 있다.

자연석을 다듬어 쌓고 군데군데 쐐기돌을 박은 성벽은 현재도 그 형태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성안에는 우물터, 대궐터, 절터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우물터는 찾을 수 없고,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기와장들과 함께 대궐터와 절터를 알아볼 수 있다.[2]

4. 1. 상·하성 구조

인제 한계산성은 중세 시기 활용에 대한 역사 기록이 분명하며, 대몽항전에서 승전한 역사적인 장소이다.[2] 남한 지역에서 가장 험준한 곳에 축조된 산성으로, 상·하성의 구조, 독특한 성문, 원성(元城)과 떨어진 별설(別設)의 돈후(墩堠) 시설 등 그 특징이 뚜렷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2]

4. 2. 독특한 성문

인제 한계산성은 상·하성의 구조, 독특한 성문, 원성(元城)과 떨어진 별설(別設)의 돈후(墩堠) 시설 등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2]

4. 3. 별설 돈후 시설

인제 한계산성은 대몽항전에서 승전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남한 지역에서 가장 험준한 곳에 축조된 산성으로, 원성(元城)과 떨어진 별설(別設)의 돈후(墩堠) 시설은 뚜렷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2]

5. 사적 지정

인제 한계산성은 중세 시기 활용에 대한 역사 기록이 분명하고, 대몽항전에서 승전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남한 지역에서 가장 험준한 곳에 축조된 산성으로, 상·하성의 구조, 독특한 성문, 원성(元城)과 떨어진 별설(別設)의 돈후(墩堠) 시설 등 그 특징이 뚜렷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2]

참조

[1] 간행물 강원도 고시 제2019-433호,《강원도 지정문화재 지정해제 고시》 http://www.provin.ga[...] 강원도지사 2019-11-15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9-130호(인제 한계산성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9-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