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및 관리, 운영을 담당하는 시장형 공기업이다. 1999년 설립되어, 공항 건설, 운영, 연구 조사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1992년부터 시작된 공항 건설은 여러 단계를 거쳐 활주로와 터미널을 확장해왔으며, 여객 및 화물 수송, 시설 유지 관리, 부대 서비스 제공 등의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ACI 공항 서비스 최우수상을 6년 연속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수상 경력이 있다. 2017년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발표하여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항 운영 기관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공항 운영 기관 - 태국 민간항공국
태국 민간항공국은 과거 태국의 항공 운송과 안전 감독을 담당했으나,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안전 감사에서 안전 기준 미흡 문제가 드러나 일부 국가에서 제재를 받았으며, 이후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 대한민국의 시장형 공기업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장형 공기업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199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남양여객
남양여객은 1998년 삼성여객 노선을 용남고속이 인수하여 설립되었고, 수원여객 자회사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화성시에 본점을 두고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199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중랑운수
중랑운수는 1999년 8월 30일에 설립되어 중랑구 지역 주민에게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랑02번 노선을 운행하는 운수 회사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인천국제공항공사 |
이름 (영어) |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
로마자 표기 | Incheon Gukje Gonghang Gongsa |
개요 | |
종류 | 공기업 |
설립일 | 1999년 2월 1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47 (운서동) |
소유주 | 대한민국 정부 (100%) |
대표자 | 이학재 (사장 & CEO) |
산업 | 공항 운영 |
슬로건 | 글로벌 공항산업 Leading Value Creator |
직원 수 | 1,700명 (2020년 1분기) |
재무 정보 (2018년 기준) | |
자본금 | 5조 1,721억원 |
매출액 | 2조 6,510억원 |
순이익 | 1조 1,118억원 |
자산 총액 | 12조 3,568억원 |
자회사 | |
웹사이트 |
2. 주요 사업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및 관리·운영, 주변 지역 개발, 부대사업, 기타 국가 위탁 사업, 공항 건설 및 관리/운영에 관한 연구 조사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으로, 대학생이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 랭킹(인크루트 조사)에서 2018년부터 3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2019년 경쟁률은 187 대 1로, TOEIC 점수가 거의 만점에 가까워야 서류 전형을 통과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4][5]。
2021년 9월 28일, 홋카이도 에어포트와 이용 촉진 등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6][7]。
2. 1. 공항 건설 분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및 관리·운영, 주변지역 개발, 부대사업 및 기타 국가위탁사업, 공항 건설 및 관리/운영에 관한 연구조사를 담당한다. 토목, 건축, 전기, 전자, 통신 등 전 기술영역을 망라하는 복합공종적 시설 구축을 시행하였다.1단계 건설사업은 1992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진행되었으며, 활주로 2본,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을 신축하였다. 2단계 건설사업은 2002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활주로 1본 신설,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확장을 하였다.
2. 2. 공항 운영 분야
-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및 관리·운영
- 주변 지역 개발, 부대사업 및 기타 국가 위탁 사업
- 공항 건설 및 관리/운영에 관한 연구 조사
- 여객 및 화물 수송 수요의 처리
- 공항 시설물의 유지 관리
- 공항 이용자에 대한 각종 부대 서비스 제공 및 그에 따른 영업 활동[4][5]
- 2021년 9월 28일에는 홋카이도 에어포트와 이용 촉진 등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6][7]
2. 3. 연구 조사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및 관리·운영에 관한 연구 조사를 시행한다.3. 연혁
- 1992년 1월 31일 한국공항공사 산하 신공항건설본부 발족
- 1994년 9월 1일 신공항건설본부를 신공항건설공단으로 분리 발족
- 1996년 5월 2일 여객터미널 기공
- 1999년 2월 1일 인천국제공항공사 설립 - 정부출자기관 (공항 건설 및 운영 일원화)
- 2000년 6월 7일 공항 기본시설 완공
- 2000년 7월 10일 종합 시운전 착수
- 2000년 10월 3일 시험 운영 착수
-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 개항 (영업활동 개시)
- 2003년 5월 19일 아시아 최초 CAT-IIIb 운영 인증
- 2004년 6월 20일 신 탑승동 건설공사 착수
- 2005년 10월 14일 여객 1억명 돌파 (개항 후 56개월 누적 여객)
- 2006년 6월 15일 화물 1천만톤 돌파 (개항 후 63개월 누적량)
- 2007년 11월 5일 2단계 건설 시험운영 착수 (신탑승동, 제3활주로)
- 2008년 3월 19일 세계 최우수 화물공항 선정
- 2008년 6월 17일 2단계 그랜드 오픈
- 2009년 4월 22일 4년 연속 공항서비스 평가 세계 1위
- 2018년부터 3년 연속 대학생이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 랭킹 1위(인크루트 조사)를 차지했다. 2019년 경쟁률은 187 대 1로, TOEIC 점수는 거의 만점에 가까워야 서류 전형을 통과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4][5]
- 2021년 9월 28일 홋카이도 에어포트와 이용 촉진 등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6][7]
4. 조직
인천국제공항공사|仁川國際空港公社한국어의 조직은 2020년 1분기 기준 6본부 2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7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조직 형태는 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다.[1]
조직 |
---|
사장 |
비서실, 기획조정실, 홍보실, 안전혁신실, 사회가치추진실 |
경영본부 (부사장) |
여객본부, 운항본부, 건설본부, 미래사업본부, 시설본부, 항공보안실, 스마트추진실 |
상임감사위원 |
5. 역대 사장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1 | 강동석 | 1999년 2월 1일 ~ 2002년 3월 30일 | |
2 | 조우현 | 2002년 4월 1일 ~ 2005년 6월 30일 | |
3 | 이재희 | 2005년 7월 1일 ~ 2008년 8월 31일 | |
4 | 이채욱 | 2008년 9월 1일 ~ 2013년 2월 14일 | |
5 | 정창수 | 2013년 6월 4일 ~ 2014년 3월 3일 | |
6 | 박완수 | 2014년 10월 7일 ~ 2015년 12월 19일 | |
7 | 정일영 | 2016년 2월 2일 ~ 2019년 4월 15일 | |
8 | 구본환 | 2019년 4월 16일 ~ 2020년 9월 29일 | |
9 | 김경욱 | 2021년 2월 2일 ~ 2023년 4월 28일 | |
10 | 이학재 | 2023년 6월 19일 ~ |
6.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논란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12일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여 임기 내에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만들겠다고 선언하며,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약속했다.[4][8] 2020년 6월 22일, 공사 비정규직 직원 중 1,900명을 정규직으로 고용 전환한다는 발표가 있었다.[4]
그러나 이러한 정규직 전환 결정은 인천국제공항공사 노동조합과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 역차별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정규직 직원들은 비정규직 채용 조건(고졸 이상, 연령 및 자격 무관)과 정규직 채용 조건의 차이를 지적하며, 높은 경쟁을 뚫고 입사한 정규직 직원들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4] 공사 노동조합은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하고 쟁의를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4] 공사 취업을 준비하던 청년들과 고용 전환 대상이 아닌 동종 업계 비정규직 직원들도 반발했다.[8]
김두관 의원 등은 이중적 노동시장 구조에서 특권을 누린 기득권 노조나 그 기득권에 당첨되기 위해 취업준비를 한 사람들이 차별받은 비정규직을 무시하는 것이라는 반론을 제기했다.
참조
[1]
뉴스
NAIA upgrade an ‘investment in our future’ – Marcos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4-03-18
[2]
뉴스
Marcos, Ramon Ang’s San Miguel ink landmark $3-billion NAIA rehab deal
https://www.rappler.[...]
Rappler
2024-03-18
[3]
뉴스
Gov’t to get first P30B for Naia deal
https://business.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4-03-18
[4]
웹사이트
発端はやはりあの人~韓国の超人気公社で猛反発が起きた「非正規1900人の正規化」【崔さんの眼】: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0-07-09
[5]
웹사이트
韓国就活生の不満が爆発!就職したい1位の公企業に「不公平だ」と反発しているワケ
https://sportsseoulw[...]
2020-06-23
[6]
웹사이트
北海道エアポート 韓国・仁川国際空港公社と業務協約締結(十勝毎日新聞)
https://kachimai.jp/[...]
2021-10-05
[7]
웹사이트
韓国・仁川国際空港公社と 「北海道内7空港・仁川国際空港線の利用促進等に関する業務協約」を締結しました
https://www.hokkaido[...]
北海道エアポート
2021-09-28
[8]
웹사이트
「核心支持層」にも見放される文在寅大統領(JBpress)
https://news.yahoo.c[...]
2020-07-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정치인들 만남의 장소로 전락한 ‘인천공항 인재개발원’
경로 안내 강화하고 장소 특화 정보까지…카카오T, ‘통합검색’ 개편 – 바이라인네트워크
7월 면세점 매출 1조 밑돌아···인당 구매액 30만원대 ‘뚝’
[단독] 인천공항공사, 10년 전 삭제 규정 근거로 노조원 출입증 갱신 거부
AI전도사 구윤철 부총리, ‘공공기관 워크숍’서 “공공기관이 AI 대전환 중심축 돼야” 촉구
인천공항·강화군 지역발전 협약···이학재, 인천시장 출마 ‘몸풀기’
“왜 사고 구간에만 방호시설 설치 안 했나”…인천 빗길 사고 유족의 절규
[단독] 영종도 극한호우 운전자 사망 구간, 공사 이유로 방호시설 치웠다
인천공항서 9월 2~4일 ‘세계항공컨퍼런스’ 개최
인천공항공사·면세점, 임대료 인하 놓고 갈등 평행선
[단독] “임대료 너무 터무니없다 했더니”...인천공항 ‘바가지’에 뿔난 면세업계
“인천공항 임대료 40% 깎아달라”···신라·신세계면세점, 법원 조정 연기
코로나도 함께 극복했는데...인천공항 방역업체 바뀌자 "여성, 60세 이상 고용 못해"
[포토] 인천공항 제2활주로 점검…年60만회 이착륙 시대 연다
국토부, ‘2025 APEC 스마트 모빌리티 포럼’ 개최
인천공항 ‘스마트면세점’ 앱 가입하면 최대 30달러 할인쿠폰 증정
인천공항, 유럽에 진출···몬테네그로 공항 개발사업권 입찰서 1위
아시아나, 내년 1월 중순 인천공항 2터미널로 이전
폭염 속 에너지 절감···인천공항 ‘반바지 입기’ 캠페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