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방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소방청은 일본의 소방 행정을 담당하는 총무성 외청이다. 1947년 내무성 경보국에 소방과가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국가소방청, 국가소방본부, 자치성 소방청을 거쳐 2001년 총무성 외청으로 개편되었다. 소방청은 전국 소방 제도의 기획 및 입안, 소방 관련 연구, 자치체 소방 간부 소방관 교육 등을 담당하며, 소방청 장관은 총무 관료가 맡는다. 소방청은 소방 공무원이 아닌 총무 사무관 또는 총무 기술관으로 구성되며, 전국 소방 제도의 기획 및 입안, 소방 관련 연구, 자치체 소방 간부 소방관 교육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소방본부 - 도쿄 소방청
도쿄 소방청은 도쿄도를 관할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소방기관으로, 화재 진압, 인명 구조, 응급 의료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특수 부대를 운영하여 재난 상황에 대응한다. - 일본 총무성 - 일본 선거관리위원회
일본 선거관리위원회는 총무성 특별기관으로서 국회의 의결을 거쳐 임명된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 관련 사무와 정당교부금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대한민국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달리 공정성과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일본 총무성 - 일본의 총무대신
일본의 총무대신은 행정법제, 지방자치제도, 정보통신행정을 소관하는 국무대신으로, 자치성, 총무청, 우정성의 업무를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행정기관의 정원 및 운영에 대한 조사 및 권고 권한을 가진다. - 1960년 설치 - 창녕읍
창녕읍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속하는 읍으로, 신라 시대 비사벌로 불리다가 1960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7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여러 교육 기관과 문화재, 화왕산, 창녕읍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 1960년 설치 - 모란봉구역
모란봉구역은 평양직할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1960년 신설된 구역으로, 모란봉을 중심으로 여러 구역과 경계를 이루고 김일성경기장, 천리마 동상, 평양개선문 등 주요 시설과 공원, 방송국, 대사관 등이 있으며 지하철 천리마선, 혁신선과 릉라도 다리가 지난다.
일본 소방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소방청 |
로마자 표기 | Shōbōchō |
영문 명칭 |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
설립일 | 1947년 1월 15일 |
기관 유형 | 정부 기관 |
관할 | 일본 |
본부 위치 | 도쿄도미나토구 |
직원 수 | 172명 |
예산 | ¥16,344,273,000 (2020년) |
장관 | 요코타 신지 |
차장 | 요네자와 타케시 |
소속 부처 | 총무성 |
웹사이트 | 소방청 공식 웹사이트 |
법인 번호 | 9000012020003 |
조직 | |
상위 기관 | 총무성 |
내부 부서 | 심의관 총무과 소방・구급과 예방과 국민 보호・방재부 |
시설 등 기관 | 소방대학교 |
주요 인물 | |
장관 | 이케다 다쓰오 |
차장 | 고미 유이치 |
기타 | |
정원 | 176명 (2024년 (레이와 6년) 4월 1일) |
연간 예산 | 115억 6789만 5천엔 (2024년) |
2. 연혁
1947년 1월 15일, 내무성 경보국에 소방과가 설치되었고, 같은 해 말 내무성이 폐지되었다. 1948년 3월 7일, 소방조직법 시행에 따라 국가공안위원회에 '''국가소방청'''이 설치되었다. 내부부국으로 관리국 및 소방연구소를 두었으며, 1951년 8월 1일에는 소방강습소를 부속기관으로 승격시켰다.
1952년 8월 1일, 국가소방청은 '''국가소방본부'''로 개편되었고 관리국은 폐지, 소방연구소는 본부의 부속기관이 되었다. 1959년 4월 20일, 소방강습소는 소방대학교로 개편되었다.
1960년 7월 1일, 자치성 설치와 함께 국가소방본부는 자치성의 외청인 '''소방청'''으로 개편되었다. 1961년 7월 1일, 소방청에 차장이 설치되었다.
2001년 중앙성청 재편으로 소방청은 총무성의 외청이 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일 소방연구소는 독립행정법인으로 개편되었다. 2005년 8월 15일에는 국민보호·방재부가 설치되었고, 2006년 4월 1일에는 소방연구센터가 소방대학교 내부조직으로 설치되면서 독립행정법인 소방연구소의 업무를 승계하였다.
2. 1. 설립 이전
- 1947년 1월 15일, 내무성 경보국에 소방과가 설치되었다.[3]
- 1947년 12월 31일, 내무성이 폐지되었다.[3]
- 1948년 1월 1일, 총리청 내사국 제1국에 소방과가 설치되었다.[3]
- 1948년 2월 10일, 총리청 내사국 제1국에 소방과를 대신하여 '''국가소방청 설립 준비 사무국'''이 설치되었다.[3]
2. 2. 국가소방청 시대
1948년 3월 7일 소방조직법 시행에 따라 국가공안위원회에 '''국가소방청'''이 설치되었다. 내부 부국으로 관리국 및 소방연구소를 두었다.[3] 1951년 8월 1일에는 관리국 교양과 산하기관이었던 소방강습소를 부속기관으로 승격시켰다.1952년 8월 1일, 국가소방청은 개편되어 국가공안위원회에 '''국가소방본부'''가 설치되었다. 관리국은 폐지되었고, 소방연구소는 본부의 부속기관이 되었다. 1959년 4월 20일에는 소방강습소가 개편되어 소방대학교가 설치되었다.
2. 3. 자치성 소방청 시대
- 1960년 (쇼와 35년) 7월 1일 - 자치청을 개편하여 자치성을 설치하였다. 국가공안위원회 산하 국가소방본부는 자치성의 외청인 '''소방청'''으로 개편되었다.[3]
- 1961년 (쇼와 36년) 7월 1일 - 소방청에 차장이 설치되었다.[3]
2. 4. 총무성 소방청 시대
2001년 중앙성청 재편으로 총무성의 외청이 되었다.[3]- 2001년 1월 6일: 중앙정부 개편으로 소방청은 총무성 산하 외청으로 변경되었다.
- 2001년 4월 1일: 소방연구소를 분리하여 독립행정법인 소방연구소로 개편하였다.
- 2005년 8월 15일: 소방청 내부부국으로 국민보호 방재부를 설치하였다.
- 2006년 4월 1일: 소방대학교 내부조직으로 소방연구센터를 설치하고, 독립행정법인 소방연구소를 폐지하여 그 업무를 승계하였다.
3. 조직
일본 소방청은 국가행정조직법 제3조 제2항 및 소방조직법 제2조에 근거하여 설치되어, 일본 소방 행정의 기획·입안, 각종 법령·기준의 제정 등을 수행한다.[4] 소방청 직원은 소방공무원이 아닌 관료이며, 현장 활동을 하는 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다.[4] 지원차 등의 소방 차량이나 소방 헬리콥터를 소유하고 있지만, 실제 유지 관리는 차량을 대여해 간 자치단체가 담당한다.[4]
일본의 소방은 경찰과는 달리 지방자치단체가 완전한 관리와 운영을 담당하고 있어, 소방청은 지자체가 수행하는 소방업무에 관해 직접적인 지휘권은 없으며 조언, 지도, 조정 정도를 행한다.[4] 이는 일본의 소방이 시町村의 책임하에 있기 때문이다.[4]
국민 보호법 시행에 따라, 소방청은 무력 공격 사태 등이 발생할 시 국민 보호와 국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종합적인 창구 역할을 맡게 되었다.
재해 발생 시의 비상 대응도 담당하고 있으나, 2003년 이전의 미국 연방 재난 관리청과 같은 비상 재해 시의 공공기관에 대한 통괄 지휘권은 없다.[4] 내각 위기 관리 감이 수상 관저 위기 관리 센터에 설치하는 '''대책실'''이나, 내각에 설치되는 긴급 재해 대책 본부 등이 지휘한다.[4]
3. 1. 간부
3. 2. 내부 부국
심의관 |
---|
국민보호·방재부 |
---|
3. 3. 심의회
소방심의회는 소방 관련 주요 정책에 대해 심의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3. 4. 시설 등 기관
소방대학교는 소방 공무원 교육 및 훈련 기관이다. 소방연구센터는 소방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4. 직원
일본 소방청 직원은 소방관이 아니며, 총무사무관 또는 총무기술관이다. 국민보호법 시행에 따라 '국민 보호·방재부 방재과 국민보호 운용 실장'은 자위관이 담당한다. 과거 자치성 외청 시절에는 자치사무관 및 기술관이 이 직을 맡았다.
소방청의 주요 업무는 전국 소방 제도의 기획 및 입안, 소방 관련 연구, 자치단체 소방 간부 소방관 교육 등이다. 극히 일부 대규모 재해를 제외하면 실제 소방 활동이나 광역 지휘는 하지 않는다. 이는 지방 공공단체의 소방 기관이 소방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운영되기 때문이다.
소방청은 경찰의 지방경찰청과 같은 지방기관을 두지 않으며, 조직 규모도 경찰청에 비해 작다. '경찰관료'와 같은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소방청 직원은 '총무사무관' 혹은 '총무기술관', 즉 '총무관료'이므로 '소방관료'라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 소방청 직원은 전원 지방 공무원이며, 국가 소방청과 자치제 소방기관은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소방 국가공무원’이라는 표현도 없으며, ‘총무 국가공무원’이라고 칭한다.
소방청 직원 최고 직책은 소방 본부마다 있는 ‘소방장’이며, 소방청 직원의 최상위 계급인 ‘소방총감’은 도쿄도 (23구 및 수탁 지역)의 소방본부 도쿄 소방청의 소방장이다. 소방청은 대규모 재해 외에는 전국적인 규모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경찰청이 전국적인 경찰 활동을 지시하는 것과 업무상 차이가 있다.
4. 1. 소방청 직원과 소방관의 관계
일본의 소방청 직원은 소방관이 아니며, 총무사무관 또는 총무기술관으로 구성된다. 소방청은 지방자치단체의 소방기관을 직접 지휘하지 않으며, 조언, 지도, 조정을 통해 협력한다. 이는 일본의 소방이 시町村장(시町村長)의 관리 하에 있으며, 시町村이 소방의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1] 따라서, 소방청 장관 또는 도도부현 지사는 시町村 소방에 조언·권고·지도를 하는 데 그치며, 시町村 소방을 관리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1]소방청의 주요 업무는 전국 소방 제도의 기획과 입안, 소방 관련 연구, 자치체 소방 간부 소방관의 교육 정도이며, 극히 일부의 대규모 재해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소방 활동 전반이나 광역 지휘는 하지 않는다. 이러한 업무는 지방 공공단체에 의해 소방기관이 소방청으로부터 완전하게 독립해 운영하고 있다.
경찰의 지방경찰청과 같은 지방기관을 두지 않으며, 소방청 조직의 규모도 경찰청에 비해 작다. 경찰의 '경찰관료'와 같은 처음부터 그 조직 안에서 발탁한 관료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소방청 직원의 신분도 소방관이 아닌, '총무사무관' 혹은 '총무기술관', 즉 '총무관료'이기 때문에 '소방관료'라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
소방청의 직원은 전원 지방 공무원이며, 경찰관처럼 지방 공무원으로 채용된 직원도 경시정(警視正) 이상의 계급이 되면 국가공무원이 된다는 규정도 없으며, 국가의 소방청과 자치제의 소방기관은 완전히 독립되어있다. ‘소방 국가공무원’이라는 표현도 없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총무 국가공무원’이라 칭한다.
4. 2. 계급 및 직명장
소방청 직원에게는 소방 공무원의 계급 및 계급장에 준하는 직명장이 정해져 있다. 통상적으로는 대부분 사복(양복)으로 근무하지만, 상황에 따라 소방 공무원의 것에 준하는 디자인의 제복, 제모, 활동복(작업복), 아폴로 캡, 안전모 등을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소방청의 직명장은 다음과 같다.
- 소방청 장관: 소방 행정의 총 책임자로 소방 총감보다 상위에 있다. 소방 총감의 계급장이 “금색 바탕에 소방장 4개”인 데 반해, 소방청 장관의 직명장은 “금색 바탕에 소방장 5개”이다.
- 소방청 차장・심의관・소방대학교 교장: 소방 총감 상당
- 소방청 과장: 소방사감 상당, 도쿄 소방청에서는 차장, 부장
- 소방청 실장: 소방정감 상당, 도쿄 소방청에서는 부장, 방면 본부장 상당
- 소방청 과장보좌・소방대학교교수: 소방감 상당: 도쿄 소방청에서는 참사(주요 과장), 소방서장 상당
- 소방청 계장・소방대학교조교수: 소방사령장 상당, 도쿄 소방청에서는 과장, 분서장 상당
- 소방청 계원: 소방사령 상당, 도쿄 소방청에서는 과장보좌, 출장소장 상당
경찰청의 경찰관에 순사・순사장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방청 직원에게도 소방사 상당 이하의 직원은 없다.
5. 소방청과 경찰과의 관계
경찰청의 관구 경찰국과 같은 지방 기관은 설치되지 않으며, 소방청의 조직 규모도 경찰청에 비해 작다. 소방청 직원은 소방 공무원이 아니라 총무 사무관 또는 총무 기술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경찰에서의 "경찰 관료"와 같이 "소방 관료"라는 호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소방청은 자체적으로 기술 계열의 국가 종합 직무 시험 합격자 중에서 매년 1~2명을 채용하고 있으며, 채용된 사람은 "'''소방 관료'''"로 불린다.
또한 경찰청에 소속된 경찰 관료가 경시청이나 도도부현 경찰으로 파견되어 간부에 취임하는 것과 달리, 소방의 경우 소방청에 소속된 총무 관료가 각 자치체 소방으로 파견되는 인사는 드물다. 소방청 직원이 각 자치체의 소방 활동에 개입하는 일도 없다. 소방 공무원은 전원이 지방 공무원이므로 경찰관처럼 지방 공무원과 국가 공무원이 혼재하는 규정도 없고, 국가의 소방청과 자치체의 소방 기관은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업무 면에서도 경찰은 광역 수사나 공안 수사, 경비 실시 및 전국 교통 단속 등 전국적인 경찰 활동은 경찰청이 전국에 호령을 내려 수행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소방은 국가 주도하에 전국적 규모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는 대규모 재해 등 제한적이다.
6. 한국 소방청과의 비교
한국 소방청은 국가직 소방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전국적인 소방 지휘 및 통제 권한을 가지는 반면, 일본 소방청은 지방자치단체 소방기관에 대한 직접적인 지휘권이 없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일본 소방청은 소방행정의 기획, 입안, 법령 및 기준 책정 등을 담당하며, 직원들은 소방관이 아닌 관료이다. 실제 현장 활동을 하는 조직은 없으며, 소방차량은 '지원차량'으로 소유하지만 유지 및 관리는 차량을 대여해 간 자치단체가 담당한다.
일본의 소방은 경찰과 달리 지방자치단체가 완전한 관리와 운영을 담당하며, 소방청은 지자체의 소방업무에 대해 직접적인 지휘권 없이 조언, 지도, 조정 정도만 수행한다. 이는 일본의 소방이 시町村장의 관리 하에 있으며, 시町村이 소방의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청 장관 또는 도도부현 지사는 시町村 소방에 조언, 권고, 지도를 하는 데 그치며, 시町村 소방을 관리할 권한은 없다.
국민 보호법 시행에 따라, 소방청은 무력 공격 사태 등에서 국민 보호를 위한 국가와 지방 공공 단체 간의 종합적인 창구 역할을 수행한다. 재해 발생 시 비상 대응도 담당하지만, 2003년 이전 미국의 연방 재난 관리청과 같은 비상 재해 시 공공기관에 대한 통괄 지휘권은 없다. 내각 위기 관리 감이 수상 관저 위기 관리 센터에 설치하는 대책실이나, 내각에 설치되는 긴급 재해 대책 본부 등이 지휘한다.
한국 소방 시스템은 전국 단위의 일사불란한 지휘 체계를 통해 대형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지만, 지역 특성에 맞는 유연한 대응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7. 발행물
소방청에서는 매년 소방 관련 정책, 현황, 통계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소방백서를 발행한다.
참조
[1]
법령
総務省定員規則(平成13年1月6日総務省令第4号)最終改正:令和6年3月29日総務省令第34号)
https://laws.e-gov.g[...]
[2]
PDF
令和6年度一般会計予算
https://www.bb.mof.g[...]
財務省
[3]
서적
消防研究所二十年史
https://dl.ndl.go.jp[...]
消防庁消防研究所
2024-11-23
[4]
간행물
総務省幹部職員名簿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4-07-05
[5]
웹사이트
救急安心センター事業(#7119)ってナニ? - 総務省消防庁
https://www.fdma.go.[...]
[6]
문서
総務省人事 (平成29年7月11日付)一人の政策統括官が二つの事務を兼任。
https://www.soumu.go[...]
[7]
문서
2009년 4월 1일 기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