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센트럴 리그에서는 1967년부터, 퍼시픽 리그에서는 1953년부터 시상되었다. 초창기에는 MVP와 중복 수상으로 잠정 폐지되기도 했으며, 이후 최고 승률 투수에게 상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부터는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모두 13승 이상, 승률 1위의 투수에게 시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은 각 리그에서 가장 높은 출루율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타이틀로,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희생 플라이 등을 포함한 타자의 출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오 사다하루가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다 안타
    일본 프로 야구 최다 안타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안타를 기록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타이틀로, 단일 리그 시대와 양대 리그 시대의 연도별 수상자 목록, 주요 기록, 논란 및 한국 프로 야구와의 비교 등을 다룬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은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에서 포지션별 최고의 수비 능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1972년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으로 시작하여 1986년부터 미쓰이 그룹의 후원을 받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프로 야구 기자들의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은 각 리그에서 가장 높은 출루율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타이틀로,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희생 플라이 등을 포함한 타자의 출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오 사다하루가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퍼시픽 리그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퍼시픽 리그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기본 정보

2. 역사

센트럴 리그에서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1967년부터 시상했으며, 퍼시픽 리그에서는 1953년부터 시상을 시작했다.

퍼시픽 리그의 경우, 초기에는 투표 위원에 의한 투표로 선정되었고 'MVP와 동등하게 가치있는 것'으로 여겨져 MVP 투표에서 투수를 제외하는 규정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MVP 수상자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1956년 제외) 1957년부터 3년 연속으로 최우수 투수와 MVP 수상자가 동일 인물이 되자, 1959년을 끝으로 잠정 폐지되었다.

이후 2002년부터는 최고 승률 타이틀을 대신하여, 시즌 13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 승률이 가장 높은 투수에게 시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과거에는 최우수 평균 자책점이나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최우수 투수’라는 명칭으로 시상하거나, 센트럴 리그에서 1951년부터 1952년까지 평균 자책점과 승률을 기준으로 ‘최우수 투수’를 선정한 사례도 있었다.[3][1]

2013년부터는 타이틀 명칭이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변경되었고,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모두 시상 규정을 ‘13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 승률 1위’로 통일하였다.[4][2] 이로써 실질적으로 ‘최우수 투수’라는 명칭의 타이틀은 폐지되고, 최고 승률 타이틀이 부활하는 형태가 되었다.

2. 1. 제정 초기 (1953년 ~ 1959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1953년부터 최우수 투수 시상이 시작되었다. 투표 위원의 투표로 선정되었으며, 'MVP와 동등하게 가치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제정 초기 몇 년간은 MVP 투표 대상에서 투수를 제외하는 규정도 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많은 경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와 겹쳤고(1956년 제외), MVP 투표 제외 규정이 중간에 없어지면서 1957년부터 1959년까지 3년 연속으로 최우수 투수 수상자가 MVP를 동시에 수상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1959년을 마지막으로 이 상은 잠정적으로 폐지되었다.

2. 2. 센트럴 리그 시상 시작과 잠정 폐지 (1967년 ~ 2001년)

센트럴 리그에서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1967년부터 최우수 투수 시상을 시작했다. 이는 퍼시픽 리그가 1953년부터 투표 위원에 의한 투표로 최우수 투수를 선정한 것과 다른 방식이었다.

퍼시픽 리그의 경우, 제정 초기에는 'MVP와 동등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 MVP 투표 대상에서 투수를 제외하는 규정을 두기도 했다. 그러나 베스트 나인 투수와 MVP 수상자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졌고(1956년 제외), MVP 투표 제외 규정이 폐지되면서 1957년부터 3년 연속으로 최우수 투수와 MVP 수상자가 동일 인물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퍼시픽 리그의 최우수 투수 시상은 1959년을 끝으로 잠정 폐지되었다.

참고로 센트럴 리그에서는 1967년 시상 시작 이전에 최우수 평균 자책점이나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최우수 투수’라는 명칭으로 시상하거나, 1951년부터 1952년까지 평균 자책점과 승률을 기준으로 ‘최우수 투수’를 선정하여 시상한 적도 있었다.[3][1] 센트럴 리그의 1967년 이후 시상은 베스트 나인 투수를 대상으로 계속 이어졌다.

2. 3. 부활과 현재 (2002년 ~ 현재)

2002년부터는 최고 승률 타이틀을 대신하여, 시즌 승률이 가장 높은 투수에게 시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수상 기준은 시즌 13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가운데 승률이 가장 높은 투수이다.

2013년부터는 타이틀 명칭을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변경하고,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양대 리그 모두 시상 규정을 '13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 승률 1위'로 통일하였다.[4][2] 이 변경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최우수 투수'라는 명칭의 타이틀은 폐지되었고, 최고 승률 타이틀이 부활하는 형태가 되었다.

3. 역대 수상자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는 시대에 따라 시상 방식과 기준에 변화가 있었다.


  • 1953년 ~ 1959년: 퍼시픽 리그에서만 시상했으며, 해당 리그의 MVP 수상자가 최우수 투수로 선정되었다.
  • 1967년 ~ 2001년: 센트럴 리그에서만 시상했으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가 최우수 투수로 간주되었다.
  • 2002년 ~ 현재: 양대 리그에서 모두 시상한다. 센트럴 리그는 이전과 같이 베스트 나인 투수를, 퍼시픽 리그는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를 최우수 투수로 선정하고 있다.

3. 1. 1953년 ~ 1959년 (퍼시픽 리그)

wikitext


  • '''굵은 글씨'''는 MVP 수상 선수를 나타내며 퍼시픽 리그에서만 시상했다.

3. 2. 1967년 ~ 2001년 (센트럴 리그)

연도성명소속
1967오가와 겐타로주니치 드래건스
1968에나쓰 유타카한신 타이거스
1969다카하시 가즈미요미우리 자이언츠
1970히라마쓰 마사지다이요 웨일스
1971히라마쓰 마사지다이요 웨일스
1972호리우치 쓰네오요미우리 자이언츠
1973다카하시 가즈미요미우리 자이언츠
1974호리우치 쓰네오요미우리 자이언츠
1975소토코바 요시로히로시마 도요 카프
1976이케가야 고지로히로시마 도요 카프
1977고바야시 시게루요미우리 자이언츠
1978니우라 히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
1979고바야시 시게루한신 타이거스
1980에가와 스구루요미우리 자이언츠
1981에가와 스구루요미우리 자이언츠
1982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도요 카프
1983엔도 가즈히코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1984야마네 가즈오히로시마 도요 카프
1985고마쓰 다쓰오주니치 드래건스
1986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도요 카프
1987구와타 마스미요미우리 자이언츠
1988오노 가즈유키주니치 드래건스
1989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자이언츠
1990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자이언츠
1991사사오카 신지히로시마 도요 카프
1992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자이언츠
1993이마나카 신지주니치 드래건스
1994야마모토 마사히로주니치 드래건스
1995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자이언츠
1996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자이언츠
1997야마모토 마사주니치 드래건스
1998사사키 가즈히로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99우에하라 고지요미우리 자이언츠
2000구도 기미야스요미우리 자이언츠
2001후지이 슈고야쿠르트 스왈로스


  • 센트럴 리그에서만 시상했으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와 동일하다.

3. 3. 2002년 ~ 현재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성명소속성명소속승률
2002우에하라 고지요미우리 자이언츠제레미 파웰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630
2003이가와 게이한신 타이거스사이토 가즈미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870
2004가와카미 겐신주니치 드래건스이와쿠마 히사시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882
2005구로다 히로키히로시마 도요 카프사이토 가즈미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941
2006가와카미 겐신주니치 드래건스사이토 가즈미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783
2007다카하시 히사노리요미우리 자이언츠나루세 요시히사지바 롯데 마린스.941
2008세스 그레이싱어요미우리 자이언츠이와쿠마 히사시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840
2009디키 곤잘레스요미우리 자이언츠다르빗슈 유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750
스기우치 도시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0마에다 겐타히로시마 도요 카프스기우치 도시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696
2011요시미 가즈키주니치 드래건스다나카 마사히로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792
2012우쓰미 데쓰야요미우리 자이언츠셋쓰 다다시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773


  • 센트럴 리그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와 같으며 퍼시픽 리그에서는 승률 1위를 기록한 투수를 일컫는다.

참조

[1] 문서 セ・リーグの1951年と1952年は最優秀防御率投手と同じ結果であった。また、読売新聞においては以後1966年までセ・リーグの最優秀防御率投手を「最優秀投手」と表記していたが、朝日新聞など他のメディアでは「最優秀防御率投手」と記載していた年もあり、正式な名称であったかどうかは不詳である。
[2] 뉴스 プロ野球:「最優秀投手」勝率第一位投手賞に改称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3-03-07
[3] 문서 센트럴 리그의 1951년과 1952년은 최우수 평균 자책점 투수와 같은 결과였다. 또 요미우리 신문에 있어서는 이후 1966년까지 센트럴 리그의 최우수 평균 자책점 투수를 ‘최우수 투수’라고 표기하고 있었지만 아사히 신문 등 다른 언론에서는 ‘최우수 방어율 투수’(최우수 평균 자책점 투수)라고 표기한 적도 있어 정식 명칭이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4] 웹인용 プロ野球:「最優秀投手」勝率第一位投手賞に改称 http://mainichi.jp/s[...] 2013-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