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낙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낙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법적, 사회적 변화를 겪었다. 에도 막부 시대에는 낙태가 금지되었으나, 간통이나 낙태로 인한 여성 사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처벌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메이지 시대에는 인구 증가를 위해 낙태를 제한하는 정책이 시행되었고, 1907년 형법 개정으로 낙태 처벌이 강화되었다. 20세기 초 사회 운동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 위기를 겪으면서 우생보호법 제정을 통해 제한적인 낙태가 허용되었고, 이후 법 개정을 통해 낙태 허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2019년에는 15만 건 이상의 낙태가 보고되었으며, 경구 피임약 사용 증가가 의도치 않은 임신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의료 - 약해 에이즈 사건
약해 에이즈 사건은 1980년대 일본에서 HIV에 오염된 혈액 제제 투여로 혈우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된 사건으로, 후생성의 부적절한 조치와 제약회사의 책임, 관련자들의 기소 및 재판, 731부대와의 연관성 등이 드러나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으며, 간 나오토 후생대신이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화해로 마무리되었다. - 일본의 의료 - 일본한방의학
일본한방의학은 중국 의학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서 발전한 전통 의학 체계로, 음양오행, 기·혈·수 등의 독자적인 이론과 진단법을 가지며 침구, 한약, 식사, 운동 요법 등을 활용하여 현대에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낙태 | |
---|---|
개요 | |
![]() | |
정의 | 인공 임신 중절 |
법률 | |
합법 여부 | 합법 (특정 조건 하에) |
근거 법률 | 모체 보호법 |
임신 중절 가능 기간 | 임신 22주까지 |
미성년자 | 법적 보호자의 동의 필요 (예외 존재) |
배우자 동의 | 원칙적으로 필요, 별거나 관계가 깨진 경우 예외 |
낙태 시술 | |
주요 방법 | 외과적 수술 (소파술), 약물 낙태 |
약물 낙태 | 2023년 4월 승인 |
비용 | 10만 ~ 20만 엔 (수술), 약 10만 엔 (약물) |
통계 | |
낙태 건수 | 감소 추세 (1955년 최고치 이후) |
주요 원인 | 경제적 이유, 여성의 건강 문제 |
사회적 논쟁 | |
주요 쟁점 | 여성의 자기 결정권, 태아의 생명권, 배우자 동의 요건 |
2. 역사
1842년 에도 막부는 인공 낙태를 금지했으나,[12][13] 이 법은 1869년 전국적으로 임신중절이 금지될 때까지 전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2][13] 그러나 임신이 간통으로 인한 것이거나 여성이 낙태 수술로 인해 사망한 경우가 아니면 이 범죄는 거의 처벌받지 않았다.[12]
학자 티아나 노르게른(Tiana Norgern)에 따르면 메이지 정부의 낙태 정책은 에도 시대의 낙태 정책과 유사했으며 인구가 많으면 국제 무대에서 더 많은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믿음에 의해 촉진되었다.[14] 1868년에 천황은 의사가 임신 중절을 하는 것을 금지했고, 1880년에 일본 최초의 형법은 임신 중절을 범죄로 규정했다.[14] 1907년 형법이 개정되면서 낙태에 대한 처벌은 더욱 심해졌다. 여성은 낙태를 한 경우 최대 1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었고, 시술자는 최대 7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었다.[14] 1907년 형사 낙태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술적으로는 유효하지만 다른 법률에 의해 실제로 형이 집행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14]
1923년에 의사들은 산모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 낙태를 시행할 수 있는 법적 허가를 받았다.[15] 1931년 아베 이소오는 낙태금지법 개정을 위한 동맹을 결성하여 “여성은 원하지 않는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 권리이며, 낙태는 이 권리의 행사이다”라고 주장했다.[15] 이 조직은 유전적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상황, 여성이 가난해 국가의 지원을 받거나 이혼한 경우,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경우, 강간 당한 경우 낙태를 합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1934년, 제5회 전일본 여성 참정권 대회는 피임과 낙태의 합법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작성했다.[15]
1940년 국가 우생학법은 낙태를 수행하기 위해 의사가 따라야 하는 일련의 절차를 설명함으로써 낙태를 명확하게 합법화하지는 않았지만, 제한적인 낙태를 허용했다.[16] 이 절차에는 차선책을 세우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단계가 포함되었으나, 긴급 상황일 때는 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했다.[16] 많은 의사들은 이 과정을 다루고 싶어하지 않고 복잡하게 느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1941년에서 1944년 사이에 낙태율이 1만 8000건에서 1,800건으로 감소한 것이 이 법률 덕분이라고 추정한다.[16]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인구 위기에 직면했다. 1946년에는 1천만 명이 기아 위기에 처해 있다고 선언되었고, 1945년부터 1950년 사이에 인구는 1천1백만 명이 증가했다.[17] 이러한 상황에서 1948년 이시카와 미유키 사건을 계기로,[18] 일본은 우생보호법을 제정하여 임신중절을 합법화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9]
1949년에는 산모가 극심한 신체적 또는 경제적 고통을 받는 경우 낙태를 허용하는 개정안이 통과되었고,[19] 1952년에는 임신 중절을 위해서는 산모가 열악한 생활 조건이라는 경제적 한계를 충족해야 한다는 규정이 추가되었다.[20] 1996년, 우생보호법은 모성건강보호법으로 개정되었다.[21]
2. 1. 에도 시대 이전
1842년 에도 막부는 인공 낙태를 금지했으나,[12][13] 이 법은 1869년 전국적으로 임신중절이 금지될 때까지 전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2] 그러나 임신이 간통으로 인한 것이거나 여성이 낙태 수술로 인해 사망한 경우가 아니면 이 범죄는 거의 처벌받지 않았다.[12]2. 2. 메이지 시대
1842년 에도 막부는 인공 임신중절을 금지했으나, 이 법은 1869년 전국적으로 임신중절이 금지될 때까지 전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2][13] 그러나 임신이 간통으로 인한 것이거나 여성이 낙태 수술로 인해 사망한 경우가 아니면 이 범죄는 거의 처벌받지 않았다.[12]학자 티아나 노르게른(Tiana Norgern)에 따르면 메이지 정부의 낙태 정책은 에도 시대의 낙태 정책과 유사했으며 인구가 많으면 국제 무대에서 더 많은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믿음에 의해 촉진되었다.[14] 1868년에 천황은 의사가 임신 중절을 하는 것을 금지했고, 1880년에 일본 최초의 형법은 임신 중절을 범죄로 규정했다.[14] 1907년 형법이 개정되면서 낙태에 대한 처벌은 더욱 심해졌다. 여성은 낙태를 한 경우 최대 1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었고, 시술자는 최대 7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었다.[14] 1907년 형사 낙태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술적으로는 유효하지만 다른 법률에 의해 실제로 형이 집행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14]
1923년에 의사들은 산모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 낙태를 시행할 수 있는 법적 허가를 받았다.[15]
2. 3. 1920-40년대 사회 운동
1923년에 의사들은 산모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 낙태를 시행할 수 있는 법적 허가를 받았다.[15] 1931년 아베 이소오는 낙태금지법 개정을 위한 동맹을 결성하여 “여성은 원하지 않는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 권리이며, 낙태는 이 권리의 행사이다”라고 주장했다.[15] 이 조직은 유전적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상황, 여성이 가난해 국가의 지원을 받거나 이혼한 경우,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경우, 강간 당한 경우 낙태를 합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1934년, 제5회 전일본 여성 참정권 대회는 피임과 낙태의 합법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작성했다.[15]1940년 국가 우생학법은 낙태를 수행하기 위해 의사가 따라야 하는 일련의 절차를 설명함으로써 낙태를 명확하게 합법화하지는 않았지만, 제한적인 낙태를 허용했다.[16] 이 절차에는 차선책을 세우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단계가 포함되었으나, 긴급 상황일 때는 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했다.[16] 많은 의사들은 이 과정을 다루고 싶어하지 않고 복잡하게 느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1941년에서 1944년 사이에 낙태율이 1만 8000건에서 1,800건으로 감소한 것이 이 법률 덕분이라고 추정한다.[16]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인구 위기에 직면했다. 1946년에는 1천만 명이 기아 위기에 처해 있다고 선언되었고, 1945년부터 1950년 사이에 인구는 1천1백만 명이 증가했다.[17] 이러한 상황에서 1948년 이시카와 미유키 사건을 계기로,[18] 일본은 우생보호법을 제정하여 임신중절을 합법화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9]1949년에는 산모가 극심한 신체적 또는 경제적 고통을 받는 경우 낙태를 허용하는 개정안이 통과되었고,[19] 1952년에는 임신 중절을 위해서는 산모가 열악한 생활 조건이라는 경제적 한계를 충족해야 한다는 규정이 추가되었다.[20] 1996년, 우생보호법은 모성건강보호법으로 개정되었다.[21]
3. 통계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보고된 총 낙태 건수는 2019년에 156,430건으로,[22] 2000년에 보고된 건수보다 56% 감소했다. 전반적인 낙태율은 15~39세 여성 1,000명당 22.3건에서 15.3건으로 감소했다. 1980년에는 598,084건, 1960년에는 1,063,256건의 낙태가 있었다. 2019년에는 13세 이하 49건, 14~17세 3,904건, 20~24세 여성에게서 약 39,805건의 낙태 수술이 보고되었다.[22]
보건부에 따르면 2020년에는 145,340건의 임신중단 수술이 발생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7.3% 감소한 수치다.[23]
연구원들에 따르면 99% 이상의 사례에서 임신 중절을 시행한 이유는 여성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 비율은 1975년~1995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보건부 연구원들은 또한 의사들이 세금 청구서를 낮추고 환자 신원을 보호하기 위해 보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공식 수치가 실제 낙태율보다 낮을 수 있지만 추세는 "상당히 정확하다"고 밝혔다.
4. 피임약 복용과 의도치 않은 임신
일본에서 경구 피임약 사용률 증가는 의도치 않은 임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구 피임약 사용률이 증가할수록 의도치 않은 임신율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감소한다. 1994년 일본 가족계획 전국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경구 피임약 사용률이 15%일 때 의도치 않은 임신은 13~17% 감소, 사용률이 25%일 때는 22~29% 감소, 사용률이 50%일 때는 45~58%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경구 피임약이 피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5. 더 알아보기
- 낙태법
- 일본의 산아 제한 정책
- 일본의 우생학
- 미즈코 쿠요(일본식 낙태아 추모)
참조
[1]
간행물
"母体保護法の施行について"
https://www.mhlw.go.[...]
일본 후생노동성
[2]
웹인용
일본에서 본 '낙태' {{!}} 일본의 인공임신중절(낙태) 실태
https://lilyinmars.t[...]
2021-05-11
[3]
저널
일본에서의 모체보호법과 임신중절시의 배우자 동의 조건에 관해서
https://www.kwdi.re.[...]
2022-09-29
[4]
웹인용
일본 여성이 낙태약을 구입하기 위해 파트너의 동의가 필요한 이유
https://healingtoo.t[...]
2024-10-21
[5]
뉴스
No consent from spouse needed for abortion in broken marriages in Japan: ministry
http://www.mainichi.[...]
2024-11-01
[6]
뉴스
Abortion legal and apolitical in Japan, but cost and consent present barriers
https://www.japantim[...]
2022-06-28
[7]
뉴스
Japan approves abortion pill for the first time
https://www.theguard[...]
2023-05-09
[8]
웹인용
linepharma
https://www.linephar[...]
[9]
웹인용
Health ministry formally approves Japan's first abortion pill
https://www.japantim[...]
2023-05-09
[10]
뉴스
Japan approves abortion pill for the first time
https://www.theguard[...]
2023-05-09
[11]
웹인용
Japan panel approves nation's first abortion pill
https://www.japantim[...]
2023-05-09
[12]
서적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in Postwar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3]
논문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ceptance of induced abortion
1982
[14]
서적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in Postwar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5]
서적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in Postwar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6]
서적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in Postwar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7]
서적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in Postwar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8]
웹인용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web.archive.[...]
National Diet Library
2008-03-18
[19]
서적
Contraceptive diplomacy : reproductive politics and imperial ambi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ttps://www.worldcat[...]
2017
[20]
서적
Women's rights? : the politics of eugenic abortion in modern Japan
https://www.worldcat[...]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9
[21]
뉴스
FYI: Abortion and the Pill: Abortion Still Key Birth Control
http://www.japantime[...]
2009-10-20
[22]
웹인용
令和元年度衛生行政報告例 付表F07 人工妊娠中絶実施率(女子人口千対),年齢階級・年次別
https://www.e-stat.g[...]
2021-09-21
[23]
뉴스
Abortion legal and apolitical in Japan, but cost and consent present barriers
https://www.japantim[...]
2022-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