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향교 대성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실향교 대성전은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에 위치한 향교의 대성전으로, 1984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1413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1854년 대성전 중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현재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 동재, 서재, 내·외삼문 등의 건물이 있으며, 700년 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향교 - 전주향교
전주향교는 고려시대 창건된 조선시대 향교 건축물로, 훼손과 복원을 거쳐 유생들의 수학 공간이자 동학농민운동 거점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석전과 향례를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영상 작품의 촬영 장소로 활용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향교 - 고창향교 대성전
고창향교 대성전은 1513년 중건된 전라북도 고창군의 향교 건물로, 유교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조선 시대 지역 교육의 중심지이자 현재는 향토사 연구 및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공간이다. - 임실군의 문화유산 - 광제정
광제정은 조선 초 양돈이 지어 그의 호를 딴 이름으로 불리게 된 광양의 정자로, 택지 개발로 위치가 이전되었으며, 양돈의 후손이 다시 지었고, 내부에 온돌방과 현판들이 걸려 있으며, 광산김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향사례를 지낸다. - 임실군의 문화유산 - 수운정
수운정은 조선 후기 김낙현이 건립한 정자로, 팔작지붕의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학문 연구 및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현재는 마을 사람들의 대화 공간으로 사용된다. - 임실군의 건축물 - 관촌역
관촌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1931년 개통된 철도역으로, 한국전쟁 중 소실 후 재건되었으나 2008년 여객, 2019년 화물 취급이 중단되어 현재는 운영되지 않으며, 섬식 승강장과 대피선을 갖추고 관촌공용버스터미널과 연계되어 있다. - 임실군의 건축물 - 임실역
임실역은 1931년 개업한 전라선 철도역으로, 한국전쟁으로 소실 후 재건축되었으며, 2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용산, 순천, 여수엑스포, 그리고 남도해양열차 방면으로 운행된다.
임실향교 대성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임실향교 대성전 |
한자 표기 | 任實鄕校 大成殿 |
지정 번호 | 문화재자료 26호 |
지정일 | 1984년 4월 1일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 |
문화재청 ID | 31,00260000,35 |
2. 역사
임실향교 대성전은 임실읍에서 순창으로 가는 국도에서 서쪽으로 약 300m 떨어진 향교부락에 있으며, 용요산 동남쪽 기슭의 봉황대와 3.1동산 사이에 있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처음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2. 1. 조선시대
1413년(태종 13)에 현재 위치로 이건되었다. 이후의 연혁은 문헌 자료가 없어 자세히 알 수 없으며, 주로 고종 이후의 기록만 확인할 수 있다. 1854년(철종 5) 김성근 현감에 의해 대성전이 크게 중수되었고, 1878년(고종 15)에 교궁이 수리되었다. 1883년(고종 20)에는 한기석 현감에 의해 서재가 크게 수리되었으며, 1885년(고종 22)에 동재가 중수되었다. 향교에 보관된 중수기에 따르면, 임실향교는 1894년(고종 31), 1887년(광무 11), 1916년, 1919년, 1928년, 1935년, 1941년 등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2. 2. 현대
1986년 서재와 명륜당을 보수하였고, 1988년에는 임실향교 대성전을 보수하고 명륜당 마루 공사와 번와(기와를 이는 작업)를 실시하였다.3. 구조
임실향교는 맨 뒤로부터 대성전, 내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 좌측에는 협문과 관리인 집이 있고, 외삼문 밖에는 홍살문과 문묘중수사적비, 임실향교주수사적비, 임실향교 모성계사적비 등 3기의 비석이 있다. 명륜당 옆에는 둘레 4m, 높이 25m의 수령 700년 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는데, 1982년 9월 20일 도나무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건물명 | 칸수 | 지붕 형식 | 비고 |
---|---|---|---|
대성전 | 정면 3칸, 측면 4칸 | 맞배지붕 | |
내삼문 | 정면 3칸, 측면 1칸 | 고루집 | |
명륜당 | 정면 3칸, 측면 3칸 | 맞배지붕 | |
동재 | 정면 4칸, 측면 1칸 | 맞배지붕 | |
서재 | 정면 5칸, 측면 2칸 | 맞배지붕 | |
외삼문 | 정면 3칸, 측면 1칸 | 맞배지붕 | |
관리인 집 | 맞배지붕 | 명륜당과 협문 사이 | |
기타 | 홍살문, 비석 3기, 은행나무 2그루(도나무) |
3. 1. 대성전
현재 향교에서 맨 뒤에 있는 대성전은 정면 3칸(11.20m), 측면 4칸(7.2m)의 맞배지붕 건물이다(24.5평).3. 2. 명륜당
임실향교의 명륜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형식으로 면적은 20.4평이다. 명륜당 앞에는 동재와 서재가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데, 동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형식으로 면적은 10.8평이고, 서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형식으로 면적은 25.4평이다. 명륜당 옆에는 둘레 4m, 높이25m, 수령 700년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으며, 1982년 9월 20일 도나무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3. 3. 동재와 서재
임실향교 명륜당을 사이에 두고 정면 4칸(10m), 측면 1칸(6.2m) 맞배지붕 형식의 동재(10.8평)와 정면 5칸 (14.8m), 측면 2칸 (6m)의 맞배지붕의 서재(25.4평)가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3. 4. 내삼문과 외삼문
임실향교의 내삼문은 정면 3칸(6.70m), 측면 1칸(2.40m)의 고루집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규모는 4.9평이다. 외삼문 또한 정면 3칸(6.2m), 측면 1칸(2.60m)의 맞배지붕 형식으로, 규모는 4.9평이다. 외삼문 밖에는 근래에 만든 홍살문이 세워져 있다.3. 5. 기타
현재 향교에는 정면 3칸(11.20m), 측면 4칸(7.2m)의 맞배지붕 대성전(24.5평)과 정면 3칸(6.70m), 측면 1칸(2.40m)의 고루집 형식의 내삼문(4.9평)이 있다. 그 앞에는 정면 3칸(11.40m), 측면 3칸(5.90m) 맞배지붕 형식의 명륜당(20.4평)이 있다. 명륜당을 사이에 두고 그 앞으로 정면 4칸(10.0m), 측면 1칸(6.20m) 맞배지붕 형식의 동재(10.8평), 정면 5칸 (14.8m), 측면 2칸 (6.0m) 맞배지붕의 서재(25.4평)가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이 앞에는 정면 3칸(6.2m), 측면 1칸(2.60m) 맞배지붕 형식인 외삼문(4.9평)이 있다. 그리고 명륜당과 좌측의 협문을 사이에 두고 맞배지붕 형식의 관리인 집(25평)이 있다. 외삼문 밖에는 근래에 만든 홍살문이 있다. 그 왼편에는 문묘중수사적비, 임실향교주수사적비, 임실향교 모성계사적비 등 3기의 비석이 있다. 명륜당 옆에는 둘레 4m, 높이 25m, 수령 700년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다. 이 은행나무는 1982년 9월 20일 도나무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