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주향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향교는 고려 공민왕 3년(1354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는 향교이다. 조선 시대에 여러 차례 이전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현재의 위치로 정착되었다. 1767년 전주 화재 당시 태조 어진을 봉안했으며, 동학농민운동 당시 농민군의 거점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1949년과 6.25 전쟁을 거치며 위패 훼손 등의 피해를 입었으나, 1952년 복원되었다. 1987년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거쳐 1992년 사적 제379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석전과 분향례를 거행하며,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향교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고려의 향교 - 경주향교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하며, 신라 국학 자리에 고려 시대 향학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 역할을 수행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으며, 경상북도 내 최대 규모의 전묘후학 배치 형태를 갖춘 향교로 대성전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향교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조선의 향교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향교 - 임실향교 대성전
    임실향교 대성전은 조선시대 유학 장려와 선현 제사를 위해 건립되었으며, 1413년 이건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현재 내삼문, 명륜당 등과 함께 임실향교 내에 위치하고, 특히 명륜당 옆 700년 된 은행나무 두 그루는 전라북도 도나무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향교 - 고창향교 대성전
    고창향교 대성전은 1513년 중건된 전라북도 고창군의 향교 건물로, 유교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조선 시대 지역 교육의 중심지이자 현재는 향토사 연구 및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공간이다.
전주향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주향교
한자 표기全州鄕校
종류향교
위치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번지 외
전주향교 대성전
대성전
상세 정보
지정 번호사적 제379호
지정일1992년 12월 23일
시대고려 시대
면적10,357.4m²
소유자(재)전라북도향교
문화재 정보
문화재청 ID13,03790000,35

2. 역사

전주향교는 고려 공민왕 3년(1354년)에 지어졌다고 전해진다. 조선 건국 이후 여러 차례 이전되었다.

1949년 동·서무에 안치되어 있던 위패 가운데 일부가 폄출되고, 남은 위패도 1950년 6.25 전쟁으로 훼손되는 등 수난을 겪었다.

2. 1. 건립과 이전

1354년(고려 공민왕 3년)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원래 위치는 전주시 풍남동이었으나, 1410년(조선 태종 10년) 태조의 어진(御眞)을 봉안하는 경기전(慶基殿)이 건립되면서 위치가 옮겨졌다. 1441년(세종 23년)에는 "글 읽는 소리와 회초리 치는 소리 등이 시끄러워 태조의 영령을 편안히 모실 수 없다"는 이유로 전주성 서쪽으로 6~7리 떨어진 황학대(黃鶴臺) 아래, 지금의 신흥중고등학교 부지로 이전되었다(《사가집》).

1603년(선조 36년)에는 읍성(邑城)과의 거리, 전주천을 건너야 하는 불편함, 그리고 당시 객사(客舍)를 기준으로 좌측에 문묘(文廟), 우측에 사직단(社稷壇)이 있도록 규정한 옛 제도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당시 관찰사였던 장만(張晩)의 건의에 따라 현재 위치로 다시 이전되었다.

2. 2. 조선 후기 ~ 근대

1767년(영조 43년) 전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경기전에 보관되어 있던 태조의 어진을 전주향교로 옮겨 봉안하였다(《영조실록》). 동학농민운동 당시에는 전주를 점령한 농민군이 농민들을 모으는 주요 거점으로 활용하기도 했다.[5] 1950년 6.25 전쟁 중에는 인민군에 의해 위패가 버려지고, 보관되어 있던 목판들이 불태워졌다. 향교 건물은 인민위원회 사무실 및 마초지로 사용되면서 훼손되었다.[5]

2. 3. 현대

1952년 전주 유생들이 위성계(衛聖契)를 조직해 성금을 거두어 향교를 수리하고 위패를 다시 제작했다.[5]

1987년 정부 지원으로 대성전, 동·서무를 해체 복원하고, 계성사, 명륜당, 동·서재, 일월문(日月門), 입덕문(入德門), 계성문, 중문 등을 중보수했다. 지경문(持敬門)이 철거된 자리에는 만화루(萬化樓)를 새로 짓고, 장판각(藏版閣)을 건립해 보존해오던 희귀서적의 인쇄 목판을 보관했다.[5]

1992년 12월 24일 사적 제379호로 지정되었다.[5]

봄·가을에 석전을 거행하고, 초하루·보름에는 분향례를 올리고 있다.[5]

3. 주요 건축물

전주향교에는 공자 등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 유생들이 학문을 배우고 토론하던 명륜당이 있다. 대성전 앞에는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는 동무와 서무가 있고, 향교의 정문인 일월문(日月門중국어)과 희귀 서적의 인쇄 목판을 보관하는 장판각이 있다.

3. 1. 대성전

전주향교의 중심 건물로,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3. 2. 명륜당

명륜당은 유생들이 모여 학문을 배우고 토론하던 강당으로, 전주향교의 중심 건물 중 하나이다.

3. 3. 동무와 서무

동무와 서무는 전주향교 대성전 앞 양쪽에 위치한 건물로,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다.

3. 4. 일월문

日月門중국어은 향교의 정문 역할을 하는 문이다.

3. 5. 장판각

장판각은 희귀 서적의 인쇄 목판을 보관하는 곳이다.

3. 6. 기타

4. 문화적 활용

전주향교는 영화,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되었다.

4. 1. 촬영지

4. 2.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Korea Tourism Org.: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http://www.visitkore[...] 2012-01-07
[2] 웹사이트 Article Title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A Photographic Survey http://www.orientala[...] 2012-01-07
[4] 웹사이트 Cyber Tour into Cultural Property http://www.ocp.go.kr[...] 2011-06-11
[5] 뉴스 동아일보 1992년 12월 25일자 21면 동아일보 1992-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