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여인간 (러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여인간은 19세기 러시아에서 나타난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 진보적인 사상을 가졌으나 사회에 기여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지식인, 특히 귀족 청년들을 지칭한다. 알렉산드르 1세 시대에 자유주의 사상이 확산되었으나, 데카브리스트의 난 이후 니콜라이 1세의 탄압으로 인해 유능한 젊은이들이 활동의 기회를 잃고 좌절하는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이반 투르게네프의 소설 《잉여 인간의 일기》를 통해 용어가 널리 알려졌으며, 그리보예도프, 푸시킨, 레르몬토프, 게르첸, 투르게네프, 곤차로프 등의 작품에서 잉여인간의 전형을 묘사하며 당시 사회상을 반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어 낱말 - 굴라크
    굴라크는 소련의 교정노동수용소 주임국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약자로, 1920년부터 1950년대 초까지 정치범 등을 수용하여 가혹한 노동과 열악한 환경으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소련의 강제 노역 시스템을 지칭한다.
  • 러시아어 낱말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러시아 소설 - 전쟁과 평화
    레오 톨스토이가 1805년부터 1820년까지의 러시아를 배경으로 나폴레옹 전쟁과 귀족 가문의 삶, 전쟁의 참상을 웅장하게 묘사하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결합하여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자유 의지와 필연성의 관계를 탐구하는 역사 소설이다.
  • 러시아 소설 - 안나 카레니나
    《안나 카레니나》는 1870년대 러시아 상류층 여성 안나 카레니나의 비극적인 삶과 지주 레빈의 행복한 가정을 대비하여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모순과 인간의 심리적 갈등을 탐구하는 톨스토이의 장편소설이다.
잉여인간 (러시아)
개요
유형문학적 전형 (러시아 문학)
특징사회 부적응, 고독, 무기력, 자기 연민
시대적 배경19세기 중반 러시아
주요 인물
알렉산드르 푸시킨예브게니 오네긴 (예브게니 오네긴)
미하일 레르몬토프페초린 (우리 시대의 영웅)
이반 투르게네프오브로모프 (오블로모프)
개념 및 특징
정의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된 지식인 계층의 인물
원인사회 구조적 모순, 개인의 무기력, 이상과 현실의 괴리
역할사회 비판, 인간 존재에 대한 고찰
일반적인 특징무기력하고 수동적인 성격
사회 참여에 대한 의지 부족
자기 연민과 우울에 빠져 있음
사랑과 우정에 서투름
고독과 소외감을 느낌
문학적 의의
러시아 문학19세기 러시아 문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
사회상 반영당시 러시아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냄
인간 유형 제시사회 부적응자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묘사
어원
러시아어Лишний человек (리시니 첼로베크)
참고 문헌
외부 링크

2. 잉여 인간의 등장 배경

알렉산드르 1세 시대에는 서유럽자유주의 사상이 귀족 계급을 중심으로 퍼져, 전제 정치농노제 개혁을 요구하는 풍조가 강해졌다. 그러나 1825년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실패로 끝나자, 니콜라이 1세의 가혹한 탄압이 시작되었다.[4] 그 결과, 유능한 젊은이들이 활동의 장을 빼앗기고,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울적해하며 살아가게 되었다.[5][6]

2. 1. 사회적 배경

알렉산드르 1세 시대에는 서유럽자유주의 사상이 귀족 계급을 중심으로 퍼져, 전제 정치농노제 개혁을 요구하는 풍조가 강해졌다. 그러나 1825년 정부 타도를 목표로 한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실패로 끝나자, 니콜라이 1세의 가혹한 탄압이 시작되었다.[4] 그 결과, 유능한 젊은이들이 활동의 장을 빼앗기고,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울적해하며 살아가게 되었다.[5][6]

뛰어난 자질을 지녔으나 사회를 위해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결투연애 유희 등 어리석은 일에 정력을 낭비하거나, 무기력하게 저택에 틀어박히는 귀족 계급 청년 지식인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진보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7]

2. 2. '잉여 인간' 용어의 등장

1850년 투르게네프의 소설 《The Diary of a Superfluous Man|잉여 인간의 일기영어》(러시아어 원제: Дневник лишнего человекаru)에서 이 '잉여 인간'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일기 형식의 1인칭 소설인데, 3월 22일 일기에서 작중 화자는 자신을 ''Лишний человекru''이라고 처음 칭하고, 이어지는 23일 일기에서 왜 자신이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서술한다. 투르게네프는 이 작품에서 ''Лишний человекru'' 외에 같은 의미를 가진 сверхштатный человекru이라는 단어도 사용했다.[8]

3. 잉여 인간을 다룬 문학 작품

그리보예도프의 Woe from Wit|지혜의 슬픔영어(1823년)에 등장하는 차츠키, 푸시킨예브게니 오네긴(1823-1830년)의 오네긴, 레르몬토프우리 시대의 영웅(1839-1840년)의 페초린, 게르첸의 Who is to Blame?|누가 죄인가영어(1841-1846년)의 벨토프, 투르게네프의 Rudin|루딘영어(1856년)의 루딘[9], 투르게네프의 Home of the Gentry|귀족의 둥지영어(1859년)의 라브레츠키, 투르게네프아버지와 아들(1862년)의 바자로프, 곤차로프오블로모프(1859년)의 오블로모프 등은 잉여인간의 계보에 속하는 인물로, 당시 러시아 사회 정세를 반영한다.[10][11]

4. 한국 사회와 잉여 인간

한국 사회에서도 급격한 사회 변화와 경쟁 속에서 좌절을 경험하는 청년 세대의 문제를 '잉여 인간'이라는 개념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청년 실업, 불안정한 고용, 과도한 경쟁 등은 현대 한국 사회의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의 무기력감과 좌절감을 넘어 사회 전체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Russian Literature Routledge
[2] 간행물 Superfluous man Britannica
[3] 서적 Exile: The Sense of Alienation in Modern Russian Letters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4] 문서
[5] 웹사이트 余計者 http://100.yahoo.co.[...] 2011-03-30
[6] 서적 集英社 世界文学大事典 5 集英社
[7] 문서
[8] 웹사이트 164.Лишний человек(余計者)とは何か https://schweigende-[...] 2022-09-08
[9] 문서 二葉亭四迷は1897年(明治30年)にこの作品を翻訳したとき、題名を『うき草』にしている。
[10] 문서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