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베르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로, 감옥에서 태어나 법과 질서를 중시하며 장 발장을 쫓는 경찰 감찰관이다. 그는 엄격한 법률주의자이자 완벽주의자로, 장 발장과의 갈등을 통해 자신의 신념에 혼란을 겪는다. 1832년 6월 봉기 당시 장 발장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제받지만, 발장의 선행과 자신의 세계관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센 강에 투신하여 자살한다. 자베르는 소설 출간 이후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으며, 2012년 영화 《레 미제라블》에서는 러셀 크로우가 자베르 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 미제라블의 등장인물 - 장 발장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의 주인공인 장 발장은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간 감옥살이를 한 전과자였으나, 미리엘 주교의 자비로 새로운 삶을 살기로 결심하고 마들렌이라는 가명으로 성공한 사업가가 되어 시장까지 오르지만 과거의 그림자와 갈등하며 코제트를 구원하고 헌신하는 인물로, 그의 삶은 당시 사회의 부조리와 인간의 구원, 사랑과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레 미제라블의 등장인물 - 마리우스 퐁메르시
마리우스 퐁메르시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인물로, 공화주의 혁명을 옹호하며 코제트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바리케이드 전투에 참여하며 다양한 각색 작품에 등장한다. - 1862년 창조된 가공인물 - 장 발장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의 주인공인 장 발장은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간 감옥살이를 한 전과자였으나, 미리엘 주교의 자비로 새로운 삶을 살기로 결심하고 마들렌이라는 가명으로 성공한 사업가가 되어 시장까지 오르지만 과거의 그림자와 갈등하며 코제트를 구원하고 헌신하는 인물로, 그의 삶은 당시 사회의 부조리와 인간의 구원, 사랑과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1862년 창조된 가공인물 - 마리우스 퐁메르시
마리우스 퐁메르시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인물로, 공화주의 혁명을 옹호하며 코제트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바리케이드 전투에 참여하며 다양한 각색 작품에 등장한다. - 가공의 자살한 사람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가공의 자살한 사람 - 스폰 (만화)
토드 맥팔레인이 창조한 이미지 코믹스의 만화 시리즈 스폰은 악마와 계약하여 헬스폰이 된 CIA 스파이 알 시몬스를 주인공으로 천국과 지옥의 전쟁 속에서 존재 의미를 찾는 안티히어로 이야기이며, 투기 붐을 타고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으로 확장되어 스폰 유니버스를 구축했다.
자베르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자베르 |
원어 이름 | Javert |
작품 | 레 미제라블 |
창작자 | 빅토르 위고 |
성별 | 남성 |
국적 | 프랑스 |
종교 | 로마 가톨릭 |
직업 | |
직업 | 교도관 (1815년) 경찰관 형사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
친척 | 알 수 없음 |
연기 | |
영화/TV 배우 | 장 툴루 샤를 바넬 찰스 로턴 로버트 뉴턴 앤서니 퍼킨스 제프리 러시 존 말코비치 데이비드 오옐로워 |
뮤지컬 배우 | 로저 알람 테렌스 만 필립 퀘스트 에단 프리먼 앤서니 크리벨로 놈 루이스 브래들리 제이든 러셀 크로우 얼 카펜터 할리 프레이저 마이클 볼 로버트 웨스텐버그 척 왜그너 로버트 쿠치올리 데이비드 버트 스튜어트 클라크 |
기타 정보 | |
사망일 | 1832년 6월 7일 |
사망 장소 | 프랑스 왕국 파리 센강 |
![]() |
2. 소설 속 자베르
자베르는 감옥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트럼프 점을 치는 여자였고, 아버지는 갤리선에서 중노동을 하는 죄수였다. 이러한 환경은 자베르에게 사회를 공격하거나 지키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을 심어주었다. 결국 자베르는 경찰관이 된다.[4]
빅토르 위고는 자베르가 "권위에 대한 존경"과 "반항에 대한 혐오"라는 두 가지 감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묘사했다. 자베르에게 "살인, 강도, 모든 범죄는 단지 반항의 형태일 뿐"이었다.[3] 그는 "국무총리부터 시골 경찰관까지 국가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람에게 맹목적이고 심오한 믿음"을 가졌다.[3] 그는 자신의 생각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을 어려워했는데, 이는 사고가 "일정량의 내적 반항"을 포함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4]
그는 법을 철저히 따르는 법률주의자였다. 그의 "도덕적 기반은 ... 엄격하게 법률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5] "서양 문학에서 가장 비극적인 법률주의자 중 한 명"이자 "완벽한 법률주의자"였다.[6],[7]
6월 봉기에서 장 발장을 만나면서 자베르는 큰 혼란을 겪는다. 장 발장은 그를 처음에는 살려주고, 나중에는 체포하지 않음으로써 자베르의 세계관을 무너뜨렸다. 이전까지 그는 "평생 동안 한 줄의 직선만 알고 있었다"면, 장 발장의 행동은 그에게 "두 개의 선"을 보여주었다. 이 두 선은 "똑같이 직선"이면서도 "모순"되는 것이었다. 법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것, 자신도 흠이 있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자신이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높은 차원의 힘(위고는 이를 신과 동일시한다)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은 자베르는 깊은 절망에 빠져 자살을 선택한다.[4]
자베르의 캐릭터는 경찰관이 된 범죄자이자 모험가인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에게서 영감을 받았다.[8] 위고는 발장의 캐릭터에도 비도크의 삶을 반영했다.[9] 소설에서 위고는 자베르를 "비도크 안의 대리석 고발자, 브루투스"라고 묘사한다.[10]
자베르는 장 발장이 죽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 발장은 죽은 척 위장하고 탈출한 것이었다. 1824년 초, 자베르는 코제트 납치 사건을 조사하던 중 테나르디에 부부를 찾아가지만, 그들은 경찰과의 연루를 꺼려 거짓 정보를 제공한다. 같은 해 3월, 자베르는 고르보 하숙집에서 장 발장을 발견하고 추격하지만, 발장은 코제트와 함께 수녀원의 담을 넘어 탈출한다.[1]
2. 1. 어린 시절
자베르는 감옥 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트럼프 점을 치는 여자였고, 아버지는 갤리선을 잡아끌던 도형수였다. 소설은 이 경험이 자베르가 사회를 공격하거나 지키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확신을 줬다고 밝히고 있다. 이 때문에 자베르는 경찰관이 된다.2. 2. 성격
위고는 자베르가 "권위에 대한 존경"과 "반항에 대한 혐오"라는 두 가지 "단순한" 감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썼다. 자베르에게 "살인, 강도, 모든 범죄는 단지 반항의 형태일 뿐"이었다.[3] 그는 또한 "국무총리부터 시골 경찰관까지 국가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람에게 맹목적이고 심오한 믿음"을 가졌다.[3] 성찰적 사고는 "그에게는 드문 일이며, 유난히 고통스럽다" 이는 사고가 불가피하게 "일정량의 내적 반항"을 포함하기 때문이었다.[4]그는 악덕이 없지만, 때때로 코담배를 한 꼬집 했다. 그의 삶은 "궁핍, 고립, 자기 부정, 정결함—어떠한 즐거움도 없는" 삶이었다.[4]
자베르는 법률주의자로 묘사된다. 그의 "도덕적 기반은 ... 엄격하게 법률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5] 그는 "서양 문학에서 가장 비극적인 법률주의자 중 한 명"이며[6] "완벽한 법률주의자"였다.[7]
감옥에서 태어난 자베르(그의 어머니는 점쟁이였고 그의 아버지는 감옥 갤리선에서 복무했다)는 "자신을 공격하는 자와 자신을 지키는 자라는 두 부류의 사람에게 문을 되돌릴 수 없도록 닫는" 사회에서 스스로를 배제된 존재로 여겼다. 그는 "자신이 속한 보헤미안 종족에 대한 억누를 수 없는 혐오"와 "정의, 질서 및 정직"이라는 개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법 집행관이 되었다. 그는 이 선택에 매우 헌신하여, 위고는 "그가 감옥에서 탈출한 자신의 아버지를 체포하고 가석방을 위반한 자신의 어머니를 신고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미덕에서 비롯된 그런 종류의 내적 만족감을 가지고 그렇게 했을 것이다."라고 썼다.[4]
6월 봉기 동안 장 발장과의 만남 이후, 그는 발장에게 처음으로 목숨을 구제받고, 나중에는 그의 체포를 막아주면서, 자베르는 이전의 세계관이 훼손되어 깊은 고통을 겪었다. 이전에 그는 "평생 동안 한 줄의 직선만 알고 있었다"면, 장 발장의 행동은 그에게 두 개의 선을 보게 했다. "두 개의 선이 똑같이 직선"이고 "모순"된다는 것이었다. 법이 무오류하지 않다는 것, 그 자신도 흠잡을 데 없지 않다는 것, 그리고 그가 알고 있는 것보다 우월한 힘(위고는 이를 신과 동일시한다)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는 데서 비롯된 깊은 혼란은 그를 자살에 이르게 할 정도의 절망에 빠뜨렸다.[4]
자베르의 캐릭터는 경찰관이 된 범죄자이자 모험가인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다(비도크는 필요에 의해 훔친 사람은 한 번도 체포한 적이 없다고 썼지만).[8] 위고는 발장의 캐릭터에도 비도크의 삶을 그렸다.[9] 소설에서 위고는 자베르를 "비도크 안의 대리석 고발자, 브루투스"라고 묘사한다.[10]
2. 3. 장 발장과의 관계
자베르는 수도에서 감찰관으로 임명된 후, 장 발장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지만, 이는 발장이 마지막 탈출 시 죽은 척 연기한 것이었다. 1824년 초, 자베르는 코제트 납치 사건을 조사하던 중 테나르디에 부부를 찾아가지만, 그들은 경찰과의 연루를 꺼려 거짓 정보를 제공한다. 같은 해 3월, 자베르는 "자선을 베푸는 거지"를 추적하여 고르보 하숙집에서 장 발장을 발견하고 추격하지만, 발장은 수녀원의 담을 넘어 코제트와 함께 탈출한다.[1]2. 3. 1. 팡틴 사건
자베르는 툴롱의 노역장에서 보조 간수로 근무할 당시 죄수 장 발장을 처음 보았다. 몇 년 후인 1823년, 장 발장은 마들렌이라는 이름으로 몽트뢰유쉬르메르라는 작은 마을의 시장이자 성공한 제조업자로 살고 있었다. 자베르는 1820년에 이 지역 경찰의 감찰관으로 부임했다. 자베르는 마들렌의 정체를 의심하던 중, 마들렌이 마차에 깔린 남자를 들어 올리는 엄청난 힘을 보고 그가 장 발장임을 확신하게 된다.마들렌은 거리의 불량배와 싸워 체포된 매춘부 팡틴을 석방하려 했으나, 자베르는 이를 무시했다. 자베르는 장 발장을 전과자로 고발하려 했지만, 파리 당국으로부터 샹마티외라는 사람이 장 발장으로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확신이 없었던 자베르는 아라스로 가서 샹마티외를 보고 그가 진짜 장 발장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한다. 그는 마들렌을 찾아가 자신을 의심한 것에 대해 "판관에게 가장 심각한 방식으로 불경을 저질렀다"며 경찰에서 해고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는 마들렌에게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은 명예로운 일입니다. 저는 제 의무를 다하지 못했습니다. 벌을 받아야 합니다. 쫓겨나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스스로를 강하게 비난하고 해고를 간청한다.
마들렌(장 발장)은 아라스 법정으로 가서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샹마티외를 구한다. 그는 몽트뢰유쉬르메르로 돌아오고, 자베르는 다음 날 아침 팡틴의 병상에서 그를 체포한다. 장 발장은 팡틴의 딸 코제트를 데려오기 위해 3일의 시간을 요청했지만, 자베르는 이를 거절한다. 장 발장은 도시 감옥에서 탈출하여 다시 체포된 후 갤리선으로 보내졌다가 몇 달 후 탈출하지만, 당국은 그가 익사했다고 생각한다.
2. 3. 2. 샹마티외 사건
1823년, 도망자 발장은 마들렌이라는 이름으로 몽트뢰유쉬르메르라는 작은 마을의 시장이자 성공한 제조업자로 활동하고 있었다. 자베르는 1820년에 이 지역 경찰의 감찰관으로 부임했다. 자베르는 마들렌의 정체를 의심하던 중, 마들렌이 마차 밑에 깔린 남자를 들어 올리는 놀라운 힘을 발휘하는 것을 보고 확신하게 된다. 또한 마들렌은 거리의 불량배와 싸워 체포된 매춘부 팡틴을 석방하려 했으나, 자베르는 이를 무시한다.[1] 자베르는 발장을 전과자로 고발하려 하지만, 파리 당국으로부터 샹마티외라는 자가 발장으로 체포되었고, 여러 전과자들이 그를 발장이라고 확인했다는 소식을 듣는다.[1]확신이 서지 않은 자베르는 아라스로 가서 샹마티외를 보고 그가 진짜 발장임을 확인한다. 그는 마들렌에게 돌아와 그를 의심한 것이 "판관에게 가장 심각한 불경"을 저지른 것이라며 경찰에서 해고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는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은 명예로운 일이지만, 그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저는 제 의무를 다하지 못했습니다. 벌을 받아야 합니다. 쫓겨나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만약 제가 스스로에게 엄격하지 않다면, 제가 행한 모든 정의는 불의가 될 것입니다"라고 스스로를 비난하며 해고를 간청한다.[1]
2. 3. 3. 코제트 구출 이후
자베르는 1824년 초, 양부모에게서 입양된 아이가 납치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아이가 몽페르메유에서 납치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발장은 그곳에 가려다 붙잡혔다), 그는 테나르디에 부부를 찾아간다. 하지만 테나르디에는 경찰과 엮이기를 꺼려하며, 자베르에게 그 소녀는 할아버지가 데려갔고, 그의 여권을 봤다고 말한다. 같은 해 3월, 자베르는 "자선을 베푸는 거지"라는 별명을 가진 남자에 대한 소식을 듣는다. 호기심이 생긴 그는 그 남자를 따라 고르보 하숙집으로 갔고, 거기서 장 발장을 알아본다. 발장이 코제트를 데리고 도망치려 하자, 자베르는 그들을 쫓아갔고, 그곳은 그에게 막다른 골목처럼 보였다. 발장은 수녀원의 돌담을 넘어 코제트를 밧줄로 끌어올려 체포를 피한다.[1]2. 3. 4. 6월 봉기
1832년 6월 봉기 동안, 혁명가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잠입 수사를 하던 자베르는 그들이 뤼 드 라 샹브레리에 세운 바리케이드에 합류한다. 거리의 부랑아 가브로쉬는 그를 경찰관으로 알아보고 고발한다.[1] 그들은 그에게서 두 조각의 유리 사이에 붙여진 작은 둥근 카드를 발견했는데, 한쪽에는 프랑스의 문장이 새겨져 있고, "감독과 경계"라는 모토가 적혀 있었고, 다른 쪽에는 "자베르, 경찰 감찰관, 52세"라는 메모와 당시 경찰청장 M. 기스케의 서명이 있었다.[1] 혁명가들은 그를 투옥한다.[1]발장이 양딸의 연인인 마리우스를 찾기 위해 바리케이드에 나타났을 때, 그와 자베르는 서로를 알아본다.[1]
발장은 바리케이드를 군인과 국민 경비병으로부터 보호한 대가로 자베르를 처형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한다.[1] 앙졸라는 이를 수락하고, 발장은 자베르를 바리케이드에서 떼어내 골목길로 데려간다.[1] 그곳에서 발장은 자베르를 죽이는 대신 그의 포박을 풀고 도망쳐 스스로를 구하라고 간청한다.[1] 그는 또한 봉기가 일어날 경우를 대비해 자베르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려준다.[1] 그 후 발장은 허공에 총을 쏘고 바리케이드로 돌아와 경찰관이 죽었다고 모두에게 말한다.[1]
2. 3. 5. 자베르의 죽음
1832년 6월 봉기 당시, 혁명가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잠입했던 자베르는 뤼 드 라 샹브레리에 세워진 바리케이드에 합류한다. 거리의 아이 가브로쉬는 그가 경찰임을 알아보고 알린다. 혁명가들은 자베르에게서 프랑스 문장과 "감독과 경계"라는 문구가 새겨진 카드와 "자베르, 경찰 감찰관, 52세"라는 메모, 그리고 당시 경찰청장 M. 기스케의 서명이 있는 카드를 발견하고 그를 가둔다.[1]발장이 양딸의 연인인 마리우스를 찾으러 바리케이드에 나타났을 때, 그와 자베르는 서로를 알아본다.[1]
발장은 바리케이드를 지켜낸 대가로 자베르를 처형하게 해달라고 요청한다. 반란 지도자인 앙졸라는 이를 허락하고, 발장은 자베르를 골목길로 데려간다. 거기서 발장은 자베르를 죽이는 대신 풀어주고 도망치라고 한다. 그는 혹시 모를 경우를 대비해 자베르에게 자신의 주소도 알려준다. 발장은 허공에 총을 쏘고 돌아와 모두에게 경찰관이 죽었다고 말한다.[1]
군대가 바리케이드를 공격하자, 발장은 중상을 입은 마리우스를 데리고 하수구로 피신한다. 그는 테나르디에를 만나는데, 테나르디에는 발장이 부잣집 젊은이를 죽인 강도라고 생각하고 돈을 요구한다. 발장은 돈을 주고, 테나르디에는 훔친 열쇠로 하수구 뚜껑을 열어준다.[1]
하수구에서 나온 발장은 자베르와 마주친다. 발장은 항복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하지만, 다친 마리우스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그들은 발장의 집으로 가고, 자베르는 발장이 내려올 때까지 기다리겠다고 한다. 그러나 발장이 창밖을 보았을 때, 자베르는 이미 사라진 후였다.[1]
자베르는 혼란스러운 감정으로 거리를 헤맨다. 그는 발장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와 바리케이드에서의 친절한 행동 사이에서 갈등한다. 자베르는 발장을 풀어주거나 체포하는 것, 어느 쪽도 정당화할 수 없었다. 그는 "부도덕하게" 행동하지 않고는 "합법적으로" 행동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자베르는 이 딜레마의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발장이 범죄자이면서 동시에 선한 사람이라는 사실에 경악한다. 이 문제는 그의 윤리 체계에 결함이 있음을 보여주고, 더 높은 도덕 체계가 존재함을 암시한다. 그는 자신에게 유일한 해결책은 죽음이라고 느끼고, 콩시에르주리의 과실에 대한 편지를 경찰청장에게 남긴 후 센 강에 몸을 던진다.[1]
3. 각색
자베르는 1862년 원작 소설 『레 미제라블』 출간 이후, 도서, 영화[11], 뮤지컬, 연극, 게임, 웹 코믹스 등 소설을 기반으로 한 수많은 미디어 매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등장했다.
3. 1. 뮤지컬에서의 자베르

동명의 뮤지컬에서 자베르는 중심 인물이다. 그의 캐릭터와 줄거리에서의 역할은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주요 적대자로 묘사된다. 자베르의 배역은 베이스 바리톤 또는 바리톤으로 간주된다. 그는 19세기 중반 프랑스 경찰관처럼 보이도록 디자인된 표준 의상을 착용한다.
오리지널 런던 프로덕션에서는 로저 알람이, 레 미제라블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에서는 테렌스 만이 자베르 역을 연기했다. 에단 프리먼은 자베르의 내면의 고통과 발장과의 더욱 감정적인 연결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하다. 필립 퀘스트는 1995년 10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브로드웨이 배우 노름 루이스는 2010년 25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이 역할을 맡았다. 러셀 크로우는 2012년 영화 ''레 미제라블''에서 자베르를 연기했다.
이 외에도 브래들리 제이든, 마이클 볼, 얼 카펜터, 클라이브 카터, 로버트 쿠치올리, 앤서니 크리벨로, 헤들리 프레이저, 슐러 헨슬리, 브라이언 스토크스 미첼, 제프리 러시, 윌 스웬슨, 헤이든 티, 데이비드 턱스턴, 척 와그너, 로버트 웨스텐버그 등이 자베르 역을 연기했다.[12]
4. 대중문화 속 자베르
2024년 스티븐 킹의 단편 소설 ''대니 코플린의 악몽''에 등장하는 프랭클린 잘버트 경감은 자베르를 모델로 하여 이름이 지어지고 영감을 받았다.[13][14][15]
참조
[1]
웹사이트
Les Misérables/Tome 4/Livre 12 - Wikisource
https://fr.wikisourc[...]
2016-12-31
[2]
웹사이트
Les Misérables/Tome 5/Livre 4 - Wikisource
https://fr.wikisourc[...]
2016-12-31
[3]
웹사이트
Les Misérables
https://www.gutenber[...]
2024-04-29
[4]
서적
Les Misérables
Signet Classics
2013
[5]
서적
Worl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oodwill Trading Co., Inc.
2012-03-11
[6]
서적
Faith Without Illusions: Following Jesus as a Cynic-Sain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2-03-11
[7]
서적
Simple Faith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Inc.
2012-03-11
[8]
문서
Mémoires
[9]
문서
Vidocq, Rogue Cop
[10]
문서
Les Miserables
[11]
웹사이트
Javert (Character)
Internet Movie Database
2018-06-30
[12]
서적
The Complete Book of Les Misérables
Arcade
[13]
뉴스
Review: Stephen King knows 'You Like It Darker' and obliges with sensational new tale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24-05-21
[14]
웹사이트
Stephen King sort un nouveau recueil de nouvelles avec "You Like It Darker"
https://www.rtbf.be/[...]
2024-06-04
[15]
웹사이트
Bev Vincent explores You Like it Darker by Stephen King
https://www.cemetery[...]
202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