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라클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영웅으로,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뛰어난 힘과 용맹함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헤라의 질투로 인해 불행한 삶을 살았다. 헤라클레스는 광기에 휩싸여 자신의 아이들을 죽인 죄로 에우리스테우스의 명령에 따라 12가지 고된 과업을 수행했다. 12가지 과업을 완수한 후에도 그는 다양한 모험을 겪으며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헤라클레스는 죽음 이후 신이 되어 올림포스에 합류했으며, 그리스 로마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영웅,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그의 이야기는 예술,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을 주었다. 헤라클레스는 여러 여성들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헤라클레이다이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힘의 신 - 네프티스
네프티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집의 여주인" 또는 "사원의 여주인"으로 불리는 여신으로, 이시스의 자매이자 세트의 아내이며, 죽음, 장례 의식, 미라, 신 오시리스를 보호하고 아누비스의 어머니로 여겨지며 파라오 숭배 의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영웅의 신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 영웅의 신 - 몬수
몬수는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전쟁의 신으로, 전쟁에서의 용맹함과 왕권을 상징하며 매 머리나 황소 머리를 한 남성으로 묘사된다. - 그리스 신화의 반신 - 카드모스
카드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페니키아의 왕자이자 테베의 건설자로,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했으며, 용을 죽이고 용의 이빨을 심어 도시를 건설하고 하르모니아와 결혼했으나 후손에게 불행이 닥쳤으며, 말년에는 용으로 변하였다. - 그리스 신화의 반신 - 칼라이스와 제테스
칼라이스와 제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보레아스의 아들들로, 섬세한 머리카락과 비행 능력을 지녔으며 아르고 원정대에서 활약했지만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당했다거나 하르피아이를 쫓다 죽었다는 등 다양한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헤라클레스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 그리스 신화 |
로마자 표기 | Heracles 헤라클레스 |
다른 이름 | 알케이데스(Ἀλκείδης, Alkeidēs) 알카이오스(Ἀλκαῖος, Alkaios) |
종류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거주지 | 테바이(생전) 올림포스 산(사후) |
상징 | 몽둥이 네메아 사자 가죽 |
담당 | 힘과 영웅의 신, 인류의 신성한 보호자 및 김나지움의 수호신 |
배우자 | 메가라 옴팔레 데이아네이라 헤베 |
부모 | 제우스(생부), 알크메네(생모) |
형제자매 | 이복 형제자매: 아폴론, 아르테미스, 아테나, 디오니소스, 헬레네, 페르세우스 외 다수 동복 형제: 이피클레스, 라오노메 |
자녀 | 알렉시아레스와 아니케투스 텔레포스 힐로스 틀레폴레모스 |
로마 신화 동등 신 | 헤라클레스 |
가나안 신화 동등 신 | 멜카르트 |
일본어 표기 | ヘーラクレース |
그리스어 표기 | Ηρακλής |
신화적 배경 | |
출생지 | 그리스, 보이오티아, 테바이 |
사망 장소 | 그리스, 포키스, 오에타 산 |
숭배 장소 | 그리스 |
가족 관계 | |
배우자와의 자녀 | 메가라와: 테리마코스, 크레온티아데스, 데이코온 옴팔레와: 아겔라오스, 라모스, 라오메돈 데이아네이라와: 힐로스, 글레노스, 크테시포스, 오네이테스, 마카리아 헤베와: 알렉시아레스와 아니케투스 아우게와: 텔레포스 아스티오케와: 틀레폴레모스 |
무기 및 도구 | |
무기 | 몽둥이 히드라의 독이 담긴 화살과 활 |
기타 정보 | |
인도 동등신 | 크리슈나 |
켈트 동등신 | 쿠 훌린 |
불교 동등신 | 바즈라파니 |
바가바트교 동등신 | 바가바트 |
메소포타미아 동등신 | 길가메시 |
2. 생애
신화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미케네 왕 엘렉트리온의 딸 알크메네의 아들로 전해진다. 그의 실존 여부는 불명확하나, 기원전 1400년경 미케네 왕국에는 후일 헤라클레스의 모델이 된 반전설적인 실존 인물이 존재하였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알크메네와 동침하여 얻은 아들이다. 제우스는 알크메네의 남편 암피트리온이 전쟁에 나가 집을 비운 틈을 타서 그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알크메네를 속였다. 제우스는 밤의 길이를 늘려 보통 밤보다 3배나 긴 밤을 알크메네와 보냈고, 알크메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한 제우스로부터 수태하게 되었다. 진짜 남편 암피트리온이 돌아와 알크메네와 잠자리를 같이 하자 쌍둥이를 임신했는데, 제우스와 암피트리온으로부터 각각 헤라클레스와 이피클레스 두 아들을 수태하게 되었다.
암피트리온이 귀환했을 때 알크메네는 남편을 반기지 않았다고 한다. 암피트리온은 아내의 간통을 의심하여 알크메네를 화형에 처하려 했으나, 제우스는 비를 내려 알크메네를 구하였다. 암피트리온은 테베의 예언자 테이레시아스를 찾아갔고, 테이레시아스는 제우스가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하여 3일 밤을 알크메네와 보냈음을 알려주었다.
헤라클레스가 태어난 날, 제우스는 ‘오늘 처음 태어나는 페르세우스의 자손이 그리스의 지배자가 될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헤라는 남편 제우스와 다른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질투하여 에우리스테우스를 7개월 만에 먼저 태어나게 하여 헤라클레스가 그를 섬기도록 하였다.[107] 알크메네는 테베 출신 하녀 갈란티아스의 도움으로 헤라클레스를 출산하였다. 헤라클레스는 자신을 도와준 갈란티아스의 사당을 마련했고, 헤라클레스에게 제사를 지내기 전에는 갈란티아스에게 먼저 작은 제물을 바쳤다.
헤라는 헤라클레스의 출산을 방해하기 위해 에일레이테이아와 아르테미스를 보냈고, 알크메네는 일주일 넘게 산통을 겪었으나 출산할 수 없었다.[108] 갈란티아스는 족제비를 풀어 에일레이테이아와 아르테미스를 놀라게 하였고, 분노한 에일레이테이아와 아르테미스는 갈란티아스를 족제비로 모습을 바꾸었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 따르면 헤라의 박해를 피해 알크메네는 헤라클레스의 본이름 대신 선조 알카이오스의 이름을 따서 알카이데스라 불렀다고 한다.
2. 1. 탄생과 유년기
제우스와 미케네 왕 엘렉트리온의 딸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헤라클레스이다. 제우스는 알크메네의 남편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하여 그녀와 하룻밤을 보냈고, 알크메네는 헤라클레스와 이피클레스 쌍둥이를 임신했다.[107]헤라는 남편 제우스와 다른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질투하여, 출산의 여신인 에일레이테이아와 아르테미스를 보내 헤라클레스의 탄생을 지연시켰다.[108] 또한 갓난아기 헤라클레스를 죽이기 위해 독사 두 마리를 보냈지만,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뱀을 제압하며 비범한 힘을 드러냈다. 암피트리온 내외는 이 사건으로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가 각각 누구의 아들인지 알게 되었다.

제우스는 헤라클레스에게 불멸의 힘을 주기 위해 잠든 헤라의 젖을 물렸는데, 이 과정에서 뿜어져 나온 젖이 은하수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2. 2. 성장과 광기
헤라클레스는 켄타우로스 현자 케이론 등 여러 스승에게 교육을 받았다. 음악 교사 리누스에게 잘못을 지적받자 화가 나 리라로 그를 때려 죽였다.[6] 18세가 되던 해, '쾌락'과 '미덕' 중 미덕을 선택하여 고난을 겪지만 불멸의 삶을 누리는 길을 택했다.
기원전 500년경
테스피오스 왕의 부탁으로 사자를 퇴치하고, 테베를 도와 에르기노스 왕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테베 왕 크레온은 헤라클레스를 자신의 딸 메가라와 결혼시켰고, 둘 사이에는 세 명의 아이가 있었다.[6]
그러나 헤라는 에우리스테우스를 섬기는 것을 거부한 헤라클레스를 미치게 하였고, 헤라클레스는 자신의 아이들과 메가라를 죽였다.[6] 이피클레스의 첫 부인과 아들들도 살해되었고, 이올라오스만이 목숨을 구했다. 아테나 여신 (혹은 테세우스)가 던진 돌에 의해 제지되기 전까지 암피트리온까지 죽이려 하였다. 다른 설에 따르면 암피트리온은 에르키노스와의 전쟁 때 전사했다고 한다.
정신이 돌아온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의 만류로 자살을 멈추고, 델포이로 가 정화 의식을 했다. 이후 델포이 신탁에 따라 티린스 왕 에우리스테우스의 신하가 되어 12년 동안 그가 시키는 일을 하게 되었다.
3. 헤라클레스의 12업
헤라가 내린 광기로 자신의 아이들을 죽인 헤라클레스는 죄값을 치르기 위해 에우리스테우스 밑에서 10개의 노역을 하게 되었다. 만약 그가 성공한다면 자신의 죄를 씻고 불멸자가 될 자격이 주어졌다. 다른 설에는 10개의 노역을 모두 끝냈지만 에우리스테우스는 아이게우스의 외양간을 보상을 받고 청소한 것, 레르나의 히드라를 퇴치할 때 사촌 이올라오스의 도움을 받은 것을 들어서 2개의 노역(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 따오기, 케르베로스 잡아오기)을 더 시켰다. 이로써 헤라클레스가 했던 노역의 개수는 12개로 늘어났다.[5]
헤라클레스는 암피트리온으로부터 전차 조작을, 아우토리코스로부터 레슬링을, 에우뤼토스로부터 궁술을, 카스토르로부터 무기 사용법을, 리노스로부터 수금 연주를 배웠다. 그러나 리노스에게 맞자 헤라클레스는 격분하여 리노스를 수금으로 때려 죽였다. 켄타우로스족의 케이론에게 무술을 배워 강하고 용맹한 무사가 되었다. 키타이론 산의 사자를 처치하고, 이후 사자의 머리와 가죽을 투구와 갑옷처럼 착용하고 싸우게 된다.[5]
헤라클레스는 의붓아버지 암피트리온이 속한 테베를 돕기 위해 오르코메노스의 군대와 싸워 이를 물리쳤다. 크레온 왕은 딸 메가라를 아내로 헤라클레스에게 주었고, 두 사람 사이에는 세 명의 아이가 태어났다. 그러나 헤라가 헤라클레스에게 광기를 불어넣어, 헤라클레스는 자신의 아이들과 이피클레스의 아이들을 불에 던져 죽였다. 정신을 차린 헤라클레스는 죄를 갚기 위해 델포이로 가서 아폴론의 신탁을 구했다. 신탁은 "뮈케나이 왕 에우리스테우스를 섬기고, 10가지 과업을 완수하라"는 것이었다. 헤라클레스는 이에 따랐고, 원래 자신이 되었어야 할 뮈케나이 왕을 섬기게 되었다. "헤라클레스의 선택"이라고 하면, 고난의 길을 스스로 택하는 것을 의미한다.[5]
3. 1. 12가지 과업

헤라클레스는 헤라 여신이 내린 광기로 인해 자신의 자식들을 죽이는 죄를 저질렀다. 죄값을 치르기 위해 에우리스테우스 왕 밑에서 10가지 과업을 수행해야 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헤라클레스가 이올라오스의 도움을 받아 히드라를 퇴치하고, 아우게이아스의 외양간을 청소한 대가로 보상을 받은 것을 문제 삼아 2가지 과업(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 케르베로스 생포)을 추가했다. 결국 헤라클레스는 총 12가지 과업을 완수해야 했다.
12가지 과업은 다음과 같다.
순서 | 과업 | 내용 |
---|---|---|
1 | 네메아의 사자 퇴치 | 칼이나 창이 통하지 않는 네메아의 사자를 맨손으로 제압하고, 그 가죽을 갑옷으로 사용했다.[5] |
2 | 레르네의 히드라 퇴치 | 머리를 잘라도 다시 살아나는 히드라를 조카 이올라오스의 도움을 받아 불로 지져 퇴치하고, 그 독을 화살에 발라 사용했다. |
3 | 케리네이아의 암사슴 생포 |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바쳐진 황금 뿔과 청동 발굽을 가진 암사슴을 1년 동안 추격하여 생포했다. |
4 | 에리만토스의 멧돼지 생포 | 에리만토스 산에 사는 거대한 멧돼지를 생포했다. |
5 | 아우게이아스의 외양간 청소 | 30년 동안 청소되지 않은 아우게이아스 왕의 외양간을 알페이오스 강과 페네이오스 강, 두 강의 물줄기를 돌려 하루 만에 청소했다. |
6 | 스팀팔로스의 새 퇴치 | 청동 부리와 날개를 가진 스팀팔로스의 새들을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놋쇠 방울 소리로 쫓아내고 활로 쏘아 죽였다. |
7 | 크레타의 황소 생포 | 포세이돈이 미노스 왕에게 보낸 크레타의 황소를 생포했다. |
8 | 디오메데스의 식인 암말 생포 | 사람을 잡아먹는 디오메데스 왕의 암말들을 생포했다. |
9 | 히폴리테의 허리띠 획득 |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의 허리띠를 얻어왔다. |
10 | 게리온의 소떼 탈취 | 세 개의 몸을 가진 괴물 게리온이 지키는 소 떼를 빼앗아 왔다. |
11 | 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 획득 | 서쪽 정원에 사는 헤스페리데스 자매의 황금 사과를 가져왔다. |
12 | 케르베로스 생포 | 저승을 지키는 머리 셋 달린 개 케르베로스를 생포하여 지상으로 데려왔다. |
4. 다양한 모험
헤라클레스는 12가지 과업 외에도 수많은 모험을 겪었다.
- 헤라클레스의 선택: 리누스를 리라로 죽인 후, 헤라클레스는 양부 암피트리온에 의해 산에서 소를 치도록 보내졌다. 그는 쾌락적이고 쉬운 삶 또는 고되지만 영광스러운 삶을 제안하는 두 가지 우화적 인물인 악덕과 미덕을 만났고, 고심 끝에 미덕을 택하였다.
- 테스피오스 왕의 부탁으로 사자를 퇴치하고, 그 보상으로 50명의 딸을 하룻밤 사이에 임신시켰다.
- 테베를 에르기노스 왕으로부터 구하고, 크레온 왕의 딸 메가라와 결혼했다.
- 아마존 여왕 히폴뤼테의 허리띠를 얻어왔다.
- 괴물 게리온의 소떼를 획득했다.
- 베브릭스인을 물리치고 그들의 땅을 뮈시아의 왕자 뤼코스에게 주었다.
- 강도 테르메루스를 죽였다.
- 오르메니움의 왕 아뮌토르와 아라비아의 왕 에마티온을 죽였다.
- 부시리스 왕과 그의 추종자들을 죽였다.
- 리튀르세스를 죽였다.
- 피로스에서 페리클뤼메누스를 죽였다.
- 실레우스를 죽였다.
- 레프레우스와 경쟁했고 결국 그를 죽였다.
- 타렌툼 도시를 건설했다.
- 시칠리아의 유명한 권투선수 에뤼크스를 시합에서 죽였다.
-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이었다.[4]
- 알라스토르와 그의 형제들을 죽였다.
- 힙포코온과 그의 아들들을 죽였다.
- 아레스의 아들 퀴크누스를 죽였다.
- 아테나의 도움으로 아레스를 물리쳤다.
- 거인 알퀴오네우스와 포르퓌리온을 죽였다.
- 카쿠스와 싸워 죽였다.[44][45]
- 시카니 사람들과 싸워 레우카스피스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46]
- 스퀼라를 만나 그녀를 죽였다.
- 디오니소스에게 음주 경쟁을 신청하여 졌고, 그 결과 한동안 티아수스에 합류하게 되었다.
-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에 등장한다.
- 스키타이아의 조상 영웅으로 등장한다.
- 포티오스가 프톨레마이오스 헤파이스티온에게 귀속시킨 ''신역사''의 5권에서는 헤라클레스가 네메아 사자의 가죽이 아니라 헤라클레스가 일대일 결투를 신청한 어떤 사자 거인의 가죽을 입었다고 언급한다.[43]
- 리비아에서 안타이오스와 대결을 벌였다. 안타이오스는 포세이돈과 가이아의 아들로, 땅에 닿아 있을 때 무적의 힘을 얻는 거인이었다.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를 들어 올려 공중에서 목 졸라 죽였다.[41][42]

- 아드메토스의 아내 알케스티스가 그의 대신 죽기로 한 날, 헤라클레스는 아드메토스의 집을 방문했다. 헤라클레스는 알케스티스의 무덤 옆에 숨어 그녀를 데리러 온 타나토스를 놀라게 하고, 그를 꽉 잡아 죽음을 설득하여 알케스티스를 남편에게 돌려보낼 수 있었다.
- 헤라클레스는 칼리돈 왕 오이네우스의 딸 데이아네이라에게 구혼했는데, 아켈로스 역시 그녀에게 구혼했다. 두 남자는 격렬하게 싸웠지만, 결국 헤라클레스가 승리하여 데이아네이라와 결혼했다.
- 광기에 휩싸여 친구 이피토스를 죽인 헤라클레스는 병을 얻었다. 델포이에서 아폴론과 싸웠고, 제우스가 번개를 떨어뜨려 싸움을 중재했다.
- 이집트에서는 부시리스 왕이 외국인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다. 헤라클레스는 이집트인들을 모두 죽이고 이집트를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다.
- 트로이를 방문한 헤라클레스는 바다 괴물에게 고통받는 라오메돈 왕을 만났다. 헤라클레스는 괴물을 처치했지만, 라오메돈이 약속을 어기자 훗날 복수를 다짐하고 트로이를 떠났다.
- 엘리스 왕 아우게이아스에게 보수를 받지 못한 헤라클레스는 엘리스를 공격했다. 헤라클레스는 올림피아에 제우스 신전을 짓고 고대 올림픽의 기원이 된 경기 대회를 열었다.
게리온 관련 추가 모험게뤼온이 기르는 붉은 소를 찾아 나선 헤라클레스는, 지브롤터 해협을 지나면서 해협 양쪽에 「헤라클레스의 기둥」을 남겼다.[104] 높은 산맥을 때려 부수어 대륙이었던 곳에 해협을 만들고, 부서진 산맥 양쪽을 헤라클레스의 기둥으로 삼았다는 이야기도 있다.[104]
4. 1. 프로메테우스 구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와 아이스킬로스의 《사슬에서 풀린 프로메테우스》에서는 헤라클레스가 프로메테우스에게 고통을 주던 독수리를 활로 쏘아 죽였다고 전한다.[34] 아르고 호의 모험에서 프로메테우스가 코카서스 산에 묶여 독수리에게 고통받는 것을 본 헤라클레스는 훗날 프로메테우스를 해방시켜 주겠다고 다짐했고, 3만 년 동안 묶여 있던 프로메테우스를 고통에서 해방시켰다. 헤라클레스는 타이탄을 고통과 속박에서 해방시켜 주었고, 프로메테우스는 그 보답으로 그의 앞날을 예언해 주었다.[34]큰 멧돼지를 생포하는 과정에서 헤라클레스는 켄타우로스족의 포로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포로스가 맡고 있던 켄타우로스족 공유의 술을 헤라클레스가 마신 일로 인해 켄타우로스족과 싸움이 벌어졌다. 그 싸움에서 실수로 무술 스승인 케이론에게 히드라의 독화살을 쏘았다. 케이론은 불멸의 힘을 받았지만, 독의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불멸의 힘을 프로메테우스에게 양도하여 죽음을 택했다. 이때 케이론의 불멸의 힘을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헤라클레스가 카우카소스 산에 묶여 있던 프로메테우스를 해방시켰다고 한다. 이후 케이론의 죽음을 애석하게 여긴 제우스는 그를 궁수자리로 만들었다.
4. 2. 옴팔레의 노예 생활
오이칼리아의 공주 이올레를 사랑하게 된 헤라클레스는 에우리토스 왕이 연 양궁 대회에서 승리했지만, 왕은 약속을 어기고 딸을 주지 않았다. 헤라클레스 편을 든 왕자 이피토스를 제외한 에우리토스와 그의 아들들을 모두 죽이고 이올레를 유괴했다. 그러나 헤라는 헤라클레스를 미치게 하여 이피토스를 성벽 너머로 던져 죽게 하였다.[4] 헤라클레스는 친구를 죽인 죄로 리디아의 여왕 옴팔레의 노예가 되어 3년 동안 속죄해야 했다.[4]옴팔레는 헤라클레스에게 여자 옷을 입고 베를 짜는 일을 시켰고, 자신은 헤라클레스의 사자 가죽과 곤봉을 들고 다녔다.[6] 옴팔레는 헤라클레스를 말처럼 부리며 등에 타고 다니기도 했다.[6] 헤라클레스는 불평 없이 옴팔레의 명령에 따랐고, 리디아에 출몰하는 도적들을 소탕하는 등 공을 세웠다.[6] 옴팔레는 헤라클레스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여러 자식을 낳았으며, 그를 노예 신분에서 해방시켜 주었다.[6]
4. 3. 트로이 원정
포세이돈이 바다 괴물을 보내 트로이를 공격한 사건은 일리아스와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에 언급된다. 트로이 왕 라오메돈은 딸 헤시오네를 희생시켜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풀려 했다. 이때 헤라클레스가 텔라몬, 오이클레스와 함께 트로이에 도착, 가니메데스 유괴에 대한 보상으로 제우스에게서 받은 말을 대가로 괴물을 퇴치하겠다고 제안한다. 라오메돈이 동의하자 헤라클레스는 괴물을 죽였으나, 라오메돈은 약속을 어겼다. 이에 헤라클레스는 원정이 끝난 후 지지자들과 함께 트로이를 공격, 약탈하고 포다르케스를 제외한 라오메돈의 아들들을 모두 죽였다. 포다르케스는 누이 헤시오네가 헤라클레스에게 황금 베일을 주며 간청하여 살아남아 프리아모스로 이름을 바꾼다. 텔라몬은 헤시오네를 전리품으로 얻어 아들 테우크로스를 낳았다.[37]4. 4. 기간토마키아 참전
가이아는 제우스를 비롯한 올림포스의 신들로부터 우주의 지배권을 빼앗기 위해, 기가스라는 산보다도 거대한 괴력의 거인들을 보내 기간토마키아라 불리는 대전쟁을 일으켰다. 기가스들은 신들에게는 죽지 않는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제우스는 반신반인인 헤라클레스를 올림포스 측으로 참전시켰다.기가스들은 모든 지형을 갈라 헤치고 돌진하며, 거대한 바위와 산맥, 섬을 던져 공격했다. 신들도 맞서 싸웠고, 전투의 충격으로 천지는 흔들리고, 전 우주가 진동했다.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지만, 신들이 우세하여 기가스들은 속속 패배했다. 약해진 기가스들을 헤라클레스의 독화살이 덮쳤고, 헤라클레스에게 최후의 일격을 맞은 기가스들은 죽었다. 파레이네의 땅에 닿고 있는 한 무적의 힘을 얻는 최강의 거인도 있었지만, 헤라클레스의 압도적인 괴력에 의해 그 땅에서 떼어내어져 그의 강력한 팔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헤라클레스의 활약도 있었기에, 기간토마키아는 신들의 압승으로 끝났다.
4. 5. 기타 모험
헤라클레스는 리비아에서 안타이오스와 대결을 벌였다. 안타이오스는 포세이돈과 가이아의 아들로, 땅에 닿아 있을 때 무적의 힘을 얻는 거인이었다. 그는 지나가는 여행자들을 죽여 그 해골로 아버지 포세이돈의 신전을 장식했다.[41][42]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를 여러 번 쓰러뜨렸지만, 땅에 닿을 때마다 힘이 솟아나는 안타이오스에게 고전했다. 결국 헤라클레스는 그의 약점을 간파하고 안타이오스를 들어 올려 공중에서 목 졸라 죽였다.[41][42]페라이의 왕 아드메토스 와 그의 아내 알케스티스 이야기도 전해진다. 아드메토스가 죽을 위기에 처하자, 알케스티스는 남편 대신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헤라클레스는 이 소식을 듣고 알케스티스를 구하기 위해 저승으로 향했다. 그는 타나토스를 힘으로 제압하고 알케스티스를 되살려 아드메토스에게 돌려보냈다.
헤라클레스는 칼리돈 왕 오이네우스의 딸 데이아네이라에게 구혼했는데, 강의 신 아켈로스 역시 그녀에게 구혼했다. 두 남자는 데이아네이라를 차지하기 위해 격렬하게 싸웠다. 아켈로스는 여러 모습으로 변신하며 헤라클레스를 공격했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에게 뿔을 꺾이고 패배했다. 이 승리로 헤라클레스는 데이아네이라와 결혼할 수 있었다.
광기에 휩싸여 친구 이피토스를 죽인 헤라클레스는 병을 얻었다. 치료를 위해 델포이를 찾았지만, 여사제는 그를 만나주지 않았다. 분노한 헤라클레스는 델포이의 보물인 삼발이솥을 훔치려 했고, 이에 아폴론이 직접 나타나 그와 싸웠다. 제우스가 번개를 떨어뜨려 싸움을 중재했고, 아폴론은 헤라클레스에게 노예로 3년간 봉사하면 병이 나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집트(Αἴγυπτος)에서는 부시리스 왕이 외국인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다. 헤라클레스는 이집트인들에게 붙잡혀 제단으로 끌려갔지만, 괴력을 발휘하여 그들을 모두 죽이고 이집트를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다.
트로이를 방문한 헤라클레스는 바다 괴물에게 고통받는 라오메돈 왕을 만났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트로이에 보낸 신마(神馬)를 대가로 괴물을 처치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괴물 뱃속에 들어가 사흘 동안 싸워 괴물을 죽였지만, 위산 때문에 머리카락이 모두 빠져 대머리가 되었다. 라오메돈이 약속을 어기자, 헤라클레스는 복수를 다짐하고 트로이를 떠났다. 훗날 헤라클레스는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를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라오메돈을 죽였다.
엘리스 왕 아우게이아스에게 보수를 받지 못한 헤라클레스는 엘리스를 공격했다. 엘리스 군에는 강력한 쌍둥이 영웅 모리오네가 있었지만, 헤라클레스는 그들을 매복하여 죽이고 엘리스를 정복했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헤라클레스는 올림피아에 제우스 신전을 짓고 고대 올림픽의 기원이 된 경기 대회를 열었다.
5. 죽음과 신격화
소포클레스의 비극 『트라키니아이』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켄타우로스인 네소스의 계략에 빠져 죽음을 맞이했다. 네소스는 헤라클레스의 아내 데이아네이라를 납치하려다 레르나의 히드라의 독이 묻은 화살에 맞아 죽어가면서, 자신의 피가 묻은 옷을 데이아네이라에게 주며 남편의 사랑을 되돌릴 수 있다고 속였다.
훗날 데이아네이라는 헤라클레스가 이올레에게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고 질투심에 네소스의 피가 묻은 옷을 헤라클레스에게 입혔다. 이 옷에 묻어있던 히드라의 독 때문에 헤라클레스는 극심한 고통을 겪었고, 결국 오이타 산에서 스스로 장작더미를 쌓아 올려 자신의 몸을 불태워 죽음을 택했다. 이때, 필록테테스 (혹은 그의 아버지 포이아스나 이올라오스)가 장작더미에 불을 붙였고, 헤라클레스는 그에게 자신의 활과 화살을 물려주었다. 이 활과 화살은 훗날 트로이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헤라클레스는 죽음 이후 신격화되어 올림포스 산에 올라 신들의 일원이 되었다. 오랜 불화 관계였던 헤라와 화해하고, 그녀의 딸 헤베와 결혼하여 두 아들, 알렉시아레스와 아니케투스를 낳았다.
5. 1. 데이아네이라와 네소스의 계략

소포클레스의 『트라키니아이』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9권에 나오는 이야기다. 아켈로오스 강의 신인 아켈로오스와 씨름하여 그를 물리친 헤라클레스는 데이아네이라를 아내로 맞이한다.[47] 티린스로 가는 도중, 켄타우로스인 네소스가 헤라클레스가 강을 헤엄치는 동안 데이아네이라를 빠르게 흐르는 강 건너편으로 데려다주겠다고 제안한다.[47] 그러나 네소스는 장난기 많은 켄타우로스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며 헤라클레스가 물속에 있는 동안 데이아네이라를 납치하려 한다.[47] 분노한 헤라클레스는 레르나의 히드라의 독이 묻은 화살로 그를 쏜다.[47] 복수심에 불탄 네소스는 죽기 전에 데이아네이라에게 자신의 피로 물든 옷을 주며, 이 옷이 "남편의 사랑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한다.[47]
몇 년 후, 소문을 통해 데이아네이라는 헤라클레스에게 라이벌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데이아네이라는 네소스의 말을 기억하고 헤라클레스에게 피 묻은 옷을 준다. 전령인 리카스가 헤라클레스에게 그 옷을 전달한다. 그러나 그 옷에는 여전히 헤라클레스의 화살에 묻었던 히드라의 독이 남아 있었고, 이 독은 헤라클레스에게 치명적인 독이 되어 그의 살을 찢고 뼈를 드러낸다. 죽기 직전, 헤라클레스는 자신을 독살했다고 생각하여 리카스를 바다에 던진다 (몇몇 이야기에서는 리카스가 돌로 변하여 그의 이름을 딴 바다 위의 바위가 된다고 한다). 헤라클레스는 그 후 몇 그루의 나무를 뿌리째 뽑아 오이타 산에 장례식 장작더미를 만들고, 필록테테스의 아버지인 포이아스가 불을 붙인다. 그의 몸이 타오르자 불멸의 영혼만 남는다. 제우스의 신격화를 통해 헤라클레스는 죽으면서 올림푸스로 승천한다.
헤라클레스의 친구 필록테테스(일부 이야기에서는 포이아스)만이 그의 장례식 장작더미에 불을 붙였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이올라오스가 불을 붙인다고 한다).[48] 이 행위로 필록테테스 또는 포이아스는 헤라클레스의 활과 화살을 받았는데, 이것은 나중에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인들이 트로이를 정복하는 데 필요했다.
5. 2. 신격화와 영원한 삶
화장식에서 죽은 후, 헤라클레스는 신으로서 올림포스에 승천했고, 마침내 헤라와 화해하여 그녀의 딸 헤베를 네 번째이자 마지막 아내로 맞이했다.[49] 그들은 두 아들, 알렉시아레스와 아니케투스를 두었다.티폰이 올림푸스를 공격했을 때, 모든 신들은 동물로 변신하여 이집트로 도망쳤는데, 헤라클레스는 사슴이 되었다.[49]
루키아노스의 사모사타의 풍자적인 작품인 ''신들의 대화''에서, 헤라클레스와 다른 최근 신이 된 필멸자인 아스클레피오스는 신들의 식탁에서 가장 명예로운 자리를 놓고 다투며, 각자 자신이 그 자격이 있다고 주장한다. 제우스는 개입하여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유리하게 판결하는데, 가장 좋은 자리는 먼저 신이 된 사람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이유에서이다.[50]
헤라클레스는 또한 다른 그리스인들에게 버려진 채 레므노스 섬에 고립된 필록테테스에게 나타나 그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개입을 통해 필록테테스는 다른 그리스인들과 합류하여 트로이에서 파리스를 헤라클레스의 화살로 죽인다.[51]
6. 헤라클레스 숭배와 문화적 영향
고대 그리스에서 헤라클레스는 영웅이자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그의 숭배는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신화에 따르면 그는 죽은 후 제우스에 의해 육신은 하늘로 올려져 별자리가 되었고, 영혼은 올림포스로 갔다. 인간의 육체가 사라져 영혼만이 남게 된 헤라클레스는 불멸의 삶을 얻게 되었고, 헤라와 화해하고 그녀의 딸 헤베와 결혼하였다.
헤라클레스 숭배는 그의 승천과 고난을 바탕으로 축제, 의식, 의례, 신비 의식 등이 행해졌다. 고난(''pathea'')은 슬픔과 애도 의식을 야기했고, 이는 신비 의식에서의 기쁨보다 먼저 숭배 의식 순서에 등장했다. 헤라클레스 숭배는 아폴론의 경우처럼 같은 성격을 공유하는 지역 숭배 인물들을 흡수하면서 수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는 특히 젊은이들의 수호신으로 여겨져 전쟁에서 이상적인 인물로 숭배되었고, 체육관과 군사 훈련을 받는 남성들(에페보스)을 감독했다.[18]
헤라클레스를 수호신으로 받아들인 고대 도시들은 그의 숭배 확산에 기여했다. 마케도니아 왕가는 신성한 보호와 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헤라클레스로부터 직계 혈통을 주장했다.[19] 헤라클레스 숭배의 초기 증거는 기원전 6세기 팔레론의 고대 비문에서 발견된다.[18] 기원전 4세기 이후 헤라클레스는 페니키아 신 멜카르트와 동일시되었다.[20]
오이타이아인들은 메뚜기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 헤라클레스를 코르노피온(Κορνοπίων)이라고 불렀다. 미마의 에리트라이 시민들은 포도를 먹는 잎벌레를 없앤 그를 이포크토누스(ἰποκτόνος)라고 불렀다.[21][22][23]
아카이아의 부라 마을 근처 부라이쿠스 강가에는 헤라클레스 조각상과 동굴 속 신탁이 있었다. 사람들은 조각상 앞에서 기도한 다음, 주사위를 던져 그 의미를 통해 신탁을 받았다. 이 때문에 헤라클레스는 부라이쿠스(Βουραϊκός)라는 별칭을 얻었다.[24]
애거서 크리스티의 명탐정 에르퀼 푸아로의 이름 Hercule은 헤라클레스의 프랑스어 형태이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단편집 「헤라클레스의 모험」은 헤라클레스의 고전적인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다.
6. 1. 그리스-로마 문화
고대 그리스인들은 헤라클레스를 영웅이자 신(heros theos)으로 숭배했으며, 제사에서 그에게 제물을 바칠 때 먼저 지하 세계의 영웅으로서 제물(음복)을 바친 후 제단 위에서 신으로서 제사를 드렸다.[6] 이들은 헤라클레스의 죽음을 기리는 축제인 헤라클레이아를 매달 메타게이티니온(7월 말이나 8월 초에 해당)의 이틀째에 지냈다.[11]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여러 고대 도시들이 헤라클레이아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3]몇몇 폴리스(poleis)들은 헤라클레스를 위해 두 개의 별도 신전을 마련했는데, 하나는 그를 신으로, 다른 하나는 영웅으로 모셨으며,[15] 같은 축제에서 영웅으로서, 그리고 신으로서 그에게 제물을 바쳤다.[16]
로마에서는 헤라클레스를 '헤르쿨레스'로 숭배했으며, 그 이름 아래 독특하게 로마적인 신화와 관습이 있었다.
6. 2. 다른 문화권과의 연관성
헤라클레스는 이집트의 신 슈와 연결되기도 했다. 그는 슈와 비슷한 또 다른 이집트 신인 혼수와도 관련이 있었다. 혼스로서 헤라클레스는 현재 수몰된 도시 헤라클레이온에서 숭배되었으며, 그곳에는 큰 사원이 세워졌다.[94] 이집트인들은 헤라클레스를 헤리샤프(Heryshaf)와 동일시했는데, 헤리샤프는 그리스어로 '아르사페스'(Arsaphes) 또는 '하르사페스'(Harsaphes) (Ἁρσαφής)로 음역되었다.[9] 그는 고대 숫양 신이었으며, 그의 숭배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헤로도토스는 헤라클레스를 페니키아 신 멜카르트와 연결시켰다. 기원전 4세기 이후 헤라클레스는 멜카르트와 동일시되었다.[20]
그리스-불교 문화를 통해 헤라클레스의 상징은 극동으로 전파되었다. 그 예는 오늘날에도 일본 불교 사찰 앞에 있는 니오 수호신에서 볼 수 있다.
7. 가족 관계
헤라클레스는 양아버지 암피트리온, 친어머니 알크메네, 쌍둥이 남동생 이피클레스, 2살 어린 여동생 페리메데를 두었다. 그는 여러 번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고, 그의 후손들은 '헤라클레이다이'라고 불렸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녀들은 뮈케네 왕위를 노린 에우뤼스테우스의 위협을 피해 아테네의 데모폰에게 의탁했다. 에우뤼스테우스는 이들의 신병 인도를 요구하며 아테네와 전쟁을 벌였으나, 결국 헤라클레스의 아들 휠루스에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
휠루스와 그의 후손들은 펠로폰네소스반도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했고, 마침내 휠루스의 손자 대에 이르러 미케네와 아르고스를 정복했다. 테메노스는 아르고스, 아리스토데모스는 스파르타, 크레스폰테스는 메세니아를 차지했다. 테메노스의 아들 페르디카스 1세는 아르고스 왕위 다툼에서 밀려나 북쪽으로 이동하여 마케도니아 왕국을 세웠다. 이로써 아르고스, 스파르타, 마케도니아는 모두 헤라클레스의 후손을 자처하게 되었으며, 이들의 귀환은 도리스인의 그리스 침입과 연결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7. 1. 배우자와 자녀
메가라는 테베 왕 크레온의 딸로, 헤라클레스의 첫 번째 아내였다. 헤라클레스는 헤라가 보낸 광기로 인해 메가라와 자신의 자식들을 살해했다.[52] 히기누스(Fabulae, 32)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메가라를 죽였다고도 한다.옴팔레는 리디아의 여왕으로, 헤라클레스는 그녀의 노예로 3년간 봉사했다.[52]
데이아네이라는 칼리돈의 공주로, 헤라클레스의 두 번째 아내였다. 헤라클레스는 데이아네이라를 얻기 위해 강의 신 아켈로우스와 싸워 이겼다. 결혼 후, 켄타우로스 네소스가 데이아네이라를 강간하려 하자 헤라클레스는 히드라의 독이 묻은 화살로 네소스를 쏘아 죽였다. 네소스는 죽기 전 데이아네이라에게 자신의 피를 간직하라고 속였고, 훗날 데이아네이라는 네소스의 피를 헤라클레스의 옷에 발라 그를 죽게 만들었다.[52]
헤베는 헤라의 딸이자 청춘의 여신으로, 신격화된 헤라클레스의 마지막 아내가 되었다.[52]
헤라클레스는 테스피우스 왕의 50명의 딸들과 하룻밤을 보내 모두 임신시켰고, 이들은 모두 아들을 낳았다. 이 외에도 헤라클레스는 여러 여성들과의 사이에서 많은 자녀를 두었다.[52] 스키타이의 드라카이나(에키드나라고도 함)와의 사이에서는 아가튀르수스, 겔로누스, 스키테스를 낳았다.[53]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에반데르의 딸 라비니아와의 사이에서 팔라스라는 아들을 두었다.[54]
헤라클레스와 그의 아내들, 그리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주요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배우자 | 자녀 |
---|---|
메가라 | 테리마쿠스, 크레온티아데스, 데이코온, 오피투스 |
옴팔레 | 아겔라우스, 튀르세누스 |
데이아네이라 | 휠루스, 크테시푸스, 글레누스, 오네이테스, 마카리아 |
헤베 | 알렉시아레스, 아니케투스 |
기타 | 테스피우스의 50명의 딸들에게서 50명의 아들, 스키타이의 드라카이나에게서 아가튀르수스, 겔로누스, 스키테스, 에반데르의 딸 라비니아에게서 팔라스 등 |
참조
[1]
논문
Herakles/Melqart, the Greek façade of a Phoenician deity
https://www.academia[...]
2019-01-00
[2]
백과사전
Alceides
https://web.archive.[...]
Little, Brown and Company
1867-00-00
[3]
서적
Bibliotheca
[4]
웹사이트
Apollodorus, 1.9.16
https://www.perseus.[...]
[5]
문서
By his adoptive descent through Amphitryon, Heracles receives the epithet Alcides
[6]
서적
Burkert 1985
[7]
서적
Burkert 1985
[8]
서적
Hercules
[9]
서적
Robert Fagles's translation
1996-00-00
[10]
논문
The Sacrifice of Agamemnon's Daughter in Hesiod's Ehoeae
https://doi.org/10.2[...]
1981-00-00
[11]
서적
Ptolemy, Geography
[12]
논문
Ptolemy's Maltese Co-ordinates
1988-00-00
[13]
웹사이트
Suda, nu,103
https://www.cs.uky.e[...]
[14]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Herculaneum
https://www.perseus.[...]
[15]
서적
The "Sacred History" of Euhemerus of Messene
https://www.worldcat[...]
Walter de Gruyter
2013-00-00
[16]
서적
Burkert 1985
[17]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00-00
[1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0-00
[19]
서적
King and Court in Ancient Macedonia: Rivalry, Treason and Conspiracy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015-00-00
[20]
웹사이트
Melqart
https://www.worldhis[...]
[21]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13, chapter 1, section 64
http://www.perseus.t[...]
[22]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όρνοψ
http://www.perseus.t[...]
[23]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ἰποκτόνος
http://www.perseus.t[...]
[2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Buraicus
https://www.perseus.[...]
[25]
서적
Guide to Greece
[26]
서적
Varia Historia
[27]
서적
Varia Historia
[28]
서적
The Facts on File Companion to Classical Drama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2005-00-00
[29]
서적
Heracles and Euripidean Traged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0-00
[30]
서적
Self-representation and Illusion in Senecan Traged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0-00
[31]
문서
Pseudo-Apollodorus, Library; Seneca, Hercules Furens; Argonautica Orphica; Lucian, Dialogues of the Gods
[32]
문서
Compare the two pairs of twins born to Leda and the "double" parentage of Theseus.
[33]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Book IV, Ch. 9
https://penelope.uch[...]
[34]
서적
Aristotle as Poe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0-00
[35]
문서
Pausanias Χ 3.1, 36.5; Ptolemy, Geogr. Hyph. ΙΙ 184. 12; Stephanus of Byzantium, s.v. "Ἀντίκυρα"
[36]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37]
서적
Jason and the Golden Fleece
Clarendon Press
[38]
문서
Dionysius of Halicarnassus, i. 41
[39]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4, chapter 29
https://www.perseus.[...]
[40]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4, chapter 29, section 3
https://www.perseus.[...]
[41]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42]
웹사이트
Scaife Viewer | Imagines, Flavii Philostrati Opera Volume II
https://scaife.perse[...]
[43]
웹사이트
Heracles did not wear the skin of the Nemean lion, but that of a certain Lion, one of the giants killed by Heracles whom he had challenged to single combat.
http://www.tertullia[...]
[44]
웹사이트
Dionysius of Halicarnassus, Antiquitates Romanae, Books I-XX, book 1, chapter 39, section 2
https://www.perseus.[...]
[45]
웹사이트
Plutarch, Amatorius, section 18
https://www.perseus.[...]
[46]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4, chapter 23
https://www.perseus.[...]
[47]
서적
Metamorphoses
[48]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49]
문서
Antoninus Liberalis 18
https://topostext.or[...]
[50]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s://www.loebclas[...]
[51]
서적
Sophocles' Philoctetes and the Great Soul Robbe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2]
웹사이트
Hercules
https://public.wsu.e[...]
2024-04-27
[53]
서적
Histories
[54]
웹사이트
Dionysius of Halicarnassus, Antiquitates Romanae, Books I–XX, book 1, chapter 32, section 1
https://www.perseus.[...]
[55]
서적
Erotikos
[56]
서적
Olympian Odes
[57]
서적
Erotikos
[58]
뉴스
The Golden Age of Denial: Hercules, the Bisexual Demigod
https://www.advocate[...]
Advocate
2013-08-14
[59]
서적
Idyll & Argonautica
[60]
서적
Lexicon
[61]
서적
Bibliotheca
[62]
서적
Bibliotheca
[63]
문서
Ptolemaeus Chennus, 147b
[64]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65]
웹사이트
Ptolemaeus Chennus, New History
http://www.tertullia[...]
[66]
웹사이트
Bibliotheca excerpts
https://topostext.or[...]
[67]
문서
Ptolemaeus Chennus, 147e; Philostratus, Heroicus 696
[68]
웹사이트
Who were Hercules' male lovers?
https://gh.ciwanekur[...]
History and archeology news portal
2021-02-06
[69]
문서
Scholia on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1. 1207
[70]
문서
Stephanus of Byzantium s. v. Diomeia
[71]
서적
Bibliotheca
[72]
서적
Fabulae
[73]
서적
Scholia on Pindar, Isthmian Ode 3 (4)
[74]
서적
Statius, Thebaid 12: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Schöningh
2004
[75]
서적
Stephanus of Byzantium
[76]
서적
Stephanus of Byzantium
[77]
서적
Georgics
[78]
서적
Roman Antiquities
[79]
서적
Stephanus of Byzantium
[80]
서적
De mirabilia mundi
[81]
서적
Aeneid
[82]
서적
Life of Sertorius
[83]
서적
Library of History
[84]
서적
Narrationes
[85]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86]
서적
Thebaid
[87]
서적
Stephanus of Byzantium
[88]
서적
Stephanus of Byzantium
[89]
서적
Thebaid
[90]
서적
Eclogue
[91]
서적
Roman Antiquities
[92]
서적
Fabulae
[93]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94]
웹사이트
Heryshef {{!}}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2024-04-27
[95]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4
[96]
서적
The Jugurthine War/The Conspiracy of Catiline
Penguin Books
1963
[97]
서적
Classical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8]
문서
헤ーラー의 모유가 하늘로 날아가 은하수가 된다는 이야기
[99]
서적
Library of History
[100]
서적
Bibliotheca
[101]
서적
Geographica
[102]
웹사이트
피로스트라토스『エイコネス』2巻25・1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22-05-12
[103]
웹사이트
ツェツェース『キリアデス』2巻304行-306行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022-05-12
[104]
서적
여러 저자의 저서에서 발췌
[105]
서적
Library of History
[106]
문서
헤라클레스의 탄생과 관련된 합성어
[107]
문서
에우리스테우스의 혈통과 신화적 기원
[108]
문서
알크메네의 출산과 관련된 신화적 방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