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와인은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으로, 인도네시아 자와섬에 거주하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 중 하나이다. 자와인의 역사는 기원전 15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타이완에서 필리핀을 거쳐 자와섬에 도착한 조상에게서 시작되었으며,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고대 왕국과 제국을 건설했다. 마자파히트 제국은 14세기 동남아시아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후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자바는 이슬람 술탄국 시대를 맞이했다.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를 거쳐 인도네시아 독립 후, 자와인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자와 문화는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융합하며 발전해 왔으며, 자바어, 바틱, 가믈란, 와양 등 독특한 예술과 문학을 보유하고 있다. 자와인은 농업, 상업,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며,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수리남 등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문화를 전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민족 - 파푸아인
파푸아인은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오스트랄로이드 인종에 속하고 다양한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으로, 화전 농업, 수렵, 가축 사육을 하며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고 독특한 풍습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유전학 연구를 통해 데니소바인과의 유전적 혼합이 밝혀졌다. - 인도네시아의 민족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말레이시아인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인구와 이민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레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이슬람교를 국교로 한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오랑 아슬리
오랑 아슬리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원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세망, 세노이, 원말레이 세 그룹으로 나뉘지만, 빈곤과 차별, 토지 소유권 문제 등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자와인 - 자와어
자와어는 인도네시아 자와섬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지방어로 인정받으며 특히 족자카르타에서는 공식 언어이고, 역사적으로 고대 자바어와 현대 자바어로 나뉘며 화법에 따라 다양한 레지스터가 존재하고, 전통적으로 자바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자와인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는 인도네시아의 제5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수카르노 전 대통령의 딸로서 인도네시아 민주당 투쟁(PDI-P) 의장을 역임하고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했으나 재선에는 실패한 후에도 PDI-P 대표로서 인도네시아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자와인 | |
---|---|
일반 정보 | |
![]() | |
모국어 | 자바어 고대 자바어(의식에 사용) 인도네시아어 |
방언 | 서부 자바어(북부 반텐, 치레본, 테갈, 바뉴마사) 중앙 자바어(마타람, 페칼롱안, 바겔렌, 스마랑, 블로라, 마디우난), 동부 자바어(아레칸, 좀방, 텡거, 오싱) |
기타 언어 | 말레이어 (바바 말레이어 포함) 아랍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
총 인구 | 1억 명 이상 |
주요 거주 지역 | 인도네시아 (98,217,022 명, 2010년) 말레이시아 (약 1,500,000 명, 말레이시아 시민권자 "말레이인"으로 집계된 인구 포함) 사우디아라비아 (1,000,000 명, 2014년, 자바인 및 인도네시아 혈통은 '알-자위'로 불림) 싱가포르 (약 400,000 명, 싱가포르 시민권자 포함, 싱가포르 말레이인의 60% 이상이 자바 혈통) 수리남 (102,000 명, 수리남 자바인) 스리랑카 (8,500 명) 네덜란드 (21,700 명) 누벨칼레도니 (4,100 명) 태국 (3,000 명) |
종교 | 대다수: 수니 이슬람 (97.15%) 소수: 기독교 (2.56%, 개신교 1.59%, 로마 가톨릭교 0.97%), 힌두교 (0.17%), 불교 (0.10%), 기타 (0.01%) |
관련 민족 | 오스트로네시아인 발리인 반텐인 베타위인 치레본인 마두라인 오싱인 순다인 텡거인 수리남 자바인 |
언어별 명칭 | |
인도네시아어 | Suku Jawa |
자바어 | Wong Jawa |
조선어 (대한민국) | 자와인 |
문화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쟈와족 |
2. 역사
자와인은 오스트로네시아인으로, 그 조상들은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필리핀을 거쳐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에 자와섬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다.[34] 최근 유전 연구에 따르면, 자와인들은 순다인과 발리인과 함께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계 조상들의 상당한 유전적 혼합을 가지고 있다.[36]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민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자와인도 이 어족에 속한다.[170]
원래 자와인은 동자와 주, 중자와 주, 그리고 족자카르타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인도네시아 국내 이주 정책에 따라 현재는 인도네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인구 밀도도 높다. 서자와 주만이 아직도 순다인(인도네시아 국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민족)의 비중이 크다.
2. 1. 고대 왕국과 제국
인도 아대륙과의 무역 접촉을 통해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이 전해졌다.[37] 5세기에 힌두교도와 불교도 상인, 방문객들이 도착했고, 힌두교, 불교, 자바의 신앙은 독특한 지역 철학으로 융합되었다.[34]자바 문화의 요람은 메라피 산 기슭의 케두와 케우 평원에 있는 마타람 왕국의 중심지로 흔히 묘사된다.[38] 초기 산자야와 사일렌드라 왕조는 그곳에 권력 기반을 두었다.[46] 8세기 후반부터 9세기 중반 사이에 이 왕국은 고전 자바 예술과 건축의 발전을 보았는데, 이는 사원 건설의 급속한 성장에 반영되었다. 건설된 사원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칼라산, 세우, 보로부두르, 프람바난이다.[39]
엠푸 신독(재위 929~947)이 10세기경 왕국의 수도를 동쪽 브란타스 강 계곡으로 옮기면서 자바 문화와 정치의 중심지는 섬의 동쪽으로 이동했다.[46]
13세기 말, 싱하사리의 케르타네가라 왕 치하에서 자바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었다. 그는 파말라유 원정을 통해 멜라유 왕국을 정복하고 말라카 해협의 무역을 장악했다.
싱하사리의 지배는 1292년 자야카트왕의 지휘 아래 케디리의 반란으로 단축되었고, 케르타네가라는 사망했다. 그러나 자야카트왕의 통치는 1293년 3월 침입한 몽골군의 도움을 받은 라덴 위자야에게 패배하면서 곧 끝났다.
라덴 위자야는 마자파히트를 건설했다. 왕 하얌 우룩과 그의 장관 가자 마다[158] 치하에서 마자파히트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정복 활동을 펼쳤다.[47] 마자파히트는 벼농사와 해외 무역을 결합한 농업과 해양 강국이었다.[82]
2. 2. 자바의 술탄국
이슬람교는 자바 북부 해안의 그레식(Gresik), 암펠 덴타(수라바야(Surabaya)), 투반, 드막, 쿠두스와 같은 항구 도시에 발을 디뎠다. 자바인들 사이에서 이슬람교의 확산과 전파는 전통적으로 왈리 송고의 공으로 여겨진다.[49]이슬람교의 확산과 함께 자바는 큰 변화를 겪었다. 왕위 계승 분쟁과 내전 이후 마자파히트 왕국의 세력은 붕괴되었다. 이 붕괴 이후, 그 부속 지역과 봉신들은 독립하였다.[50] 드막 술탄국(Sultanate of Demak)이 새로운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여 자바 북부 해안의 도시 국가들 사이에서 패권을 장악하였다.[51] 드막은 수마트라 동부의 잠비(Jambi)와 팔렘방(Palembang) 항구에 대한 지배권도 얻었다.[51]
드막은 새로이 도착한 식민 세력인 포르투갈에 대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드막은 말라카(Malacca) 함락 이후 포르투갈을 두 번 공격하였다. 그들은 또한 포르투갈과 순다 왕국(Sunda Kingdom)의 연합군인 연합군을 공격하여 그 과정에서 반텐 술탄국(Sultanate of Banten)을 건설하였다.
드막은 파장 왕국(Kingdom of Pajang)에 이어 마침내 마타람 술탄국에 의해 계승되었다. 권력의 중심지는 해안 도시 드막에서 블로라의 파장으로, 그리고 나중에 오늘날 족자카르타(Yogyakarta) 근처의 코타게데(Kotagede)에 있는 마타람 지역의 내륙으로 이동하였다. 마타람 술탄국은 1613년부터 1645년까지 술탄 아궁 하뇨크로쿠수모(Sultan Agung Hanyokrokusumo)의 통치 기간 동안 최고의 권력과 영향력에 도달하였다.
2. 3. 식민지 시대
1619년, 네덜란드인들이 자카르타(바타비아)에 무역 거점을 설립했다. 자바는 서서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결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해양 동남아시아 대부분을 장악하게 되었다. 내부 분쟁과 왕위 계승 전쟁, 그리고 네덜란드의 간섭으로 마타람 술탄국은 수라카르타와 요크야카르타로 분열되었다. 자바 영토의 추가 분할은 망쿠네가란과 파쿠알라만 공국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당시 실질적인 정치 권력은 식민지 네덜란드에 있었지만, 자바의 왕들은 크라톤에서 자바 영토의 명목상 권력 중심지로서, 특히 수라카르타와 요크야카르타 주변에서 여전히 명망을 유지했다.네덜란드의 지배는 19세기 초 영국의 지배로 잠시 중단되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스탬퍼드 래플스가 이끈 영국 행정부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보로부두르의 재발견을 포함한다. 외세 지배에 대한 저항은 1825년부터 1830년까지의 자바 전쟁과 디포네고로 왕자의 지도력으로 잘 나타난다.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자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에 점령당했다. 일본의 패전과 함께, 새로운 인도네시아 공화국에서 독립이 선포되었다.

2. 4. 인도네시아 공화국
1945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 선포 당시, 족자카르타 술탄(Sri Sultan), 수라카르타 수난(Sunan), 망쿠네가라 왕자(Prince of Mangkunegara), 파쿠알라만 왕자(Prince of Pakualaman) 등 마지막 자바 군주국 대표들은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합류를 선언했다.[1]족자카르타와 파쿠알라만은 이후 족자카르타 특별주로 통합되었다.[1] 술탄은 족자카르타 주지사, 파쿠알라만 왕자는 부주지사가 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책임을 졌다.[1] 족자카르타 특별주는 독립 전쟁 이후 1950년 8월 3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 수라카르타는 이후 중부 자바 주의 일부로 편입되었다.[1]
3. 문화
자바 문화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번성했다. 자바 문화는 토착 신앙, 불교와 힌두교의 다르마적 가치, 이슬람 문명, 그리고 기독교, 서구 철학, 현대 사상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52][53] 특히 욕야카르타와 수라카르타의 ''크라톤'' 귀족 문화는 우아함, 세련됨, 미묘함, 예의 바름, 정중함, 간접성, 감정적 자제,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의식 등을 중시한다.[54] 자바 문화는 조화와 사회 질서를 중요하게 여기며, 직접적인 갈등을 피한다. 이러한 가치는 자바 춤, 가믈란, 와양, 바틱과 같은 문화 표현과 ''슬라메탄, 사투 수로'', 자바 결혼식, ''날로니 미토니''와 같은 의식을 통해 홍보되고 강화된다.
자와의 와양 인형극 문화는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와양의 이야기 대부분은 인도의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서사시는 자와의 전통 무용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 문화와 서구 사회의 영향도 찾아볼 수 있다. 자와를 기원으로 하는 예술 표현에는 바틱과 크리스 단검이 있으며, 가믈란 음악은 자와섬과 발리섬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자와 북부 해안과 동자바의 ''페시시란'' 문화는 외래 사상에 더 개방적이고 평등하며,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의식이 덜하다.[55] 데막, 쿠두스, 투반, 그레식, 수라바야의 암펠과 같은 북부 정착지는 이슬람 교리가 처음 전파된 곳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더 이슬람화되었다.
자바 문화는 전통적으로 중앙 자바, 욕야카르타, 동자바를 중심으로 하지만, 자바인들의 이주로 인해 수리남(인구의 15%가 자바계),[56] 인도네시아 군도,[32] 케이프 말레이,[33]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네덜란드 등 세계 각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주민들은 가믈란 음악, 전통 춤,[57] 와양 쿨릿 그림자극과 같은 자바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전파했다.[58] 자바인들이 서쪽으로 이주하면서 서자바에는 내륙 순다 문화와는 다른 해안 자바 문화가 형성되었다.
인도네시아 민족의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자와인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타이완을 기원으로 하여 필리핀을 거쳐 기원전 1500년~1000년에 자와섬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170] 원래 자와인은 동자와 주, 중앙자와 주, 족자카르타 주변에 집중되었지만, 인도네시아 국내 이주 정책으로 현재는 인도네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높은 인구 밀도를 보인다. 서자와 주만이 순다인의 비중이 크다.
3. 1. 언어
자바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네시아의 언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구별된다.[59] 특히 문어 자바어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이 사용되는데,[60] 이는 자바의 긴 힌두교 및 불교 영향의 역사 때문이다.인도네시아의 많은 자바인들은 말레이어의 표준 변종인 인도네시아어와 자바어에 유창한 이중언어 사용자이다.[61]
자바어는 예전에는 브라마 문자에서 유래한, 현지어로 ''하나차라카''(Hanacaraka) 또는 ''차라칸''(Carakan)으로 알려진 문자로 쓰였다. 또한, ''페곤''이라고 불리는 아랍 문자에서 유래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문자로도 쓸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에는 라틴 알파벳의 한 형태로 대체되었다.
자바어는 인도네시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자바인이 다수인 지역에서는 지역어로서 의사소통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자바어는 자바인의 민족 정체성을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에 민족 언어로 볼 수 있다.[59]
3. 2. 문학과 철학

자바의 지식인, 작가, 시인, 문인들은 단어를 엮어 더 깊은 철학적 의미를 표현함으로써 높은 문화적 목적을 위한 사상을 형성하고 관용구를 창출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자바 고전 문학, 자바 역사 기록 및 구전 전통에서 여러 철학적 관용구가 생겨나 여러 매체로 퍼져나가 인기 있는 좌우명으로 홍보되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국가 좌우명으로 사용되는 ''"빈네카 퉁갈 이카"''(Bhinneka Tunggal Ika), ''"Gemah Ripah Loh Jinawi, Toto Tentrem Kerto Raharjo"'' , ''"Jer Basuki Mawa Bea"'' , ''"Rawe-Rawe rantas, Malang-Malang putung"'' 및 ''"투트 우리 한다야니"''(Tut Wuri Handayani)가 있다.[62]
3. 3. 사회 구조
미국의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는 1960년대에 자와 공동체를 산트리, 아방안, 프리야이의 세 가지 ''알리란''(흐름)으로 나누었다. 산트리는 정통적인 이슬람교 해석을 따랐고, 아방안은 힌두교와 애니미즘 요소가 혼합된 이슬람교의 혼합적인 형태(케자웬)를 따랐으며, 프리야이는 귀족이었다.[63][171]기어츠의 견해는 사회 집단과 신앙 집단을 혼합했기 때문에 오늘날 종종 비판받는다. 또한, 아랍계, 중국계, 인도계 등 비토착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이러한 사회적 분류를 적용하기는 어렵다.
북부 해안 지역에서는 사회적 계층화가 훨씬 덜 엄격하다.
3. 4. 달력
자바 력은 자바인들이 그레고리력과 이슬람력과 함께 사용하는 달력이다. 그레고리력은 인도네시아의 공식 달력이며, 이슬람력은 무슬림들과 인도네시아 정부가 종교 의식과 관련 이슬람 휴일 결정에 사용한다. 자바 력은 현재 주로 시지 수로(Siji Suro)와 같은 문화 행사에 사용된다. 자바 력 시스템은 현재 술탄 아궁이 1633년에 이슬람력을 기반으로 채택한 음력이다. 이전에는 자바인들이 힌두력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력을 사용했다.많은 다른 달력과 달리, 자바 력은 '''파사란(Pasaran)'''이라고 알려진 5일 주기를 사용한다. 이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그레고리력과 이슬람력의 7일 주기와 겹쳐 35일의 웨토난 주기(Wetonan cycle)가 된다.
3. 5. 건축
자와인들은 오랜 역사를 통해 힌두교 사원, 불교 탑, 장례 사찰, 궁궐, 모스크 등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해왔다.찬디라고 불리는 힌두 사원들은 자와섬 전역에 퍼져 있으며, 1006년 메라피 화산의 대규모 분화로 대부분 매몰되었다고 한다.[64] 프람바난과 보로부두르는 9세기에 건설된 대표적인 종교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두 사원 모두 족자카르타 인근 메라피 산 기슭에 위치한다.


동자바 트로울란에는 마자파히트 왕국(14~16세기)의 옛 수도 유적이 있다. 11km x 9km 면적에 벽돌 건물, 운하, 정화 연못, 사원, 분리된 문 등이 남아있으며,[65]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후보로 검토되고 있다.

자와 전통 가옥은 나무 기둥으로 지탱되는 사다리꼴 지붕이 특징이다.[66] 정자라고 불리는, 네 개의 큰 기둥이 있는 열린 파빌리온도 일반적인 특징이다. 이러한 건축 양식은 욕야카르타와 수라카르타의 크라톤(궁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67]
전통 모스크는 사다리꼴 지붕을 사용하며, 돔이나 첨탑이 없는 경우가 많다.[68][69] 데막 대모스크, 쿠두스 모스크, 반텐 대모스크 등이 대표적이며, 쿠두스 모스크는 힌두 양식의 석조 건축물을 통합하고 있다. 초기 힌두-불교 시대의 분리된 문은 여전히 자바의 많은 모스크와 공공 건물에 사용되고 있다.
3. 6. 요리
쌀은 자바 요리의 주식이며, 자바 문화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다. 쌀은 발전과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반면, 카사바와 같은 덩이줄기 채소는 빈곤과 관련이 있다.[71]자바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동자바는 맵고 짠 음식을 선호하는 반면,[71] 중앙 자바는 단 음식을 더 선호한다.
유명한 자바 음식은 다음과 같다:
- '''루작 칭구르''': 소의 입과 코를 야채, 새우, 땅콩 소스와 고추와 함께 절인 음식이다. 동자바 수라바야의 전통 음식으로 여겨진다.[72]
- '''구덱''': 중앙 자바와 족자카르타의 전통 음식으로,[73] 어린 낭카(잭푸르트)를 팜슈거와 코코넛 밀크와 함께 여러 시간 끓여 만든다.
- '''페첼''': 고추가 들어간 땅콩 소스의 일종으로,[74] 자바 요리의 일반적인 재료이다. 다양한 종류의 루작과 가도가도에 사용되며, 밥, 새우, 계란, 야채와 함께 ''나시 페첼''(페첼 밥)과 같이 독립적인 소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75]
- '''툼펭''': 원뿔형 화산 모양으로 제공되는 밥으로,[76] 보통 울금을 사용하여 노란색으로 물들인다. 자바의 많은 의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생일, 이사 또는 기타 행사와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제공된다.[77] 전통적으로 ''툼펭''은 ''베섹''이라고 하는 대나무로 만든 둥근 접시에 닭튀김, 삶은 계란, 야채, 염소고기와 함께 제공된다.
- '''템페''': 곰팡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대두로 만든 육류 대체 식품이다. 자바에서는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며, 전 세계적으로 채식주의자를 위한 고기 대체품으로 인기가 있다.


3. 7. 이름
자와인들은 일반적으로 성(family name)이나 성씨(surname)를 사용하지 않고, 이름(single name)만 사용한다. 자바어 이름은 전통적인 자바어에서 유래하며, 그중 많은 부분이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되었다. '좋은'을 의미하는 접두사 ''Su-''를 가진 이름이 매우 인기가 많다. 이슬람의 전래 이후, 많은 자바인들은 특히 이슬람의 영향이 강한 해안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아랍어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반 서민들은 보통 한 단어 이름을 사용하는 반면, 귀족들은 두 단어 이상의 이름을 사용하지만 성씨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부계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른 문화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른 언어, 주로 유럽 언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기독교인 자바인들은 보통 전통적인 자바어 이름 앞에 라틴어 세례명을 사용한다.예를 들어 수카르노(Sukarno)나 수하르토(Suharto)와 같이 일반적인 자바인은 가족의 이름, 즉 성을 가지지 않고, 한 개의 이름을 가진다. 전 대통령 압둘라흐만 와히드(Abdurrahman Wahid)의 이름은 독립운동가이자 후에 장관이 된 그의 아버지(와히드 하심)에서 유래한다.
4. 종교
오늘날 대부분의 자와인은 수니파 이슬람을 종교로 따른다.[80] 자바에서 이슬람과의 접촉이 처음 기록된 것은 475 히즈라(1082년)이며, 파티마 빈티 마이문의 무덤에서 확인되었다.[81] 하지만 이슬람의 발전은 마자파히트 왕조 시대에 더욱 활발해졌는데, 이때 마자파히트는 펄락과 사무드라 파사이(현재 아체 지역)와 같은 여러 국가들과 무역을 하거나 조공 관계를 맺었다.[82] 트로울란(마자파히트의 수도)의 트롤로요/트랄라야 묘지에는 14세기(1368년, 1376년)의 무슬림 묘비가 여러 개 있다. 이 지역이 크라톤(궁궐)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는 것은 궁정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무슬림들이 있었음을 의미한다.[83]
상당수의 자와인 소수 민족(약 3%)은 기독교( 프로테스탄티즘과 가톨릭)를 따르는데, 이들은 중앙 자바(특히 세마랑, 수라카르타, 살라티가, 마겔랑)와 욕야카르타에 집중되어 있다. 자바 기독교 교회(Gereja Kristen Jawa)와 동자바 기독교 교회(Gereja Kristen Jawi Wetan)와 같은 토착 기독교 교회도 존재한다. 더 작은 규모로 힌두교와 불교도 자와인 공동체에서 발견된다. 텐거 부족 자와인들은 오늘날에도 자바 힌두교를 계속해서 실천하며 브로모산 기슭 마을에 거주한다.[84]
케바티난(Kebatinan)은 케자웬(Kejawèn)이라고도 불리며, 아가마 자와(Agama Jawa)라고도 불리고, 케페르차얀(Kepercayaan)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자바의 종교 전통으로, 애니미즘, 힌두-불교, 그리고 이슬람(특히 수피즘)의 신앙과 관습이 혼합된 것이다. 이는 자바의 역사와 종교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러 종교의 측면을 융합시킨 것이다.
자와인의 종교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5. 직업
인도네시아에서 자와인들은 모든 직업, 특히 정부와 군대에서 두드러지게 활동하고 있다.[85] 자와인들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했지만, 정부와 군대를 포함한 다양한 직업에도 종사한다.[85]
5. 1. 농업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자와인들은 농부였다. 자와 섬의 비옥한 화산 토양 덕분에 농업이 특히 발달하였다. 가장 중요한 농산물은 쌀이다. 1997년, 자와 섬이 인도네시아 쌀 생산량의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85] 대부분의 농부들은 소규모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약 42%의 농부들이 0.5ha 미만의 땅을 경작하고 있다.[85] 토양이 덜 비옥하거나 우기가 짧은 지역에서는 카사바와 같은 다른 주요 작물을 재배한다.[135]5. 2. 상인-선원
자와 상인과 선원들은 기원후 1세기 초부터 인도와 중국 사이의 바다를 자주 항해했다.[86][87] 10세기 아랍 기록인 ''Ajayeb al-Hind''(인도의 경이로움)는 와크와크 또는 와크와크[103]로 불리는 사람들, 아마도 스리비자야의 말레이 사람들이나 마타람 왕국의 자바인들[104][110]이 기원후 945~946년에 아프리카를 침략한 것을 기록하고 있다. 그들은 탕가니카와 모잠비크 해안에 1000척의 배로 도착하여 칸바로 요새를 점령하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공격의 이유는 그곳에 상아, 거북이 껍질, 표범 가죽, 용연향과 같이 자국과 중국에 적합한 상품이 있었고, 강하고 좋은 노예가 되는 반투 사람들(아랍인들은 '젠그' 또는 '젠지', 자바인들은 'Jenggi'라고 부름)의 흑인 노예를 원했기 때문이다.[103]마자파히트 시대에는 종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배를 사용하여 먼 곳으로 무역을 했다.[110] 16세기 초 유럽 기록에는 말루쿠 제도, 티모르, 반다, 수마트라, 말라카, 중국, 테나세림, 페구(바고), 벵골, 풀리카트, 코로만델, 말라바르, 캄베이(캄바트), 아덴 등 자바 상인들이 방문한 곳이 기록되어 있다. 몰디브, 칼리컷(코지코데), 오만, 아덴, 홍해로 간 사람들도 있었다.[140][111]
17세기 중반 마타람 술탄국의 암망쿠랏 1세가 해안 도시의 배를 파괴하고 반란을 막기 위해 항구를 폐쇄하기로 한 결정은 장거리 항해에서 자바인들의 능력을 감소시켰다.[128]
5. 3. 조선업
자와인들은 쿤룬 포(K'un-lun po) (쿤룬 사람들의 '포')라고 불리는 큰 배를 건조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배들은 기원후 2세기 초부터 인도와 중국 사이의 바다를 항해하며 최대 1,000명의 사람들과 250ton~1000ton의 화물을 운반했다.[121][122][123][124][125] 이 배는 길이가 50~60m가 넘는 대형 선박이며, 선체는 여러 개의 판자로 만들어졌고, 아웃리거가 없으며, 많은 돛대와 돛이 달려 있고, 돛은 탄자 돛 형태이며, 식물 섬유로 꿰맨 형태의 판 고정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자와인들이 건조한 또 다른 대형 선박은 좁(jong)으로, 9세기 자바어 비문에 처음 기록되었다.[128] '포'와 판자를 연결하는 데 나무못을 사용하고, 승객 대 적재 중량 비율이 두 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자파힛 시대에 좁은 일반적으로 600~700명의 사람들과 1200ton~1400ton의 적재 중량을 수송했으며, 길이는 약 69.26~72.55m LOD, 76.18~79.81m LOA였다. 가장 큰 것은 1,000명의 사람들과 2000ton의 적재 중량을 수송했으며, 약 80.51m LOD와 88.56m LOA였다.[129] 좁은 주로 자바 주변의 두 개의 주요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자바 북부 해안, 특히 렘방–드막( 무리아 해협을 따라)과 치레본; 그리고 보르네오 남부 해안(반자르마신) 및 인접 섬들에서 건조되었다.[130]
아프리카에서 자바인들의 무역과 노예 활동은 마다가스카르와 동아프리카 해안의 조선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프리카 배에 아웃리거와 '오쿨리'(눈 장식)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26][127]
18세기에 자바의 조선 지역(특히 렘방과 주와나)에서는 유럽식 대형 선박(바크 및 브리건틴)을 건조하기 시작했다.[119] 이러한 배는 최대 400~600톤의 적재량에 평균 92 라스트(165.6~184톤)에 달했다.[134]
5. 4. 대장장이
전통적으로 자바의 대장장이는 귀하게 여겨졌다. 이들은 금식과 명상을 통해 완벽을 추구하기도 했다. 자바 대장장이는 여러 도구, 농기구뿐만 아니라 가믈란 악기, 크리스와 같은 문화재도 제작했다.[135] 크리스 제작 기술은 총기 제작에도 응용되었다. 대포와 화기는 특별한 전문 지식을 필요로 했으며, 동일한 장인들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대장장이의 영적 힘은 총기에도 전해진다고 믿어졌다.[136] 마자파히트 제국은 가자 마다 총리 (재임 1331~1364) 시절, 원나라로부터 획득한 화약 기술을 해군 함대에 적용했다.[137] 1413년 자바인들이 장총(베딜 톰박)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38][139]1514년경, 두아르테 바르보사는 자바 주민들이 대포 주조 및 포병술에 매우 능숙하다고 기록했다. 이들은 1파운드 대포(세트방 또는 렌타카), 장총, 스핑가르데(소총), 스키오피(손총), 그리스의 불, 대포, 여러 불꽃놀이 등을 제작했다. 모든 곳에서 대포 주조 및 사용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112][140][141] 1513년, 파티 우누스가 이끄는 자바 함대는 포르투갈령 말라카를 공격하기 위해 항해했는데, "자바에서 만든 많은 포병"을 보유하고 있었다. 자바인들은 주조, 주물, 철 가공 기술이 인도보다 뛰어났다고 한다.[142][143]
5. 5. 바틱 제작
자와인 남녀 모두 바틱을 착용하며, 무늬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데 다양하게 사용된다. 바틱은 의례에도 사용되며, 특정 디자인은 신생아나 신혼부부와 그 가족에게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다.[150][151] 페칼롱안, 카우만(Kauman), 캄풍 타만(Kampung Taman), 라웨얀과 같은 일부 도시와 마을은 바틱 제작을 전문으로 한다.5. 6. 목각
자와의 목각 예술은 전통적으로 조각상, 와양 인형, 가면과 같은 다양한 문화적 속성에 적용되었다. 목각은 가옥 장식과 세부 사항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정교하게 조각된 오마 쿠두스(Omah Kudus)는 자바 목각 기술의 훌륭한 예이다. 중앙 자바의 예파라(Jepara) 마을은 자바 티크(teak) 나무를 특히 사용하는 예술가와 목수들이 일하는 자바 목각 공방의 중심지로 유명하다.[152]6. 이주
자와인들은 기원후 초기 수세기 동안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마다가스카르 이주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주 문화는 보르네오의 마아냐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마다가스카르어의 일부는 자바어에서 차용된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53] 힌두 왕국 시대 이후로 자바인 상인들은 인도네시아 군도의 여러 곳에 정착했다.[46] 15세기 후반, 마자파힛의 몰락과 자바 북부 해안에 무슬림 공국의 부상에 따라 많은 힌두 귀족, 장인, 신하들이 발리로 이주했다.[158]
16세기 후반 드막, 파장, 마타람 사이의 권력 이전 과정에서 발생한 분쟁으로 일부 자바인들은 남부 수마트라의 팔렘방으로 이주했다.[30] 마누엘 고디뉴 드 에레디아의 ''말라카와 인디아 메리디오날 데 카타이 선언''(1613)은 ''인디아 메리디오날''(남인도)에 자바인의 하위 집단이 이미 정착했다고 설명하고 있다.[159][160] 술탄 아궁(1613~1645) 통치 기간 동안 일부 자바인들은 치레본, 인드라마유, 카라왕 주변 해안 서자바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자바인들은 또한 초기부터 말레이 반도에 존재했다.[163] 말레이 반도로의 대규모 이주는 식민지 시대에 주로 중앙 자바에서 영국령 말레이로 이루어졌다.[164] 오늘날 말레이시아 정부는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이 자바인들의 후손들을 "말레이인"으로 분류한다.[164]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의 "말레이인" 인구의 약 50~60%가 자바인 혈통을 가지고 있다.[164]
자바 상인들은 말루쿠 제도에도 있었으며, 테르나테는 약 1484년 무슬림 술탄국이 되었다.[167] 자바 상인들은 또한 보르네오의 해안 도시들을 이슬람으로 개종시켰다.[168] VOC의 권력이 성장하면서 많은 자바인들이 남아시아의 실론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식민지에 있는 네덜란드 식민지의 용병으로 추방되거나 노예로 팔리거나 고용되었다. 이들은 스리랑카 말레이인[32]과 케이프 말레이인[33] 민족 집단을 각각 형성했다.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동안 이주 프로그램에 따라 대규모 이주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고, 프로그램에 따라 많은 자바인들을 계약 노동자로 다른 식민지 지역, 주로 수마트라로 이동시켰다. 그들은 또한 자바 노동자들을 남아메리카의 수리남으로 보냈다.[169] 2019년 현재 수리남 인구의 약 13.7%가 자바인 혈통이다.[10] 네덜란드 식민지 이외에도 자바 노동자들은 프랑스령인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네덜란드 식민 정부가 관리하는 농장으로 파견되었다.[169]
네덜란드가 만든 이주 프로그램은 독립 후에도 계속되었다. 자바인 인구는 자보데타벡(자카르타 대도시권) 지역, 람풍, 남수마트라, 잠비 주에서 볼 수 있다.
7. 주요 인물
자와인 관련 주요 인물에 대한 내용은 자와인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서적
Piwulang Basa Jawa Pepak
https://books.google[...]
Grafindo Litera Media
[2]
간행물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Hasil Sensus Penduduk 2010)
https://www.bps.go.i[...]
Central Bureau of National Statistics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3]
웹사이트
History of Javanese Migration to Malaysia
https://amp.kompas.c[...]
Kompas
2022-08-05
[4]
웹사이트
The Javanese connection in Malaysia
https://m.malaysiaki[...]
MalaysiaKini
2021-11-21
[5]
서적
A Preliminary Report on the Javanese in Selangor, Malaysia
https://kyoto-seas.o[...]
Southeast Asian Studies, Vol. 26, No.2
2022-09-02
[6]
서적
Kami Tidak Lupa Indonesia
Bentang Pustaka
[7]
서적
Geographies of Muslim Women: Gender, Religion, and Space
Guilford Press
[8]
웹사이트
Negara yang Banyak Orang Jawa, Nomor 1 Jumlahnya Lebih dari 1,5 Juta Jiwa
[9]
서적
The Malay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0]
웹사이트
Surinam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9-12-18
[11]
웹사이트
Javanese in Sri Lanka
https://joshuaprojec[...]
[12]
웹사이트
Omvang en spreiding van Surinaamse bevolkingsgroepen in Nederland
https://www.cbs.nl/N[...]
CBS
[13]
웹사이트
De maatschappelijke situatie van Surinaamse bevolkingsgroepen in Nederland
https://www.cbs.nl/N[...]
CBS
[14]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e, selon la communauté par commune et Province de résidence
http://www.isee.nc/r[...]
[15]
웹사이트
Meeting Javanese People in Thailand
https://unair.ac.id/[...]
2022-07-12
[16]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17]
웹사이트
Javanese
//www.merriam-webste[...]
[18]
서적
Piwulang Basa Jawa Pepak
https://books.google[...]
Grafindo Litera Media
[19]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12
[20]
웹사이트
Javanese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0
[21]
논문
Javanization of Indonesian politics
https://circle.ubc.c[...]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2]
서적
Muslims of Sri Lanka: avenues to antiquity
Jamiah Naleemia Inst.
[23]
서적
Cape Malay Cookbook
https://books.google[...]
Struik
[24]
서적
The music of Malaysia: the classical, folk, and syncretic traditions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25]
서적
The Shadow Puppet Theatre of Malaysia: A Study of Wayang Kulit with Performance Scripts and Puppet Desig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6]
웹사이트
Publication Name:
http://sp2010.bps.go[...]
[27]
서적
Understanding Arabs: A Guide For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Intercultural Press
[28]
문서
Bengali Muslims population in Bangladesh and India, Bangladeshis in Middle East, Pakistan, and UK
[29]
서적
Punjab: A History from Aurangzeb to Mountbatten
Aleph Book Company
[30]
서적
Austronesian diaspora and the ethnogeneses of people in Indonesian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Yayasan Obor Indonesia
[31]
서적
ISSUES IN TRADITIONAL MALAYSIAN CULTURE
https://books.google[...]
Partridge Singapore
2013-04-26
[32]
서적
Muslims of Sri Lanka: avenues to antiquity
Jamiah Naleemia Inst.
[33]
서적
Cape Malay Cookbook
https://books.google[...]
Struik
[34]
서적
Gamelan music of Indone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5]
문서
[36]
웹사이트
Pemetaan Genetika Manusia Indonesia
http://assets.kompas[...]
2017-09-05
[37]
서적
Borobudur: Golden Tales of the Buddha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38]
서적
Cambridge history of South East Asia: From early times to c.15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뉴스
Kisah Mataram di Poros Kedu-Prambanan - Kompas.com
https://nasional.kom[...]
2012-02-18
[40]
문서
Degroot 2009, p. 2
[41]
문서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42]
문서
Ligor inscription
[43]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4]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5]
학술지
The Problem of the Ancient Name Java and the Role of Satyavarman in South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round the Turn of the Ninth Century CE
https://hal.archives[...]
[46]
서적
The Muslim world: a historical survey, Part 4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81-12-31
[47]
뉴스
Tracing the glory of Majapahit
http://www.thejakart[...]
2013-04-09
[48]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Indonesia and East Timor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49]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2nd Edition
MacMillan
[50]
서적
Runtuhnya kerajaan Hindu-Jawa dan timbulnya negara-negara Islam di Nusantara
LKiS
[51]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e Pires: an account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52]
학술지
Adam and Eve and Vishnu: Syncretism in the Javanese Slametan
https://www.jstor.or[...]
1996
[5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Indonesia
Brill Publishers
[54]
학술지
The Terminology of Javanese Kinship
https://www.jstor.or[...]
1987
[55]
학술지
Internalization of the Pesisiran Javanese Cultural Values through Fine Art Education at One Roof State Primary-Secondary Schools in Wedung Village, Demak Regency
https://journal.unne[...]
2018-06-01
[56]
학술지
A Social History of Language Change in Highland East Java
https://www.jstor.or[...]
1989
[57]
서적
The music of Malaysia: the classical, folk, and syncretic traditions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58]
서적
The Shadow Puppet Theatre of Malaysia: A Study of Wayang Kulit with Performance Scripts and Puppet Desig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59]
서적
Javanese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60]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9th to 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1]
서적
Shifting languages: interaction and identity in Javanese Indone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Falsafah Jawa Soeharto & Jokowi
Araska
[63]
서적
Suharto's Indonesia
Fontana
[64]
간행물
Prambanan and Sewu Exhibition: Safeguarding a Common Heritage of Humanity
2010-01-15
[65]
웹사이트
Trowulan – Former Capital City of Majapahit Kingdom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2009-10-06
[66]
서적
Kraton Jogja: th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Kraton Yogyakarta, Indonesia Marketing Association
[67]
서적
Indonesia handbook, Volume 3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68]
서적
Behind the postcolonial: architecture, urban space, and political cultures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70]
서적
Everyday Life in Asia: Social Perspectives on the Sens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71]
서적
Language learners in study abroad context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72]
서적
Djakabaia: Djalan-djalan dan Makan-makan
https://books.google[...]
Gramedia Pustaka Utama
[73]
서적
Tempat Makan Favorit di 6 Kota
https://books.google[...]
AgroMedia
[74]
서적
Indones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75]
서적
Indonesia OK!!: the guide with a gentle twist
https://books.google[...]
Galangpress Group
[76]
서적
Reformist Muslims in Yogyakarta Village: the Islamic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socio-religious life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77]
서적
Indonesian Regional Food and Cookery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Ltd.
[78]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ISEA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9]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ISEA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80]
서적
The religion of Jav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1]
서적
Atlas Walisongo
https://archive.org/[...]
Pustaka IIMaN
[82]
서적
Indo-Islamic society, 14th–15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83]
학술지
The Introduction of Islam into Champa
1985
[84]
서적
Varieties of Javanese religion: an anthropological accou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서적
Agriculture in crisis: people, commodities and natural resources in Indonesia, 1996–20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86]
서적
The Phantom Voyagers: Evidence of Indonesian Settlement in Africa in Ancient Times
Thurlton
[87]
학술지
Early Voyaging in the South China Sea: Implications on Territorial Claims
2015-08
[88]
서적
Memoirs of the Research Department
https://books.google[...]
Toyo Bunko
[89]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100 Years Development of Krakatau and Its Surroundings, Jakarta, 23–27 August 1983
https://books.google[...]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90]
서적
Journal
https://books.google[...]
[91]
서적
Early South East Asia: essays in archaeology, history, and historic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2]
서적
South-east Asia: a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Methuen
[93]
서적
Anuson Walter Vell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Center for Asian and Pacific Studies
[94]
서적
Bulletin de l'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https://books.google[...]
L'Ecole
[95]
서적
Đông Nam Á sử lược
https://books.google[...]
Pacific Northwest Trading Company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Dominion Over Palm and Pine: Early Indonesia's Maritime Reach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04]
서적
Nusa Jawa: Silang Budaya, Bagian 2: Jaringan Asia
Gramedia Pustaka Utama
[105]
학술지
Analysing the Presence of Enslaved Black People in Ancient Java Society
http://dx.doi.org/10[...]
2022
[106]
논문
Black Africans on the maritime silk route
http://dx.doi.org/10[...]
2017
[107]
서적
中国与南海周边关系史 (History of China's Relations with the South China Sea)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108]
논문
Contrasting Linguistic and Genetic Origins of the Asian Source Populations of Malagasy
http://dx.doi.org/10[...]
2016-05-18
[109]
논문
A small cohort of Island Southeast Asian women founded Madagascar
2012
[110]
서적
Majapahit Peradaban Maritim
Suluh Nuswantara Bakti
[111]
간행물
The Vanishing Jong: Insular Southeast Asian Fleets in Trade and War (Fifteenth to Seventeenth Centuri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112]
서적
The travels of Ludovico di Varthema in Egypt, Syria, Arabia Deserta and Arabia Felix, in Persia, India, and Ethiopia, A.D. 1503 to 1508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13]
문서
Cartas de Affonso de Albuquerque, Seguidas de Documentos que as Elucidam tomo I
https://archive.org/[...]
Typographia da Academia Real das Sciencas
1884
[114]
논문
A sixteenth century Portuguese report concerning an early Javanese world map
https://www.scielo.b[...]
1996
[115]
서적
Early Mapping of Southeast Asia: The Epic Story of Seafarers, Adventurers, and Cartographers Who First Mapped the Regions Between China and India
Tuttle Publishing
2012
[116]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 an account of the East, from the Red Sea to Japan, written in Malacca and India in 1512–1515 ; and, the book of Francisco Rodrigues, rutter of a voyage in the Red Sea, nautical rules, almanack and maps, written and drawn in the East before 1515 volume I
https://archive.org/[...]
The Hakluyt Society
[117]
웹사이트
Majapahit-era Technologies
https://www.nusantar[...]
2018-10-02
[118]
간행물
Da Ásia: Década Quarta
Regia Officina Typografica
1645
[119]
간행물
Eksplorasi Sumberdaya Budaya Maritim
Pusat Riset Wilayah Laut dan Sumber Daya Nonhayati, Badan Riset Kelautan dan Perikanan; Pusat Penelitian Kemasyarakatan dan Budaya, Universitas Indonesia
[12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Fourth Edition (E-Book version)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21]
논문
Indonesia and Africa: questioning the origins of some of Africa's most famous icons
July 2006
[122]
서적
The Phantom Voyagers: Evidence of Indonesian Settlement in Africa in Ancient Times
Thurlton
[123]
논문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September 1980
[124]
논문
Trading Ships of the South China Sea. Shipbuilding Techniques and Their Role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sian Trade Networks
1993
[125]
논문
An Obscure Passage from the "Periplus: ΚΟΛΑΝΔΙΟϕΩΝΤΑ ΤΑ ΜΕΓΙΣΤΑ"
1957
[126]
서적
Water Transport: Origins & Early Evolution
https://archive.org/[...]
David & Charles
[127]
서적
The Phantom Voyagers: Evidence of Indonesian Settlement in Africa in Ancient Times
Thurlton
[128]
서적
Charting the Shape of Early Modern Southeast Asia
Silkworm Books
[129]
논문
Re-Estimating the Size of Javanese Jong Ship
https://archive.org/[...]
2022
[13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 an account of the East, from the Red Sea to Japan, written in Malacca and India in 1512–1515 ; and, the book of Francisco Rodrigues, rutter of a voyage in the Red Sea, nautical rules, almanack and maps, written and drawn in the East before 1515 volume II
https://archive.org/[...]
The Hakluyt Society
[132]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ume One: The Lands Below the Wind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8
[133]
서적
Technology, Skills and the Pre-Modern Economy in the East and the West
BRILL
[134]
간행물
The Shipping Lists of Dutch Melaka: A Source for the Study of Coastal Trade and Shipping in the Malay Peninsul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Persatuan Muzium Malaysia
1986
[135]
서적
Surviving Against the Odds: Village Industry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3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1, From Early Times to C.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7]
서적
Budaya Bahari
Gramedia Pustaka Utama
[138]
간행물
Chinese explorations of the Indian Ocean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1876
[139]
논문
L'Artillerie legere nousantarienne: A propos de six canons conserves dans des collections portugaises
https://halshs.archi[...]
1976
[140]
서적
A Description of the Coasts of East Africa and Malabar in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Century by Duarte Barbosa
https://archive.org/[...]
The Hakluyt Society
[141]
서적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books.google[...]
JHU Press
1999
[142]
서적
Anthony Reid and the Study of the Southeast Asian Past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43]
서적
A Descriptive Dictionary of the Indian Islands and Adjacent Countries
https://archive.org/[...]
Bradbury and Evans
[14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7, Military Technology: The Gunpowder Ep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5]
논문
Kota Gede : le devenir identitaire d'un quartier périphérique historique de Yogyakarta (Indonésie); Le voyage inachevé... à Joël Bonnemaison
http://trove.nla.gov[...]
ORSTOM
2012-04-20
[146]
논문
Literary Representations of War and Warfare in Old Javanese Kakawin Poetry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2014
[147]
서적
Hikayat Majapahit – Kebangkitan dan Keruntuhan Kerajaan Terbesar di Nusantara
Elex Media Komputindo
[148]
서적
Ancient Southeast Asia
Routledge
2017
[149]
웹사이트
A Chinese Gazetteer of Foreign Lands: A new translation of Part 1 of the Zhufan zhi 諸蕃志 (1225)
https://storymaps.ar[...]
2023-10-19
[150]
학술지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Javanese Batik: A Bibliographic Essay
https://www.jstor.or[...]
1993
[151]
웹사이트
UNESCO - Indonesian Batik
https://ich.unesco.o[...]
2022-05-15
[152]
뉴스
In a Central Java town, local wood enterprises carve a niche in the global market – CIFOR Forests News
https://forestsnews.[...]
2018-06-01
[153]
서적
The Indonesian migrations to Madagascar: making sense of the multidisciplinary evidence
https://books.google[...]
Melbourne Institute of Asian Languages and Societies, The University of Melbourne
[154]
학술지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1993
[155]
학술지
A chronology for late prehistoric Madagascar
2004-08
[156]
학술지
Indonesian Influence on East African Culture
1934-12
[157]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158]
서적
Bali handbook with Lombok and the Eastern Isles: the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159]
문서
''Luca'' ''antara'': i.e. ''Nusa'' ''antara'', the southern land which Eredia claims to have discovered
[160]
문서
According to Ferrand, the word ''nusa'' is only used in Java, Madura, and Madagascar (nusi); elsewhere, island is generally represented by the name ''pulaw'', ''pulo'', or some dialectical variant thereof.
[161]
문서
Mills (1930). p. 3.
[162]
문서
Likely what he meant here might be the Sundanese or the Cirebonese people, an Austronesian ethnic group with mixed culture of Javanese and Sundanese (heavier influence from Javanese).
[163]
서적
A descriptive dictionary of the Indian islands & adjacent countries
https://archive.org/[...]
Bradbury & Evans
[164]
학술지
Tracing Javanese Identity And Culture In Malaysia Asimilation And Adaptation Of Javanese In Malaysia
[165]
학술지
Javanese-Malay: Between Adaptation and Alienation
[166]
서적
Singapore,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13-02-17
[167]
서적
Religions and missionaries around the Pacific, 1500–1900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168]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
학술지
Indonesians overseas – deep histories and the view from below
https://scholars.uow[...]
2019-12-28
[170]
문서
Taylor (2003), p. 7.
[171]
서적
Suharto's Indonesia
Fontana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