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9년 북로데시아 협회로 시작하여 1964년 독립 후 현재에 이르렀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1994년 월드컵 예선 중 선수 18명이 사망하는 항공기 참사로 인해 본선 진출의 기회를 놓쳤다. 주요 국제 대회로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하계 올림픽 등이 있으며, COSAFA컵과 세카파컵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비아의 축구 -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는 1993년 4월 27일 가봉 리브르빌 인근 해상에서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태운 항공기가 추락하여 30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조종사 실수로 인한 엔진 정지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 잠비아의 축구 - 잠비아 축구 협회
    잠비아 축구 협회는 1929년에 설립되어 FIFA에 가입했으며, 잠비아 프리미어리그를 운영하고 국가대표팀을 관리하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했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
로고
별칭치폴로폴로 (구리 탄환)
협회잠비아 축구 협회 (FAZ)
하위 연맹COSAFA (남아프리카)
연맹CAF (아프리카)
감독아브람 그란트
주장루밤보 무손다
최다 출장 선수케네디 음웨네 (122)
최다 득점자고드프리 치탈루 (79)
홈 경기장레비 음와나와사 스타디움
FIFA 트리그램ZAM
FIFA 최고 랭킹15위
FIFA 최고 랭킹 날짜1996년 2월 – 1996년 5월, 1996년 8월
FIFA 최저 랭킹102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1년 2월
Elo 최고 랭킹27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94년 4월 6일
Elo 최저 랭킹106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09년 10월
첫 경기0–4 }}
최대 점수차 승리11–2
최대 점수차 패배10–1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18
첫 출전1974년
최고 성적우승 (2012년)
COSAFA컵
출전 횟수19
첫 출전1997년
최고 성적우승 (1997년, 1998년, 2006년, 2013년, 2019년, 2022년, 2023년)
포 네이션스 풋볼 토너먼트
출전 횟수1
첫 출전2024년
최고 성적3위 (2024년)
메달

2. 역사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9년 영국령 북로데시아 축구 협회로 설립되었으며, 1964년 잠비아가 독립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가봉에서 개최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6]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아직 없지만, 199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본선 진출에 근접했었다. 그러나 1993년 4월 28일, 세네갈과의 원정 경기를 위해 이동하던 중 비행기가 가봉 해역에 추락하여 대표 선수 18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하면서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6] (가봉 항공 참사 참고) 당시 칼루샤 부왈리아를 비롯한 몇몇 선수들은 소속팀에서 바로 현지로 합류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

이후 잠비아 대표팀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승부차기 끝에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감격적인 첫 우승을 차지하며, 1993년의 비극을 딛고 일어선 모습을 보여주었다.[6]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공급업체와 기간은 다음과 같다.

유니폼 공급업체기간
-- 아디다스1993–1996
-- 푸마1997–2000
-- 디아도라2001–2002
-- 엄브로2003
-- 나이키2004–2015
-- 카파2016
-- 마프로2017
-- 코파2018–


2. 1.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

1993년 4월 27일,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세네갈과의 원정 경기를 위해 세네갈로 향하던 중이었다. 그러나 비행기가 가봉 공화국의 수도 리브르빌 인근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탑승객 30명 전원(승무원 5명, 승객 25명)이 사망했다.[2] 사고 원인은 기내 화재 진압 중 조종사가 실수로 엔진을 잘못 끈 것으로 밝혀졌다.[2]

당시 잠비아 대표팀은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아프리카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었으나, 세네갈로 향하던 비행기가 가봉 해역에 추락하면서 대표 선수 18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발생했고, 결국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6]

사고기는 잠비아 공군 소속의 버팔로 DHC-5D(등록번호: AF-319) 기종이었다. 연료 보급을 위해 3번의 경유를 계획했는데, 첫 번째 경유지인 브라자빌에서 이미 엔진 문제가 발생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행은 계속되었고, 리브르빌을 이륙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엔진 하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2] 전날 모리셔스에서 비행했던 조종사는 실수로 작동 중이던 다른 엔진을 꺼버렸고, 이로 인해 비행기는 동력을 잃고 해안에서 500m 떨어진 바다에 추락했다.[2]

당시 대표팀의 에이스였던 칼루샤 부왈리아(당시 PSV 소속) 등 몇몇 선수들은 소속팀에서 바로 현지로 합류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다행히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

2. 2. 1994-2012: 재건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94년 6월 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잠비아는 벨기에에게 9-0으로 패하며 역사상 최악의 패배 중 하나를 겪었다. 1996년 CAN에서 잠비아는 부르키나파소를 5-1(케네스 말리톨리, 칼루샤 부왈야의 멀티골, 데니스 로타와 존슨 부왈야의 골), 시에라리온을 4-0(칼루샤 부왈야의 해트트릭, 모르돈 말리톨리의 골)으로 이기고, 알제리와 0-0으로 비기며 조 1위를 차지했다. 8강전에서 이집트를 3-1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튀니지에게 2-4로 패했다. 하지만 가나를 1-0(존슨 부왈야의 골)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칼루샤 부왈야는 5골로 대회 최고 선수였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잠비아는 2004년 예선 탈락을 제외하고는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2006년 9월 3일, 잠비아는 홈에서 지부티를 10-0으로 이기며 역사상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잠비아는 수단에 3-0 (제임스 차망가, 야곱 물렌가, 펠릭스 카통고의 골), 이집트와 1-1 (크리스 카통고의 골), 카메룬에 1-5 (크리스 카통고의 골)로 조 3위로 대회를 마쳤다. 2010년, 잠비아는 조 1위를 차지했고 8강에서 나이지리아를 만나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야곱 물렌가와 엠마누엘 음볼라는 토너먼트 베스트 11에 포함되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잠비아는 조별 리그에서 세네갈을 2-1, 리비아와 2-2, 적도 기니를 1-0으로 이기며 조 1위로 진출했다. 8강전에서 수단을 3-0, 준결승에서 가나를 1-0으로 꺾고, 결승전에서 코트디부아르와 0-0 무승부 후 연장전을 거쳐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6]

2. 3. 유니폼 공급업체

유니폼 공급업체기간
-- 아디다스1993–1996
-- 푸마1997–2000
-- 디아도라2001–2002
-- 엄브로2003
-- 나이키2004–2015
-- 카파2016
-- 마프로2017
-- 코파2018–


3. 국제 대회 경력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는 잠비아 대표팀에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를 위해 세네갈로 이동하던 중 군용기가 추락하여 선수 18명을 포함한 30명 전원이 사망했다.[2] 이 비극적인 사건에도 불구하고, 잠비아 대표팀은 1994년 6월 3일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0-9로 대패하며 역사상 최악의 패배 중 하나를 기록했다.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칼루샤 부왈야의 눈부신 활약으로 3위를 차지했다. 칼루샤 부왈야는 5골을 기록하며 대회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다.[2] 그러나 1998년부터 2006년까지는 2004년 예선 탈락을 제외하고는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06년 9월 3일에는 지부티를 10-0으로 대파하며 역사상 가장 큰 승리를 기록했다.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고, 2010년 대회에서는 8강에서 나이지리아에게 승부차기 끝에 아쉽게 패했다. 야곱 물렌가와 엠마누엘 음볼라는 이 대회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잠비아 축구 역사에 길이 남을 대회였다. 조별 리그를 1위로 통과한 잠비아는 8강에서 수단을 3-0, 준결승에서 가나를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코트디부아르와 연장전까지 0-0으로 팽팽히 맞선 후,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감격적인 첫 우승을 차지했다.

3. 1. FIFA 월드컵

잠비아는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라운드에서 세이셸을 상대로 1승 1무를 기록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최종 예선에서 10경기 6승 1무 3패, 조 3위로 잠비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7]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 ~ 1962년FIFA 미가맹국
1966년불참[7]
1970년 ~ 2022년예선 탈락
합계



연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 ~ 1962년FIFA 미가맹국
1966년불참[8]
1970년2101663
1974년10433191115
1978년63129510
1982년4211627
1986년6213867
1990년6303769
1994년851217516
1998년832310811
2002년10523161117
2006년12723211123
2010년103344612
2014년632111411
2018년842211714
2022년621389
합계9645203114588155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8위 (아프리카 6위)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잠비아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17번 출전했다. 2012년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를 승부차기 끝에 8-7로 꺾고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다.[11] 1974년199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고,[11] 1982년, 1990년, 1996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개최국 / 연도성적개최국 / 연도성적개최국 / 연도성적
1957불참 1978조별 리그 탈락 1998조별 리그 탈락 2017예선 탈락
1959 1980예선 탈락 2000 2019
1962 19823위 2002 2021
1963 1984예선 탈락 2004예선 탈락 2023조별 리그 탈락
1965 1986조별 리그 탈락 2006조별 리그 탈락
1968 1988기권 2008
1970예선 탈락 19903위 20108강
1972 19928강 2012우승
1974준우승 1994준우승 2013조별 리그 탈락
1976예선 탈락 19963위 2015


3. 3.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초대 대회인 2009년 대회에서 3위에 입상했고 2016년201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대회결과
20093위
20168강
20188강


3. 4. 하계 올림픽

잠비아는 올림픽 축구 본선에 2번 출전했다. 1988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는데, 이 과정에서 FIFA 월드컵 3회 우승팀인 이탈리아를 4-0으로 대파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4년불참
1968년진출 실패
1972년
1976년
1980년조별리그15위3003260
1984년
1988년8강5위42111067
1992년진출 실패
1996년
2000년
2004년
2008년
2012년
2016년
합계2회 진출(2/14)8강(1회)721412127


3. 5. 기타 국제 대회

COSAFA컵에서는 9번의 대회에서 4번의 우승과 5번의 준우승을 차지했고 세카파컵에서도 7번의 대회에서 2번의 우승과 5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1]

연도COSAFA 컵 기록
결과경기득점실점
1997우승5320114
1998우승532052
1999준결승201112
20008강211030
2001준결승312032
2002준결승210131
2003준결승211053
2004준우승321031
2005준우승421173
2006우승440081
2007준우승211030
20083위311121
2009준우승320143
2013우승321051
20158강311131
20168강101000
2017준우승320176
2018준우승311134
2019우승321032
2021조별 리그411234
2022우승321064
2023우승540195
2024조별 리그300305
합계7회 우승


  • '''COSAFA컵'''
  • '''우승 (7):''' 1997, 1998, 2006, 2013, 2019, 2022, 2023
  • 준우승 (6): 2004, 2005, 2007, 2009, 2017, 2018
  • 3위 (1): 2008
  • '''CECAFA컵'''
  • '''우승 (2):''' 1984, 1991
  • 준우승 (5): 1976, 1977, 1978, 1988, 2006
  • 3위 (5): 1973, 1974, 1981, 1992, 2013

4. 선수 기록

'''굵은 글씨'''는 현재 잠비아에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선수를 나타낸다.

순위선수출장경력
1케네디 음위니12222004–2021
2데이비드 차발라11501983–1993
3고드프리 치탈루111791968–1980
4조셉 무손다10802002–2014
5레인포드 칼라바103152005–2018
5크리스토퍼 카톤고103232003–2016
7알렉스 촐라102431975–1985
8엘리야 타나10141995–2009
9더비 마킨카98101985–1993
10스토필라 선주9662008–현재

[5]

5. 주요 선수

순위선수출장경력
1케네디 음위네12222004–2021
2데이비드 차발라11501983–1993
3고드프리 치탈루111791968–1980
4조셉 무손다10802002–2014
5레인포드 칼라바103152005–2018
크리스토퍼 카통고103232003–2016
7알렉스 촐라102431975–1985
8엘리야 타나10141995–2009
9더비 마킨카98101985–1993
10스토필라 순주9662008–현재


  • 스토필라 순주
  • 네이선 싱칼라
  • 저스틴 숑가
  • 토스터 은사바타
  • 카바소 총고
  • 도나샤노 말라마
  • 어거스틴 물렝가
  • 에번스 캉그와
  • 케네디 음위네
  • 애드리언 차마
  • 어니스트 음베웨
  • 이매뉴얼 마유카
  • 펠릭스 카통고
  • 에녹 음웨페
  • 조세프 무손다 (2002-2014)
  • 찰스 무손다 (1988-1993)
  • 아이작 찬사 (2004-)
  • 후와요 템보 (2008-)
  • 고드프리 치탈루 (1968-1980)
  • 버나드 찬다 (1970-1980)
  • 피터 카움바 (1979-1983)
  • 칼루샤 부와야 (1983-2004)
  • 케네스 말리톨리 (1988-1999)
  • 제이콥 무렌가 (2004-2014)
  • 파토손 다카 (2015-)

6. 역대 감독

다음은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이름국적재임 기간비고
테드 비르바1978
브라이언 타일러1978–1980
테드 두미트루1980–1981
안테 부셀리치1981–1982
빌 맥개리1982–1983
비에스와프 그라보프스키1983–1984
제프 버틀러1984
로이 물렌가1984
브라이트웰 반다1984–1986
사무엘 은들로부1987–1992선수 겸 감독 (1967-1969)
모세스 심왈라1993
고드프리 치탈루1993
로알드 폴센1993–1994, 1994–1996, 2002
이언 포터필드1994
프레디 므윌라1996–1997
조지 뭉가1997임시 감독
부르크하르트 지에제1997–1998
조지 뭉가1998임시 감독
오비 카피타1998임시 감독
피톤 시무콘다1998
벤 밤푸칠레1999–2000
조지 뭉가2000임시 감독
얀 브라우어2000–2001
패트릭 피리2002–2003, 2006–2008
칼루샤 부왈랴2003–2006선수 겸 감독
에르베 르나르2008–2010, 2011–2013
웨드슨 니렌다 & 호너 얀자&2010
조지 르완다미나2010
다리오 보네티2010–2011
파트리스 보멜2013–2014
호너 얀자2014–2015
조지 르완다미나2015–2016
웨드슨 니렌다2016–2018
베스톤 챔베시2018, 2021–2022
스벤 반덴브루크2018–2019
아그리 치양기2019–2020
밀루틴 스레도예비치2020–2021
알요샤 아사노비치2022
모세스 시코네2022임시 감독
아브람 그란트2022–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Zambian National Team http://www.fazfootba[...] Football Association of Zambia 2016-10-29
[2] 잡지 Zambia's remarkable journey makes them winners regardless http://fourfourtwo.c[...] 2012-02-12
[3] 웹사이트 CAF releases Top XI of Orange CAN http://www.cafonline[...] 2021-10-18
[4] 웹사이트 Final Squad https://x.com/FAZFoo[...] Football Association of Zambia
[5] 웹사이트 Zamb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6-01-01
[6] 잡지 エンブレムの世界 File183 ザンビア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7] 문서 잠비아 축구협회 창설 이전
[8] 문서 잠비아 축구협회 창설 이전
[9] 문서 잠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10] 문서 잠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11]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1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3]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