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기군은 신라 시대 지답현으로 시작하여,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경주부의 영현으로 존재했다. 1895년 동래부 장기군으로, 이듬해 경상북도 장기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일군과 경주군으로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역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포항시의 역사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김산군
    김산군은 신라시대 풍무현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에 통합되어 김천시 행정구역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마전군
    마전군은 현재 연천군 지역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신라 시대 임단현으로 개칭되었다가 고려 시대에 마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연천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장기군
지도
기본 정보
한자 표기長鬐郡
로마자 표기Janggi-gun
위치경상북도 남동부 해안
존속 기간1417년 ~ 1914년
폐지 이유부군면 통폐합
현재포항시 남구 일부 지역
역사
시대조선 시대
1417년장기현에서 승격
1895년23부제 시행으로 대구부 관할
1896년경상북도 관할
1914년영일군에 통합
행정 구역
장기면
동해면
남면
도서 지역장기곶
영일만 일대
기타
특징해안 지역, 군사적 요충지
관련 링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장기군

2. 역사


  • 삼국 시대에는 신라의 지답현(只沓県)이었다.[1]
  • 경덕왕 16년(757년) 기립현(鬐立縣)으로 개명되었고, 의창군(義昌郡)의 일부가 되었다.[1]
  • 고려 태조 13년(930년) 장기현(長鬐県)으로 개칭되었고, 현종 9년(1018년)에는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1]
  • 조선 시대 장기현에는 종육품 현감이 임명되었고, 경주부의 영현(領県)이었다.[1]
  • 1765년 당시 장기현은 읍내면, 서면, 북면의 3면을 관할하였다. (1789년에는 현내면 35방, 서면 15방, 북면 36방의 3면 86방, 1832년에는 현내면 13리, 서면 10리, 북면 14리의 3면 37리였다.)[1]
  •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장기현은 장기군으로 개편되어 동래부(東萊府)에 속했고, 3면 49리를 관할하였다.[2]
  •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장기군은 경상북도의 관할이 되었다.[3]
  • 1906년 경주군 동해면을 편입하여 내남면(후의 양북면)과 양남면으로 나뉘었고, 장기군 북면도 내북면과 외북면으로 나뉘어 총 6면이 되었다.
  • 일제강점기1912년 장기군은 6면 135리(현내면: 30, 내남면: 33, 양남면: 15, 서면: 26, 내북면: 17, 외북면: 14)를 관할하였고, 군청 소재지는 현내면 동부리에 있었다.
  • 1914년 3월 1일 내남면·양남면(합쳐서 옛 동해면)은 양북면·양남면으로 되어 경주군에 환원되었다. 잔여 지역인 현내면·내북면·외북면·서면의 4면은 창주면(내북면과 외북면을 16동으로), 장기면(현내면을 12동으로), 봉산면(서면을 11동으로)의 3면으로 폐합되어 장기군은 다른 군과 통합하여 영일군이 되었고, 장기군은 폐지되었다.

2. 1. 신라 시대

신라 시대에는 지답현(只沓縣)이었다.[1] 757년 기립현(鬐立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의창군(흥해)의 영현이 되었다.[1]

2. 2. 고려 시대

신라 지답현(只沓縣)이었다가 757년 기립현(鬐立縣)으로 개칭하고 의창군(義昌郡: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1] 고려 태조 13년(930년) 장기현으로 개칭하였고, 현종 9년(1018년)에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1] 공양왕 2년(1390년) 감무를 파견하여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2. 3. 조선 시대

신라 때 지답현(只沓縣)이었다가 757년 기립현(鬐立縣)으로 고쳐 의창군(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태조 13년(930년) 장기현으로 고쳤고, 현종 9년(1018년)에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 공양왕 2년(1390년) 감무를 파견하여 주현으로 승격하였다.[1] 조선시대에는 종육품에 해당하는 현감이 임명되었고, 경주부의 영현(領県)이었다.[1]

1765년 당시 장기현은 읍내면, 서면, 북면의 3면을 관할하였다. 1789년에는 현내면 35방, 서면 15방, 북면 36방의 3면 86방, 1832년에는 현내면 13리, 서면 10리, 북면 14리의 3면 37리였다.[1]

2. 4. 일제강점기 및 근대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장기군 현내면(縣內面)영일군 장기면
장기군 서면(西面)영일군 봉산면
장기군 외북면(外北面), 장기군 내북면(內北面)영일군 창주면
장기군 내남면(內南面)경주군 양북면
장기군 양남면(陽南面)경주군 양남면


3. 1914년 이후 행정 구역 변천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장기군은 폐지되고, 면(面)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이때 장기군 지역은 영일군과 경주군으로 나뉘어 편입되었다.[1]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한다.


  • 영일군 편입: 현내면은 장기면, 서면은 봉산면, 외북면과 내북면은 창주면(현 구룡포읍, 대보면)으로 개편되었다.
  • 경주군 편입: 내남면은 양북면, 양남면은 그대로 양남면으로 편입되었다.

3. 1. 영일군 편입 지역 (현 포항시)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장기군 현내면(縣內面)영일군 장기면 (계원리, 금곡리, 두원리, 마현리, 방산리, 산서리, 수성리, 신창리, 양포리, 영암리, 읍내리, 임중리)
장기군 서면(西面)영일군 봉산면 (금오리, 대곡리, 대진리, 모포리, 서촌리, 신계리, 정천리, 죽정리, 창지리, 학계리, 학곡리)
장기군 외북면(外北面)영일군 창주면 (강사리, 구룡포리, 눌태리, 대보리, 삼정리, 석병리, 후동리, 공당리, 구평리, 병포리, 상정리, 성동리, 장길리, 중산리, 중흥리, 하정리)
장기군 내북면(內北面)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장기군에서 영일군으로 편입된 곳은 현내면, 서면, 외북면, 내북면이다. 현내면은 장기면으로, 서면은 봉산면이 되었고 외북면과 내북면은 창주면으로 통합되었다. 창주면은 이후 구룡포읍과 대보면으로 분리되었다.[1]

3. 2. 경주군 편입 지역 (현 경주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기군 내남면은 경주군 양북면으로 편입되었다. 해당 지역은 다음과 같다.[1]

구 장기군 내남면현 경주시 양북면
안포리/전동리 일부, 구길리, 권리동, 상정리/고라리, 노동리, 가곡리/대본리, 두산리, 범곡리, 봉길리, 송전리, 안동리, 어일리/신기리, 연동리/오류동/창사리, 중기리/와읍리, 용담리/원당리, 용동리, 입천리, 장항리/(경주군 외동면)상신리 일부, 전동리 일부, 장진동/전촌리/법동리, 죽전리, 팔조리, 호동리, 호암리감포리, 구길리, 권이리, 나정리, 노동리, 대본리, 두산리, 범곡리, 봉길리, 송전리, 안동리, 어일리, 오류리, 와읍리, 용당리, 용동리, 입천리, 장항리, 전동리, 전촌리, 죽전리, 팔조리, 호동리, 호암리



같은 시기, 장기군 양남면은 경주군 양남면으로 편입되었다. 해당 지역은 다음과 같다.[1]

구 장기군 양남면현 경주시 양남면
기구리, 나산리, 나아리, 상계리, 상라리, 서동리, 석촌리, 석읍리, 수렴리, 신대리 일부, 신서리, 읍천리/죽전리, 하서리, 환서리, 효동리기구리, 나산리, 나아리, 상계리, 상라리, 서동리, 석촌리, 석읍리, 수렴리, 신대리, 신서리, 읍천리, 하서리, 환서리, 효동리


참조

[1] 웹사이트 연혁 :: 장기면 http://janggi.ipohan[...] 浦項市南区長鬐面 2014-05-26
[2] 법률 勅令第98号・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 법률 勅令第36号・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