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산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산절은 캄브리아기의 지층 절로, 두변 B 단면이 GSSP로 지정되어 있다. Lotagnostus americanus의 첫 출현을 상한 표지로 설정하자는 제안이 있으며, 카자흐스탄의 크르샤바크티 단면이 보조 경계 층서 단면 및 지점 후보로 승인되었다. 장산절 초기에는 종 다양성의 정점이 있었고, 멸종으로 인해 종 다양성이 감소했다. 장산절 퇴적층에서는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한국의 장산절 GSSP는 장산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두변 마을 서쪽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산절 | |
---|---|
지리 정보 | |
좌표 | 28°48′57.48″N 118°36′53.76″E |
일반 정보 | |
이름 형식 | 공식 |
사용 | 전 세계 (국제 층서 위원회) |
연대 단위 | 절 |
층서 단위 | 층 |
제안자 | 불명 |
시대 격식 | 공식 |
하위 경계 정의 | FAD 삼엽충 아그노스토테스 오리엔탈리스 |
하위 GSSP 위치 | 두이롄 B 구역, 저장성장산 현 |
하위 GSSP 좌표 | 28.815967°N 118.614933°E |
하위 GSSP 승인 날짜 | 2011년 |
상위 경계 정의 |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음 |
상위 정의 후보 | 삼엽충 로타그노스투스 아메리카누스의 FAD |
상위 GSSP 후보 | 저장성장산 현 |
지질 시대 | |
시간 시작 | 약 4억 9400만 년 전 |
시간 종료 | 약 4억 8950만 년 전 |
시대 | 캄브리아기 |
포함된 시대 | 일부 |
포함하는 시대 | 일부 |
이름 공식 | 공식 |
이름 승인 날짜 | 2011년 |
대체 표기 | 없음 |
동의어 | 없음 |
별명 | 없음 |
이전 이름 | 캄브리아기 제9절 |
제안된 이름 | 없음 |
천체 | 지구 |
사용법 | 전 지구 (국제 층서 위원회) |
사용된 시간 척도 | ICS 시간 척도 |
이전 사용자 | 없음 |
미사용자 | 없음 |
시대 단위 | 절 |
층서 단위 | 층 |
기타 | |
산소 농도 | 알 수 없음 |
이산화탄소 농도 | 알 수 없음 |
온도 | 알 수 없음 |
해수면 높이 | 알 수 없음 |
2. 지층학
장산절의 GSSP는 장산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두변 마을 서쪽에 있는 "두변 B 단면"이다. 이 노두는 화엄사층에 속한다.[3] 상한(10기의 기저)은 ICS에 의해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았지만, Lotagnostus americanus의 첫 출현을 표지로 설정하자는 제안이 있다.[4]
구장절-파이절 멸종 이전, 장산절 초기에는 구장절 중기에 관찰된 것과 비슷한 종 다양성의 정점이 있었다. 약 493.9 Ma에서 491.3 Ma까지 지속된 장산절 멸종은 종 다양성을 55.2% 감소시켰다. 이는 오르도비스기 시작 직후에 끝난 종 풍부도의 비교적 작은 변동 간격으로 이어졌다.[4]
장산절 퇴적층에서는 약 50개의 화석 속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중국 남부 광시의 싼두 층에서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조류, 필석류, 자포동물인 ''Sphenothallus'', 고생충류의 한 종, 그리고 아글라스피드류, 몰리소니드류, "이매패" 형태를 포함하는 절지동물이 있다.[8] 희귀한 후르디아가 장산절 지층의 싼두 층과 폴란드의 비스니우프카 사암 층에서 발견되었다.[8][9] 삼엽충인 ''Parabolina'', ''Hedinaspis'', ''Eugonocare'' 및 ''Cermatops'', 그리고 ''Pseudagnostus''와 ''Rhaptagnostus''를 포함한 무두류 속이 타즈매니아 서부의 장산절 퇴적층에서 채집되었다.[10] 삼엽충 속인 ''Monocheilus'', ''Ptychaspis'' 및 ''Wilbernia''는 미국 오클라호마주 위치타 산맥의 장산절 허니 크릭 층에서 알려져 있다.[11]
[1]
논문
Global Standard Stratotype-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Base of the Jiangshanian Stage (Cambrian: Furongian) at Duibian, Jiangshan, Zhejiang, Southeast China
http://www.palaeonto[...]
2024-04-07
2012년, 국제 연구팀은 카자흐스탄 남부의 말리 카라타우 산맥에 있는 크르샤바크티 단면을 장산절의 보조 경계 층서 단면 및 지점(ASSP)의 후보로 제안했다. 이 제안은 국제 캄브리아기 층서 소위원회(ISCS)의 압도적인 다수결로 승인되었다. 이 단면은 자나타스 타운에서 북동쪽으로 약 28km 떨어진 크르샤바크티 강 근처에 있다. ''Agnostotes orientalis''의 최초 출현 시점은 단면 기저부에서 259m 고도에 있으며, 줌바예층(Bestogai Formation|베스토가이층)으로도 알려져 있다.[5] 2021년, 국제지질과학연합 (IUGS)은 특정 지점의 사용을 거부하고 GSSP와의 보다 "유연한" 상관 관계를 위해 표준 보조 경계 층서형(SABS)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6]
3. 주요 사건
4. 고생물학
참조
[2]
웹사이트
Latest version of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https://stratigraphy[...]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2024-04-07
[3]
웹사이트
GSSP for Jiangshanian
https://timescalefou[...]
2024-04-07
[4]
웹사이트
ISCS Working Groups: Working Group on the Stage 10 GSSP
http://www.palaeonto[...]
International Subcommission on Cambrian Stratigraphy
[5]
논문
The Auxiliary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ASSP) of the Jiangshanian Stage (Cambrian: Furongian Series) in the Kyrshabakty section
[6]
논문
The Standard Auxiliary Boundary Stratotype: a proposed replacement for the Auxiliary Stratotype Point in supporting a 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https://pure.aber.ac[...]
2024-04-07
[7]
논문
No Furongian Biodiversity Gap: Evidence from South China
https://www.research[...]
[8]
논문
Furongian (Jiangshanian) occurrences of radiodonts in Poland and South China and the fossil record of the Hurdiidae
https://www.research[...]
[9]
논문
The significance of ''Anomalocaris'' and other Radiodonta for understanding paleoecology and evolution during the Cambrian explosion
https://www.research[...]
[10]
논문
Late Cambrian (Iverian, Jiangshanian) fossils from the Professor Range area, Western Tasmania
https://www.research[...]
[11]
논문
A new Cambrian (Jiangshanian, Sunwaptan) trilobite fauna from Oklahoma and its biostratigraphic significance
https://www.research[...]
[12]
문서
基底年代の数値では、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
[13]
문서
百万年前
[14]
문서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1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国際年代層序表)
http://www.geosociet[...]
日本地質学会
2020-04-21
[16]
논문
地質年代区分2012
https://doi.org/10.1[...]
日本地質学会
[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http://stratigraphy.[...]
国際層序委員会
2012-11-12
[18]
웹사이트
GSSP for Jiangshanian
https://engineering.[...]
2012-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