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포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포동물은 동물계에 속하며, 자포를 가지고 먹이를 잡는 특징을 가진다. 해면동물보다는 복잡하고 좌우대칭동물보다는 단순하며, 섭취와 배설을 위한 구멍이 하나이다. 자포동물은 자포, 소화계, 세포층 수, 감각 기관, 신경계, 근육 등에서 다른 동물들과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산호충강, 해파리강, 입방해파리강, 히드라충강, 십자해파리강, 점액포자충강 등으로 분류되며, 먹이 섭취 방식과 서식지가 다양하다. 자포동물은 에디아카라기 화석에서 발견되었으며, 캄브리아기에 산호와 유사한 화석이 나타났다.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자포동물은 좌우대칭동물과 자매군 관계이며, 산호충류가 가장 기저에 위치한다. 일부 자포동물은 식용으로, 산호초는 경제적으로 활용되지만, 해파리와 믹소스포리디아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의 문 - 구륜동물
    구륜동물은 바닷가재 입술에 기생하며 외항동물, 내항동물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폴리조아 클레이드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모두 하는 독특한 생식 주기를 가진 작은 동물이다.
  • 자포동물 - 폴립
    폴립은 자포동물의 기본적인 체제로, 기질에 붙어 생활하는 데 적합한 주머니 모양의 형태이며, 출아, 군체 형성, 유성생식 등의 방식으로 번식하고 산호충류 등 다양한 분류군에서 발견되지만, 어업, 개발, 오염,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자포동물 - 꽃모자갈퀴손해파리
    꽃모자갈퀴손해파리는 북태평양 얕은 연안에 서식하며, 60~80개의 촉수를 가진 투명한 종 모양 해파리로, 유성 생식을 통해 번식하고, 쏘일 경우 통증을 유발하며, 한국 연안에서도 발견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자포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Cnidaria
명명자Hatschek, 1888
로마자 표기Cnidaria (니대리아, 나이-)
영문명Cnidaria
한국어명자포동물문
동물계
자포동물문
아문 및 강꽃벌레아문
팔방산호강
육방산호강
해변말미잘강
해파리아문
입방해파리강
히드라충강
폴리포디오조아강
해파리강
십자해파리강
점액포자충아문
점액포자충강
말라코포자충강
생물학적 특징
특징자포세포를 가짐
화석 기록에디아카라기 - 현재
계통 분류
하위 분류꽃벌레아강 (산호와 해변말미잘)
팔방산호아강
육방산호아강
해변말미잘아강
해파리아강 (해파리와 히드라충류):
입방해파리강
히드라충강
폴리포디오조아강
해파리강
십자해파리강
점액포자충아강 (기생생물)
점액포자충강
말라코포자충강
이미지
네 가지 자포동물 예시
네 가지 자포동물 (시계 방향으로, 왼쪽 위부터): 코끼리해파리, 안넬라 몰리스, 네만투스 안나멘시스, 사슴뿔산호
다양한 자포동물
다양한 자포동물
해파리
해파리

2. 특징

자포동물은 이배엽성 동물로, 바깥쪽의 외배엽과 안쪽의 내배엽의 두 층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중교라는 젤라틴 형태의 조직이 존재한다. 해파리에서는 중교가 특히 발달되어 있다.

자포동물은 폴립형과 메두사형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진다. 폴립은 원통형으로 한쪽 끝으로 물체에 부착하고 반대쪽 끝에 촉수가 배열되어 있으며, 산호처럼 군체를 형성하는 경우도 많다. 메두사는 우산 모양이며 그 주위에 촉수가 배열되어 있고, 보통 플랑크톤으로 생활한다. 생활환에 따라 이 두 가지 형태를 번갈아 가며 생활하는 종도 있다.

자포동물의 메두사와 폴립


해변해파리 폴립의 구강단


자포동물은 독립된 소화계순환계를 가지지 않고, 위수관계라는 체내 공간이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 항문이 없어 을 통해 섭식과 배설을 모두 수행한다.

체표면에는 원시적인 감각기와 근세포가 존재한다. 특히 해파리류에서는 평형포나 이 발달한 것도 있다. 산재신경계라는 그물 모양의 신경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중추신경은 분화되어 있지 않다.

자포동물은 모두 기본적으로 육식성이며, 촉수에 접촉한 동물을 자포의 독으로 마비시키거나, 자포에서 나오는 점착성의 자사로 얽어매어 섭식한다. 단, 공생조류를 가지고, 공생하는 조류로부터 유기물을 얻는 종도 있다.

200px

  • 뚜껑(Operculum)
  • 안으로 뒤집히는 "손가락" / / / 가시
  • 독액
  • 피해자의 피부
  • 피해자의 조직

200px

2. 1. 다른 분류군과의 차이점

자포동물은 동물계에 속하는 생물로, 해면동물보다는 복잡하고, 유즐동물(빗해파리류)과 비슷하며, 좌우대칭동물(대부분의 다른 동물 포함)보다는 단순하다. 자포동물과 빗해파리는 모두 해면동물보다 복잡한데, 그 이유는 세포 사이의 연결과 카펫 모양의 기저막을 가지고 있고, 근육신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는 감각 수용체 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포동물은 다른 모든 동물과 자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구별되는데, 자포는 주로 먹이를 잡는 데 사용되는 작살과 같은 구조를 발사한다. 어떤 종에서는 자포가 닻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10] 또한 자포동물은 섭취와 배설을 위한 구멍이 하나뿐이라는 점에서도 구별된다. 즉, 별도의 입과 항문이 없다.

해면동물과 빗해파리처럼, 자포동물은 두 개의 주요 세포층이 중간에 젤리 같은 물질인 중교층을 끼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 복잡한 동물은 세 개의 주요 세포층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의 젤리 같은 층은 없다. 따라서, 자포동물과 빗해파리는 전통적으로 해면동물과 함께 이배엽성으로 분류되어 왔다.[10][16] 그러나 자포동물과 빗해파리는 모두 더 복잡한 동물에서 중간 세포층에서 유래하는 유형의 근육을 가지고 있다.[11]

특징해면동물[16][12]자포동물[10][16]유즐동물[10][16]좌우대칭동물[10]
자포없음있음없음
점착세포없음있음없음
소화기 및 순환기 기관없음있음
주요 세포층의 수두 개, 젤리 같은 층이 그 사이에 있음두 개두 개세 개
각 층의 세포가 서로 결합세포 부착 분자, 동골해면목을 제외하고는 기저막 없음.[97]세포 간 연결; 기저막
감각 기관없음있음
중간 "젤리" 층의 세포 수많음적음(해당 없음)
바깥층의 세포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기능 변화있음없음(해당 없음)
신경 기관없음있음, 단순함단순함에서 복잡함까지
근육없음일반적으로 상피근(epitheliomuscular)일반적으로 근상피근(myoepithelial)일반적으로 묘사이트(myocyte)


3. 분류

자포동물은 산호충강, 해파리강, 입방해파리강, 히드라충강, 십자해파리강, 점액포자충강 등으로 분류된다.

히드라충강해파리강입방해파리강산호충강점액포자충강
종의 수[31]3,600228426,1001300
예시히드라, 관해파리해파리상자해파리말미잘, 산호, 해펜Myxobolus cerebralis
중교질층에서 발견되는 세포없음있음있음있음
외피의 자포없음있음있음있음
생활사에서의 해파리 시기일부 종에서있음있음없음
폴립당 생성되는 해파리 수많음많음하나(해당 없음)


  • 산호충강: 산호말미잘을 포함하며, 폴립 형태만 존재한다.
  • 해파리강: 진정한 해파리(true jellyfish)를 포함하며, 메두사 형태가 두드러진다.
  • 입방해파리강: 상자해파리를 포함하며, 독성이 강한 종들이 있다.
  • 히드라충강: 히드라, 관해파리 등을 포함하며, 폴립과 메두사 형태를 모두 가지는 종들이 많다.
  • 십자해파리강: 십자해파리(stalked jellyfish)를 포함하며, 폴립 형태에 가깝지만 해파리강에서 독립된 분류군이다.
  • 점액포자충강: 기생성 자포동물로, 어류 등에 기생한다.


세계 해양 생물종 등록부에 따르면, 현재 자포동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산호 ''Acropora muricata'' (Scleractinia, 육방산호아강의 일부)


''Myxobolus cerebralis'' (점액포자충강)


자포동물은 오랫동안 빗해파리와 함께 자포동물문(Coelenterata)으로 분류되었지만, 두 생물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별개의 문으로 분류되게 되었다.

3. 1. 하위 분류군

산호충아문 (Anthozoa)

해파리아문 (Medusozoa) - 해파리[98]

  • 상자해파리강 (Cubozoa) - 상자해파리, 바다말벌
  • 히드라충강 (Hydrozoa) - 히드로충, 히드라를 닮은 동물
  • 해파리강 (Scyphozoa) - 해파리
  • 십자해파리강 (Staurozoa) - 십자해파리


해파리강(Scyphozoa)이 아닌 것으로 추정하는 미분류 아문[99]

4. 생태

자포동물은 대부분 해양에 서식하며, 일부는 담수에도 서식한다. 히드로충류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히드라처럼 담수에 사는 종도 있고, 오벨리아는 모든 대양의 연안 해역에 나타나며, 리리오페는 대양 중앙의 표면 근처에 대규모 무리를 형성할 수 있다.[38] 산호충류 중에서는 일부 석산호류 산호, 해펜과 해산팬이 깊고 차가운 물에 살고, 일부 말미잘은 극지 바다 밑바닥에 서식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해수면 아래 10km 이상의 열수 분출공 근처에 서식한다.[38]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는 북위 30°와 남위 30° 사이의 열대 바다에 제한되며, 최대 수심은 46m, 수온은 20°C에서 28°C를 유지하고 높은 염분과 낮은 이산화탄소 수준을 유지한다.[38] 스타우로메두사류는 보통 해파리로 분류되지만, 줄기가 있고 부착성인 동물로 시원한 물에서 북극해역까지 서식한다.[38]

산호초는 세계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 중 일부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산호초 자포동물에는 산호충류(경산호, 팔산호, 말미잘)와 히드로충류(불산호, 레이스 산호)가 모두 포함된다.[46]

자포동물은 플랑크톤부터 자신보다 몇 배나 큰 동물까지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38][40] 이들은 포식, 용존 유기 화학 물질 흡수, 여과를 통한 물속 먹이 입자 섭취, 세포 내 공생 조류로부터 영양분 획득, 그리고 기생 등 여러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한다.[10] 대부분은 포식을 통해 대부분의 먹이를 얻지만, 산호류인 ''Hetroxenia''와 ''Leptogorgia''를 포함한 일부 종은 거의 전적으로 내공생체와 용존 영양분 흡수에 의존한다.[10] 자포동물은 공생 조류에 이산화탄소, 일부 영양분, 그리고 포식자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16]

자포동물의 포식자로는 갯민숭달팽이, 편형동물과 빗해파리류가 있는데, 이들은 자기 방어를 위해 자포를 자신의 몸에 통합할 수 있다(자포동물 포식자가 사용하는 자포는 kleptocnidae라고 함).[41][42][43] 불가사리, 특히 왕관불가사리는 산호를 파괴할 수 있다.[38] 나비고기앵무고기는 산호를 먹고,[44] 바다 거북이는 해파리를 먹는다.[45] 일부 말미잘해파리는 일부 물고기와 공생 관계를 갖는데, 예를 들어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촉수 사이에 살며, 각 파트너는 서로를 포식자로부터 보호한다.[38]

5. 진화

자포동물의 화석은 약 5억 8천만 년 전의 에디아카라 동물군에서 발견되었다.[48] 이 화석들은 산호가 만든 관과 유사한 광물화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 자포동물과 좌우대칭동물 계통이 이미 분기되었음을 시사한다.[49][50] 에디아카라기 화석인 ''샤르니아''는 해파리나 해펜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최근 연구는 이 가설에 의문을 제기한다.[51][52][53] 현재 에디아카라기에서 인정되는 자포동물 화석은 캐나다의 폴립 ''하오티아''와 영국의 ''오로라루미나''뿐이며, ''오로라루미나''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동물 포식자이다.[54]

캄브리아기 지층에서는 산호와 닮은 광물화된 화석이 발견되었고, 산호는 초기 오르도비스기에 다양화되었다.[55] 중생대에는 루디스트 이매패류가 주요 암초 형성 생물이었으나, 백악기-팔레오기 멸종 사건으로 멸종되었고,[57] 이후 석산호류 산호가 주요 암초 형성 생물이 되었다.[55]

분자계통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자포동물과 좌우대칭동물은 빗해파리류보다 서로 더 가깝다.[62] 자포동물과 좌우대칭동물의 그룹은 "플라눌라동물"로 명명되는데, 이는 초기 좌우대칭동물이 자포동물의 플라눌라 유충과 유사하다는 점을 시사한다.[62][63]

자포동물 내에서는 산호충류가 가장 기저에 위치하며, 해파리아문이 그 다음으로 분기되었다.[70] 믹소조아는 자포동물 내에서 해파리아문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92]

2005년 이후의 분자 계통 유전학 분석에서, 자포동물은 척삭동물과 같은 다양성을 보이는 중요한 발생 유전자 그룹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1] 특히 산호충류는 세균, 원생생물, 식물, 균류에는 존재하지만 좌우대칭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72]

6. 인간과의 관계

근구해파리목에 속하는 일부 대형 해파리일본, 한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먹는다.[77][78][79] 해파리는 콜레스테롤이 매우 적지만, 가공이 잘못되면 원치 않는 양의 중금속이 들어갈 수 있다.[80]

산호초는 어장을 제공하고, 해안 건물을 보호하며, 관광 산업에도 기여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하다.[75] 특히 산호초 관광은 일부 열대 섬의 주요 수입원이다.[75] 그러나 과도한 어업, 건축 자재 채취, 오염, 관광객 피해 등은 산호초를 손상시킨다.[75] 태평양에서 주로 채취하는 산호는 오랫동안 보석으로 사용되었고, 1980년대에 수요가 급증했다.[76]

입방해파리는 매우 위험하며, 그중 "바다 말벌"이라고 불리는 ''Chironex fleckeri''는 세계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해파리로 알려져 있다.[81] 이 해파리에 쏘이면 이루칸지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82][83][84]

여러 믹소스포리디아 기생충은 연어과 양식에 큰 피해를 주는 병원체이다.[85] 해파리류 ''Pelagia noctiluca''와 히드로충류 ''Muggiaea atlantica''는 아일랜드 주변 연어 양식장에서 반복적으로 대량 폐사를 일으켰다.[86] 2007년 11월에는 100만 파운드의 손실이 있었고, 2013년 클레어 섬에서 2만 마리가 폐사했으며, 2017년 9월에는 네 곳의 양식장에서 수만 마리의 연어가 폐사했다.[86]

참조

[1] 웹사이트 The Taxonomicon – Taxon: Phylum Cnidaria https://web.archive.[...]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07-09-29
[2] 웹사이트 ITIS Report – Taxon: Subphylum Medusozoa https://www.itis.gov[...]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18-03-18
[3] OED cnidaria
[4]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http://www.marinespe[...] 2018-12-17
[5] 논문 The hidden biology of sponges and ctenophores 2015-05-01
[6] 논문 Buddenbrockia is a cnidarian worm 2007-07-01
[7] 논문 Estimation of divergence times in cnidarian evolution based on mitochondrial protein-coding genes and the fossil record. 2012-01-01
[8]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Support Traditional Relationships within Cnidaria. 2015-01-01
[9] 웹사이트 Cnidaria - etymonline.com https://www.etymonli[...]
[10] 서적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Evolution of striated muscle: Jellyfish and the origin of triploblasty 2005-06-01
[1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Evolution of collagens 2002-01-01
[14] 웹사이트 Comparative Proteomics of Octocoral and Scleractinian Skeletomes and the Evolution of Coral Calcification https://academic.oup[...]
[15] 웹사이트 Evolution of Calcium-carbonate Skeletons in the Hydractiniidae https://academic.oup[...]
[16]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archive.org/[...] Brooks / Cole
[17] 논문 Genetic polymorphism Faber & Faber 1965-01-01
[18] 논문 The evolution of colony-level development in the Siphonophora (Cnidaria:Hydrozoa) 2006-09-16
[19]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 논문 Do jellyfish have central nervous systems? 2011-04-15
[21] 논문 Neuronal control of swimming in jellyfish: a comparative story 2002-10-01
[22] 논문 Cnidarian chemical neurotransmission, an updated overview 2007-01-01
[23] 웹사이트 What is a neuron? (Ctenophores, sponges and placozoans) https://www.frontier[...]
[24] 웹사이트 Jellyfish Have Human-Like Eyes http://www.livescien[...] www.livescience.com 2007-04-01
[25] 서적 Sessile animals of the sea shore Springer
[26] 논문 Bi-directional conversion in Turritopsis nutricula (Hydrozoa) https://web.archive.[...] 2014-12-14
[27] 논문 Evidence of reverse development in Leptomedusae (Cnidaria, Hydrozoa): the case of Laodicea undulata (Forbes and Goodsir 1851) 2006-01-01
[28] 논문 Life Cycle Reversal in Aurelia sp.1 (Cnidaria, Scyphozoa) 2015-12-21
[29] 논문 DNA Repair Repertoire of the Enigmatic Hydra 2021-01-01
[30] 뉴스 Microscopic parasitic jellyfish defy everything we know, astonish scientists http://www.haaretz.c[...] 2015-11-20
[31] 논문 Animal biodiversity: An introduction to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taxonomic richness http://mapress.com/z[...] 2011-01-01
[32] 논문 Phylogenetic Context and Basal Metazoan Model Systems 2005-01-01
[33] 논문 Actinomyxidies, nouveau groupe de Mesozoaires parent des Myxosporidies 1899-01-01
[34] 논문 Myxozoa, Polypodium, and the origin of the Bilateria: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Endocnidozoa" in light of the rediscovery of Buddenbrockia 2003-04-01
[35] 논문 Buddenbrockia is a cnidarian worm 2007-07-01
[36]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evolutionary origin of Myxozoa within Cnidaria 2015-12-01
[37] 웹사이트 The Conulariida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08-11-27
[38] 서적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John Wiley & Sons
[39] 서적 Small-scale Freshwater Toxicity Investigations: Toxicity Test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1
[40] 서적 History of Life https://books.google[...] Blackwell 2008-11-21
[41] 논문 Organelle survival in a foreign organism: Hydra nematocysts in the flatworm Microstomum lineare https://www.scienced[...]
[42] 논문 Acquisition and Use of Nematocysts by Cnidarian Predators
[43] 논문 Predator Suites and Flabellinid Nudibranch Nematocyst Complements in the Gulf of Maine http://archive.rubic[...] 2008-07-03
[4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5] 서적 Voyage of the Turtle: In Pursuit of the Earth's Last Dinosaur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8-11-21
[46] 서적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8-11-26
[47] 서적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An Annual Review: Volume 27 Routledge 2008-11-21
[48] 논문 Putative phosphatized embryos from the Doushantuo Formation of China 2000-04-25
[49] 논문 Eumetazoan fossils in terminal Proterozoic phosphorites? 2000-12-05
[50] 논문 Precambrian Animal Life: Probable Developmental and Adult Cnidarian Forms from Southwest China http://www.uwm.edu/~[...] 2002-08
[51] abstract Fossils explained 35. The Ediacaran biota
[52] 논문 Charnia and sea pens are poles apart
[53] 논문 Charnia At 50: Developmental Models For Ediacaran Fronds
[54] 웹사이트 Ancient fossil is earliest known animal predator https://www.bbc.co.u[...] BBC News 2022-07-25
[55] 웹사이트 Cnidari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08-11-27
[56] 논문 Ancient reef ecosystem expansion and collapse 1994-01
[57] 웹사이트 The Rudists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08-11-27
[58] 논문 The New View of Animal Phylogeny http://gump.auburn.e[...] 2008-11-27
[59] 논문 Sponge paraphyly and the origin of Metazoa 2001-01
[60] 논문 Evaluating hypotheses of basal animal phylogeny using complete sequences of large and small subunit rRNA 2001-08
[61] 논문 The unique skeleton of siliceous sponges (Porifera; Hexactinellida and Demospongiae) that evolved first from the Urmetazoa during the Proterozoic: a review https://hal.archives[...]
[62] 논문 Phylogeny of Medusozoa and the Evolution of Cnidarian Life Cycles 2002-05
[63]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comb jellies (Ctenophora) and the importance of taxonomic sampling
[64] 논문 The phylum Cnidaria: A review of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ty 300 years after Linnaeus. http://www.mapress.c[...]
[65] 논문 Cnidarian phylogenetic relationships as revealed by mitogenomics 2013-01-09
[66] 논문 Evolution of Linear Mitochondrial Genomes in Medusozoan Cnidarians 2011-11-22
[67] 논문 Revisiting mitogenome evolution in Medusozoa with eight new mitochondrial genomes https://www.cell.com[...] 2023-11-17
[68] 논문 Phylogenomics provides a robust topology of the major cnidarian lineages and insights on the origins of key organismal traits 2018-04-13
[69]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Enigmatic, Polypodium hydriforme (Cnidaria, Polypodiozoa): Insights from Mitochondrial Genomes https://academic.oup[...] 2022-07-22
[70] 논문 Phylogenomics,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Anthozoans (Phylum Cnidaria) https://academic.oup[...] 2021-01-28
[71] 저널 Cnidarians and ancestral genetic complexity in the animal kingdom 2005-10-01
[72] 저널 Maintenance of ancestral complexity and non-metazoan genes in two basal cnidarians 2005-12-01
[73] 저널 First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from a Box Jellyfish Reveals a Highly Fragmented Linear Architecture and Insights into Telomere Evolution
[74] 서적 Venomous and Poisonous Marine Animals: A Medical and Biological Handbook https://books.google[...] UNSW Press 2008-10-03
[75] 서적 Coastal Seas: The Conservation Challenge https://archive.org/[...] Blackwell 2008-11-28
[76] 서적 Marine Minerals in Exclusive Economic Zon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8
[77] 저널 Synopsis of edible jellyfishes collected from Southeast Asia, with notes on jellyfish fisheries
[78] 저널 Taxonomic review of three Japanese species of edible jellyfish (Scyphozoa: Rhizostomeae)
[79] 저널 Jellyfish fisheries in southeast Asia 2001-05-01
[80] 저널 Jellyfish as food 2001-05-01
[81] 서적 Greenberg's Text-atlas of Emergency Medicin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2] 저널 Jellyfish Responsible for Irukandji Syndrome 2006-06-01
[83] 저널 Cause and effect in Irukandji stingings
[84] 저널 Irukandji-like syndrome in South Florida divers 2003-12-01
[85] 저널 Acquired Protective Immunity i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against the Myxozoan Kudoa thyrsites Involves Induction of MHIIβ + CD83 + Antigen-Presenting Cells 2017-12-19
[86] 웹사이트 Stinger jellyfish swarms wipe out farmed salmon in west of Ireland http://www.irishtime[...] 2022-04-23
[87] 문서 藤田10
[88] 문서 藤田10
[89] 웹사이트 Genomic insights into the evolutionary origin of Myxozoa within Cnidaria http://www.pnas.org/[...]
[90] 저널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91] 웹사이트 Marques & Collins, 2004 http://www.blackwell[...]
[92] 저널 Phylogenomics provides a robust topology of the major cnidarian lineages and insights on the origins of key organismal traits 2018-04-13
[93] 웹인용 The Taxonomicon - Taxon: Phylum Cnidaria http://www.taxonomy.[...]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07-07-10
[94]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archive.org/[...] Brooks / Cole
[95] 서적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96]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archive.org/[...] Brooks / Cole
[97] 저널 Evolution of collagens
[98] 웹인용 The Taxonomicon - Taxon: Subphylum Medusozoa http://www.taxonomy.[...]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09-01-26
[99] 저널 Phylogeny of Medusozoa and the Evolution of Cnidarian Life Cycles http://cima.uprm.edu[...] 2008-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