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영 (바둑 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영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1971년 입단하여 1992년 9단에 올랐다. 1977년 최고위전 준우승을 시작으로 여러 국내 기전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04년 제4회 돌씨앗배 프로시니어기전에서 우승했다. 2007년에는 한국바둑리그 월드메르디앙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김인 (바둑 기사)
김인은 1958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한국 바둑계를 10년간 지배하며 국수, 왕위 등 주요 타이틀을 석권하고 40연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인물로, '김 국수'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한국 바둑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SBS 바둑 해설자 및 한국기원 상무이사를 역임하며 바둑계 발전에도 기여했다. - MBC 제왕전 - 정동영
언론인 출신 정치인 정동영은 MBC 기자와 앵커를 거쳐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열린우리당 의장, 통일부 장관,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민주평화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2024년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 MBC 제왕전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한국바둑리그 - 김수장 (바둑 기사)
김수장은 1974년 입단하여 1993년 9단으로 승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며, 2013년 미추홀배 바둑최강전에서 우승했고, 저서로 《묘수풀이 1, 2》 등이 있다. - 한국바둑리그 - 강훈 (1957년 바둑 기사)
강훈은 1974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1996년 9단으로 승단한 한국의 바둑 기사로서, 박카스배 우승 등 국내 기전에서 활약했고, 한국바둑리그 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장수영 (바둑 기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Jang Su-yeong |
한글 표기 | 장수영 |
한자 표기 | 張秀英 |
바둑 기사 정보 | |
이름 | 장수영 |
출생일 | 1952년 9월 1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소속 | 한국기원 |
프로 입단 | 1971년 |
단위 | 9단 |
2. 약력
장수영은 1971년에 입단하여 프로 바둑 기사로 활동했다. 1977년 최고위전에서 조훈현에게 패해 준우승했고, 1982년 왕위전, 1983년 제왕전에서도 준우승했다. 1992년 9단으로 승단했다.
2004년 프로 시니어 기전 결승에서 김일환을 2-1로 꺾고 우승하여, 생애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7년부터 한국바둑리그 월드메르디앙 감독을 맡았다.
2. 1. 주요 입단 및 승단 기록
연도 | 대회 및 기록 |
---|---|
1971년 | 입단 |
1972년 | 2단 승단 |
1974년 | 3단 승단 |
1975년 | 4단 승단 |
1977년 | 제17기 최고위전 준우승 |
1981년 | 6단 승단, 기도문화상 신예기사상 수상 |
1982년 | 제22기 최고위전 준우승 |
1983년 | 왕위전 준우승, 제2기 제왕전 준우승, 기도문화상 수훈상 수상 |
1984년 | 7단 승단 |
1986년 | 제26기 최고위전 준우승, 제21기 왕위전 본선, 제5기 제왕전 본선 |
1987년 | 8단 승단, 제12기 국기전 본선, 제22기 패왕전 본선, 제18기 명인전 본선 |
1989년 | 제6기 박카스배 준우승, 제1회 동양증권배 준우승, 제7기 대왕전 본선, 제1회 기성전 본선, 제33기 국수전 본선, 제29기 최고위전 본선 |
1990년 | 제26기 패왕전 준우승, 제7기 박카스배 본선, 제2기 기성전 본선, 25기 왕위전 본선, 제9기 MBC 바둑제왕전 본선, 34기 국수전 본선, 10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제2회 동양증권배 본선 |
1991년 | 22기 명인전 본선, 16기 기왕전 본선, 3기 기성전 본선, 9기 대왕전 본선 |
1992년 | 9단 승단, 4기 기성전 본선, 3회 비씨카드배 본선, 17기 기왕전 본선, 1회 진로배 세계바둑최강전 한국 우승 수훈, 제1회 특별대국 (IBM 배) |
1993년 | 제1기 연승바둑최강전 준우승, 제2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제1기 한국이동통신배 고단진 준우승, 10회 박카스배 본선, 12기 KBS 바둑왕전 본선, 12기 MBC 바둑제왕전 본선, 18회 기왕전 본선 |
1994년 | 13기 KBS 바둑왕전 본선, 패왕전 본선, 왕위전 본선, 비씨카드배 본선, 명인전 본선,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최고위전 본선, 한국이동통신배 본선 |
1995년 | 14기 KBS 바둑왕전 본선, 국기전 본선, 최고위전 본선,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
1996년 | 15기 KBS 바둑왕전 4강, 국기전 본선,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8회 동양증권배 본선 |
1997년 | 16기 KBS 바둑왕전 본선 |
1998년 | 제3기 테크론배 본선, 제38기 최고위전 본선, 제10기 기성전 본선, 제3회 삼성화재배 본선 32강 |
1999년 | 제7기 배달왕전 본선, 제30기 명인전 본선, 18기 KBS 바둑왕전 본선, 1기 맥심배 본선 |
2000년 | 제12기 기성전 본선, 2기 맥심배 본선 |
2001년 | 제1기 KT배 마스터스 프로기전 본선, 3기 맥심배 본선 |
2002년 | 제2기 돌씨앗배 본선, 제2기 KAT시스템배 월드컵 개최도시 대항전 대표, 제4기 맥심배 결선 4강 |
2003년 | 제3회 KAT시스템배 한국바둑최강전 대표, 제5회 맥심배 입신최강전 본선 |
2004년 | 제9기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 진출, 제1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봉황부 8강 진출, 제4회 돌씨앗배 프로시니어기전 우승(대 김일환, 생애 첫 우승), 제6회 맥심커피배 8강 |
2005년 | 제5기 잭필드배 프로시니어기전 본선 진출(시드) |
2007년 | 한국바둑리그 월드메르디앙 감독 |
2008년 | 제10회 맥심커피배 본선 |
2010년 | 제4기 지지옥션배 본선 |
2. 2. 국내 기전 기록
연도 | 대회 |
---|---|
1977년 | 제17기 최고위전 준우승 |
1981년 | 기도문화상 신예기사상 수상 |
1982년 | 제22기 최고위전 준우승 |
1983년 | 왕위전 준우승, 제왕전 준우승, 기도문화상 수훈상 수상 |
1986년 | 제26기 최고위전 준우승, 제21기 왕위전, 제5기 제왕전 본선 |
1987년 | 제12기 국기전, 제22기 패왕전, 제18기 명인전 본선 |
1989년 | 제6기 박카스배 준우승, 제1회 동양증권배 준우승, 제7기 대왕전, 제1회 기성전, 제33기 국수전, 제29기 최고위전 본선 |
1990년 | 제26기 패왕전 준우승, 7기 박카스배, 제2기 기성전, 25기 왕위전, 9기 MBC 바둑제왕전, 34기 국수전, 10기 KBS 바둑왕전, 제2회 동양증권배 본선 |
1991년 | 22기 명인전, 16기 기왕전, 3기 기성전, 9기 대왕전 본선 |
1992년 | 4기 기성전, 3회 비씨카드배, 17기 기왕전 본선, 제1회 진로배 세계바둑최강전 한국 우승 |
1993년 | 제1기 연승바둑최강전 준우승, 제2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제1기 한국이동통신배 고단진 준우승, 10회 박카스배, 12기 KBS 바둑왕전, 12기 MBC 바둑제왕전, 18회 기왕전 본선 |
1994년 | 13기 KBS 바둑왕전, 패왕전, 왕위전, 비씨카드배, 명인전, 연승바둑최강전, 최고위전, 한국이동통신배 본선 |
1995년 | 14기 KBS 바둑왕전, 국기전, 최고위전,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
1996년 | 15기 KBS 바둑왕전 4강, 국기전, 연승바둑최강전, 8회 동양증권배 본선 |
1997년 | 16기 KBS 바둑왕전 본선 |
1998년 | 제3기 테크론배, 제38기 최고위전, 제10기 기성전 본선 |
1999년 | 제7기 배달왕전 본선, 제30기 명인전 본선, 18기 KBS 바둑왕전, 1기 맥심배 본선 |
2000년 | 제12기 기성전, 2기 맥심배 본선 |
2001년 | 제1기 KT배 마스터스 프로기전, 3기 맥심배 본선 |
2002년 | 제2기 돌씨앗배, 제2기 KAT시스템배 월드컵 개최도시 대항전 대표, 제4기 맥심배 4강 |
2003년 | 제3회 KAT시스템배 한국바둑최강전 대표, 제5회 맥심배 본선 |
2004년 | 제9기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 제1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봉황부 8강, 제4회 돌씨앗배 프로시니어기전 우승(대 김일환), 제6회 맥심커피배 8강 |
2005년 | 제5기 잭필드배 프로시니어기전 본선 |
2007년 | 한국바둑리그 월드메르디앙 감독 |
2008년 | 제10회 맥심커피배 본선 |
2010년 | 제4기 지지옥션배 본선 |
2. 3. 국제 기전 기록
대회 | 연도 | 결과 |
---|---|---|
IBM 속기 오픈전 | 1990년 | 출장 (×이마무라 토시야) |
LG배 세계 기왕전 | 1996년 | 출장 (×조치훈) |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전 | 1997년 | 출장 (×차오다위안) |
삼성화재배 세계 오픈전 | 1998년 | 출장 (×이성재)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1992년 | 0-1 (×차오다위안) |
롯데배 중한 바둑 대항전 | 1994년 | 0-2 (×류샤오광, ×류징) |
2. 4. 기타
1971년에 입단하여 1992년에 9단으로 승단하였다. 2004년 프로 시니어 기전 결승 3번기에서 김일환을 2-1로 꺾고 기전 첫 우승을 차지했다.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7년부터 월드메르디앙 감독을 맡았다.
국내외 기전 출전 기록은 아래와 같다.
대회 종류 | 대회 이름 | 연도 | 기록 | 상대 | 비고 |
---|---|---|---|---|---|
국내 | 최고위전 | 1977, 1982, 1986 | 도전자 | ||
국내 | 왕위전 | 1982 | 도전자 | ||
국내 | 제왕전 | 1983 | 준우승 | ||
국내 | 바카스배 | 1988 | 준우승 | ||
국내 | 패왕전 | 1990 | 도전자 | ||
국내 | 동양증권배 | 1990 | 준우승 | ||
국내 | SBS배 연승 바둑 최강전 | 1993 | 준우승 | ||
국내 | 잭필드배 프로 시니어 기전 | 2005 | 준우승 | ||
국제 | IBM 속기 오픈전 | 1990 | 출전 | 이마무라 도시야|이마무라 토시야일본어 | 패 |
국제 | LG배 세계 기왕전 | 1996 | 출전 | 조치훈일본어 | 패 |
국제 |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전 | 1997 | 출전 | 차오다위안|차오다위안중국어 | 패 |
국제 | 삼성화재배 | 1998 | 출전 | 이성재한국어 | 패 |
국제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1992 | 0-1 | 차오다위안|차오다위안중국어 | |
국제 | 롯데배 중한 바둑 대항전 | 1994 | 0-2 | 류샤오광|류샤오광중국어, 류징|류징중국어 |
張秀英|장수영중국어은 2004년 석종배 프로 시니어 기전에서 우승했다.
3. 타이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