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승배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승배기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전철역이다. 역명은 '장승이 세워진 곳'을 뜻하는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조선 정조가 아버지 장조의 묘인 융건릉을 참배하기 위해 이 지역에 장승을 세우도록 한 데서 유래되었다. 2000년 8월 1일 7호선 신풍~건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동작도서관, 동작문화복지센터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장승배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이름 (한국어)장승배기역
역 이름 (한자)장승배기驛
역 이름 (로마자 표기)Jangseungbaegi yeok
노선7호선
역 번호740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 188 (상도동 26-20)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개업일2000년 8월 1일
이용 정보
승차 인원 (2015년)10,851명
승강 인원 (2015년)21,328명
노선 정보
노선7호선
영업 거리장암 기점 34.8 km
이전 역상도 (739)
이전 역 간 거리0.9 km
다음 역신대방삼거리 (741)
다음 역 간 거리1.2 km
역사 사진
6번 출입구
6번 출입구
승강장
승강장

2. 역명 유래

장승배기는 "장승이 세워진 곳"을 뜻하는 용어이다. 조선의 제22대 국왕인 정조는 뒤주 속에 갇혀 죽은 자신의 아버지인 장조의 묘소인 융건릉을 참배하기 위해 언제나 숲이 우거진 이 곳을 행차했고 수행원들에게 이 곳에 장승을 세우라고 명령했다. 장승배기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된 이름이다. 명칭이 '''장승백이'''로 잘못 표기된 사례가 있는데, 이는 한자의 한글식 표기에서 발생하였던 맞춤법 오류의 표기이다.

3. 역사

4. 역 구조

수도권 전철 7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승강장이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반대편 승강장으로의 횡단은 불가능하다. 출구는 총 6개가 있다.

4.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 층으로 연결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2개소, 엘리베이터는 1기씩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화장실은 개찰구 외부에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6번까지 총 6개소이다.

장승배기역 승강장


상행하행
상도 방면신대방삼거리 방면



상행7호선이수 · 강남구청 · 상봉 · 도봉산 · 장암 방면
하행7호선보라매 · 대림 · 온수 · 부천시청 · 석남 방면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평균이다.[2]

구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승차8,1229,93010,56211,35011,74511,58511,63311,44311,62411,28510,83010,75410,48810,93111,05210,85110,87111,184
하차7,4729,3289,93710,70711,12311,07611,11210,92811,08110,78210,37210,31710,05510,40910,56010,47610,54810,861
승하차15,59419,25820,49922,05722,86822,66222,74522,37022,70522,06721,20221,07220,54321,34221,61221,32721,41922,045


7. 사진

8. 인접한 역

wikitext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 방면장승배기역 (740)석남 방면
상도역 (739)신대방삼거리역 (741)


참조

[1]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