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헌명숙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헌명숙황후는 북송 진종의 황후이자, 북송 인종을 섭정하며 정권을 장악했던 인물이다. 익주 화양현 출신으로, 미모와 총명함으로 진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인종을 낳은 공로로 황후가 되었다. 진종 사후 인종을 옹립하여 수렴청정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섭정 기간 동안 도교 사원 건축을 억제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등 선정을 펼쳤으며, 측천무후 다음으로 황제의 옷을 입었다. 사후 인종에게 생모가 이씨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인종은 유씨의 공을 기려 영정릉에 안장하고 존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송 진종의 황후 - 장의황후
    장의황후는 북송 진종의 후궁이자 인종의 생모로, 본래 비구니 출신이었으나 진종의 승은을 입어 인종을 낳았고, 인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민간 설화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다.
  • 북송의 황태후 - 장혜황후
    장혜황후 양씨는 송나라 진종의 후궁이자 인종의 양모로, 장헌명숙황후 유씨의 신임을 받아 인종 즉위 후 황태후로 존숭되었으며, 유태후 사후에는 인종을 보좌하며 국사를 논의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송나라에서 황후나 황제의 생모가 아님에도 황후로 추존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 북송의 황태후 - 소회황후
    북송 철종의 후궁 소회황후 유씨는 아름다움과 지혜로 철종의 사랑을 받았으나, 황후 맹씨를 모함하여 폐위시키고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의 요절과 철종의 죽음, 그리고 휘종 즉위 후의 권력욕과 부적절한 처신으로 자결에 이르렀다.
장헌명숙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송 진종 후 좌상
유아(劉娥)
별호덕비(德妃), 응원황태후(應元皇太后)
존호응원숭덕인수자성황태후(應元崇德仁壽慈聖皇太后) -> 응원제성현공숭덕자인보수황태후(應元齊聖顯功崇德慈仁保壽皇太后)
시호장헌명숙(莊獻明肅) -> 장헌명숙(章獻明肅)
출생일개보(開寶) 2년 음력 1월 8일 (969년 2월 2일)
출생지익주(益州) 화양현(華陽縣)
사망일명도(明道) 2년 음력 3월 29일 (1033년 5월 6일) (64세)
사망지개봉부(開封府) 황궁 문덕전(文德殿)
능묘영정릉(永定陵)
가족 관계
아버지위무의왕(魏武懿王) 유통(劉通)
어머니서국태부인(徐國太夫人) 농씨(龐氏)
배우자곤미(龔美), 진종(眞宗) 조항(趙恒)
자녀양자: 인종(仁宗) 조정(趙禎)
왕조
군주송나라
섭정
섭정 기간1020년 – 1033년
섭정 유형군주
섭정진종
인종
칭호
황후송나라의 황후
재위 기간1012년 – 1022년
황태후송나라의 황태후
재위 기간 (황태후)1022년 – 1033년
이름
한국어장헌명숙황후
중국어章献明肃皇后

2. 생애

익주화양현 출신으로, 출신 신분이나 성장 과정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촉의 장인 공미와 결혼하여 수도 개봉으로 갔다. 용모가 아름답고 총명했다. 상왕 조원간(후의 진종)이 유씨에게 한눈에 반하여 은밀히 측실로 맞이했지만, 조원간의 유모[11]가 밀고하여 부황의 노여움을 사 쫓겨났다.

진종이 즉위하자 다시 유씨를 맞아들여 미인이 되었다. 공미는 유미로 성을 고치고, 사망한 지휘사 유통의 아들이자 유씨의 오빠라고 자칭했다. 시녀 이씨(후의 이진비)가 조정(후의 인종)을 낳자 진종의 허락으로 유씨는 이 아이를 빼앗아 자신의 아들로 삼았다. 다른 후비가 낳은 아들 5명은 모두 요절했기 때문에, 이 태자를 낳은 "공적"으로 대중상부 5년 12월(서기 1013년)에 황후로 책봉되었다[12].

건흥 원년(1022년) 진종이 붕어하자, 어린 인종을 옹립하여 정치를 장악했다. 수렴청정 하에 황제의 옷을 착용하고 태묘로 나아갔다. 천성 2년(1024년) "응원숭덕인수자성"의 휘호가 내려졌다.

명도 2년(1033년)에 붕어하자 "장헌명숙"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경력 4년(1044년) 11월, 남편의 시호를 겹쳐 "장헌명숙"으로 개시되었다.

2. 1. 젊은 시절

오대 십국 시대에 우효위대장군(右驍衛大將軍)을 지낸 유연경의 손녀이자 호첩도지휘사(虎捷都指揮使)와 가주자사(嘉州刺史) 등을 지낸 유통(劉通)과 명문가 출신의 방씨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나,[17] 출신을 공고히 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기록이라는 시각도 있다.[18] 유아는 전쟁 중에 가족을 잃고 북을 치는 기예로 생계를 유지하며 떠돌이 생활을 하던 중 은을 단련하는 대장장이 공미를 만나 수도인 개봉으로 갔다.[19]

어린 시절 고아가 된 유씨 부인은 외가 친척들에게 길러졌고, 십 대가 되자 손북에 능숙한 기생이 되었다. 궁미와 결혼하여 함께 개봉으로 갔다.[3] 익주화양현 출신으로, 출신 신분이나 성장 과정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2. 2. 황후 시절

1012년 황후 곽씨가 죽자 진종유아를 황후로 책봉하고 싶어했지만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혀 수의(修儀)로 봉하는데 그쳤다.[22] 진종은 다시 유아의 황후 책봉 문제를 거론했지만 유아의 신분이 미천하다는 이유로 한림학사 이적(李迪) 등이 강하게 반대하여 황후 자리를 비워둔 채 유아를 덕비(德妃)로 진봉시켰다.[22] 유아는 대신들의 반발을 누르고 황후가 되기 위해 자신의 궁녀인 이씨를 진종과 동침하게 했고, 이씨가 아들 조정(인종)을 낳자 아이를 데려왔다.[23] 진종은 조정을 유아의 아들로 선포하고 유아를 황후로 봉했다.[24]

황후가 된 유아는 본격적으로 정사에 관여했고 진종은 이를 크게 개의치 않았을 뿐더러 그녀와 정사를 자주 논의하며 의지했다.[24] 상소문을 줄줄 외울 만큼 기억력이 뛰어났던 유아는 30여년간 진종과 함께 하며 그의 정치적 견해를 잘 이해하고 있었던 터라 점차 국사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게 되었다.[25]

1020년 진종이 병에 걸리자 유아가 직접 국사를 처리하기 시작했고, 이전 유아의 황후 책봉을 반대했던 이적과 구준(寇準)을 비롯해 황후를 반대하는 세력과 지지하는 세력이 정쟁을 거듭하게 되었다.[26] 유아는 구준이 자신의 심복인 정위(丁謂)를 파면시키고 황후 반대파인 양억을 그 자리에 앉히려 한다는 것을 알고 구준을 파면시켰고, 또다른 반대파인 환관 주회정(周懷政)을 참수시켰다.[23] 그 결과 정위는 재상이 되었는데 그가 황후 반대파인 또다른 재상 이적을 제쳐두고 독단으로 결정을 내리자 이적은 진종을 찾아가 둘 중 한 사람은 조정을 떠나야 한다고 간했고, 이 이야기를 엿들은 유아는 이적을 파면시켰다.[27]

2. 3. 황태후 시절

1022년 진종이 세상을 떠나자 인종이 즉위했고, 진종의 유언에 따라 황태후로서 섭정을 하게 되었다.[28] 대신들은 유씨에게 응원숭덕인수자성태후(應元崇德仁壽慈聖太后)라는 존호를 올렸고, 태후의 생일인 장녕절(長寧節)을 황제의 생일인 건원절(乾元節)에 필적하게 성대히 치렀다.[28]

권력을 손에 쥔 유태후는 자신과 대립했던 구준과 이적을 좌천시키고,[28] 심복 정위가 뇌윤공과 결탁해 권세를 휘두르려 하자 뇌윤공을 처형시키고 정위를 유배시켰다.[29] 정위 외에도 왕흠약, 임특, 진팽년, 유승규 등 오귀(五鬼)로 불리며 진종의 총애를 받던 대신들을 숙청하고 왕증, 여이간, 노종도, 장지백과 같은 명신을 기용했다.[30]

진종 후기에는 도교 사원 건축과 제사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여 재정난을 겪고 있었는데, 출신이 비천했던 유태후는 하층민들의 고충을 잘 이해하고 있었기에[31]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해 도교 사원 건축과 불필요한 노역을 금지시켰다.[32] 또한 도교 사원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고 사원에 바치는 공물도 금지하였으며 세금을 감면시켜주는 등 선정을 펼쳤다.[32]

그러나 유태후의 권력이 워낙에 막강했기 때문에 대신들은 그녀가 측천무후의 전례를 밟아 황제로 즉위할 것을 두려워했다.[33] 유태후에게서 무측천이 어떤 인물이냐는 질문을 들은 노종도는 일부러 당대의 죄인이라고 대답했고, 유태후는 황제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포기했다.[34]

인종은 유태후의 친아들이 아니었지만, 유태후는 생전 인종의 출생의 비밀이 새어나가지 않게 하려고 애썼으며, 인종의 교육과 식사에도 각별한 관심을 쏟았다. 특히 《효경》을 강조하는 등 자신과 인종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려고 노력했다.[35]

1032년 인종의 생모인 이씨가 죽자 유태후는 서둘러 그녀의 장례를 궁인의 예로 치르려 하였으나 재상 여이간의 반대에 부딪혀 이씨의 시신에 황후의 옷을 입히고 수은으로 봉해 주었다.[35] 시신을 궁밖으로 내갈 때에도 여이간이 서화문으로 나가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유태후는 황태후의 장례와 동격이니 안 된다고 거절하였지만 환관 나숭훈의 설득으로 결국 이씨의 장례를 성대히 치러 주었다.[36]

1033년 3월 29일 유태후는 65세로 세상을 떠났고, 인종은 측천무후가 네 자의 시호를 가졌던 것에 따라 장헌명숙(章獻明肅)의 시호를 바쳤다.[37] 이로써 유태후는 이전의 태후들의 시호가 두 글자였던 데에 반해 처음으로 네 글자의 시호를 쓴 태후가 되었고,[38] 이후로도 수렴청정을 한 태후는 네 자의 시호를 가지게 되었다.[37]

유 황태후는 인종의 미성년 기간 동안 중국의 섭정으로서 모든 권력을 공개적으로 행사했으며,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았다.[5] 조정을 열었고, 황제의 1인칭 대명사인 친(朕|zhèn중국어)이라고 칭했으며, 관리들은 황제를 부를 때 사용되는 중국의 경칭인 황상(陛下|Bìxià중국어)이라고 불렀다.[6] 칙서(敕)는 황제의 개인 명령을 의미하는 제(制)라고 불렸으며, 생일은 특별한 이름으로 기념되었고, 이름으로 사신을 파견했으며, 심지어 황제가 직접 하는 신성한 경작 의식과 황실 조상 숭배에도 참석했는데, 이 모든 것이 일반적으로 통치하는 황제만이 할 수 있는 일이었다.[5] 섭정으로서 측천무후 다음으로 중국 역사상 두 번째로 황제의 옷을 입은 여성이 되었다.

정치가로서 유 황태후는 유능한 섭정으로 묘사되었다. 유능한 관리를 임명하고 무능한 관리를 해임할 수 있었고, 격렬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비판을 경청하고 수용하며 때로는 고수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황실 의례를 찬탈하고 스스로를 황제처럼 숭배했으며, 빈약한 배경과 저속하다고 여겨지는 친척들을 고위직에 임명한 것으로 비판받았다.[5]

황제가 즉위 당시 12세였고, 17세에 성년으로 선포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5년 후에 섭정에서 물러나는 것이 예상되었지만, 거부하고 죽을 때까지 통치를 계속했다.[5]

2. 4. 사후

인종은 유아를 생모로 알고 매우 슬퍼하며 정사를 돌보지 못했다. 그러나 인종의 숙부 조원엄이 인종의 생모가 이씨임을 알렸다.[39] 인종은 충격을 받고 이씨의 관을 조사했는데, 황후의 옷을 입은 이씨의 시신이 수은으로 보존되어 있었다.[38][40] 유아의 결백을 확인한 인종은 유아를 영정릉에 안장하고 유씨 일족을 후대했다.[40] 범중엄은 "태후의 과오는 공을 덮을 만큼 크지 않다"며 유아를 비방하지 못하게 했다.[40]

인종은 유씨가 자신의 생모라고 잘못 믿었고, 유씨가 죽은 후에야 진실을 알고 분노했다. 그는 유씨의 친척과 추종자들을 강등시키고 이씨를 사후에 황후로 추존했다.[7]

3. 평가

인종은 후비 선정을 위한 면접에서 왕씨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비(妃)로 봉하고 싶어 했다. 그러나 황태후 유씨는 "저런 요염한 미모는 남편을 유혹하여 타락시킬 것"이라며 반대했고, 결국 왕씨는 유미의 아들과 결혼했다.[42]

3. 1. 긍정적 평가

유아는 인종의 교육에 엄격했으며, 그녀 자신도 매일같이 학문을 닦았다. 또한 황후가 된 뒤에도 소박한 품행을 유지했고, 황실 여인들이 사치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황실의 친인척들을 공경하여 진종의 나이든 누이들이 찾아오면 머리가 빠져 가발을 쓰고 있는 그녀들에게 옥과 구슬이 달린 머리띠를 하사하며 대접했지만, 시동생 윤왕(潤王) 조원빈의 아내 이씨가 하사품을 요구하자 며느리가 어찌 딸들과 같을 수 있냐며 크게 꾸짖었다.[41] 유아의 유일한 친척인 의형제 유미는 유아의 권세를 믿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았으며, 자식도 평범한 집안에 시집보냈다.[42]

3. 2. 부정적 평가

유 황후는 유능한 정치가이자 섭정으로 묘사된다. 그녀는 유능한 관리를 임명하고 무능한 관리를 해임했으며, 격렬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비판을 경청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한다.[5] 그러나 황실 의례를 찬탈하고 스스로를 황제처럼 숭배했으며, 빈약한 배경과 저속하다고 여겨지는 친척들을 고위직에 임명한 것에 대해 비판받았다.[5]

황제는 즉위 당시 12세였고 17세에 성년으로 선포될 예정이었으나, 유 황후는 5년 후 섭정에서 물러나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고 죽을 때까지 통치를 계속했다. 유 황후는 양숙비가 자신의 뒤를 이어 황제의 섭정이 되도록 지시했지만, 황제는 유언을 존중하지 않았다.[5]

3. 3. 종합적 평가

유아는 인종의 교육에 엄격했으며, 스스로도 매일 학문에 정진하였다. 황후가 된 뒤에도 소박한 품행을 유지하였고, 황실 여인들의 사치를 용납하지 않았다. 황실 친인척들을 공경하여 진종의 나이든 누이들이 찾아오면 머리가 빠져 가발을 쓰고 있는 그녀들에게 옥과 구슬이 달린 머리띠를 하사하며 대접했지만, 시동생 윤왕(潤王) 조원빈의 아내 이씨가 하사품을 요구하자 며느리가 어찌 딸들과 같을 수 있냐며 크게 꾸짖었다.[41] 유아의 유일한 친척인 의형제 유미는 유아의 권세를 믿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았으며, 자식도 평범한 집안에 시집보냈다.[42]

4. 기타

청나라서태후는 장헌황후를 존경하여 그녀를 본떠 수렴청정을 했다.[16]

5. 등장 작품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장헌명숙황후를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 개봉부 - 북송을 감싼 푸른 하늘(2017년): 甘婷婷|감정정중국어
  • 고성폐 - 인종, 그 사랑과 대의(2020년): 吴越 (演员)|오월중국어
  • 대송궁사 ~ 사랑과 책략의 궁정 회권 ~(2021년): 유도

5. 1. 드라마


  • 개봉부 - 북송을 감싼 푸른 하늘(2017년, 배우: 甘婷婷|감정정중국어)
  • 고성폐 - 인종, 그 사랑과 대의(2020년, 배우: 吴越 (演员)|오월중국어)
  • 대송궁사 ~ 사랑과 책략의 궁정 회권 ~(2021년, 배우: 유도)

참조

[1] 서적 Song Shi null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6] 서적 Book of Wei
[7] 논문
[8] 논문
[9] 서적 Song Shi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宋史
[13] 서적 송사
[14] 서적 송사
[15] 서적 송사
[16] 서적 중국을 뒤흔든 여인들 시그마북스 2009
[17] 서적 황제 배후의 여인 에버리치홀딩스 2007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중국을 말한다 11 신원문화사 2008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