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방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방어는 고등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어류로, 방어와는 달리 삼치속에 속한다. 삼치와 유사하나 뚜렷한 반문이 없고 혀에 이빨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최대 2m, 80kg까지 성장하며,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등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태평양과 인도양의 따뜻한 해역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일본, 남중국해, 대만에서 개체수가 많다. 식용으로 이용되며, 회나 매운탕으로 주로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0년 기재된 물고기 - 물치다래
    물치다래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해역에 사는 고등어과 어류로, 몽치다래와 비슷하지만 몸의 단면이 더 둥글고 측선 주변 퇴화된 비늘이 꼬리까지 뻗어 있으며,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를 먹고 식용으로 이용되어 살을 말린 '강고도리'로도 불린다.
  • 1800년 기재된 물고기 - 동갈삼치
    동갈삼치는 서부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에 넓게 분포하며 몸이 가늘고 긴 방추형인 표해수층 어류로, 긴 첫 번째 등지느러미를 가지며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 육식성 어종이고 식용으로 이용된다.
  • 베르나르제르멩 드 라세페드 백작이 명명한 분류군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베르나르제르멩 드 라세페드 백작이 명명한 분류군 - 대왕고래속
    대왕고래속은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류 속으로, 현존하는 여러 종과 멸종한 종을 포함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고래류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고등어과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고등어과 - 참다랑어
    참다랑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온혈 어류로, 굵고 짧은 방추형 몸체와 짙은 감청색 등, 은회색 배를 가지며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과도한 어획과 함께 양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재방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Scomberomorus sinensis
Scomberomorus sinensis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기어강
고등어목
아목고등어아목
고등어과
아과고등어아과
사와라족
사와라속
재방어 (S. sinensis)
학명Scomberomorus sinensis (Lacepède, 1800)
영어 이름Chinese mackerel, Chinese seerfish
일본어 이름우시사와라
동의어Scomber sinensis Lacepède, 1800
Cybium sinensis (Lacepède, 1800)
Cybium chinense Cuvier, 1832
Scomberomorus chinense (Cuvier, 1832)
Scomberomorus chinensis (Cuvier, 1832)
Cybium cambodgiense Durand, 1940
Scomberomorus cambodgiense (Durand, 1940)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취약근접 (DD)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70346/6760678

2. 특징

재방어는 이름에 '방어'가 들어가지만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방어와는 다르게 고등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삼치속에 속하며 삼치와 비슷하지만, 뚜렷한 반문이 없고 혀에 이빨이 있는 점 등에서 차이가 난다. 몸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고, 등쪽은 녹색이나 푸른색을 띠며 배는 은색이다. 어린 유어는 안장 모양의 얼룩이 있다.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들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최대 몸길이 2m, 무게 80kg까지 성장한다. 꼬리지느러미는 반달 모양이며, 제2 등지느러미는 상어처럼 높게 솟아 있다. 측선은 제1 등지느러미 뒤끝 아래에서 급히 구부러져 물결 모양으로 꼬리자루까지 이어진다. 위턱과 아래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다.

2. 1. 형태

몸은 측편(옆으로 납작한 형태)하며, 머리 등쪽 가장자리는 눈 위쪽에서 움푹 들어가 있다.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다. 몸통 측면 상부에는 불명료한 대형 반점이 2열로 늘어서 있다.[1] 제1 새궁의 새파(아가미를 지지하는 뼈에 붙어 있는 가시 모양의 돌기)는 12~15개이다.[2] 등지느러미는 15~17개의 가시 줄기, 15~17개의 연조, 6~8개의 떨어져 있는 지느러미로 구성된다. 가슴지느러미는 21~23개의 연조, 배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 줄기와 5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뒷지느러미는 16~19개의 연조, 6~7개의 떨어져 있는 지느러미로 구성된다.[3]

3. 생태

재방어는 이름에 '방어'가 들어가지만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방어와는 다르게 고등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삼치속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같은 고등어과의 물고기인 삼치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지만 뚜렷한 반문의 무늬가 없고 혀에도 이빨이 있는 차이점이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뒷부분은 반달 모양이며 등지느러미는 2개이다. 이 중에서 제2 등지느러미는 상어와 같이 높게 솟구쳐 있고 측선은 제1등지느러미의 뒤끝 아래에서 급히 구부러지며 제2등지느러미 앞에서 측선의 중앙선 아래로 내려가 물결 모양을 하면서 꼬리자루에 이른다.

몸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으며 부레가 존재하고 옆줄을 토대로 등쪽은 녹색이나 푸른색을 띠며 배는 은색을 띤다. 어린 유어는 안장 모양의 얼룩이 있으며 위턱과 아래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먹이로는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들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에 속한다.

3. 1. 서식지

재방어는 주로 태평양인도양의 따뜻한 해역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일본, 남중국해, 대만에서 개체 수가 많다. 연안 및 하구역에 서식하며, 메콩강에서는 하구에서 300km 상류까지 올라간 기록이 있다.[1]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 연안에서 자주 관찰되며, 수심 10~50m의 표해수대에 서식한다.

4. 인간과의 관계

재방어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주로 회나 매운탕으로 조리된다. 일본 근해에서는 어획량이 적어 수입에 의존하며, 술지게미 절임 등으로 이용된다. 맛은 삼치에 미치지 못한다.[1] 날카로운 이빨과 혀의 이빨 때문에 살아있는 개체를 다룰 때 주의가 필요하다.

4. 1. 어획

재방어는 주로 회나 매운탕으로 많이 먹는 어종이다.[1] 다만 이빨이 상당히 날카롭고 혀에도 이빨이 있는 어종인 만큼 살아있는 개체를 다룰 때는 주의해야 한다.[1] 한국에서는 낚시를 통해 재방어를 어획하며, 남획을 막고 적정 개체수를 유지하여 지속 가능한 어업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Scomberomorus sinensis''"
[2] 간행물 2012-12-10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