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오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오승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 출신의 작곡가이다. 1942년 결혼 후 경성으로 이주하여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정동방송국과 중앙방송국에서 활동했다. 나애심의 《밤의 탱고》 등 여러 유행가를 작곡했으며, 명국환, 박경원 등에게 곡을 주었다. 1978년 마지막 작품 발표 후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 낚시광으로 동아방송에서 낚시 해설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 찰리 헤이든
찰리 헤이든은 미국의 재즈 베이시스트로, 1937년에 태어나 2014년에 사망했으며, 오넷 콜먼과의 협연을 통해 이름을 알리고 키스 자렛 아메리칸 쿼텟 등 다양한 그룹에서 활동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을 선보였다. -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 그렉 코헨
그렉 코헨은 미국의 베이시스트, 작곡가, 교육자로서, 톰 웨이츠, 존 존, 엘비스 코스텔로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 협업하고, 특히 존 존과 마사다 밴드 활동을 통해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루르 트리엔날레 음악 감독과 베를린 재즈 연구소 및 덴마크 국립 음악 아카데미 교수로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트로트 음악가 - 손태진 (성악가)
손태진은 서울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포르테 디 콰트로 멤버로 활동하며, TBS eFM DJ와 MBN 《불타는 트롯맨》 우승을 거쳐 현재 MBC 표준FM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 DJ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성악가이다. - 대한민국의 트로트 음악가 - 한상기 (작곡가)
한상기는 1941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태평양 전쟁 시기 친일 가요를 작곡하고 해군 군악대장과 영화 음악 작곡가로 활동하며 150여 편의 영화 음악을 작곡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고 여러 영화 음악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클라라 주미 강
클라라 주미 강은 한국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만하임 국립음대, 자하르 브론, 도로시 딜레이 등에게 사사했으며,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음반을 발매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오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오승 |
원어 이름 | 全吾承 |
본명 | 전봉수 (全鳳壽)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3년 03월 1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 |
사망일 | 2016년 07월 03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
직업 | 음악가(기타 연주가 및 작사가 겸 작곡가) 겸 평론가 |
장르 | 트로트 & 영화OST |
악기 | 기타, 하모니카, 피아노, 바이올린, 드럼, 콘트라베이스 |
활동 시기 | 1947년~1983년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김진화 |
가족 | |
가족 구성원 | 아버지: 전상연 어머니: 장중차 형제자매: 5남 4녀 중 맏이 배우자: 김진화 자녀: 2남 3녀 (첫째 딸: 전영심, 둘째 딸: 전영선) 여동생: 나애심(본명 전봉선), 전봉옥 생질녀: 김혜림(가수) |
학력 | |
학력 | 1939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 실천고등상업학교 6학년 중퇴 |
2. 생애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의 부잣집에서 태어나, 광복 이후 서울에서 조두남에게 화성악(화성음악학)을 배웠다. 1947년 정동방송국(HLKA) 경음악단 기타리스트, 1948년 중앙방송국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겸 작곡가로 활동했다. 나애심의 《밤의 탱고》, 《과거를 묻지 마세요》, 《이별의 인천항》, 《방랑시인 김삿갓》, 《백마야 우지마라》 등을 작곡했다. 1978년 《전우가 남긴 한 마디》 작사, 작곡 후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2]
2. 1. 일제강점기 및 해방 직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의 어느 부잣집에서 아버지 전상연(全常淵)과 어머니 장중차(張中次) 사이에서 5남 4녀 중 맏이(장남)로 태어났다.[2] 1934년 평안남도 진남포 남포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9년 진남포 실천고등상업학교를 중퇴한 뒤 1942년 3년 연하의 김진화 씨와 결혼하였다. 부인과 함께 일제강점기 경성부 종로(1945년 을유 광복 후 서울 종로)에 이주해 살았다. 1943년 5월, 경성(종로)에서 장남 전창태를, 1944년 10월, 경성(종로)에서 장녀 전영심을 얻었다. 1945년 해방(을유년 광복) 이후에는 서울 마포에 정착했고, 삼팔도선(훗날의 휴전선)이 설치되면서 진남포 고향으로 갈 수 없게 되었지만, 서울 서대문에 있던 서양 고전 클래식 음악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조두남의 자택을 드나들며 화성악(화성음악학)을 배웠다.2. 2. 대한민국 활동 시기
1947년 정동방송국(HLKA)의 경음악단 전속 기타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이듬해 1948년 중앙방송국에서는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겸 작곡가로 활동했다.[2] 1950년 차녀 전영선(훗날 배우 활동)을 얻었고, 1956년 11월 삼녀 전영희, 1959년 12월 차남 전창무를 얻는 등 모두 2남 3녀(5남매)를 두었다. 여동생 나애심(본명 전봉선)이 부른 《밤의 탱고》, 《과거를 묻지 마세요》 등 유행가를 작곡했다. 《이별의 인천항》, 《방랑시인 김삿갓》, 《백마야 우지마라》 등도 작곡했으며 명국환, 박경원 등에게도 곡을 줬다.[2] 1978년 《전우가 남긴 한 마디》를 작사, 작곡한 것을 마지막으로, 1983년 당시에 활동을 사실상 모두 정리하고 1980년대 초반에 고모 故 전진선[3] 씨 내외[4] 등이 남긴 후손들인 고종사촌 일가들과 모두 함께 동반하여, 장녀 내외(큰딸 전영심 부부)가 이주 및 거주하고 있던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갔다.[2]2. 3. 미국 이민 및 사망
1983년, 고모 전진선[3] 씨 내외[4] 등이 남긴 후손들인 고종사촌 일가들과 모두 함께, 장녀 전영심 부부가 이주 및 거주하고 있던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갔다.3. 가족 관계
4. 기타
참조
[1]
뉴스
2016.07.05. 단신 뉴스 보도 자료 中 부고 및 부음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16-07-05
[2]
웹사이트
박성서, 음악 평론, 작가 탐구[03]작곡가 전오승, 악기 탐닉이 남달랐던 '기타꾼'이자 '낚시광'
http://egloos.zum.co[...]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