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람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람기는 청나라 팔기 중 하나로, 홍타이지 시기 상삼기 중 하나였다. 망굴타이가 기주를 맡았으며, 만주, 몽골, 한군으로 구성되었다. 도르곤 시기에는 하오기로 낮아졌으며, 청나라 말기에는 83개의 정좌령과 11개의 반분좌령을 포함했다. 주요 인물로는 망굴타이, 다하이, 화이타부, 기영, 취궁, 훙저오, 사이샹가, 조이손, 조이풍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군사 - 천총
    천총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하며, 고대 마케도니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 조직의 지휘관 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청나라의 군사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팔기군 - 팔기제
    팔기제는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며 만든 군사·행정 조직으로, 8개의 기로 확장되어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고 청나라 통치 기반 확립에 기여했으며 현대 만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팔기군 -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러시아 국경 분쟁은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로 인해 청나라와 러시아 간에 발생한 아무르강 유역의 국경 및 영토 분쟁으로, 나선정벌을 통해 조선도 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가 외만주를 획득했다.
정람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정람기
정람기 깃발
존속 기간1601년–1912년
소속 국가후금
지휘 구조팔기군
지휘관
주요 지휘관예친왕
명칭
한국어정람기
중국어 간체正蓝旗
중국어 정체正藍旗
중국어 병음zhènglánqí
만주어ᡤᡠᠯᡠ ᠯᠠᠮᡠᠨ ᡤᡡᠰᠠ
만주어 로마자 표기gulu lamun gūsa
몽골어Шулуун хөх хошуу
몽골어 로마자 표기Shuluun khökh khoshuu

2. 역사

정람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나뉘었으며, 청나라 초기 4대 암바 버일러(大贝勒) 중 한 명이었던 망굴타이가 기주를 맡았다. 천총(天聪) 6년(1632년)에 망굴타이는 죄를 지어 해직되었고, 홍타이지가 직접 정람기를 통솔하며 상삼기(上三旗) 중 하나가 되었다. 순치제(顺治帝)의 섭정이었던 도르곤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던 정백기(正白旗)를 상삼기로 격상시키고 정람기를 하오기로 낮추었으며, 여러 왕과 버일러, 그 자제들이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청나라 말 정람기에는 83개의 정좌령(整佐领)과 11개의 반분좌령(半分佐领)이 있었고, 병사는 2만 6천 명, 가족을 포함한 총인구는 약 13만 명이었다.

2. 1. 초기 역사

정람기는 크게 만주, 몽골, 한군으로 나뉘었으며, 청나라 초기 4대 암바 버일러(大贝勒)의 한 명이었던 망굴타이가 그 기주를 맡았다. 천총(天聪) 6년에 망굴타이는 죄가 있어 해직되고, 한(汗) 홍타이지가 직접 정람기를 통솔하며 상삼기(上三旗)의 하나를 이루었다. 홍타이지의 뒤를 이어 즉위한 순치제(顺治帝)의 섭정(摄政)이었던 예친왕(睿親王) 도르곤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던 정백기(正白旗)를 상삼기로 격상시키고 정람기를 하오기로 낮추었으며, 여러 왕(王)과 버일러와 그 자제들이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청나라 말기에 정람기는 83개의 정좌령(整佐领), 11개의 반분좌령(半分佐领)이 있었고, 기의 병사는 2만 6천 명이었으며 가족 총인구를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2. 2. 홍타이지와 도르곤 시기

홍타이지는 정람기를 직접 통솔하여 상삼기(上三旗)의 하나로 삼았다. 홍타이지의 뒤를 이어 즉위한 순치제의 섭정이었던 예친왕 도르곤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던 정백기를 상삼기로 격상시키고 정람기를 하오기로 낮추었으며, 여러 왕과 버일러, 그 자제들이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청 왕조 말기에 정람기는 83개의 정좌령(整佐领)과 11개의 반분좌령(半分佐领)을 거느렸고, 병력은 2만 6천 명, 가족을 포함한 총인구는 약 13만 명이었다.

2. 3. 청나라 말기

정람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나뉘었으며, 청 왕조 초기 4대 암바 버일러(大贝勒)의 한 명이었던 망굴타이가 기주를 맡았다. 천총(天聪) 6년(1632년)에 망굴타이는 죄를 지어 해직되었고, 한(汗) 홍타이지가 직접 정람기를 통솔하며 상삼기(上三旗)의 하나가 되었다. 홍타이지의 뒤를 이어 즉위한 순치제(顺治帝)의 섭정이었던 예친왕(睿親王) 도르곤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던 정백기(正白旗)를 상삼기로 올리고 정람기를 하오기로 낮추었으며, 여러 왕과 버일러, 그 자제들이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청나라 말기에 정람기는 83개의 정좌령(整佐领)과 11개의 반분좌령(半分佐领)이 있었고, 병사는 2만 6천 명이었으며 가족을 모두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3. 구성

정람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나뉘었다. 청나라 초기 4대 암바 버일러(大贝勒) 중 한 명인 망굴타이가 기주를 맡았다. 천총 6년(1632년) 망굴타이는 죄를 지어 해직되었고, 홍타이지가 직접 정람기를 통솔하며 상삼기(上三旗)의 하나가 되었다. 홍타이지의 뒤를 이어 즉위한 순치제의 섭정이었던 도르곤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던 정백기를 상삼기로 격상시키고 정람기를 하오기로 낮추었으며, 여러 왕과 버일러와 그 자제들이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청나라 말기 정람기는 83개의 정좌령(整佐领), 11개의 반분좌령(半分佐领)이 있었고, 기의 병사는 2만 6천 명이었으며 가족 총인구를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3. 1. 만주 팔기


  • 망굴타이(ᠮᠠᠩᡤᡡᠯᡨᠠᡳ|망굴타이mnc)
  • 다하이(ᡩᠠᡥᠠᡳ|다하이mnc)
  • 화이타부(ᡥᡡᠸᠠᡳᡨᠠᠪᡠ|화이타부mnc)
  • 기영(耆英)
  • 취궁(启功)
  • 훙저오(弘晝)
  • 아루테 할라
  • 장기야
  • 기오르카
  • 예허 나라
  • 자오
  • 류기야

3. 2. 몽골 팔기

정람기는 몽골 팔기에 속한다.

3. 3. 한군

은 팔기의 하위 조직 중 하나이다.

4. 주요 인물


  • 이영방
  • 아바타이
  • 아구이
  • 자오얼펑
  • 이기잉
  • 공숙황귀비

4. 1. 만주족

건륭제 치세 동안의 정람기 병사

  • 망굴타이(ᠮᠠᠩᡤᡡᠯᡨᠠᡳ|Manggūltaimnc)
  • 다하이(ᡩᠠᡥᠠᡳ|Dahaimnc)
  • 화이타부(ᡥᡡᠸᠠᡳᡨᠠᠪᡠ|Hūwaitabumnc)
  • 기영(耆英)
  • 취궁(启功)
  • 훙저오(弘晝)
  • 이영방
  • 아바타이
  • 아구이
  • 자오얼펑 (한족)
  • 이기잉
  • 공숙황귀비

4. 2. 몽골족

정람기는 몽골족이다.

4. 3. 한족

자오얼펑 (한족)

4. 4. 기타


  • 이영방
  • 아바타이
  • 아구이
  • 조이풍 赵尔丰|자오얼펑중국어
  • 이기잉
  • 공숙황귀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