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양군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양군은 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흉노의 공격으로부터 대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운중군 동부를 분할하여 설치되었다.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연·수화 연간에는 12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기에는 득강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선무, 동과, 무성, 락, 중릉 등 5개 현을 관할했다. 후한 말 조조에 의해 신흥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서진, 북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다. 당나라 무덕 4년(621년)에 폐지되었다가, 수나라의 흔주가 천보 원년(742년)에 정양군으로 개칭되었으나, 건원 원년(758년)에 다시 흔주로 개칭되어 정양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내몽골의 군 - 운중군
    운중군은 전국 시대 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흉노와의 접경지로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흉노 정벌의 기점으로 활용되다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당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당나라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 한나라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정양군 (행정 구역)
개요
국가중국
행정 구역 유형
위치현재의 산시 성 (섬서성) 북부 지역
존속 기간진 ~ 북위
역사
설치 시기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의해 설치
폐지 시기북위 시기
주요 변화전한 시기: 병주에 속함
후한 시기: 태원군으로 통합
조위 시기: 다시 분할
서진 시기: 동옹주에 속함
지리
위치산시 성 북부 지역
중심지정양현 (현재의 산시 성 신저우 시 딩샹 현)
행정
속현정양현
무성현
평주현
향현
참합현
중릉현
신관현
균도현
대현
인구
호구 수한서 지리지 기준 38,300호
총 인구한서 지리지 기준 159,779명
관련 인물
주요 인물위청 (한나라)
조신 (흉노)
기타
로마자 표기Dìngxiāng Jùn

2. 역사

한 고조운중군에서 분할되어 정양군(定襄郡)이 설치되었다. 왕망 때 득강군(得降郡)으로 개칭되었다가[7], 후한 건립 후 정양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8]

215년(건안 20년), 조조운중군, 정양, 오원, 삭방 4군을 현으로 개정하고, 4개 현을 관할하는 신흥군을 세웠다.[9] 선비족, 오환족, 흉노 등 유목민의 공격과 중원 내부 혼란으로 인해 군 유지가 불가능해지면서, 인근 삭방군, 운중군과 함께 현으로 격하되어 신흥군에 속했다.

혜제 때 신흥군은 진창군(晋昌郡)으로 개칭되었다. 304년 (영흥 원년), 유연이 한왕(漢王)을 칭하고 자립하여 병주 전역을 한(후의 전조)이 장악했다. 유요가 도읍을 장안으로 옮긴 후, 평양 이동 지역은 석륵에 의해 장악되어 삭방에 삭주(朔州)가 설치되었다.[10]

북위 때 한나라까지의 정양군 지역에는 운중군, 선무군, 양성군, 대군 등이 설치되었고, 일부는 삭주에 속한 운중군에, 대부분은 항주(恒州)에 속했다.

585년(수 문제 개황 5년), 운주총관부(雲州總管府)가 설치된 이후 605년(수 양제 대업 원년) 부가 폐지되었고 본군이 복구되었다.[16]

621년(무덕 4년), 유무주를 평정하자 정양군은 폐지되어 삭주에 편입되었다. 한편 의 누번군수용 현을 전신으로 하는 흔주가 있었는데, 742년(천보 원년)에 이 흔주가 정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정양군은 흔주로 개칭되어 정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2. 1. 전한

전한 초에는 운중군의 일부였다.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고제가 흉노 등 중국 북쪽에 사는 민족들에게 시달리는 대나라의 방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중군 동부만을 분리해 대나라 산하에 남기고 정양군이라 이름했다. 나머지 운중군 서부는 그대로 운중군이 되고 한나라에 속했다. 이후 오초칠국의 난 이후 제후왕국이 변군을 잃으면서 정양군도 한나라에 속했다.[13][14]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8,559호, 163,144명이 있었다. 치소는 성락현이다. 아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내용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이다.[1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성락현成樂縣호흐호트시 호린게르 현 북서
동과현桐過縣호흐호트시 칭수이허 현 서
도무현都武縣?
무진현武進縣호흐호트시 호린게르 현 북동백거수(白渠水)가 새외에서 나와 서쪽으로 사릉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서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양음현襄陰縣?
무고현武皋縣울란차브시 줘쯔 현 북서황간수(荒干水)가 새외에서 나와 서쪽으로 사릉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중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낙현駱縣호흐호트시 칭수이허 현 남서
안도현安陶縣호흐호트시 동
무성현武城縣호흐호트시 칭수이허 현 북
무요현武要縣울란차브시 줘쯔 현 북서동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정양현定襄縣호흐호트시 남동
복륙현復陸縣?



왕망 때 득강군(得降郡)으로 개칭되었다.[7]

2. 2. 신

전한
동과의동(椅桐)
도무통덕(通德)
무진벌만(伐蠻)
무고영무(永武)
차요(遮要)
안도영부(迎符)
무성환취(桓就)
무요엽호(厭胡)
정양저무(著武)
복륙문무(聞武)


2. 3. 후한

후한이 건립되자 정양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정양군은 선무, 동과, 무성, 락, 중릉 등 5개 현을 관할했다.[8]

5성 3,153호 13,571명을 거느렸다.

현명한자비고
선무善無
동과현桐過
무성武成
락현
중릉中陵본래 안문군에 속했다.



215년(건안 20년), 조조가 운중, 정양, 오원, 삭방의 4군을 현으로 개정하고, 4개 현을 관할하는 신흥군을 세웠다.[9] 선비족, 오환족, 흉노등 유목민들의 공격과 중원 내부의 혼란으로 인해 군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서 인근의 삭방군, 운중군, 오원군과 함께 현으로 격하되어 신흥군에 속했다.

2. 4. 위진

후한 중기에 탁발선비정양군 성락현 자리에 도읍을 잡았다. 후한 건립 후 정양군은 선무・동과・무성・락・중릉 등 5개 현을 관할했다.[8]

215년 (후한 건안 20년), 조조운중・정양・오원삭방 4군을 현으로 개정하고, 4개 현을 관할하는 신흥군을 세웠다.[9]

혜제 때 신흥군은 진창군(晋昌郡)으로 개칭되었다. 304년 (영흥 원년), 유연이 한왕(漢王)을 칭하고 자립하자, 병주 전역을 한(후의 전조)이 장악했다. 유요가 도읍을 장안으로 옮긴 후 평양 이동 지역은 석륵에 의해 장악되어 삭방에 삭주(朔州)가 설치되었다.[10]

2. 5. 북위

북위 때 한나라까지의 정양군 지역에는 운중군, 선무군, 양성군, 대군 등이 설치되었고, 일부는 삭주에 속한 운중군에, 대부분은 항주(恒州)에 속했다.

2. 6. 수

585년(수 문제 개황 5년), '''운주총관부(雲州總管府)'''가 설치된 이후 605년(수 양제 대업 원년) 부가 폐지되었고 본군이 복구되었다. 1개 현 374호를 거느렸다.[1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대리현大利縣호린게르 현 북서 운중군 고성대업 초기 신설되었다. 음산과 자하(紫河)가 현내에 존재했다.


2. 7. 당

621년(무덕 4년), 유무주를 평정하자 정양군은 폐지되어 삭주에 편입되었다. 한편 의 누번군수용 현을 전신으로 하는 흔주가 있었는데, 742년(천보 원년)에 이 흔주가 정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정양군은 흔주로 개칭되어 정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3. 군수·태수

이름재임 시기비고
의종? ~ 기원전 119년
한안국기원전 42년운중태수일 수도 있다.[17]
반백성제 시기
필유1년 ~ ?
두봉(竇奉)?[18]


3. 1. 전한

전한대에 정양군을 다스린 태수에 대해서는 기록된 바가 거의 없다. 다음은 전한 시대 정양태수를 지낸 인물들이다.

이름재임 시기비고
의종? ~ 기원전 119년
한안국기원전 42년운중태수일 수도 있다.[17]
반백성제 시기
필유1년 ~ ?


3. 2. 후한

두봉[18]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Book of Sui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漢書地理志下
[8] 서적 後漢書郡国志五
[9] 서적 三国志
[10] 서적 晋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4] 서적 한서 권1 하 고제기제1 하
[15]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6]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한서
[18] 서적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