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하군은 기원전 125년 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삭방자사부에 속했으며, 여러 현을 관할했다. 왕망 대에는 귀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서하군으로 복구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서하국으로 설치되었으나, 영가의 난으로 멸망했다. 이후 북위, 수나라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화했고, 당나라 시대에는 호주, 분주로 개칭되면서 서하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의 군 - 운중군
운중군은 전국 시대 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흉노와의 접경지로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흉노 정벌의 기점으로 활용되다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내몽골의 군 - 정양군 (행정 구역)
정양군은 전한 시대에 흉노의 공격으로부터 대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왕망 시기에 득강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는 신흥군으로 개편되었고, 수나라 시기에 흔주가 정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지만 당나라 무덕 4년에 폐지되었다.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하동군 (중국)
하동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시기에 포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태원군
태원군은 기원전 247년 진나라에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 통폐합, 재설치를 반복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16개 현을, 수나라 때는 15현을 관할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서하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조위 |
위치 | 현재의 산시성 동부 산시성 서부 지역 |
설치 시기 | 흥평 원년(194년) |
폐지 시기 | 북위 |
치소 | 리시현 |
역사 | |
연혁 | 후한 흥평 원년(194년): 이각이 설치 조위: 관할 구역 축소 및 치소 변경 서진: 삭방군 일부 편입 북위: 폐지 |
행정 구역 (서진) | |
속현 | 리시현 (離石縣, 리스 현) 핑이현 (平夷縣, 평이 현) 후시현 (여량시) (呼 Types of Information |
2. 역사
전한 무제가 기원전 125년(원삭 4년)에 상군의 북부를 분할하여 서하군을 설치했다. 군의 치소는 평정현과 부창현 두 가지 설이 있다. 왕망 때 귀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서하군으로 명칭이 복구되었다.
서진 때는 서하국(西河國)이 설치되었으나, 영가의 난으로 전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북위 때 서하군이 다시 설치되었고, 북제 때는 남삭주, 북주 때는 개주에 속했다.
수나라는 583년(開皇|개황중국어 3년)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서하군을 폐지했다가, 607년(大業|대업중국어 3년) 군제를 부활시키면서 개주(介州)를 서하군으로 개칭했다.
당나라 건국 후 618년(무덕 원년) 서하군은 호주(浩州)로, 620년(무덕 3년)에는 분주(汾州)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다시 서하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분주로 개칭되면서 서하군이라는 명칭은 완전히 사라졌다.
2. 1. 전한
漢중국어나라 武帝|무제중국어 元朔|원삭중국어 4년(기원전 125년)에 상군의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 치소는 평정현과 부창현 두 가지 설이 있다. 삭방자사부에 속했으며, 36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이 신(新)나라를 세우면서 귀신군(歸新郡)으로 개칭되었다.[7]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6,390호, 698,836명이 있었다. 다음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진다.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부창 | 富昌 | 어얼둬쓰 시 준거얼 기 남동 | 염관이 있다. |
추우 | 騶虞 | ? | |
곡택 | 鵠澤 | ? | |
평정 | 平定 | 어얼둬쓰 시 준거얼 기 남서 | |
미직 | 美稷 | 어얼둬쓰 시 준거얼 기 북서 | 속국도위가 다스린다. |
중양 | 中陽 | 뤼량 시 중양 현 | |
낙가 | 樂街 | ? | |
도경 | 徒經 | ? | |
고랑 | 皋狼 | 뤼량 시 리스 구 북서 | |
대성 | 大成 | 어얼둬쓰 시 항진 기 남동 | |
광전 | 廣田 | ? | |
은음 | 圜陰 | 위린 시 동 | 惠帝|혜제중국어 5년(기원전 190년)에 설치했다. |
익란 | 益闌 | ? | |
평주 | 平周 | 뤼량 시 샤오이 시 남서 | |
홍문 | 鴻門 | 위린 시 선무 시 남서 | 천봉원화정사(天封苑火井祠)가 있어 땅에서 불이 나온다. |
인 | 藺 | 뤼량 시 류린 현 북 | |
선무 | 宣武 | ? | |
간장 | 干章 | ? | |
증산 | 增山 | 어얼둬쓰 시 둥성 구 북서 |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
은양 | 圜陽 | 위린 시 선무 시 남 | |
광연 | 廣衍 | 어얼둬쓰 시 준거얼 기 남서 | |
무차 | 武車 | ? | |
호맹 | 虎孟 | 어얼둬쓰 시 이진훠뤄 기 남서 | 서부도위가 다스린다. |
이석 | 離石 | 뤼량 시 리스 구 | |
곡라 | 穀羅 | 어얼둬쓰 시 준가얼 기 남서 | 무택(武澤)이 북서에 있다. |
요 | 饒 | ? | |
방리 | 方利 | ? | |
습성 | 隰成 | 뤼량 시 류린 현 서 | |
임수 | 臨水 | 뤼량 시 린 현 북동 | |
토군 | 土軍 | 뤼량 시 스러우 현 | |
서도 | 西都 | ? | |
평륙 | 平陸 | ? | |
음산 | 陰山 | 옌안 시 이촨 현 동 | |
예씨 | 觬氏 | ? | |
박릉 | 博陵 | ? | |
염관 | 鹽官 | ? |
2. 2. 신
왕망이 신을 건국하고 서하군의 명칭을 귀신(歸新)으로 고치고 속현들의 명칭을 고쳤다.[1]한 | 신 |
---|---|
부창 | 부성(富成) |
평정 | 음평정(陰平亭) |
낙가 | 절로(截虜) |
도경 | 염치(廉耻) |
대성 | 호성(好成) |
광전 | 광한(廣翰) |
은음 | 방음(方陰) |
익란 | 향란(香闌) |
선무 | 토맥(討貉) |
무차 | 환차(桓車) |
요 | 요연(饒衍) |
방리 | 광덕(廣德) |
습성 | 자평정(慈平亭) |
임수 | 감수(監水) |
서도 | 오원정(五原亭) |
음산 | 산녕(山寧) |
예씨 | 복예(伏觬) |
박릉 | 조환(助桓) |
2. 3. 후한
후한이 건국되면서 서하군이라는 명칭이 복구되었다. 병주에 속했으며, 이석, 평정, 미직, 낙가이, 중양, 고랑, 평주, 평륙, 익란, 환음, 린, 환양, 광연의 13개 현을 관할했다.[8] 139년(영화 4년) 강족(羌)의 침입으로 치소를 이석현으로 옮겼다.[15] 남흉노의 선우로 즉위한 오주류약제 선우의 아들 우욱鞬일축왕 비(比)가 미직에 들어와 거주한 이래 남흉노의 선우정이 되었다.[16]13개 성에 5,698호 20,838명을 관할했다.[15]
현명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이석현 | 변화없음 | 139년 이후 서하군의 치소가 되었다. |
평정 | 변화없음 | 139년까지 서하군의 치소가 있었으나 강족의 침공으로 황폐화되었다. |
중양 | 변화없음 | |
미직 | 변화없음 | 남흉노의 선우정이 설치되었다. |
평주현 | 변화없음 | |
익란현 | 변화없음 | |
평륙 | 변화없음 | |
환음 | 변화없음 | |
낙가이 | 변화없음 | |
고랑 | 변화없음 | |
광연 | 변화없음 | |
환양 | 변화없음 | |
인현 | 변화없음 |
2. 4. 서진
서진 시대에는 서하국(西河國)이 설치되었고, 이석, 습성, 중양, 개휴의 4개 현을 관할했다.[17]현명(한글) | 현명(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이석현 | 離石縣 | 뤼량 시 리스 구 | 유연이 세운 전조의 첫 수도였다. |
습성현 | 隰城縣 | 뤼량 시 습성 | |
중양현 | 中陽縣 | 뤼량 시 중양 | |
개휴현 | 介休縣 | 진중 시 제슈 시 |
영가의 난으로 인해 흉노족 유연이 세운 한(漢, 훗날의 전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7]
2. 5. 북조
북위 때 서하군이 다시 설치되었고, 개주에 속했다. 484년(태화 8년)에 설치된 서하군은 습성, 개휴, 영안의 3개 현을 관할했다.[10] 북위 시기에는 분주에 속했다가 526년(효창 2년) 북방 민족 토벌 이후 평양군의 경계에 살게 하면서 설치되었으며, 3현 1,761호 4,997명을 거느렸다.[18]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永安縣 | 영안현 | 미상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치소는 백항성(白坑城)이다. |
隰城縣 | 습성현 | 변화없음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정양군으로 이관되었다.[19] |
介休縣 | 개휴현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북주에선 서하군이 개휴군으로 개명되면서 개휴군의 영현이 되었다. |
북제 때는 남삭주에, 북주 때는 개주에 속했다.[10]
2. 6. 수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583년(開皇중국어 3년) 서하군이 폐지되었다. 607년(大業중국어 3년) 수나라가 군제를 부활시키면서 개주(介州)가 서하군으로 개칭되었다.[20] 서하군은 6개 현, 67,351호를 거느렸다.[20]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隰城縣 | 습성현 | 변화없음 | 開皇중국어 초에 군이 폐지되며 사라졌다가 大業중국어 초에 복치되었다. 은천산(隱泉山)이 있다. |
介休縣 | 개휴현 | 開皇중국어 초에 군이 폐지되며 없어졌다가 598년(開皇중국어 18년) 개휴현으로 바뀌었다. | |
永安縣 | 영안현 | 작서곡(雀鼠穀)이 있다. | |
平遙縣 | 평요현 | 핑야오 고성 | 녹대산(鹿臺山)이 있다. |
靈石縣 | 영석현 | 진중 시 링스 현 | 590년(開皇중국어 10년) 설치했다. |
綿上縣 | 면상현 | 창즈 시 친위안 현 | 596년(開皇중국어 16년) 신설했다. 심수(沁水)가 있다. |
2. 7. 당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가 건국되면서 서하군은 호주(浩州)로 개명되었다.[12] 620년(무덕 3년), 호주는 분주(汾州)로 개칭되었고,[12] 742년(천보 원년) 다시 서하군으로 바뀌었다.[12] 758년(건원 원년), 서하군은 다시 분주로 개칭되면서 서하군이라는 명칭은 완전히 사라졌다.[12]3. 행정 구역
기원전 125년(원삭 4년), 상군의 북부가 분할되어 서하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평정현에 두었다.
왕망 때, 귀신군으로 개칭되었다.[7]
후한이 세워지자, 서하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서진 때, '''서하국'''이 설치되었다.[9] 영가의 난으로 인해, 그 땅은 함락되었다.
484년(태화 8년), 북위에 의해 서하군이 다시 설치되었다.[10]
북제 때, 서하군은 남삭주에 속했다. 북주 때, 서하군은 개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서하군은 폐지되어 개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개주는 서하군으로 개칭되었다.[11]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에 의해 서하군은 호주로 개명되었다. 620년 (무덕 3년), 호주는 분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분주는 서하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서하군은 분주로 개칭되어, 서하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2]
3. 1. 전한
전한 무제가 원삭 4년(기원전 125년)에 설치했다. 대공왕의 아홉 왕자후 중 일곱 제후국이 지리지에서 서하군 소속으로 나오므로, 이 왕자후국이 추은령에 따라 대나라에서 갈려나와 상군에 속했다가 지나치게 비대해진 상군을 분할해서 설치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서하군은 구 태원군과 상군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신설한 셈이다. 남부도위가 새외의 옹룡(翁龍)·비시(埤是)를 다스렸다.무제가 주자사를 두면서 삭방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6,390호, 698,836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진다. 치소는 평정현과 부창현 두 설이 있다.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부창 | 富昌 | 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동 | 염관이 있다. |
추우 | 騶虞 | ? | |
곡택 | 鵠澤 | ? | |
평정 | 平定 | 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 |
미직 | 美稷 | 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북서 | 속국도위가 다스린다. |
중양 | 中陽 | 뤼량시 중양 현 | |
낙가 | 樂街 | ? | |
도경 | 徒經 | ? | |
고랑 | 皋狼 | 뤼량시 리스 구 북서 | |
대성 | 大成 | 어얼둬쓰시 항진 기 남동 | |
광전 | 廣田 | ? | |
은음 | 圜陰 | 위린시 동 | 혜제 5년(기원전 190년)에 설치했다.[13] |
익란 | 益闌 | ? | |
평주 | 平周 | 뤼량시 샤오이 시 남서 | |
홍문 | 鴻門 | 위린시 선무시 남서 | 천봉원화정사(天封苑火井祠)가 있어 땅에서 불이 나온다. |
인 | 藺 | 뤼량시 류린 현 북 | |
선무 | 宣武 | ? | |
간장 | 干章 | ?[14] | |
증산 | 增山 | 어얼둬쓰시 둥성 구 북서 |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
은양 | 圜陽 | 위린시 선무 시 남 | |
광연 | 廣衍 | 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 |
무차 | 武車 | ? | |
호맹 | 虎孟 | 어얼둬쓰시 이진훠뤄 기 남서 | 서부도위가 다스린다. |
이석 | 離石 | 뤼량시 리스 구 | |
곡라 | 穀羅 | 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 무택(武澤)이 북서에 있다. |
요 | 饒 | ? | |
방리 | 方利 | ? | |
습성 | 隰成 | 뤼량시 류린 현 서 | |
임수 | 臨水 | 뤼량시 린 현 북동 | |
토군 | 土軍 | 뤼량시 스러우 현 | |
서도 | 西都 | ? | |
평륙 | 平陸 | ? | |
음산 | 陰山 | 옌안시 이촨 현 동 | |
예씨 | 觬氏 | ? | |
박릉 | 博陵 | ? | |
염관 | 鹽官 | ? |
3. 2. 신
왕망이 서하군의 속현들의 이름을 고쳤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한 | 신 |
---|---|
부창 | 부성(富成) |
평정 | 음평정(陰平亭) |
낙가 | 절로(截虜) |
도경 | 염치(廉耻) |
대성 | 호성(好成) |
광전 | 광한(廣翰) |
은음 | 방음(方陰) |
익란 | 향란(香闌) |
선무 | 토맥(討貉) |
무차 | 환차(桓車) |
요 | 요연(饒衍) |
방리 | 광덕(廣德) |
습성 | 자평정(慈平亭) |
임수 | 감수(監水) |
서도 | 오원정(五原亭) |
음산 | 산녕(山寧) |
예씨 | 복예(伏觬) |
박릉 | 조환(助桓) |
3. 3. 후한
낙양으로부터 북으로 1200km 거리에 있으며, 병주자사부로 이관되었다. 치소는 본래 평정이었으나 영화 4년 (139년) 강족의 침공으로 이석으로 옮겨졌다.[15]선비족과 오환 등 북방 민족의 대두, 후한대의 행정 부담 문제로 13개 현으로 대폭 축소되었다.
13개 성에 5,698호 20,838명을 관할했다.[15]
현명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이석현(離石) | 변화없음 | 139년 이후 서하군의 치소가 되었다. |
평정현(平定) | 변화없음 | 139년까지 서하군의 치소가 있었으나 강족의 침공으로 황폐화되었다. |
중양현(中陽) | 변화없음 | |
미직현(美稷) | 변화없음 | 남흉노의 선우로 즉위한 오주류야제(烏珠留若鞮) 선우의 아들 우욱건일축왕(右奧鞬日逐王) 비(比)가 본 현에 들어와 거주한 이래 남흉노의 선우정이 되었다.[16] |
평주현(平周) | 변화없음 | |
익란현(益蘭) | 변화없음 | |
평륙현(平陸) | 변화없음 | |
은음현(圜陰) | 변화없음 | |
낙가현(樂街) | 변화없음 | |
고랑현(皋狼) | 변화없음 | |
광연현(廣衍) | 변화없음 | |
은양현(圜陽) | 변화없음 | |
인현(藺) | 변화없음 |
3. 4. 서진
유연이 세운 전조의 첫 수도는 서하군의 속현인 이석현이었다. 서진 시대 서하군은 4현 6,300호를 거느렸다.[17]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離石縣 | 이석현 | 변화없음 | 유연이 세운 전조의 첫 수도였다. |
隰城縣 | 습성현 | ||
中陽縣 | 중양현 | ||
介休縣 | 개휴현 | 진중 시 제슈 시 |
3. 5. 북조
효창 2년(526년), 북방민족 토벌 이후 평양군 경계에 살게 하면서 군이 설치되었다. 3현 1,761호 4,997명을 거느렸다.[18]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永安縣 | 영안현 | 미상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치소는 백항성(白坑城)이다. |
隰城縣 | 습성현 | 변화없음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정양군으로 이관되었다.[19] |
介休縣 | 개휴현 | 변화없음 | 효창 연간에 설치했다. 북주에선 서하군이 개휴군으로 개명되면서 개휴군의 영현이 되었다. |
3. 6. 수
수나라 때 서하군은 6현 67,351호를 거느렸다.[20]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隰城縣 | 습성현 | 변화없음 | 개황 초기에 군이 폐지되면서 사라졌다가 대업 초기에 복구되었다. 은천산(隱泉山)이 있다. |
介休縣 | 개휴현 | 개황 초기에 군이 폐지되면서 없어졌다가 598년(개황 18년) 개휴현으로 바뀌었다. | |
永安縣 | 영안현 | 작서곡(雀鼠穀)이 있다. | |
平遙縣 | 평요현 | 핑야오 고성 | 녹대산(鹿臺山)이 있다. |
靈石縣 | 영석현 | 진중 시 링스 현 | 590년(개황 10년) 설치했다. |
綿上縣 | 면상현 | 창즈 시 친위안 현 | 596년(개황 16년) 신설했다. 심수(沁水)가 있다. |
4. 역대 태수
이름 | 재임 기간 |
---|---|
상혜 | 기원전 119년[1] |
두연년 | 기원전 64년 ~ 기원전 55년[2] |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Wei
[5]
서적
Book of Sui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漢書
[8]
서적
後漢書
[9]
서적
晋書
[10]
서적
魏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문서
[14]
문서
[15]
웹인용
後漢書/卷113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17-12-06
[16]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진서-권 14
https://zh.wikisourc[...]
[18]
서적
위서-권106
https://zh.wikisourc[...]
[19]
서적
수서-권30
https://zh.wikisourc[...]
[20]
서적
수서-권30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