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1공병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공병대대는 미국 육군의 공병 부대로,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낙동강 방어선 구축에 기여했으며, 1971년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했다. 이후 여러 차례 재소집과 해산을 거쳐, 2017년 10월 18일 주한 미군 제2전투항공여단에 배속되어 현재까지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본부 및 본부중대, 전방지원중대 등 여러 중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1공병대대
제11공병대대
부대 정보
문장
병과공병대
역할군단 이상 제대(EAC) 지원
규모대대, 3개 중대
본부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마스코트흑표범
지휘관
인식표
DUI

2. 역사

제11공병대대는 1917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해산과 재소집을 반복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 등 여러 전장과 임무에 참여했다.

1917년 뉴욕시에서 편성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후 1919년 동원 해체되었다.[1] 1920년 예비군과 정규군으로 계보가 나뉜 후, 1921년 파나마만 영역에서 재창설되어 파나마 운하사단에 배속되었다.[1] 파나마 정글에서 근무하며 "흑표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 오스트리아에서 군정 임무 수행 중 해산,[1]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일본에서 재소집되어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 참전, 이후 1971년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했다.[1]

1971년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에서 재소집, 1990년 해산,[1] 1992년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서 재소집되어 제24보병사단제3보병사단에 차례로 배속되었다가 2004년 다시 해산되었다.[1]

2007년 포트 베닝에서 본부 및 본부중대 등이 재소집되었으나 2016년 해산되었다.[1] 2017년 주한 미군 재배치를 위해 대한민국에서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가 재소집되어 제2전투항공여단에 배속되었다.[1]

2. 1. 창설과 제1차 세계 대전

부대는 최초에 뉴욕주 뉴욕시에서 1917년 4월 6일부터 5월 26일까지 3개 철도정비 공병연대 중 하나로서 편성되었다.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서 가장 먼저 유럽 전구에 투입되어 1917년 8월에 북부 프랑스로 건너가 셍미이엘과 뫼즈-아르곤에서 전투에 참가하였고, 종전 후에는 뉴욕시 캠프 업턴으로 돌아가 1919년 5월 6일에 동원해체되었다.

2. 2. 전간기

1920년 11월 4일, 예비군 제363공병(363d Engineers영어)과 정규군 제11공병(11th Engineers영어)으로 부대 계보가 나뉘었다. 7개월 뒤인 1920년 11월 20일, 파나마만 영역에서 제11공병연대가 활성화되었다. 제11공병연대는 1921년 6월 2일부터 1932년 4월 15일까지 약 23년간 파나마 운하사단에 배속되었다. 파나마의 정글에서 근무하면서 "흑표범(Jungle Cats영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11월 30일, 오스트리아에서 군정 임무를 수행하던 중 해산되었다.

2. 4. 한국 전쟁

1950년 3월 15일, 일본에서 재소집되었다. 제24보병사단과 유엔군이 낙동강을 건널 수 있게 도왔다. 휴전 후에는 1971년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하였다.[1]

2. 5. 냉전과 그 이후

1971년 5월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에서 중장비전투대대로 재소집되어, 공병센터(Engineer Center영어)에 건설 지원을 제공하였다. 1990년 1월 공병센터가 미주리주 포트 레오나드 우드로 이전하자 해산하였다.[1]

1992년 7월 17일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서 전투공병대대로 재소집되어 제24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1996년 2월 15일 제3보병사단으로 전속되었다.[1] 2004년 3월 15일 포트 스튜어트에서 제3보병사단에서 배속이 풀리고 해산하였다.[1]

2007년 1월 16일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본부 및 본부중대와 구상된 지원중대가 함께 재소집되었다.[1] 2016년 1월 1일에 해산하였다.[1]

2. 6. 주한 미군 재배속

2015년부터 한반도에 순환하는 공병대대를 대체하기 위해 제11공병대대는 대한민국에 주둔하고 있던 제84공병대대 예하 제643공병지원중대를 배속받았다. 2017년 10월 18일에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가 재소집되었고, 제2전투항공여단에 배속되었다. 대대는 군단급 자산으로 지정되었지만, 전구급 공병부대의 기능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운용될 것이다.[1]

3. 부대 구성

제11공병대대는 현재 본부 및 본부중대, 전방지원중대, 제55공병중대(MAC), 제630공병중대(CC), 제643공병중대(ESC), 제814공병중대(MRBC)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에 제11공병대대에 속했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52공병팀 (Design and Survey)
제153공병팀 (Concrete)
제6공병중대 (Vertical)
제63공병중대 (CSE)
제362공병중대 (MRB)
제793공병중대 (Horizontal)


3. 1. 현재


  • 본부 및 본부중대
  • 전방지원중대
  • 제55공병중대 (MAC)
  • 제630공병중대 (CC)
  • 제643공병중대 (ESC)
  • 제814공병중대 (MRBC)

3. 2. 이전


4. 기록

제11공병대대는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하여 다양한 부대 표창을 받았다.
참전 기록

전역주요 전투 및 작전
제1차 세계 대전캉브레 전투, 셍미이엘 전투, 뫼즈-아르곤 전투
제2차 세계 대전미국 본토 방어, 지크프리트 방어선 전투, 벌지 전투, 서부 연합군의 독일 침공
한국 전쟁UN 방어, UN 공세, 중공군 개입, 첫 UN 반격, 중공군 춘계공세, UN 하계-추계 공세, 1952년 하계-추계 한국, 1953년 하계 한국
걸프 전쟁정전
테러와의 전쟁


수훈 내역

표창내용
대통령 육군부대 표창이라크 2003년
육군 공로부대표창한국 1950년~1951년, 1953년~1954년
육군 우수부대표창1994년, 2001년


4. 1. 소속

부대기간
파나마 운하사단1921년 6월 2일 ~ 1932년
제24보병사단1992년 7월 17일 ~ 1996년
제3보병사단1996년 2월 15일 ~ 2004년
제2전투항공여단2017년 10월 18일 ~ 현재


4. 2. 참전 기록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정전

테러와의 전쟁


4. 3. 수훈 내역

스트리머내역
대통령 육군부대 표창이라크 2003년
육군 공로부대표창한국 1950년~1951년
육군 공로부대표창한국 1953년~1954년
육군 우수부대표창1994년
육군 우수부대표창200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