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2집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2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서부 전선에서 활동한 미국의 야전군이다. 오마 N. 브래들리가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1944년 8월 1일에 창설되어 1945년 5월 8일까지 존재했다. 제12집단군은 제1군, 제3군, 제9군, 제15군, 제18공수군단을 예하에 두고 유럽 전역에서 주요 작전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집단군 - 제6집단군
    제6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집단군으로서, 남부 프랑스 침공을 지원하고 독일군을 격퇴하며 바이에른과 오스트리아 서부로 진격 후 해산되었다.
  • 미국의 집단군 - 제15집단군
    제15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역에서 활동하며 시칠리아 침공을 이끌었고, 이탈리아 연합군으로 개명되어 로마를 점령한 후 종전 후 미국 오스트리아 점령군으로 재편성되었다.
  • 1944년 설립된 단체 - 천안남산초등학교
    1944년 개교한 천안남산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초등학교로, 천안제2공립국민학교, 천안제2국민학교, 천안남산국민학교를 거쳐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1985년 병설유치원을 개원하고 청수국민학교, 구성국민학교를 분리 설립하였다.
  • 1944년 설립된 단체 -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조선여자근로정신대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국이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조직한 근로 봉사 단체로, 12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 조선 여성이 동원되어 군수 공장 등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렸으며, 일본군 위안부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 1945년 해체된 단체 - 제38군 (일본군)
    제38군은 1942년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주둔하며 창설되어 해당 지역 방위를 담당했고, 1945년 명호 작전에 참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었으며, 여러 문제로 비판받았다.
  • 1945년 해체된 단체 - 대만군 (일본군)
    대만군은 1895년 일본 제국이 대만을 점령한 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대만에 주둔하며 중국 본토 작전에 투입되거나 연합군 공격에 대비한 방어 체계를 구축했던 일본군의 군급 부대이다.
제12집단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어깨 소매 휘장
활동 기간1944년–1945년
국가미국
군종미국 육군
종류군집단
역할군집단 본부
규모130만 명
명령 구조연합 원정군
참전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지휘관오마 브래들리

2. 역사

2. 1. 편성 배경

2. 2. 주요 작전

3. 참모

wikitable

제12집단군 사령부
사령관 및 참모진[3]
직위1944년 8월 1일1945년 5월 8일
사령관중장 오마 N. 브래들리대장 오마 N. 브래들리
참모장소장 레번 C. 앨런소장 레번 C. 앨런
부참모장준장 로버트 W. 해스브룩준장 헨리 B. 루이스
참모부 서기중령 엘던 L. 베일리대령 엘던 L. 베일리
G-1 (인사)[4]대령 조셉 J. 오'헤어준장 조셉 오'헤어
G-2 (정보)[4]준장 에드윈 L. 시버트준장 에드윈 L. 시버트
G-3 (작전 및 훈련)[4]준장 A. 프랭클린 키블러준장 A. 프랭클린 키블러
G-4 (병참)[4]준장 레이몬드 G. 모세스준장 레이몬드 G. 모세스
G-5 (군정)[4]대령 코넬리우스 E. 라이언준장 코넬리우스 E. 라이언
부관감준장 헨리 B. 루이스대령 찰스 R. 랜던
포병감준장 존 H. 힌즈대령 토마스 B. 헤데킨
기갑대령 에드윈 K. 라이트대령 에드윈 K. 라이트
군종감중령 모건 J. 오브라이언
화학대령 존 C. 맥아더대령 패트릭 F. 파워스
공병대령 패트릭 H. 티모시준장 패트릭 H. 티모시
재정중령 폴 G. 호메이어소령 유진 R. 멜튼
사령부 사령관대령 해리 J. 카라카스대령 해리 J. 카라카스
감찰감중령 월터 B. 크레이머대령 프랭크 G. 링랜드
법무감대령 클로드 B. 미켈웨이트대령 클로드 B. 미켈웨이트
병기감대령 해럴드 A. 니스리준장 해럴드 A. 니스리
홍보 및 심리전/P & PW영어대령 클리포드 R. 파월대령 프랜시스 J. 피츠제럴드
헌병감대령 클로드 E. 스타트먼대령 클로드 E. 스타트먼
병참감대령 제임스 W. 영거준장 제임스 W. 영거
통신대령 갈랜드 C. 블랙준장 갈랜드 C. 블랙
특수 지원중령 프랜시스 E. 콘더대령 토마스 M. 크로포드
군 의무감대령 앨빈 L. 고비대령 앨빈 L. 고비
수송대령 캘빈 L. 휘틀대령 캘빈 L. 휘틀
특수 부대 사령관준장 찰스 R. 도란준장 찰스 R. 도란


4. 전투 서열 (1945년 5월)

22px
제12군집단 – 육군 대장 오마 N. 브래들리

22px
제1군 – 육군 대장 코트니 H. 호지스

  • **
    22px
    제78보병사단 – 소장 에드윈 P. 파커 주니어
  • **
    22px
    제7군단 – 중장 J. 로턴 콜린스

22px
제3기갑사단 – 준장 도일 O. 히키
22px
제9보병사단 – 소장 루이스 A. 크레이그
22px
제69보병사단 – 소장 에밀 F. 라인하르트
22px
제104보병사단 – 소장 테리 드 라 메사 앨런 시니어

  • **
    22px
    제8군단 – 소장 트로이 H. 미들턴

22px
제6기갑사단 – 소장 로버트 W. 그로우
22px
제76보병사단 – 소장 윌리엄 R. 슈미트
22px
제87보병사단 – 소장 프랭크 L. 컬린 주니어
22px
제89보병사단 – 소장 토마스 D. 핀리

22px
제3군 – 육군 대장 조지 S. 패튼 주니어

  • **
    22px
    제4보병사단 – 소장 해롤드 W. 블레이클리
  • **
    22px
    제70보병사단 – 소장 앨리슨 J. 바넷
  • **
    22px
    제3군단 – 소장 제임스 밴 플리트

제14기갑사단 – 소장 앨버트 C. 스미스
22px
제99보병사단 – 소장 월터 E. 라우어

  • **
    22px
    제5군단 – 소장 클래런스 R. 휴브너

22px
제9기갑사단 – 소장 존 W. 레너드
22px
제16기갑사단 – 준장 존 L. 피어스
22px
제1보병사단 – 소장 클리프트 앤드러스
22px
제2보병사단 – 소장 월터 M. 로버트슨
22px
제97보병사단 – 준장 밀턴 B. 헐시

  • **
    22px
    제12군단 – 소장 스태퍼드 러로이 어윈

제4기갑사단 – 소장 윌리엄 M. 호지
22px
제11기갑사단 – 소장 홈스 E. 데이거
22px
제5보병사단 – 소장 앨버트 E. 브라운
22px
제26보병사단 – 소장 윌라드 S. 폴
22px
제90보병사단 – 소장 허버트 L. 언네스트

  • **
    22px
    제20군단 – 소장 월턴 H. 워커

22px
제13기갑사단 – 소장 존 밀리킨
22px
제65보병사단 – 소장 스탠리 E. 라인하르트
22px
제71보병사단 – 소장 윌라드 G. 와이먼
22px
제80보병사단 – 소장 호레이스 L. 맥브라이드

22px
제9군 – 중장 윌리엄 H. 심슨

  • **
    22px
    제13군단 – 소장 앨번 C. 길럼 주니어

22px
제35보병사단 – 소장 폴 W. 바데
22px
제84보병사단 – 소장 알렉산더 R. 볼링
22px
제102보병사단 – 소장 프랭크 A. 키팅
22px
제29보병사단 – 소장 찰스 H. 게르하르트
22px
제75보병사단 – 소장 레이 E. 포터
22px
제79보병사단 – 소장 이라 T. 와이치
22px
제95보병사단 – 소장 해리 L. 트와들

  • **
    22px
    제19군단 – 소장 레이먼드 S. 맥레인

22px
제2기갑사단 – 소장 아이작 D. 화이트
22px
제8기갑사단 – 소장 존 M. 데빈
22px
제30보병사단 – 소장 릴랜드 S. 홉스
22px
제83보병사단 – 소장 로버트 C. 메이컨

22px
제15군 – 중장 레너드 T. 게로우

  • **
    22px
    제66보병사단 – 소장 허먼 F. 크레이머
  • **
    22px
    제106보병사단 – 소장 도널드 A. 스트로
  • **
    22px
    제22군단 – 소장 어니스트 N. 하몬

22px
제17공수사단 – 소장 윌리엄 M. 마일리
22px
제94보병사단 – 소장 해리 J. 맬로니

  • **
    22px
    제23군단 – 소장 휴 J. 개피

22px
제28보병사단 – 소장 노먼 D. 코타

22px
제18공수군단 (제21군집단에 배속) – 소장 매튜 B. 리지웨이

  • **
    22px
    제5기갑사단 – 소장 런스포드 E. 올리버
  • **
    22px
    제7기갑사단 – 소장 로버트 W. 해스브루크
  • **
    22px
    제8보병사단 – 소장 브라이언트 E. 무어
  • **
    22px
    제82공수사단 – 소장 제임스 M. 개빈

4. 1. 제1군

제1군은 육군 대장 코트니 H. 호지스가 지휘했으며, 예하에 제7(XVII)군단과 제8(XIX)군단을 두고 있었다.

제7(XVII)군단에는 제3기갑사단, 제9보병사단, 제69보병사단, 제104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제8(XIX)군단에는 제6기갑사단, 제76보병사단, 제87보병사단, 제89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4. 2. 제3군

제3군은 육군 대장 조지 S. 패튼 주니어가 지휘했다. 제3군 예하에는 제3군단, 제5군단, 제12군단, 제20군단이 있었다.

  • |20px]] 제3(III)군단에는 제14기갑사단, 제99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 |20px]] 제5(V)군단에는 제9기갑사단, 제16기갑사단, 제1보병사단, 제2보병사단, 제97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 |20px]] 제12(XII)군단에는 제4기갑사단, 제5보병사단, 제11기갑사단, 제26보병사단, 제90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 |20px]] 제20(XX)군단에는 제13기갑사단, 제65보병사단, 제71보병사단, 제80보병사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제4보병사단과 제70보병사단은 제3군 소속으로 기록되어 있다.

4. 3. 제9군

제9군은 중장 윌리엄 H. 심슨이 지휘했으며,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3군단 - 소장 앨번 C. 길럼 주니어
  • * 제35보병사단 - 소장 폴 W. 바데
  • * 제84보병사단 - 소장 알렉산더 R. 볼링
  • * 제102보병사단 - 소장 프랭크 A. 키팅
  • 제16군단 - 소장 존 B. 앤더슨
  • * 제29보병사단 - 소장 찰스 H. 게르하르트
  • * 제75보병사단 - 소장 레이 E. 포터
  • * 제79보병사단 - 소장 이라 T. 와이치
  • * 제95보병사단 - 소장 해리 L. 트와들
  • 제19군단 - 소장 레이먼드 S. 맥레인
  • * 제2기갑사단 - 소장 아이작 D. 화이트
  • * 제8기갑사단 - 소장 존 M. 데빈
  • * 제30보병사단 - 소장 릴랜드 S. 홉스
  • * 제83보병사단 - 소장 로버트 C. 메이컨

4. 4. 제15군

레너드 T. 게로우 중장이 지휘하는 제15군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다.

  • 제66보병사단 - 소장 허먼 F. 크레이머
  • 제106보병사단 - 소장 도널드 A. 스트로
  • 제22군단 - 소장 어니스트 N. 하몬
  • * 제17공수사단 - 소장 윌리엄 M. 마일리
  • * 제94보병사단 - 소장 해리 J. 맬로니
  • 제23군단 - 소장 휴 J. 개피
  • * 제28보병사단 - 소장 노먼 D. 코타

5. 평가

참조

[1] 서적 A General's Lif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 간행물 CSI REPORT No. 6, Larger units: Theater Army – Army Group – Field Army http://purl.access.g[...] Combat Studies Institut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Fort Leavenworth, Kansas 1985-01
[3] 보고서 Report of Operations (Final After Action Report) 12th Army Group https://cgsc.content[...] 2022-04-29
[4] 웹사이트 The General Staff System {{!}} Basic Structure https://arsof-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