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군 (일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8군(일본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점령한 후, 1944년 12월 11일에 인도차이나 주둔군을 재편성하여 하노이에 본부를 둔 부대이다. 1945년 3월 메이고 작전에 참전하여 프랑스군을 격퇴하고 베트남 제국 선포에 영향을 미쳤으며, 8월 15일 일왕의 항복 선언에 따라 연합군에 항복하였다. 제38군은 1945년 9월 2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선언과 함께 해산되었으며, 소속 병사들은 베트민에 합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베트남 - 베트남 제국
베트남 제국은 1945년 일본의 지원을 받아 바오다이 황제가 건국한 국가로, 쩐쫑낌 내각을 구성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일본의 항복과 베트민의 혁명으로 멸망했다. - 1945년 베트남 -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약화된 틈을 타 베트남의 독립을 추구하는 베트민과 프랑스, 연합군 간의 초기 분쟁으로, 북위 16도선 분할 점령과 프랑스의 재진주 시도, 베트민의 저항, 하노이 전투를 거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안남 보호령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보호령인 안남 보호령은 현재 베트남 중부 지역에 해당하며, 프랑스는 응우옌 왕조를 명목상 유지하며 실질적으로 통치하며 식민 통치를 통해 경제, 행정, 교육 체계 전반에 걸쳐 변화를 주었다. - 1942년 설립된 단체 -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은 유럽 및 아프리카 해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해군의 부대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해역 작전부대로 처음 편성되어 냉전 시대를 거치며 변화를 겪다가 2016년 현재의 체제를 갖추었으며, 주요 구성 부대로는 미국 제6함대가 있다. - 1942년 설립된 단체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제38군 (일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일본 제38군 |
별칭 | (Trustworthy, 믿음직한) |
군 종류 | 보병 |
역할 | 군단 |
주둔지 | 하노이 |
통칭호 | 신 (しん) |
담당 지역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베트남 제국 |
최종 위치 | [[파일:Flag_of_the_Empire_of_Vietnam_(1945).svg|25px]] 베트남 제국 하노이 (현재 [[파일:Flag_of_Vietnam.svg|베트남의 국기|25px]]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역사 | |
창설 | 1942년 11월 9일 (인도차이나 주둔군) |
재편성 | 1944년 12월 11일 (제38군) |
해체 | 1945년 8월 15일 |
주요 참전 | 대동아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불인 진주 메이고 작전 |
지휘 구조 | |
소속 | 남방군 |
예하 부대 (1945년) | 제2 보병 사단 제21 보병 사단 제37 보병 사단 제52 보병 사단 제34 독립 보병 여단 |
2. 역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에서 승리한 뒤, 1942년 11월 9일에 사이공에 본부를 둔 인도차이나 주둔군이 편성되고, 남지나 방면군의 전투서열에 편입되었다. 1944년 12월 11일, 제38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방위를 계속 담당하였다. 1945년 메이고 작전에서는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을 완전히 격퇴하였다.
1945년 9월 2일 항복 문서 조인과 동시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현 베트남)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38군 소속 병사 다수가 베트민에 합류하였다. 구 종주국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재진출을 기다려 1946년 4월까지 일본군은 귀환을 완료하고 임무를 완수하였다.
2. 1. 인도차이나 주둔군 편성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에서 승리한 뒤, 1942년 11월 9일에 사이공에 본부를 둔 인도차이나 주둔군이 편성되고, 남지나 방면군의 전투서열에 편입되었다.1944년 11월 12일, 연합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탈환할 가능성에 따라 인도차이나 주둔군은 제38군으로 재편성되고 하노이로 본부를 옮겼다.
2. 2. 제38군으로 재편
1944년 11월 12일, 연합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탈환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일본 육군부는 12월 11일에 인도차이나 주둔군을 제38군으로 재편성하고 하노이로 본부를 옮겼다.1945년 3월, 제38군은 메이고 작전에 참전하였다. 이 작전에서 일본군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을 완전히 격퇴하는 데 성공하여, 대동아 전쟁 말기 일본군의 드문 승리 중 하나였다.
같은 해 8월 15일, 일왕의 항복 선언에 따라 제38군은 하노이에서 연합군에 항복하였다. 9월 2일 항복 문서 조인과 동시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였고, 이와 거의 동시에 제38군 소속 병사 다수가 베트민에 합류하였다. 1946년 4월까지 일본군은 구 종주국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재진출을 기다려 귀환을 완료하고 임무를 완수하였다.
2. 3. 메이고 작전 (명호 작전)
1945년 3월, 일본 제국은 메이고 작전(명호 작전)에 참전하였다. 이 작전에서 일본군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을 완전히 격퇴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는 대동아 전쟁 말기 일본군의 드문 승리 중 하나였다.2. 4. 일본의 항복과 해산
1945년 3월, 메이고 작전에 참전하였다. 같은 해 8월 15일, 일왕의 항복 선언에 따라 하노이에서 연합군에 항복하였다. 같은 해 9월 2일 항복 문서 조인과 동시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현 베트남)이 독립을 선언하였고, 제38군 소속 병사 다수가 베트민에 합류하였다. 1946년 4월, 구 종주국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재진출을 기다려 일본군은 귀환을 완료하고 임무를 완수하였다.2. 5. 전후 처리
1945년 9월 2일 항복 문서 조인과 동시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현 베트남)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38군 소속 병사 다수가 베트민에 합류하였다.구 종주국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재진출을 기다려 1946년 4월까지 일본군은 귀환을 완료하고 임무를 완수하였다.
3. 구조
제38군은 참모장 외에도 고급참모, 작전참모, 후방참모, 고급부관 등의 직책을 두었다. 1945년 6월 2일에는 유키미치 조지 대좌가 참모장으로 취임하여 종전 시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제38군은 남방군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원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남방군 제1헌병대: 대좌 가스가 가오루
- 남방군 통신대사령부
- * 제5통신대
- * 통신교육대
- 남방군 측량본부
- * 제1측량대
- 제11야전우편대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직할 부대를 보유했다.
- 독립 야전 고사포 제62중대
- 독립 자동차 제34중대
- 병참 자동차 제186중대
- 특설 자동차 제36, 39, 40중대
- 건축근무 제49중대
의료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남방 제2육군병원
- 남방 제4육군병원
- 제149병참병원
- 제33야전방역급수부
- 환자 수송 제96소대
보급창은 다음과 같다.
- 병참병마창
- 군마방역창
- 야전 병기창
- 야전 자동차창
- 야전 화물창
3. 1. 지휘부
제38군의 지휘부에는 참모장 외에도 고급참모, 작전참모, 후방참모, 고급부관 등이 있었다.- 고급참모: 하야시 히데즈미 대좌
- 작전참모: 사카이 간조 중좌
- 후방참모: 이노우에 다케오 중좌
- 고급부관: 인도 키라이오 대위
3. 1. 1. 인도차이나 주둔군 사령관
#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1 | 중장 마치지리 가즈모토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1월 22일 |
2 | 중장 쓰치하시 유이쓰 | 1944년 11월 22일 | 1944년 12월 20일 |
3. 1. 2. 제38군 사령관
#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1 | 쓰치하시 유이쓰 | 1944년 12월 20일 | 종전 |
3. 1. 3. 인도차이나 주둔군 참모장
#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1 | 가와무라 사부로 소장 | 1942년 12월 5일 | 1944년 12월 20일 |
3. 1. 4. 제38군 참모장
#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1 | 가와무라 사부로 (소장) | 1944년 12월 20일 | ? |
2 | 유키미치 조지 (대좌) | 1945년 6월 2일 | 종전 |
3. 1. 5. 기타 참모
- 고급참모: 하야시 히데즈미 대좌
- 작전참모: 사카이 간조 중좌
- 후방참모: 이노우에 다케오 중좌
- 고급부관: 인도 키라이오 대위
3. 2. 예하 부대
- 제2사단
- 제21사단
- 제37사단
- 제55사단
- 독립혼성 제34여단
; 남방군 지원부대
- 남방군 제1헌병대: 대좌 가스가 가오루
- 남방군 통신대사령부
- * 제5통신대
- * 통신교육대
- 남방군 측량본부
- * 제1측량대
- 제11야전우편대
3. 2. 1. 직할 부대
- 독립 야전 고사포 제62중대
- 독립 자동차 제34중대
- 병참 자동차 제186중대
- 특설 자동차 제36중대
- 특설 자동차 제39중대
- 특설 자동차 제40중대
- 건축근무 제49중대
3. 2. 2. 의료 부대
- 남방 제2육군병원: 군의대좌 하야시 신가쿠
- 남방 제4육군병원: 군의대좌 나카야마 마사유키
- 제149병참병원: 군의중좌 나카오 겐조
- 제33야전방역급수부
- 환자 수송 제96소대
3. 2. 3. 보급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