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고사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고사사단은 태평양 전쟁 중 일본 본토 방어를 위해 1944년 12월 창설된 일본 육군 방공 부대이다. 3식 12cm 고사포 등을 운용하는 8개 연대, 6개 독립대대 등으로 구성되어, 동부군의 방공 부대로 지정되었다. 도쿄 대공습 등 연합군의 공습에 맞서 수도권 지역 방어에 주력했으며, 종전 당시 B-29 중폭격기 격추를 주장했으나 과장된 수치였다. 종전과 함께 해체되었으며, 사단 본부였던 도쿄 과학박물관 본관은 현재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고사사단 - 제3고사사단
    제3고사사단은 1945년 4월 28일 창설되어 가와이 기요시 소장이 지휘한 일본군 부대로, 한신 지역과 교토 등지에 전개되었으며 히로시마 원폭 투하 당시 피해를 입고 1945년 9월 11일 해체되었다.
  • 일본의 고사사단 - 제4고사사단
    제4고사사단은 1945년 4월 일본 제국 육군이 창설한 부대로, 규슈 지역의 방공 임무를 수행하며 미군의 공습에 대응하고 남규슈와 북규슈 지역의 방공 시설 방어 및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9월 동원 해제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6사단 (일본군)
    제6사단은 구마모토 진대를 모체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 사단으로,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나 난징 대학살 가담과 태평양 전쟁에서의 괴멸 직전 상황, 주요 지휘관들의 전쟁 범죄 처벌 등으로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5사단 (일본군)
    제5사단은 1888년 창설되어 청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주의 주요 전쟁에 참전한 일본군 사단으로, 청일 전쟁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뉴기니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종전 후 해체되었다.
  • 1944년 설립 - 영국 태평양 함대
    영국 태평양 함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영국 해군의 함대로, 1944년에 창설되어 1948년에 해산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지휘를 받아 팔렘방 정유소 공격, 오키나와 전투 지원, 일본 본토 공격 등의 작전을 수행하고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 1944년 설립 - 골든 글로브상
    골든 글로브상은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설립되어 시작된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지만, 논란과 보이콧을 겪은 후 재단으로 재편되어 현재는 영화와 텔레비전 각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고 전 세계에 방송된다.
제1고사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고사 제1사단
원어 명칭}}
영어 명칭1st Anti-Aircraft Division
국가[[파일:Flag of Japan.svg|20px]]대일본제국
군종대일본제국 육군
병과포병
역할방공
규모사단
통칭호晴 (하레)
애칭해당 없음
담당 지역게이힌 지방을 주축으로 하는 혼슈 동부
지휘관
현재 지휘관해당 없음
주요 지휘관해당 없음
역사
창설1944년 (쇼와 19년) 12월 22일
해체1945년 (쇼와 20년)
최종 위치도쿄 우에노
편제 및 위치
편성지도쿄
상급 부대해당 없음
최종 상급 부대제12방면군
보충 담당도쿄 사관・도쿄 사관구
전투 및 훈장
주요 전투태평양 전쟁
참전일본 본토 공습 및 도쿄 대공습
훈장해당 없음

2. 역사

제1고사사단은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 12월 22일, 연합군의 일본 본토 공습이 격화됨에 따라 수도권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동부군의 방공 부대로 지정되어 3식 12cm 고사포 등 신형 장비를 운용하며 도쿄를 포함한 주요 지역 방공 임무를 맡았다.

사단은 일본 공습, 특히 도쿄 대공습 등 주요 공습에 대응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전쟁 중 상급 부대 개편(1945년 2월, 제12방면군으로 재편성), 사령부 이전(1945년 5월, 도쿄과학박물관 건물), 공습 목표 변화에 따른 부대 재배치, 5식 15cm 고사포 도입 등의 변화를 겪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해체되었으며, 사단 본부로 사용된 건물은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전환되었다. 사단은 전쟁 중 상당한 전과를 주장했으나, 장비 부족 등의 문제로 실제 성과는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2. 1. 창설 배경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일본 본토 방어를 담당하던 동부군 산하 동부 대공 포병 여단은 약 150문의 대공포를 보유했지만, 대부분 구식이었고 병력의 훈련 수준도 낮아 방공 능력이 미흡했다.

1942년 4월, 미국의 둘리틀 공습은 일본 본토 방공망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일본 육군은 같은 해 11월 19일, 본토 방공 부대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하여 동부 대공 포병 여단을 동부 방공 사령부로 대체했다.

1944년 4월부터 본토 방공 부대의 광범위한 확장 계획에 따라 동부 방공 사령부의 규모도 커졌으나, 만성적인 대공포 부족 문제에 시달렸다. 1944년 6월 기준으로 동부 방공 사령부가 통제하는 대공포는 300문에 불과했다.

1944년 11월부터 B-29 폭격기에 의한 본격적인 일본 본토 공습이 시작되자, 기존의 99식 8cm 고사포로는 고고도 정밀 폭격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이에 일본 육군은 1944년 12월 22일, 3식 12cm 고사포와 같은 신형 장비를 운용하고 수도권 등 주요 지역 방공을 강화하기 위해 동부 방공 사령부를 개편하여 제1고사사단을 창설했다. 이 시기 다른 지역 방어를 위해 3개의 고사사단이 함께 창설되었다.

제1고사사단은 동부군의 방공 부대로 지정되었으며, 다른 고사사단보다 훨씬 큰 규모로 편성되었다. 창설 당시 8개 고사포 연대, 6개 독립 고사포 대대, 4개 기관포 중대, 그리고 탐조등 부대(2개 연대 규모)를 갖추었다. 사단의 주된 임무는 도쿄를 포함한 경인 지역의 정치, 경제, 군수 중추 시설을 연합군의 공습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이었다.

2. 2. 주요 활동

1944년 11월부터 B-29 폭격기에 의한 일본 본토 공습이 시작되자, 제1고사사단은 간토 지역의 군사 공장 등에 대한 고고도 정밀 폭격에 대응하는 임무를 맡았다. 기존의 99식 8cm 고사포로는 B-29의 비행 고도에 대응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3식 12cm 고사포가 도입되었다.

1944년 12월 22일, 제1고사사단은 공식적으로 편성되어 동부군의 방공 부대로 지정되었다. 주요 목표는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의 정치, 경제, 군수 중추 시설을 방어하는 것이었다. 편성 당시 사단은 8개 고사포 연대, 6개 독립 고사포 대대, 4개 기관포 중대, 2개 탐조등 부대로 구성되어 다른 대공사단보다 규모가 컸다.

사단은 일본 공습에 맞서 광범위한 전투를 수행했으며, 특히 도쿄 방어에 주력했다. 1945년 3월 9일과 10일 밤에는 파괴적인 도쿄 대공습을 겪기도 했다.

1945년 2월 11일, 상급 부대인 동부군이 제12방면군으로 재편성되었다. 1945년 5월에는 사령부를 도쿄 다이칸야마에서 우에노의 도쿄과학박물관 본관(현재 국립과학박물관 일본관)으로 이전했다.

1945년 6월부터 미군의 주요 공습 목표가 도쿄에서 지방 도시로 옮겨가자, 제1고사사단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부대의 장비를 자동차로 옮기기 시작하며 기동성을 강화했다. 1945년 7월에는 우츠노미야, 마에바시, 타카사키 등에 대한 공습에 대비하여 부대를 재배치했다. 같은 달, 도쿄 구가야마의 고사포 진지에는 신형 5식 15cm 고사포가 배치되어 B-29 요격 능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태평양 전쟁이 끝날 무렵, 제1고사사단은 B-29 폭격기 193대를 격추하고 454대에 손상을 입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당시 일본군 대공 부대가 겪었던 장비 부족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실제 성과보다 상당히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종전 이후 사단 본부로 사용되던 도쿄 과학박물관 본관은 국립과학박물관으로 바뀌었다.

2. 3. 종전 이후

종전 이후 사단 본부로 사용되었던 도쿄 과학박물관 본관은 현재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3. 편제

제1고사사단은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의 방공 임무를 위해 여러 부대로 구성되었다. 주요 부대로는 다수의 고사포 연대, 독립 고사포 대대, 야전 고사포 대대, 기관포 대대, 그리고 탐조등 부대 등이 포함되었다. 상세한 지휘부 구성 및 소속 부대 편성은 아래 하위 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지휘부


  • '''상급부대'''
  • * 동부군, 1944년 12월 22일
  • * 제12방면군, 1945년 2월 11일

  • '''사단장'''
  • * 카네오카 쿄 중장: 1944년(쇼와 19년) 12월 26일 - 종전[1]

  • '''참모장'''
  • * 사이토 스에오(斎藤寿恵雄) 대좌: 1944년(쇼와 19년) 12월 23일 - 종전[2]

  • '''참모'''
  • * 스즈키 미츠기 중좌
  • * 야마모토 에츠오 소좌
  • * 쿠라하시 이치지 소좌

  • '''고급 부관'''
  • * 나카모토 히로시 중좌

  • '''병기 부장'''
  • * 사노 시로 대좌

3. 2. 소속 부대

제1고사사단의 상급 부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1944년 12월 창설 당시 제1고사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1944년 12월 편성
구분부대명주둔지지휘관 (계급)
고사포 연대고사포 제111연대안교촌다케다 후미오 (대좌)
고사포 제112연대세타가야오시마 도모요시 (중좌)
고사포 제113연대카와사키츠즈키 스스무 (대좌)
고사포 제114연대쓰키시마니시노 사다미츠 (대좌)
고사포 제115연대이치카와후세야 히로시 (대좌)
고사포 제116연대이타바시타니구치 쇼자부로 (대좌)
고사포 제117연대요코하마히구치 타다하루 (중좌)
고사포 제118연대고라쿠엔구리타 타쿠지 (중좌)
고사포 제119연대이치카와미즈노 켄이치 (소좌)
독립 고사포 대대독립고사포 제2대대다치카와나카노 유이치 (소좌)
독립고사포 제3대대고후다이구리타 마사타다 (중좌)
독립고사포 제4대대오타와타나베 쇼고 (소좌)
독립고사포 제44대대오가키구마모토 시게루 (소좌)
독립고사포 제49대대후추스즈키 고타로 (소좌)
독립고사포 제50대대아와야 타케시 (소좌)
야전 고사포 대대야전고사포 제95대대오미야스즈키 미나오 (소좌)
야전고사포 제96대대
기관포 대대기관포 제1대대니시즈지 카츠조 (소좌)
기관포 제4대대가와자키타카기 마나부 (대위)
독립 기관포 제1대대요츠야쿠와타 하지메 (소좌)
탐조등 부대제1탐조등연대 (조공 제1연대)하치오지이케다 타케오 (대좌)
독립 제1탐조등대대 (독립 조공 제1대대)가미고나카지마 료조 (소좌)
기타 지원 부대제1요지기구대모모타 아키토 (대위)
제101요지기구대사토 마사카즈 (대위)
임시 위생대오타 후사키치 (군의관 소좌)


참조

[1]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2]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