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기동강화여단은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 소속으로, 2008년 2월 1일에 제1전투지원여단에서 재편성된 부대이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여 바그람 비행장에 본부를 두고 프랑스 대대와 지역 재건팀을 지원했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CBRNE 대응 임무를 수행했다. 2015년 2월 수호자 여단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같은 해 8월 17일에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187보병연대 (미국) 제187보병연대는 "락카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보병 연대로, 여러 주요 군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4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고 현재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활약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2015년 폐지 - 광교동 광교동은 광교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2012년 수원시 영통구에서 이의동과 하동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개발로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과밀학급 문제도 안고 있으며, 1789년에는 용인군 지내면에 속했던 역사를 가진 행정동이다.
2015년 폐지 - 칠레 연합 칠레 연합은 1989년에 결성되어 여러 정당을 포함하며 선거에서 다양한 결과를 기록하다가 2015년 칠레 바모스에 흡수되어 소멸했다.
1962년 7월, 임시기동개선 제1전투지원여단( 1st Combat Support Brigade, Maneuver Enhancement (Provisional)영어), 특수병력대, 본부로 제정되었고, 1970년 7월 1일에 포트 폴크 본부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그동안 악마병대여단의 이름으로 제5보병사단을 지원하였다. 여단은 제588공병대대, 제15후송병원, 제5인사근무중대, 제36의무분견대, 제5보병사단 부사관학교와 그 외 부대를 예속하고 있었다.
2001년 12월 3일, 워리어 여단의 임시 본부 및 본부중대로서 포트 폴크의 합동즉각대응훈련소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2006년 1월 3일, 정규군 소속 제1전투지원여단으로 제정되어 6월 1일에 임시로 가동되었고, 그 해 9월 16일에 여단이 정식으로 가동되었다. 모듈러 지원여단 편제 중의 하나인 기동강화여단이 적용되어 2008년 2월 1일에 ''제1기동강화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그 해 6월부터 약 1년 3월간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 전개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여단은 바그람 비행장에 본부를 설치하고, 프랑스 대대와 파르반주지역재건팀의 전술지휘소 역할을 수행하였다.
2015년 2월 23일, 미국 육군 역사관의 특별지정으로 수호자(Guardian영어) 여단으로 별명이 지정되었다. 8월 17일, 여단이 해산하였다. 마지막까지 예속했던 제46공병대대와 제519헌병대대는 각각 포트 브래그의 제20공병여단, 제16헌병여단으로 전속하였다.
2. 1. 창설 배경
2. 2. 제1전투지원여단 (2006-2008)
2. 3. 제1기동강화여단 (2008-2015)
2. 4.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2008-2009)
2008년 6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제1기동강화여단은 항구적 자유 작전의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2][3] 이 부대는 바그람 비행장에 본부를 설치하고, 프랑스 보병대대와 파르반 주 지방 재건팀에 대한 전술 지휘소 역할을 수행했다.[2] 이러한 임무 수행을 인정받아 "통합 II" 자수가 새겨진 미국 캠페인 스트리머와 우수 부대 표창을 받았다.[2][3]
2. 5. CBRNE 대응 임무 (2011-2013)
미국 북부 사령부 및 미국 육군 북부에 배속된 제1기동강화여단은 합동 시민 지원 기동 부대의 일원으로서 CBRNE 결과 관리 대응 부대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테러 공격 및 기타 자연 재해 또는 인위적 재난에 대한 비상 연방 대응 부대로 활동했는데, 이러한 지원은 "시민 지원을 위한 국방"으로 불린다. 이 대응은 포세 코미타투스 법의 제약을 받으며, 국가 대응 체계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2. 6. 해체 (2015)
2015년 2월 23일, 미국 육군 군사 역사 센터는 제1기동강화여단에 "가디언 여단(Guardian Brigade)"이라는 특별 지정을 부여했다.[5][6] 제1기동강화여단은 2015년 8월 17일에 해체되었다. 예하 부대였던 제46공병대대는 제20공병여단에, 제519헌병대대는 제16헌병여단에 배속되어 포트 브래그에 주둔하게 되었다.
40px '''제83화학대대'''는 본부 및 본부파견대, 제7화학중대, 제51화학중대, 제59화학중대로 구성되었다.
40px '''제88여단지원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A(병참)중대, B(정비)중대, 제337통신중대, 제546지원정비중대로 구성되었다.
40px '''제142전투군수지원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제18인사근무대대 E/F파견대, 제126재정파견대, 제229병참중대(현장근무), 제488병참중대(군수지원), 제585수송통제반, 제603수송중대로 구성되었다.
그 외에도 제46공병대대 본부 및 지원중대, 제46공병대대 A중대, 제11환자관리파견대, 제485의무파견대, 제31공병파견대(콘크리트), 제178수직공병중대, 제209헌병중대, 제272헌병중대가 제1기동강화여단에 예속되어 있었다.
4. 상징
4. 1. 견장 (Shoulder Sleeve Insignia)
밝은 노란색과 청록색으로 양분된, 밑변이 뾰족한 직사각형 모양의 견장이다. 세로로 아래를 향하는 은색 회색 검이 있으며, 검은색 손잡이가 달려있다. 손잡이와 칼날 윗부분에는 진홍색 퓨질이 있다. 이 모든 것은 8분의 1인치(0.32cm) 검은색 테두리 안에 있다.[13]
청록색과 노란색은 분과 무형에 연관되어 있으며, 노란색/금색은 우수성을 상징한다. 파란색은 충성을, 빨간색은 용기와 희생을 의미한다. 검은 전사의 힘, 명예, 지혜와 부대의 전투 준비 지원을 나타낸다. 다이아몬드는 여단의 용기, 충성심, 헌신의 굳건한 유대를 강조하며, 방패의 두 부분은 지원 부대의 작전적, 전술적 자유 행동을 모두 보호하는 두 가지 임무를 나타낸다.[13]
이 견장은 원래 2007년 9월 16일부터 제1전투지원여단(기동 강화)에 대해 승인되었다. 2008년 2월 1일 제1기동 강화 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13]
4. 2. 부대 휘장 (Distinctive Unit Insignia)
금속 및 에나멜로 제작된 장치로 높이는 전체 2.70cm이며, 검은색 손잡이와 흰색 칼날을 가진 검이 세로로 아래를 향해 있고, 청록색과 금색으로 양분된 방패를 지지하고 있다.[14] 오른편에는 붉은색 마름모꼴 문양이, 왼편에는 청록색 백합 문양이 있다.[14] 이 모든 것은 두 개의 금색 월계수 가지 사이에 위치한다.[14] 상단에는 검 끝으로 분리된 '''''ENHANCING THE'''''(강화하다)'가 금색 글씨로 새겨진 검은색 스크롤이 있고, 하단에는 '''''WARRIOR SPIRIT'''''(전사의 혼)'이 금색 글씨로 새겨진 검은색 스크롤이 있다.[14]
청록색은 무형의 부서와 관련이 있으며, 금색은 탁월함과 높은 이상을 상징한다.[14] 붉은색은 희생과 용기를 의미한다.[14] 검은 전사의 힘, 명예, 지혜, 그리고 부대의 전투 준비 지원을 나타낸다.[14] 백합 문양은 여단이 창설된 루이지애나를 상징하며, 가운데 부분은 창날을 닮아 군사적 힘과 강인함을 나타낸다.[14] 월계수는 승리와 완수를 상징한다.[14] 방패의 두 부분은 지원 부대의 작전 및 전술적 자유 행동을 모두 보호하는 두 가지 임무를 나타낸다.[14] 마름모는 무적의 본질과 최첨단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며, 여단의 용기, 충성심, 헌신을 강조한다.[14]
이 독특한 부대 휘장은 원래 2007년 9월 16일부터 제1전투 지원 여단(기동 강화)에 대해 승인되었다.[14] 2008년 2월 1일 제1기동 강화 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4] 휘장은 2008년 10월 22일에 높이를 수정하기 위해 수정되었다.[14]
5. 기록
5. 1. 계보
2006년 1월 3일, 정규군에 제1전투지원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배정되었다. 2008년 2월 1일, 제1기동강화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재편성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