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항공단 (항공자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항공단은 일본 항공자위대의 부대로, 1955년 12월 1일 하마마쓰 기지에서 창설되었다. F-86F, T-33A, T-4 등의 항공기를 운용했으며, 현재는 가와사키 T-4 훈련기를 사용한다. 제1항공단은 항공교육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기본 조종 후기 과정과 전투기 조종 기초 과정 등 조종사 훈련을 실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마마쓰시의 단체 - 항공교육집단
항공교육집단은 일본 항공자위대의 교육을 담당하는 부대로, 1959년 창설된 비행교육집단과 술과교육본부가 1989년 통합 재편성되어 항공 자위대 간부 및 기술 인력을 양성하며 사령부는 하마마쓰 기지에 있다. - 항공자위대의 교육훈련부대 - 제4항공단 (항공자위대)
제4항공단은 일본 항공자위대의 부대로, F-2, T-4 등의 항공기를 운용하며, 마쓰시마 기지를 거점으로 제21비행대, 제11비행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항공자위대의 교육훈련부대 - 항공교육집단
항공교육집단은 일본 항공자위대의 교육을 담당하는 부대로, 1959년 창설된 비행교육집단과 술과교육본부가 1989년 통합 재편성되어 항공 자위대 간부 및 기술 인력을 양성하며 사령부는 하마마쓰 기지에 있다. - 항공자위대의 항공단 - 제4항공단 (항공자위대)
제4항공단은 일본 항공자위대의 부대로, F-2, T-4 등의 항공기를 운용하며, 마쓰시마 기지를 거점으로 제21비행대, 제11비행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항공자위대의 항공단 - 제7항공단 (항공자위대)
일본 항공자위대의 제7항공단은 햐쿠리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F-4EJ/EJ改, F-2, T-4, U-125A, UH-60J 등의 항공기를 운용하며 영공 침범 대처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단으로, 제3비행대, 제301비행대, 제302비행대 등의 예하 부대를 두고 있다.
제1항공단 (항공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부대 명칭 | 제1항공단 |
창설일 | 1955년 12월 1일 |
국가 | 일본 |
소속 | 항공자위대 |
종류 | 비행 비행훈련단 |
역할 | 비행훈련 |
규모 | 비행단 |
본부 | 하마마쓰 기지 |
상급 부대 | 항공교육집단 |
주둔지 | 하마마쓰 기지 |
훈련기 | 가와사키 T-4 |
전투 | |
웹사이트 |
2. 역사
1955년 12월 1일, 하마마쓰 기지에서 ''항공단''으로 창설되었다.
1956년 1월 10일, 쓰이키 기지에서 F-86F일본어를 운용하는 제1비행대가 창설되어, 8월 24일에 하마마쓰 기지로 이사하였다. 다음날, F-86F일본어를 운용하는 제2비행대가 하마마쓰 기지에서 창설되었다. 10월 1일에 제2항공단이 창설됨에 따라 서수가 붙어 부대의 이름이 ''제1항공단''으로 개명되었다.
1957년 2월 1일, 제5비행대가 하마마쓰 기지에서 창설되어, 이듬해 1958년 2월 16일 마쓰시마 기지에서 창설된 제4항공단으로 이사하였다.
1960년 4월 12일, 제2비행대 (F-86F일본어) 산하에 '공중 기동 연구반'이 발족하였다. 8월 1일 공중기동 연구반이 '특별 비행 연구반'으로 개칭되었다.
1964년 10월 26일, T-33A일본어를 운용하는 제33비행대가 쓰이키 기지에서 창설되었다.
1964년 10월 26일, 제33비행대가 하마마쓰 기지로 이사하였다.
1965년 11월 30일, 제2비행대가 제1비행대에 ''전술연구반''으로서 병합되었다.
1971년 7월 1일, 마쓰시마 파견대를 편성하고, 폐지된 제4항공단 제5비행대의 기재 (F-86F일본어)를 승계하였다. 7월 30일 전일본공수기 시즈쿠이시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1973년 8월 23일, 마쓰시마 파견대가 폐지되었다.
1979년 3월 3일, 제4항공단의 제35비행대가 하마마쓰 기지로 이사오고 제1비행대가 해체되었다.
1981년 12월 27일, 전기 연구반이 해산되었다. (직후 1982년 1월에, 흐름을 계승하는 '전기 연구반'이 마츠시마 기지의 제4항공단 제21비행대 산하에서 신편)
1988년 10월 1일, T-33A일본어의 후속 훈련기인 T-4일본어를 운용할 T-4 교육비행대가 임시로 창설되었다.
1989년 3월 16일, 제1항공단이 항공교육집단으로 전속하였다. 10월 2일, T-4 교육비행대가 서수를 받아 정식부대인 제31교육비행대가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1990년 3월 31일, 제31교육비행대가 창설되었다.
훈련기 기종 전환을 끝마친 뒤, T-33A일본어를 운용하던 제33, 35비행대는 각각 1990년 10월 1일과 1991년 3월 31일에 해체되었다.
2007년 8월, "전투기 조종 기초" (FTB) 과정을 신설하였다.
2012년 5월 31일, 무사고 비행 200,000시간 달성하였다.
2021년 10월 29일, 제3수송항공대의 제41교육비행대 (T-400일본어)가 미호 기지에서 이동하여, 제1항공단 예하에 편입.
2. 1. 창설 초기 (1955년 ~ 1964년)
1955년 12월 1일, 하마마쓰 기지에서 항공단이 창설되었다. 1956년 1월 10일, 쓰이키 기지에서 F-86F를 운용하는 제1비행대가 창설되었고, 8월 24일에 하마마쓰 기지로 이동하였다. 같은 날 제2비행대가 F-86F 운용 부대로서 하마마쓰 기지에서 창설되었다. 10월 1일에는 제2항공단이 창설됨에 따라 기존 항공단은 제1항공단으로 개칭되었다.1957년 2월 1일, 제5비행대가 F-86F를 운용하며 하마마쓰 기지에서 창설되었으나, 1958년 마쓰시마 기지에서 창설된 제4항공단으로 이동하였다.
초기 제1항공단은 F-86F 전투기를 운용하여 대 영공 침범 조치 임무와 전투 조종사 교육을 병행하였다.
2. 2. T-33A 운용 시기 (1964년 ~ 1989년)
1964년 10월 26일, 쓰이키 기지에서 T-33A를 운용하는 제33비행대가 창설되었다. 같은 해, 하마마쓰 기지로 이동하였다. 1965년 11월 30일, 제2비행대가 제1비행대에 ''전술연구반''으로 통합되었다. 1979년 3월 3일, 제4항공단의 제35비행대가 하마마쓰 기지로 이동하고 제1비행대가 해체되었다.2. 3. T-4 운용 및 현재 (1989년 ~ 현재)
1988년 10월 1일, T-33A의 후속 훈련기인 T-4를 운용할 T-4 교육비행대가 임시로 창설되었다. 1989년 3월 16일, 제1항공단은 항공교육집단으로 전속되었다. 같은 해 10월 2일, T-4 교육비행대는 제31교육비행대로 서수를 부여받아 정식 부대가 되었다. 1990년 3월 31일, 제32교육비행대가 창설되었다.T-4로의 기종 전환이 완료됨에 따라, T-33A를 운용하던 제33비행대는 1990년 10월 1일에, 제35비행대는 1991년 3월 31일에 각각 해체되었다.
2007년 8월에는 "전투기 조종 기초" (FTB) 과정이 신설되었다. 2021년 10월 29일, 미호 기지에 있던 제3수송항공대 소속 제41교육비행대 (T-400)가 제1항공단 예하로 편입되었다.
3. 부대 편성
제1항공단은 시즈오카현 하마마츠 기지에 주둔하고 있으며, 가와사키 T-4 항공기를 장비한 2개의 비행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제1항공단은 사령부, 비행군, 정비보급군, 기지업무군, 비행간부교육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1항공단 사령부는 감리부, 인사부, 방위부, 장비부, 하마마츠 기지 원호실, 안전반, 위생반, 부관으로 구성된다.
비행군은 제31교육비행대와 제32교육비행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비행대 모두 T-4를 운용한다. 제41교육비행대는 T-400을 운용한다.
정비보급군은 검사대, 장비대, 수리대, 차량기재대, 보급대로 구성된다. 기지업무군은 비행장근무대, 시설대, 통신대, 관리대, 업무대, 회계대, 위생대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가 있었다.
- 마쓰시마 파견대; 1971년 7월 1일 ~ 1973년 8월 23일
3. 1. 현재
제1항공단은 시즈오카현 하마마츠 기지에 주둔하고 있으며, 가와사키 T-4 항공기를 장비한 2개의 비행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제1항공단은 사령부, 비행군, 정비보급군, 기지업무군, 비행간부교육대로 구성되어 있다.제1항공단 사령부는 감리부, 인사부, 방위부, 장비부, 하마마츠 기지 원호실, 안전반, 위생반, 부관으로 구성된다.
비행군은 제31교육비행대와 제32교육비행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비행대 모두 T-4를 운용한다. 제41교육비행대는 T-400을 운용한다.
정비보급군은 검사대, 장비대, 수리대, 차량기재대, 보급대로 구성된다. 기지업무군은 비행장근무대, 시설대, 통신대, 관리대, 업무대, 회계대, 위생대로 구성된다.
3. 2. 과거
- 제1비행대 (F-86F)
- 제2비행대 (F-86F)
- 제5비행대 (F-86F)
- 제33비행대 (T-33A)
- 제35비행대 (T-33A)
- 마쓰시마 파견대; 1971년 7월 1일 ~ 1973년 8월 23일
4. 교육 과정
4. 1. 기본 조종 후기 과정
제11비행교육단이나 제12비행교육단에서 "초급 조종 과정"을 거쳐, 제13비행교육단에서 "기본 조종 전기 과정"을 수료한 학생 조종사에게 "기본 조종 후기 과정"의 교육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 과정 수강 중 항공 종사자 기능 증명(사업용 조종사·비행기·육상 다발)의 기능 심사를 받는다. 후기 과정 수료자에게는 윙 마크(항공기 탑승원 휘장)가 수여되어 정식 조종사가 된다. 전투기 조종사를 목표로 하는 자는 그 후 "전투기 조종 기초 과정"의 교육 훈련을 거쳐, 마쓰시마 기지의 제4항공단이나 뉴타바루 기지의 비행교육항공대에서 실시되는 "전투기 조종 과정"으로 진학한다.4. 2. 전투기 조종 기초 과정 (FTB)
5. 주요 간부
(1989년 3월 16일부터 하마마츠 기지 사령 겸임)
(1958년 8월 1일부터 1989년 3월 15일까지 하마마츠 북 기지 사령 겸임)
|-
! 대 !! 성명 !! 재직 기간 !! 출신교·기수 !! 전 직책 !! 후 직책
|-
!colspan="6"|항공단 사령
|-
|1||겐다 미노루||1955년 12월 1일 ~ 1956년 7월 9일||해병 52기·
해대 35기||항공막료감부 장비부장
→1955년 11월 16일 항공막료감부 부속||항공막료감부 부속
→1956년 8월 1일 임시 항공 훈련부장
|-
|2||사토 가쓰오||1956년 7월 10일 ~ 1956년 9월 30일||육사 42기·
육대 50기||항공자위대 간부학교 부교장
→1955년 9월 20일 동교 부속||제1항공단 사령
|-
!colspan="6"|제1항공단 사령
|-
|1||사토 가쓰오||1956년 10월 1일 ~ 1957년 6월 30일||육사 42기·
육대 50기||항공단 사령||항공막료감부 부속
→1957년 11월 1일 동 감찰관
|-
|2||무타 히로쿠니||1957년 7월 1일 ~ 1959년 11월 24일||육사 43기||임시 축성 파견대장
→1957년 8월 16일 공장보 승진||항공막료감부 감찰관
|-
|3||나카지마 마사시||1959년 11월 25일 ~ 1960년 9월 15일||해병 58기||제2항공단 사령
겸 지토세 기지 사령||비행교육집단 사령부 근무
|-
|4||고후쿠다 젠||1960년 9월 16일 ~ 1962년 4월 6일||해병 59기||제17비행교육단 사령||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
|-
|5||오무로 다케시||1962년 4월 7일 ~ 1963년 7월 31일||육사 45기||제5항공단 사령
겸 니이타바루 기지 사령||항공막료감부 감찰관
|-
|6||소노야마 요시키치||1963년 8월 1일 ~ 1966년 6월 30일||해병 60기||제6항공단 사령
겸 고마츠 기지 사령||퇴직
|-
|7||히라쓰카 세이이치||1966년 7월 1일 ~ 1967년 7월 16일||해병 62기||제8항공단 사령
겸 축성 기지 사령||항공자위대 간부학교 부교장
겸 이치가야 기지 사령
|-
|8||우쓰노미야 미치오||1967년 7월 17일 ~ 1968년 2월 15일||해병 63기||항공막료감부 방위부 부부장||북부항공방면대 사령관
|-
|9||미야모토 이사오||1968년 2월 16일 ~ 1969년 7월 15일||육사 51기||제5항공단 사령
겸 니이타바루 기지 사령||항공막료감부 감찰관
|-
|10||가부라키 다케오||1969년 7월 16일 ~ 1970년 2월 15일||육사 51기||제7항공단 사령||항공총대 사령부 막료장
|-
|11||다시로 다쓰오||1970년 2월 16일 ~ 1971년 7월 15일||육사 51기·
육대 59기||제4항공단 사령
겸 마쓰시마 기지 사령||항공막료감부 부속
→1971년 8월 31일 퇴직
|-
|12||아라이 유지로||1971년 7월 16일 ~ 1973년 2월 15일||육사 53기||제13비행교육단 사령||항공막료감부 부속
→1973년 7월 1일 퇴직
|-
|13||마사키 야스오||1973년 2월 16일 ~ 1974년 6월 30일||육항사 54기||제7항공단 사령
→1974년 5월 1일 공장 승진||중부항공방면대 사령관
|-
|14||요시자키 이와오||1974년 7월 1일 ~ 1976년 10월 14일||육항사 56기||제3항공단 사령
겸 고마키 기지 사령||남서항공혼성단 사령
|-
|15||가와베 류이치||1976년 10월 15일 ~ 1978년 3월 30일||육사 57기||비행교육집단 사령부 막료장||서부항공방면대 사령부 부속
→1978년 7월 1일 퇴직
|-
|16||도도키 테쓰오||1978년 3월 31일 ~ 1979년 7월 31일||육사 58기||비행교육집단 사령부 막료장||항공막료감부 부속
→1980년 1월 1일 퇴직
|-
|17||자마 다카아키||1979년 8월 1일 ~ 1980년 9월 30일||육사 59기||항공구난단 사령||항공막료감부 부속
→1981년 1월 1일 퇴직
|-
|18||스가 요시오||1980년 10월 1일 ~ 1981년 10월 15일||해병 75기||방위대학교 교수||항공막료감부 부속
→1982년 1월 1일 퇴직
|-
|19||가와라자키 테루오||1981년 10월 16일 ~ 1983년 3월 15일||연구수학 전문·
5기간후 (육)||비행교육집단 사령부 막료장||항공막료감부 부속
→1983년 7월 1일 퇴직
|-
|20||스미야마 이와오||1983년 3월 16일 ~ 1984년 3월 1일||고베대학·
7기 간후||비행교육집단 사령부 교육부장
→1983년 11월 16일 공장보 승진||통합막료학교 부교장
|-
|21||스즈키 류세이||1984년 3월 2일 ~ 1986년 12월 4일||방대 1기||중부항공방면대 사령부 방위부장||수송항공단 사령
|-
|22||마쓰시타 나오타케||1986년 12월 5일 ~ 1988년 3월 15일||방대 2기||남서항공혼성단 사령부 막료장||항공자위대 간부학교 연구부장
|-
|23||다도코로 겐||1988년 3월 16일 ~ 1990년 7월 8일||방대 3기||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 부부장||퇴직
|-
|24||요시다 게이스케||1990년 7월 9일 ~ 1992년 6월 15일||방대 4기||제7항공단 사령
겸 백리 기지 사령||퇴직
|-
|25||히라오카 히로지||1992년 6월 16일 ~ 1993년 6월 30일||방대 8기||항공자위대 보급본부 간사||통합막료회의 사무국 제1막료실장
|-
|26||고토 류이치||1993년 7월 1일 ~ 1995년 3월 22일||규슈대학·
37기 간후[8]||통합막료회의 사무국 제4막료실장||항공교육집단 사령부 막료장
|-
|27||무라오카 료도||1995년 3월 23일 ~ 1997년 3월 25일||방대 11기||제3수송항공대
겸 미호 기지 사령||중부항공방면대 사령부 막료장
|-
|28||우치야마 요시오||1997년 3월 26일 ~ 1998년 6월 30일||방대 13기||남서항공혼성단 사령부 막료장||항공막료감부 조사부장
|-
|29||마쓰에 야스히코||1998년 7월 1일 ~ 2000년 6월 29일||방대 11기||항공안전관리대 사령||퇴직
|-
|30||마쓰오카 히로유키||2000년 6월 30일 ~ 2001년 6월 28일||방대 11기||항공자위대 제2보급처장
겸 기후 기지 사령||퇴직
|-
|31||시바타 유지||2001년 6월 29일 ~ 2003년 3월 26일||방대 14기||제8항공단 사령
겸 축성 기지 사령||항공구난단 사령
|-
|32||호리 요시나리||2003년 3월 27일 ~ 2005년 1월 11일||방대 16기||항공막료감부 감찰관||서부항공방면대 사령관
|-
|33||야다 기요시||2005년 1월 12일 ~ 2006년 3월 26일||방대 21기||제83항공대 사령
겸 나하 기지 사령||항공총대 사령부 방위부장
|-
|34||다키와키 히로유키||2006년 3월 27일 ~ 2007년 7월 2일||방대 18기||제83항공대 사령
겸 나하 기지 사령||항공구난단 사령
|-
|35||히라모토 마사노리||2007년 7월 3일 ~ 2009년 7월 20일||방대 25기||항공막료감부 운용 지원·정보부
운용 지원과장||남서항공혼성단 부사령
|-
|36||기요토 가쓰노리||2009년 7월 21일 ~ 2010년 12월 14일||방대 23기||특별항공수송대 사령||제3항공단 사령
겸 미사와 기지 사령
|-
|37||모리타 고지||2010년 12월 15일 ~ 2012년 3월 29일||방대 23기||경계항공대 사령||퇴직
|-
|38||아라키 마사쓰구||2012년 3월 30일 ~ 2014년 8월 3일||방대 26기||항공총대 사령부 총무부장||항공총대 사령부 막료장
|-
|39||우에다 도모모토||2014년 8월 4일 ~ 2015년 8월 3일||방대 25기||북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퇴직
|-
|40||히라쓰카 히로시||2015년 8월 4일 ~ 2016년 12월 21일||와세다 대학·
76기 간후[9]||항공전술교도단 사령||항공지원집단 부사령관
|-
|41||다니시마 마사히토||2016년 12월 22일 ~ 2018년 3월 26일||방대 34기||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 후생과장||남서항공방면대 부사령관
|-
|42|| 쓰다 마사타카 || 2018년 3월 27일 ~ 2019년 3월 31일 || 방대 31기 || 항공지원집단 사령부 방위부장 || 항공안전관리대 사령
|-
|43|| 가지야 히데아키 || 2019년 4월 1일 ~ 2020년 3월 17일 || 방대 32기 || 항공자위대 간부학교 부교장 || 제6항공단 사령
겸 고마츠 기지 사령
|-
|44|| 구마가이 사부로 || 2020년 3월 18일 ~ 2022년 12월 22일 || 방대 35기 || 북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 || 통합막료학교 부교장
|-
|45|| 이토 아키라 || 2022년 12월 23일 ~ 2024년 8월 1일 || 방대 33기 || 항공자위대 제1술과학교장 || 퇴직
|-
|46|| 스즈키 다이 || 2024년 8월 2일 ~ || 방대 42기 || 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 보임과장 ||
|}
5. 1. 역대 제1항공단 사령
(1989년 3월 16일부터 하마마츠 기지 사령 겸임)(1958년 8월 1일부터 1989년 3월 15일까지 하마마츠 북 기지 사령 겸임)
1956.7.9
해대35기
→1955.11.16 항공막료감부 부속
→1956.8.1 임시 항공 훈련부장
1956.9.30
육대50기
→1955.9.20 동교 부속
1957.6.30
육대50기
→1957.11.1 동 감찰관
1959.11.24
→1957.8.16 공장보 승진
1960.9.15
겸 지토세 기지 사령
1962.4.6
1963.7.31
겸 니이타바루 기지 사령
1966.6.30
겸 고마츠 기지 사령
1967.7.16
겸 축성 기지 사령
겸 이치가야 기지 사령
1968.2.15
1969.7.15
겸 니이타바루 기지 사령
1970.2.15
1971.7.15
육대59기
겸 마쓰시마 기지 사령
→1971.8.31 퇴직
1973.2.15
→1973.7.1 퇴직
1974.6.30
→1974.5.1 공장 승진
1976.10.14
겸 고마키 기지 사령
1978.3.30
→1978.7.1 퇴직
1979.7.31
→1980.1.1 퇴직
1980.9.30
→1981.1.1 퇴직
1981.10.15
→1982.1.1 퇴직
1983.3.15
5기간후 (육)
→1983.7.1 퇴직
1984.3.1
7기 간후
→1983.11.16 공장보 승진
1986.12.4
1988.3.15
1990.7.8
1992.6.15
겸 백리 기지 사령
1993.6.30
1995.3.22
37기 간후[8]
1997.3.25
겸 미호 기지 사령
1998.6.30
2000.6.29
2001.6.28
겸 기후 기지 사령
2003.3.26
겸 축성 기지 사령
2005.1.11
2006.3.26
겸 나하 기지 사령
2007.7.2
겸 나하 기지 사령
2009.7.20
운용 지원과장
2010.12.14
겸 미사와 기지 사령
2012.3.29
2014.8.3
2015.8.3
2016.12.21
76기 간후[9]
2018.3.26
2019.3.31
2020.3.17
겸 고마츠 기지 사령
2022.12.22
202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