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사단 (육상자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사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사단으로,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2관구 총감부로 창설되어 1954년 육상자위대 발족과 함께 제2사단으로 개편되었다.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주둔지에 사령부를 두고, 제3, 25, 26 보통과연대, 제2전차연대, 제2정찰대, 제2특과연대, 제2고사특과대대, 제2비행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2년 제11사단 창설, 1988년 사단 개편, 1995년 제9보통과연대 해체, 2011년 대전차부대 개편, 2022년 기동사단으로 개편 등 여러 차례 부대 개편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히카와시 - NHK 아사히카와 방송국
NHK 아사히카와 방송국은 1933년 개국하여 홋카이도 도호쿠・오호츠크 지역을 관할하는 NHK 지역 방송국으로,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본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관할하는 방송국 중 하나이다. - 아사히카와시 -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가미카와 종합진흥국은 홋카이도 중북부에 위치한 지방 행정 구역으로, 4개의 시와 17개의 정, 2개의 촌을 관할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항공 및 철도, 도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0사단 (육상자위대)
제10사단은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사령부를 둔 육상자위대 사단으로, 중부 지역의 방위, 재해 지원,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을 수행하며, 1959년 창설 이후 여러 개편을 거쳐 2024년 지역 배치 사단으로 재편되었다.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사단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 동부방면대 소속인 제1사단은 1950년 경찰예비대 제1관구로 창설되어 1962년 재편성되었으며, 도쿄도 네리마구에 사령부를 두고 수도권을 포함한 7개 현의 방위 경비와 재해 파견을 담당한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제2사단 (육상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일본 |
군종 | 육상자위대 |
유형 | 보병 사단 |
규모 | 8,100명 |
관할 부대 | [[File:JGSDF Northern Army.svg|23px]] 북부 방면대 |
주둔지 | 아사히카와시 아사히카와 주둔지 |
현재 사령관 | 육장 이도가와 카즈토모 |
가치 | 북방 방위 |
표어 | 북진사단 |
창설일 | 1962년 1월 18일 |
담당 지역 | 도호쿠 |
위치 | |
편제 | |
사단 본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보통과연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3보통과연대 | 나욧로 주둔지 |
제6보통과연대 | 비호로 주둔지 |
제2전차대대 | 카미후라노 주둔지 |
제2특과연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고사특과대대 | 나욧로 주둔지 |
제2후방지원연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정찰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시설대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통신대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비행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음악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제2화학방호대 | 아사히카와 주둔지 |
역대 사단장 | |
초대 | 무토 킨이치 육장 (1962년 1월 18일 ~ 1964년 3월 16일) |
2대 | 시노하라 나오시 육장 (1964년 3월 16일 ~ 1965년 7월 1일) |
3대 | 이케다 코사쿠 육장 (1965년 7월 1일 ~ 1967년 7월 1일) |
4대 | 스기야마 시게루 육장 (1967년 7월 1일 ~ 1969년 3월 16일) |
5대 | 코다마 요시오 육장 (1969년 3월 16일 ~ 1970년 7월 1일) |
6대 | 시마즈 히사시 육장 (1970년 7월 1일 ~ 1972년 6월 16일) |
7대 | 카노 타츠오 육장 (1972년 6월 16일 ~ 1973년 7월 1일) |
8대 | 타카하시 요시오 육장 (1973년 7월 1일 ~ 1975년 3월 16일) |
9대 | 아리토미 키요시 육장 (1975년 3월 16일 ~ 1976년 7월 1일) |
10대 | 카타기리 유타카 육장 (1976년 7월 1일 ~ 1978년 3월 16일) |
11대 | 이즈미 요시히사 육장 (1978년 3월 16일 ~ 1979년 7월 1일) |
12대 | 노나카 노보루 육장 (1979년 7월 1일 ~ 1981년 3월 16일) |
13대 | 야마모토 야스히코 육장 (1981년 3월 16일 ~ 1982년 7월 1일) |
14대 | 시마다 다케시 육장 (1982년 7월 1일 ~ 1984년 3월 16일) |
15대 | 야스하라 오사무 육장 (1984년 3월 16일 ~ 1985년 7월 1일) |
16대 | 마쓰모토 테루오 육장 (1985년 7월 1일 ~ 1987년 3월 16일) |
17대 | 나카무라 무네오 육장 (1987년 3월 16일 ~ 1988년 7월 1일) |
18대 | 시미즈 노부아키 육장 (1988년 7월 1일 ~ 1990년 3월 16일) |
19대 | 미야자키 시게루 육장 (1990년 3월 16일 ~ 1991년 7월 1일) |
20대 | 모리야 토시오 육장 (1991년 7월 1일 ~ 1993년 3월 16일) |
21대 | 다나카 노부오 육장 (1993년 3월 16일 ~ 1994년 7월 1일) |
22대 | 도미자와 츠토무 육장 (1994년 7월 1일 ~ 1996년 3월 25일) |
23대 | 타카하시 코지 육장 (1996년 3월 25일 ~ 1997년 7월 1일) |
24대 | 이케다 도시유키 육장 (1997년 7월 1일 ~ 1999년 3월 29일) |
25대 | 테라시마 츄우지 육장 (1999년 3월 29일 ~ 2000년 6월 30일) |
26대 | 타카시마 미츠오 육장 (2000년 6월 30일 ~ 2002년 3월 22일) |
27대 | 시라카와 모토유키 육장 (2002년 3월 22일 ~ 2004년 3월 29일) |
28대 | 나카시마 유타카 육장 (2004년 3월 29일 ~ 2005년 8월 1일) |
29대 | 반도 마사유키 육장 (2005년 8월 1일 ~ 2007년 3월 28일) |
30대 | 야마구치 코우지 육장 (2007년 3월 28일 ~ 2008년 3월 26일) |
31대 | 마츠무라 토시로 육장 (2008년 3월 26일 ~ 2010년 3월 25일) |
32대 | 시게마츠 토시야 육장 (2010년 3월 25일 ~ 2011년 12월 1일) |
33대 | 카와카미 토모히로 육장 (2011년 12월 1일 ~ 2013년 8월 22일) |
34대 | 타카타 토시히로 육장 (2013년 8월 22일 ~ 2015년 3월 23일) |
35대 | 모토마츠 히데키 육장 (2015년 3월 23일 ~ 2016년 12월 22일) |
36대 | 오오쿠보 토모아키 육장 (2016년 12월 22일 ~ 2018년 8월 1일) |
37대 | 마치다 야스마사 육장 (2018년 8월 1일 ~ 2020년 3월 30일) |
38대 | 이노우에 히로키 육장 (2020년 3월 30일 ~ 2022년 3월 22일) |
39대 | 이도가와 카즈토모 육장 (2022년 3월 22일 ~ 현재) |
2. 역사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2관구"(다이 니 칸구/第2管区일본어) 총감부로서 창설되어 이듬해 1951년 5월 부대 편성을 마쳤다. 1952년 10월 보안대가 창설됨에 따라 북부方面隊 예하부대가 되었으며, 12월 아사히카와 주둔지로 총감부를 옮겼다.
1954년 7월 1일, 경찰예비대가 육상자위대로 개편됨에 따라 육상자위대 부대가 되었고, 제3, 9, 10보통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 1962년, 제11사단 편성에 따라 제10연대가 옮겨가고, 제3, 9, 25, 26보통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여 지휘하게 되면서 제2사단의 편성을 마쳤다.
1988년 3월, 제2후방지원연대와 화학방호소대를 편성하고, 제2고사특과대대가 사단 직할대로 소속이 바뀌었다. 1995년 3월 사단을 강화개편하기 위해 제9보통과연대가 해체되었다. 2001년 3월, 화학방호소대를 증편하여 제2화학방호대를 편성하였다. 2011년 3월, 각 예하 보통과연대의 대전차부대를 해체하는 대신, 제2대함정대전차중대를 편성하였다.
2. 1. 경찰예비대 창설 (1950년 ~ 1952년)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2관구"(다이 니 칸구/第2管区일본어) 총감부로서 창설되어 이듬해 1951년 5월 부대 편성을 마쳤다.[5][6] 1951년 4월 10일, 제2관구총감부 및 동 부속 중대 등이 구・삿포로 주둔지(현・나에보 분둔지)로 이동하였고,[6] 5월 1일에는 제2관구대 편성이 완료되었다.[6] 제2관구대는 제2관구총감부, 총감부 부속 중대, 제4연대, 제5연대 제3대대, 제62연대, 제2시설대대, 제2위생대대, 제2보급중대, 제2무기중대, 제2통신중대, 제2정찰중대로 구성되었다.[6]1952년 10월 보안대가 창설됨에 따라 북부方面隊가 창설되었고 제2관구대는 북부方面총감의 지휘 하에 들어가 홋카이도 북부・동부를 경비하게 되었다. [6] 같은 해 12월, 제2관구총감부 및 동 부속 중대 등이 아사히카와 주둔지로 이동하였다.[6]
1954년 7월 1일, 경찰예비대가 육상자위대로 개편됨에 따라 육상자위대 부대가 되었고, 제3, 9, 10보통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
2. 2. 보안대 시기 (1952년 ~ 1954년)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2관구"(다이 니 칸구/第2管区일본어) 총감부로서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창설되어 이듬해 1951년 5월 부대 편성을 마쳤다.[5][6] 1952년 10월 보안대가 창설됨에 따라 북부方面隊 예하부대가 되었으며, 12월 아사히카와 주둔지로 총감부를 옮겼다.[6]- 1951년(쇼와 26년)
- *4월 10일:제2관구총감부 및 동 부속 중대 등이 구・삿포로 주둔지(현・나에보 분둔지)로 주둔[6]。
- *5월 1일:제2관구대 편성이 완료[6]。
:※편성(제2관구총감부, 총감부 부속 중대, 제4연대, 제5연대 제3대대, 제62연대, 제2시설대대, 제2위생대대, 제2보급중대, 제2무기중대, 제2통신중대, 제2정찰중대)[6]。
:*10월 1일:제5연대 제1대대가 아오모리 주둔지로 주둔。
:*12월 1일:삿포로 주둔지 개설에 따라, 제2관구총감부 및 동 부속 중대, 제2보급중대 등이 나에보 주둔지에서 삿포로 주둔지로 주둔[6]。
- 1952년(쇼와 27년)
- *1월 20일:제62연대 제2대대는 제6연대 제1대대(비호로 주둔지)로, 제4연대 제3대대는 제6연대 제2대대(엔갈 주둔지)로, 제5연대 제3대대는 제4연대 제3대대(하코다테 주둔지)로 개칭[6]。
- *3월 6일:제5연대 본부 및 직할 중대가 아오모리 주둔지로, 제2대대가 아키타 주둔지로 주둔하여 제5연대를 예하에 편입[7]。
'''보안대'''
- 1952년(쇼와 27년)
- *10월 15일:보안대 발족에 따라, 북부方面隊가 창설되어 제2관구대는 북부方面총감의 지휘 하에 들어감. 경비 구역은 홋카이도 북부・동부。
:※편성(제4연대, 제5연대, 제6연대, 제62연대, 제2시설대대, 제2위생대대, 제2보급중대, 제2무기중대, 제2통신중대, 제2정찰중대 등)
:*12월 21일:제2관구총감부 및 동 부속 중대 등이 아사히카와 주둔지로 주둔[6]。
- 1953년(쇼와 28년)
- *2월 16일:제6연대 제3대대가 구리하마 주둔지에서 엔갈 주둔지로 주둔하여 예하에 편입[6]。
- *3월 8일:제2관구총감부 개청식[6]。
- *3월 15일:제3연대가 우츠노미야 주둔지에서 나요로 주둔지로 주둔하여 예하에 편입[6]。
- *4월 1일:오우 4현의 경비가 제1관구대로 이관[6](제5연대가 제1관구총감에 예속 변경)[7]。
- *9월 1일:각 주둔지에 업무대가 편성 완료[6]。
- 1954년(쇼와 29년)1월 10일:제2관구 항공대가 편성 완료。
2. 3. 육상자위대 제2사단 (1954년 ~ 현재)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2관구"(다이 니 칸구/第2管区일본어) 총감부로서 창설되어 이듬해 1951년 5월 부대 편성을 마쳤다. 1952년 10월 보안대가 창설됨에 따라 북부 방면대 예하부대가 되었으며, 12월 아사히카와 시로 총감부를 옮겼다. 1954년 7월 1일 경찰예비대가 육상자위대로 개편됨에 따라 육상자위대 부대가 되었고, 제3, 9, 10보통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1962년 1월 18일, 제2사단 편성이 완료되었다. 제2관구 총감부는 제2사단 사령부로, 제2특차대는 제2전차대대로, 제2정찰중대는 제2정찰대로, 제2통신대는 제2통신대대로, 제2위생대대는 제2위생대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5, 제26보통과연대, 제2대전차대, 제2수송대를 신편했다. 제10보통과연대가 제11사단 예하로 소속 변경되었고, 제2항공대가 북부방면 비행대 예하로 소속 변경( 북부방면항공대에서 북부방면 비행대로 개편)되었다. 당시 제2사단은 사단 사령부, 사단 사령부 부대, 제3·제9·제25·제26보통과연대, 제2특과연대, 제2전차대대, 제2통신대대, 제2정찰대, 제2대전차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1975년 8월 1일, 제2음악대가 신편되었다. 1988년 3월 25일, 사단 근대화 개편에 따라 제3보통과연대를 장갑차 약 60량으로 장갑차화 연대로 개편하고, 제9·제25·제26보통과연대를 자동차화 연대로 개편했다. 제2무기대, 제2보급대, 제2수송대, 제2위생대를 통합하여, 제2후방지원연대를 신편했다. 제2전차대대에 전차 10량을 증비하고, 각 전차 중대를 3개 소대에서 4개 소대로 증강했다. 제2특과연대 제6대대를 분리 독립시켜, 사단 직할의 제2고사특과대대를 신편하고, 제2사단 사령부 부대에 화학 방호 소대를 신편했다. 제2정찰대에 전자 정찰 소대를 신편했다.
1993년 3월부터 9월까지 캄보디아에 제2차 파견 시설대대가 파견되었고, 1993년 5월부터 1995년 1월까지 모잠비크에 수송 조정 요원이 파견되었다. 1994년 3월 28일, 북부방면 비행대에서 제2비행대를 예하에 편입 (북부방면 비행대에서 북부방면항공대로 개편)하였다. 같은 해 9월부터 12월까지 르완다에 르완다 난민 구호대가 파견되었다.
1995년 3월 28일, 사단 개편에 따라 제2전차연대가 가미후라노 주둔지에 신편되고, 제3·제25·제26 각 보통과연대에 대전차 중대가 신편되었다. 제2사단 사령부 부대의 화학 방호 소대가 화학 방호대로 개편되었으며, 제9보통과연대 (아사히카와 주둔지)와 제2전차대대 (가미후라노 주둔지), 제2대전차대 (가미후라노 주둔지)가 폐지되었다.
2001년 2월부터 8월까지 제11차 골란고원 파견 수송대로 해외 파견되었다. 2002년 3월 27일, 제2화학 방호대가 제2사단 사령부 부대에서 독립하여 아사히카와 주둔지에 신편되었고,[10] 같은 해 3월부터 9월까지 동티모르에 제1차 파견 시설군으로 해외 파견되었다. 2004년 2월부터 5월까지 이라크 부흥 지원군 제1차 파견 부대로 이라크에 파견되었다.
2011년 4월 22일, 종합 근대화 사단으로 개편되어[11] 정원 약 8,100명, 보통과 연대 3개(3보련·나요로, 25보련·엔갈, 26보련·루모이), 전차 연대 1개(2전련·가미후라노)를 기간으로 구성하였다.[11] 제2대 보트 대전차 중대를 가미후라노 주둔지에서 신편하고, 96식 다목적 유도탄 시스템을 도입했다.[11] 제2특과연대에 99식 자주 155mm 곡사포를 도입하고,[11] 제3·제25·제26 각 보통과연대의 대전차 중대를 폐지했다.[11]
2019년 3월 26일, 제2화학 방호대를 제2특수 무기 방호대로 개편했다. 2022년 3월 17일, 기동 사단으로 개편되어[12][13] 제3보통과연대를 제3즉응기동연대로 개편하고,[13][14] 제2정보대가 아사히카와 주둔지에서 편성 완료되었다.[13][14] 2024년 3월 21일, 제2특과연대 제4특과대대 및 지원 부대가 아사히카와 주둔지에서 가미후라노 주둔지로 이전했다.
3. 편제
제2사단 사령부는 아사히카와 주둔지에 주둔하고 있으며, 제3보통과연대는 나요로 주둔지에, 제25보통과연대는 엔가루 주둔지에, 제26보통과연대는 루모이 주둔지에 각각 주둔하고 있다. 제2전차연대는 가미후라노 주둔지에 주둔하며 3개 전차대대(90식 전차) 및 1개 전차대대(10식 전차)로 구성된다.
제2정찰대는 나요로 주둔지에 주둔하며 87식 정찰 장갑차를 운용한다.
제2비행대는 아사히카와 주둔지에서 UH-1J를 운용하며, 제2설비대대, 제2후방지원 연대, 제2통신대대, 제2화학방호대, 제2음악대는 모두 아사히카와 주둔지에 주둔한다. 제2대함정대전차중대는 가미후라노 주둔지에 주둔한다.
4. 주요 간부
(육장보)
겸 아사히카와 주둔지 사령관
통솔·전사 교육실장
겸 방위대학교 교수
교육부 총괄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