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스웨덴 십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스웨덴 십자군은 13세기 중반 스웨덴이 핀란드를 정복하고 기독교화하려는 시도로, 1차 십자군 이후 핀란드에 대한 스웨덴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십자군의 정확한 연대와 성격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주요 사료인 에리크 연대기는 십자군 원정을 1247년과 1250년 사이로 기록하고 있다. 십자군 이후 핀란드와 타바스티아는 스웨덴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며, 핀란드 교구는 스웨덴 교구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방십자군 - 테라 마리아나
테라 마리아나는 13세기 초 독일 십자군이 정복한 발트해 동부의 봉건 영주국들로, 리가 대주교령, 쿠를란트 주교령 등을 포함하는 리보니아 연방을 구성했으나 리보니아 전쟁으로 해체되어 스웨덴 등에 분할되었다. - 북방십자군 - 제3차 스웨덴 십자군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은 13세기 말 스웨덴이 핀란드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토르켈 크누트손의 지휘하에 진행되었고 비보리 성 건설과 서카렐리아 지역에 대한 스웨덴의 지배를 확립했으나, 노브고로드 공화국과의 갈등을 심화시켜 이후 수십 년간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 13세기 십자군 - 제7차 십자군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끈 제7차 십자군은 예루살렘 탈환을 목표로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만수라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으며, 석방 후 십자군 국가 재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로 귀환하여 종결되었다. - 13세기 십자군 - 알비 십자군
알비 십자군은 1209년부터 1229년까지 남부 프랑스 랑그도크에서 카타리파 이단을 막기 위해 교황이 선포한 종교 전쟁으로,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와 잔혹한 군사 작전, 그리고 종교재판을 통해 집단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13세기 분쟁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13세기 분쟁 - 스투를룽 시대
스투를룽 시대는 13세기 아이슬란드 자유국 시대의 권력 투쟁 시기로, 고디들의 세력 다툼과 스투를룽 가문의 부상, 노르웨이의 영향력 확대 속에서 내전이 격화되다가 1264년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멸망으로 이어진다.
제2차 스웨덴 십자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제2차 스웨덴 십자군 |
일부 | 북방 십자군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
시기 | 1238년–1239년 또는 대략 1249년–1250년 |
장소 | 타바스티아 |
결과 | 스웨덴의 승리, 타바스티아가 스웨덴의 일부가 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스웨덴 |
교전국 2 | 타바스티아인 |
지원 세력 | 노브고로드 |
지휘관 | |
지휘관 1 | 에리크 에릭손 비르게르 야를 |
지휘관 2 | 불명 |
기타 | |
비고 | 캠페인 상자: 캠페인 상자 십자군 캠페인 상자: 캠페인 상자 스웨덴 식민지 분쟁 캠페인 상자: 캠페인 상자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스웨덴 십자군 이후, 스웨덴은 핀란드, 특히 핀란드에 거점을 확보하고 있었다. 1230년경 주교 토마스가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스웨덴 선교 시도가 타바스티아에 있었다. 1236년부터 1237년까지 이어진 타바스티아 봉기는 스웨덴에게 타바스티아 침략 명분을 주었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는 스웨덴에게 그들을 공격하라고 촉구했다.[6]
2. 1. 초기 스웨덴의 핀란드 진출
제1차 스웨덴 십자군 이후, 스웨덴은 핀란드, 특히 핀란드에 거점을 확보하고 있었다. 1230년경 주교 토마스가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스웨덴 선교 시도가 타바스티아에 있었다. 1236년부터 1237년까지 이어진 타바스티아 봉기는 스웨덴에게 타바스티아 침략 명분을 주었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는 스웨덴에게 그들을 공격하라고 촉구했다.[6]
2. 2. 타바스티아 봉기 (1236-1237)
제1차 스웨덴 십자군 이후, 스웨덴은 핀란드, 특히 핀란드에 거점을 확보하고 있었다. 1230년경 주교 토마스가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스웨덴의 선교 시도가 타바스티아에 있었다. 1236년부터 1237년까지 이어진 타바스티아 봉기는 스웨덴에게 타바스티아 침략의 명분을 제공했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는 스웨덴인들에게 그들을 공격하라고 촉구했다.[6]
3. 주요 사료
제2차 스웨덴 십자군에 대한 주요 사료는 사건 발생 1세기 후에 쓰여진 에리크 연대기이다. 이 연대기는 내부 불안과 노브고로드와의 전쟁 중에 제작되었으며, 주로 선전적인 성격을 띤다.[7][8] 연대기는 십자군 원정을 스파르스에트라 전투(1247년)와 에리크 에릭손 국왕의 죽음(1250년) 사이의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타바스티안인을 스웨덴의 적으로 묘사한다.
''에리크 연대기''는 전쟁 후 "taffwesta borg"라는 성이 세워졌다고 언급하며, 십자군을 정교회 러시아인과의 대결과 연결하여 "러시아 왕"이 정복한 땅을 잃었다고 강조했다.[9]
1340년경 뤼베크에서 기원한 "데트마르 연대기"는 비르예르 야를이 핀란드를 스웨덴의 지배 하에 두었다고 간략하게 기록했다.[10] "뤼베크 연대기"는 1266년에 핀란드가 스웨덴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고 기록한다.[11]
3. 1. 에리크 연대기 (''Erik's Chronicle'')
제2차 스웨덴 십자군에 관한 모든 세부 사항은 사건 발생 1세기 후에 쓰여진 에리크 연대기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대기는 내부 불안과 노브고로드와의 전쟁 중에 제작되었으며, 주로 선전적인 성격을 띤다. 연대기는 십자군 원정을 1247년 스파르스에트라 전투와 1250년 에리크 에릭손 국왕의 죽음 사이의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이교도 타바스티안인("hedna taffwesta")들을 스웨덴의 적으로 묘사한다. 연대기에 따르면, 원정은 스웨덴에서 준비되어 바다를 건너 해안가의 땅으로 진격했으며, 그곳에서 적들이 기다리고 있었다.[7][8]또한 ''연대기''는 전쟁 후 "taffwesta borg"라는 성이 세워졌다고 언급하며, 십자군을 정교회 러시아인과의 대결과 연결하여 "러시아 왕"이 정복한 땅을 잃었다고 강조했다.[9]
3. 2. 기타 사료
소위 "데트마르 연대기"("''Detmar Chronicle''")는 1340년경 뤼베크에서 기원하며, 비르예르 야를이 핀란드를 스웨덴의 지배 하에 두었다는 짧은 기록으로 원정을 확인했다.[10] "뤼베크 연대기"("''Lübeck Chronicle''")는 1266년에 핀란드가 스웨덴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4. 십자군의 성격과 연대 논쟁
제1차 스웨덴 십자군에 대한 의문과는 달리, 스웨덴이 핀란드를 기독교화하려는 노력이 13세기 중반에 절정에 달했다는 점에는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정확한 연도와 성격을 포함한 많은 세부 사항들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12] 십자군의 성격과 연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십자군의 성격
연대기에서는 십자군 전쟁을 정복 전쟁으로 묘사하려 했지만, 핀란드를 스웨덴 국가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유혈 사태가 심했던 시기였을 가능성이 높다. 스웨덴은 중앙 정부와 가톨릭 교회의 강력한 이념적 힘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참여한 핀란드 족장들은 권력과 명성을 얻었다.[12]4. 2. 연대 논쟁
16세기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십자군의 시기를 1248년으로, 파울루스 유스텐은 《핀란드 주교 연대기》의 한 판본에서 1249년으로 기록했다. 후자의 연도가 십자군에 일반적으로 할당된 전통적인 날짜가 되었다.[13][17]1240년대 후반이라는 날짜는 이후 연구에서 이의가 제기되었다. 19세기 노르웨이 역사가 페테르 안드레아스 뭉크는 1264-1265년에 쓰여진, 《에릭 연대기》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하콘 하코나르손의 사가에 따르면[14] 스웨덴-노르웨이 위기로 인해 비르예르 야를이 1249년 여름에 해결될 때까지 노르웨이 국경 근처에 머물러 핀란드 원정을 갈 시간이 없었다고 지적했다.[15][13] 사가는 또한 에릭 왕의 죽음 이후 새로운 왕의 선출에 대해 설명한다. 연대기와 대조적으로 사가는 비르예르의 도착이 아들의 선출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가를 믿는다면 죽음과 선출 사이에 8일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비르예르는 당시 핀란드에 있을 수 없었다.[16]
1946년, 야를 갈렌은 연대기에 명백한 연대기적 오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십자군의 날짜를 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6] 그는 2차 스웨덴 십자군은 타바스티안 봉기 이후 교황 그레고리 9세가 타바스티안 이교도에 대한 십자군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받은 후인 1238-39년에만 일어날 수 있었다고 제안했다.[17][18] 갈렌의 연대기는 또한 스웨덴이 노브고로드 공작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에게 패한, 성공하지 못한 네바 전투 이전으로 십자군을 배치할 것이다.[16] 스웨덴 역사가 딕 해리슨 또한 교황의 서신에 근거하여 초기의 십자군 이론이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하며, 이는 또한 이 전쟁을 적절하게 승인된 십자군으로 만들 것이고, 스웨덴이 그 기간 동안 평화로웠다는 사실에 근거한다.[19]
1990년, 문학 역사가 기셀라 노르트스트란드는 에릭 연대기를 시적 작품으로 연구했다.[20] 노르트스트란드에 따르면, 연대기의 저자는 몇 년의 거리를 두고 알려진 에피소드들 사이에 연대기적 연결을 암시하고, 때로는 연대기를 뒤집는 문학적 기법을 사용한다. 이 사건들 중 일부는 연대기와 거의 동시대적이므로, 오류로 간주될 수 없으며, 저자가 연대기에 관하여 광범위한 예술적 자유를 사용했음을 나타낸다.[16]
1247-1250년에 십자군이 일어났다는 입장은 1926년 Rolf Pipping|롤프 피핑sv에 의해 옹호되었는데, 그는 뭉크가 사가를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했다. 피핑에 따르면, 비르예르는 여름이 아니라 겨울, 아마도 3월에 노르웨이 국경에 머물렀을 것이다.[21] 러시아 역사가 이고르 파블로비치 샤스콜스키 또한 전통적인 연대를 지지하며, 토마스 주교가 "쿠로네스"와 러시아의 공격으로 인해 1245년에 그의 관할구에서 도망쳤고, 샤스콜스키에 따르면 이것이 1240년대 후반에 십자군을 시작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라는 파아발리 유스텐의 주교 연대기에 근거한 주장을 덧붙였다.[16] 그러나 동시대 교황 칙서에 따르면 토마스는 공격 때문이 아니라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사임해야 했다.[16]
세포 수반토와 마우노 요키피를 비롯한 일부 핀란드 역사가들은 비르예르가 1248년에야 야를이 되었기 때문에 초기 연대기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13][16] 그러나 노르트스트란드는 에릭 연대기의 저자가 일반적으로 "야를"이라는 칭호를 강조하지만 십자군에 대해 설명할 때는 비르예르가 단지 왕의 매형이자 원정의 "포르만"으로만 제시된다고 지적했다. 존 H. 린드에 따르면 동시대 자료는 야를만이 "포르만"으로 활동할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하지 않으며, 그는 비르예르가 야를로 임명되기 전에도 원정을 지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16]
세포 수반토는 또한 동시대 자료가 비르예르를 네바 전투와 연결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갈렌의 연대기에서 십자군에 이어 일어났을 것이다.[13] "베르거"를 네바 원정의 지도자로 언급하는 유일한 러시아 자료는 14세기 중반의 위서인 《스웨덴 왕 마그누스의 유언》이다. 존 H. 린드는 다른 경우에 《유언》이 역사적으로 정확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네바 원정과 관련하여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반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6]
5. 타프웨스타 보리 (''Taffwesta borg'')
연대기에서는 스웨덴인들이 건설한 요새인 "taffwesta borg"를 언급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Häme 성(스웨덴어: ''Tavastehus'')으로 해석되었으나, 오늘날에는 근처의 Hakoinen 성이 더 유력한 후보로 여겨진다. 16세기 자료에는 Hakoinen 성이 "구 Häme 성"으로 언급되어 있다.[13]
6. 십자군 이후 상황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1249년 8월 핀란드를 자신의 특별한 보호 아래 두었지만, 스웨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22] 핀란드 주교 토마스는 1245년에 사임했고, 3년 뒤 고틀란드에서 사망했다. 1248/9년에 베로가 새로운 주교로 임명되었는데, 1448년의 "팜스킬드 소책자"에는 그가 핀란드인들의 세금을 스웨덴 국왕에게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24] 1249년에는 핀란드 최초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이 설립되었다.[25]
''에리크 연대기''에 따르면, 1250년 에리크 국왕이 사망했을 때 비르예르가 스웨덴에 없어, 요아르 블로가 이끄는 스웨덴 귀족들이 비르예르의 아들 발데마르를 새 국왕으로 선출했다.
1249년 이후 자료들은 핀란드와 타바스티아를 스웨덴의 일부로 간주한다. 핀란드 교구는 1253년에 처음으로 스웨덴 교구에 포함되었다.[26] 노브고로드 연대기에 따르면, 타바스티아인(yem)과 핀란드인(sum)은 1256년에 스웨덴인(svei)과 함께 원정에 참여했다.[27] 그러나 노브고로드 공화국 군대가 1318년에 투르쿠를 불태워 이후 수십 년 동안 핀란드의 상황에 대한 문서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1293년 카렐리아를 상대로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핀란드에서 일어났다.
6. 1. 교회의 반응과 재조직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1249년 8월 핀란드를 자신의 특별한 보호 아래 두었지만, 스웨덴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22] 이는 다른 세력이 분쟁에 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핀란드의 주교 토마스는 도미니코회 수사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1245년에 이미 사임했고 3년 뒤 고틀란드에 있는 도미니코회 수녀원에서 사망했다. 주교 자리가 비어있었기에, 교구는 교황 사절인 모데나의 윌리엄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윌리엄은 1248년 6월 핀란드 사제들에게 마지막 명령을 내렸다.[23]베로는 1248/9년에 새로운 주교로 임명되었다. 이는 윌리엄이 1248년 3월 1일에 끝난 스케닝에에서 열린 중요한 교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스웨덴을 방문한 직후로 추정된다. 1448년의 "팜스킬드 소책자"에는 베로가 핀란드인들의 세금을 스웨덴 국왕에게 바친 인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24] 베로는 그의 두 후임자처럼 스웨덴 궁정 출신이었다. 스웨덴 주교들은 1280년대까지 핀란드에서 모든 세속적인 권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 핀란드 공작의 지위가 확립되었다.
1249년에는 상황이 명확해졌다고 여겨져 핀란드에 최초의 수도원인 도미니코회 수도원이 설립되었다.[25] 이 수도원은 세기 말까지 코로이넨에 있는 주교의 요새 옆에 위치했다.
6. 2. 스웨덴의 왕위 계승
''에리크 연대기''는 이 원정이 비르예르에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가져와 스웨덴 왕위를 잃게 한 것처럼 보인다고 전한다. 1250년 에리크 국왕이 사망했을 때, 비르예르는 스웨덴에 없었다. 요아르 블로가 이끄는 스웨덴 귀족들은 강력한 야를 대신해 비르예르의 미성년 아들 발데마르를 새 국왕으로 선출했다.[4]6. 3. 핀란드에서의 스웨덴 통치
1249년 이후 자료들은 일반적으로 핀란드와 타바스티아를 스웨덴의 일부로 간주한다. 핀란드 교구는 1253년에 처음으로 스웨덴 교구에 포함되었다.[26] 노브고로드 연대기에 따르면, 타바스티아인(yem)과 핀란드인(sum)은 1256년에 스웨덴인(svei)과 함께 원정에 참여했다.[27] 그러나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핀란드의 상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는 부분적으로 서부 핀란드가 투르쿠에서 통치되었고, 대부분의 문서가 그곳에 보관되었기 때문이다. 노브고로드 공화국 군대가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중 1318년에 도시를 불태웠기 때문에, 이전 세기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문서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1293년 카렐리아를 상대로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핀란드에서 일어났다.7. 핀란드의 기독교화
(제2차 스웨덴 십자군 문서의 핀란드의 기독교화 섹션은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7. 1. 관련 인물
(관련 인물 섹션은 원본 소스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참조
[1]
서적
Medeltidens svenska krig
Hjalmarson & Högberg
[2]
뉴스
Svenskt korståg kuvade det finska motståndet
https://www.svd.se/a[...]
2019-01-10
[3]
서적
History of Finla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4-15
[4]
서적
Novels, Histories, Novel Nations: Historical Fiction and Cultural Memory in Finland and Estonia
https://books.google[...]
Finnish Literature Society / SKS
2024-10-13
[5]
서적
The Chronicle of Duke Erik: A Verse Epic from Medieval Sweden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1-12-01
[6]
문서
Harrison (2005), p.425-426
[7]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crusade
https://runeberg.org[...]
[8]
서적
The Chronicle of Duke Erik: A Verse Epic from Medieval Sweden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1-12-01
[9]
서적
The Chronicle of Duke Erik: A Verse Epic from Medieval Sweden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1-12-01
[10]
서적
Suomen varhaiskeskiajan lähteitä
[11]
서적
Ruotsin Itämaa
https://books.google[...]
Sw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2010
[12]
문서
Harrison (2005), p 425; Tarkiainen (2008), p. 101
[13]
웹사이트
Birger Jaarli (noin 1210 - 1266)
https://biografiasam[...]
2000-06-23
[14]
간행물
Early Russian-Swedish Rivalry
Informa UK Limited
[15]
서적
Det norske folks historie
https://books.google[...]
Tønsberg
1852
[16]
간행물
Early Russian-Swedish Rivalry
Informa UK Limited
[17]
간행물
En kritisk läsning av Erikskrönikans första korstågsepisod
https://journal.fi/h[...]
1990-01-01
[18]
간행물
Kring Birger jarl och andra korståget till Finland. En omdatering och en omvärdering
https://www.finna.fi[...]
"[s.n.]"
2024-04-30
[19]
문서
Harrison (2005), p 427
[20]
간행물
En kritisk läsning av Erikskrönikans första korstågsepisod
https://journal.fi/h[...]
1990-01-01
[21]
서적
Kommentar till Erikskrönikan
https://digi.kansall[...]
Åbo tryckeri och tidnings aktiebolag
1926
[22]
웹사이트
Letter by Innocentius IV to the diocese of Finland and its people
http://193.184.161.2[...]
[23]
웹사이트
Wilhelm of Sabina's letter to the priests of Finland in 1248
http://193.184.161.2[...]
[24]
웹사이트
Original text as hosted by the University of Columbia
http://www.columbia.[...]
[25]
웹사이트
Convent established in Finland
http://193.184.161.2[...]
[26]
문서
Surviving lists from 1241 and 1248 still did not include Finland.
[27]
웹사이트
Novgorod First Chronicle entry about the Swedish attack to Novgorod and Novgorodian counterattack to Finland
http://193.184.1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