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차 스웨덴 십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은 1293년 스웨덴이 카렐리아 지역을 침공한 사건을 지칭한다. 이 원정은 북방 십자군의 일환으로, 1차 및 2차 스웨덴 십자군 이후 비보리 성을 건설하며 시작되었다. 스웨덴은 카렐리안인들의 약탈과 기독교 영토 침입에 대응하여 십자군을 일으켰으며, 비보르크를 점령하고 케크스홀름을 건설했다. 그러나 1295년 케크스홀름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함락되었고, 이후 스웨덴은 동쪽 국경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지속했다. 이 십자군의 결과로 스웨덴은 핀란드 내 국경을 동쪽으로 넓혔고, 카렐족은 스웨덴에 세금을 납부하고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방십자군 - 테라 마리아나
    테라 마리아나는 13세기 초 독일 십자군이 정복한 발트해 동부의 봉건 영주국들로, 리가 대주교령, 쿠를란트 주교령 등을 포함하는 리보니아 연방을 구성했으나 리보니아 전쟁으로 해체되어 스웨덴 등에 분할되었다.
  • 북방십자군 - 제2차 스웨덴 십자군
    13세기 중반 스웨덴이 비르예르 야를의 주도하에 핀란드, 특히 타바스티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던 군사 원정인 제2차 스웨덴 십자군은 《에리크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으나, 시기와 성격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이후 핀란드는 스웨덴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 13세기 십자군 - 제7차 십자군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끈 제7차 십자군은 예루살렘 탈환을 목표로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만수라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으며, 석방 후 십자군 국가 재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로 귀환하여 종결되었다.
  • 13세기 십자군 - 알비 십자군
    알비 십자군은 1209년부터 1229년까지 남부 프랑스 랑그도크에서 카타리파 이단을 막기 위해 교황이 선포한 종교 전쟁으로,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와 잔혹한 군사 작전, 그리고 종교재판을 통해 집단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제3차 스웨덴 십자군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분쟁 명칭제3차 스웨덴 십자군
다른 이름
일부북방 십자군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시기1293년–1295년
장소핀란드
결과스웨덴의 승리
영토 변경스웨덴 국경이 동쪽으로 확장됨
교전 세력
교전국 1스웨덴
교전국 2노브고로드
이교도 카리알라인
지휘관
스웨덴 지휘관비르예르 망누손
토르켈 크누트손
시게 라케
페트루스 주교
노브고로드 지휘관로만 글레보비치
병력 규모
스웨덴 병력알 수 없음
노브고로드 병력알 수 없음
사상자 규모
스웨덴 사상자알 수 없음
노브고로드 사상자알 수 없음
관련 정보 상자
관련 정보 상자

기타
십자군 당시 스웨덴 국왕 비르예르 망누손
십자군 당시 스웨덴 국왕 비르예르 망누손

2. 배경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은 제1차 십자군제2차 십자군에 이어 발생했다. 1293년, 파괴된 카렐리안 요새 부지에 비보리 성이 중세 스웨덴 왕국의 최동단 전초 기지로 세워졌다.[2] 십자군 이후 서부 카렐리아는 1721년 니스타드 조약까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3]

2. 1. 십자군 이전의 상황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은 핀란드로의 아마도 신화적인 제1차 십자군제2차 십자군에 이어 발생했다. 북방 십자군의 일부였던 이 원정은 시대착오적인 경우가 많다.

''에릭 연대기''(Erikskrönikan)에 따르면, 이 원정은 이교도들의 기독교 영토 침입 때문에 일어났다. ''에릭 연대기''는 스웨덴인들이 카렐리안으로부터 14개의 백을 정복했다고 기록하고 있다.[4]

카렐리안인들은 1257년 스웨덴에 파괴적인 원정을 감행했고, 스웨덴의 발데마르 국왕(1250–1275)은 교황 알렉산데르 4세에게 그들에 대한 십자군 선포를 요청했으며, 교황은 이에 동의했다.[5]

스웨덴의 비르예르 국왕(1290년~1318년)은 1295년 3월 4일자 서한에서 십자군의 동기가 카렐리안인들의 발트해 지역에서의 오랜 강도 행위와 약탈, 그리고 스웨덴인과 다른 여행자들을 포로로 잡아 고문했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6]

2. 2. 십자군의 동기

에릭 연대기에 따르면, 이 원정은 이교도들이 기독교 영토를 침입했기 때문에 일어났다. 이 연대기에 따르면, 스웨덴인들은 카렐리안으로부터 14개의 백을 정복했다.[4]

카렐리안인들은 1257년 스웨덴에 파괴적인 원정을 감행했고, 스웨덴의 발데마르 국왕(1250–1275)은 교황 알렉산데르 4세에게 십자군 선포를 요청, 교황은 이에 동의했다.[5]

스웨덴의 비르예르 국왕(1290년~1318년)은 1295년 3월 4일자 서한에서 십자군의 동기가 카렐리안인들이 발트해 지역에서 오랫동안 강도 행위와 약탈을 일삼고, 스웨덴인과 다른 여행자들을 포로로 잡아 고문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6]

3. 1293년: 비보르크 원정

1293년 봄, 토르켈 크누트손이 이끄는 대규모 함대가 핀란드로 향했다. 이들의 목표는 스웨덴의 국경을 동쪽으로 넓히는 것이었다.[7] 당시 타타르족이 러시아노브고로드를 공격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했다.

스웨덴군의 공격 목표는 수오멘베덴포야의 항구와 시장이었으며, 이곳은 나중에 비보르크로 알려지게 되었다.[8][7] 이 지역은 현재는 말라버린 강줄기인 부옥센 강의 서쪽 출구에 위치해 있었으며, 스웨덴군이 도착하기 전부터 서카렐리야의 대외 무역 및 교류의 중심지이자 오래된 카렐리야 요새가 있던 곳이었다. 스웨덴이 이 지역을 장악한다는 것은 곧 스웨덴과 가톨릭 교회가 서카렐리야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원정은 연대기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지 않다. 스웨덴군은 비교적 평화로운 상황에서 수오멘베덴포야에 요새를 건설했다.[7] 스웨덴 측이 오늘날 타이팔레가 위치한 라도가 호수에도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있다는 징후가 있는데, 이 요새는 코렐라 요새로 명명되었지만 오래 유지되지는 못했다. 1310년, 노브고로드인들은 코렐라 요새의 기초 위에 요새화된 정착지를 건설했다.

스웨덴군은 가을에 귀국하면서 새로운 요새에 수비대를 남겨두었다. 비보르크의 초대 수장이 누구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림 연대기에는 그가 "격분한 이교도를 보는 것을 감히 두려워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그가 용감한 사람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7]

4. 1294년: 비보르크 공방전과 스웨덴의 반격

1294년 3월, 로만 글레보비치가 이끄는 노브고로드군이 비보르크를 공격했으나, 날씨 변화로 인해 실패하고 퇴각했다. 봄이 되자 스웨덴 함대가 도착하여 케크스홀름을 점령하고 수비대를 주둔시켰다. 이후 스웨덴 주력 부대는 비보르크를 거쳐 스웨덴으로 돌아갔다.[14][7]

4. 1. 비보르크 공방전

1294년 3월, 로만 글레보비치[9][10]가 이끄는 노브고로드군은 비보르크에 도착하여 요새의 탑 중 하나로 빠르게 진격했다. 노브고로드군은 6개의 대형 투석기를 설치하여 벽에 바위를 던졌고, 얼음 위로 요새를 공격할 준비를 했다.[11][10] 3월 30일에 비보르크를 공격했지만, 날씨가 스웨덴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남서쪽에서 온 온화하고 따뜻한 바람이 얼음을 부분적으로 녹여 부서지게 하여 배 없이는 공격이 불가능하게 만들었다.[11][10]

스웨덴 수비군은 성 올라프와 성모 마리아를 찬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스웨덴군은 날씨 변화를 성인들이 비보르크가 스웨덴 영토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여겼다.[11] 연대기에 따르면, 이반 클레카테비치라는 지휘관 중 한 명이 사망했다. 공격에 실패한 후, 노브고로드군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12][13]

4. 2. 스웨덴의 반격: 케크스홀름 점령

봄이 되자 스웨덴에서 함대가 도착했고 곧 공세에 나섰다. 이제 목표는 케크스홀름이었다. 스웨덴이 그곳에 정착할 수 있다면 라도가 카렐도 스웨덴의 지배하에 놓이게 될 것이었다. 공격 후 케크스홀름이 정복되었고 스웨덴은 시게 레이크의 지휘 아래 요새에 수비대를 주둔시켰다.[14][7] 주력 부대는 비보르크로 돌아간 후 스웨덴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5. 1295년: 케크스홀름 함락

노브고로드케크스홀름 공격은 노브고로드에 큰 타격을 주었다. 1294년에 스웨덴군이 격파한 수비대는 노브고로드인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라도가 카렐리아와 노브고로드 사이의 관계는 서부 카렐리아와 노브고로드 사이의 관계보다 더 강했다.

얼음 상태로 인해 스웨덴의 증원이 가능해지기 전에 노브고로드에서 온 군대가 케크스홀름을 포위했다. 요새 안의 보급품은 빠르게 바닥났고, 기아가 심해지자 수비대는 노브고로드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려 했다. 처음에는 스웨덴군이 승리했지만,[15][16] 지쳐버린 탓에 수비군은 사령관 시게 레이크와 함께 빠르게 무너졌다.[17][16] 단 두 명의 스웨덴군만이 탈출에 성공했고, 나머지는 살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16][7]

케크스홀름에서의 패배 소식은 스웨덴에서 큰 공황을 일으키지는 않았을 것이다. 스웨덴은 이전 해들의 동쪽에서의 성공에 매우 만족했고, 이는 스웨덴의 자존감을 크게 높였다. 그러나 스웨덴의 동쪽으로의 팽창에는 아직 한계가 없었고, 거의 30년간의 전쟁이 벌어질 것이었다.[7] 전쟁은 다양한 강도로 진행될 것이다. 1296년부터 1299년까지 핀란드의 동부 국경에서의 전쟁 사건에 대해 알려주는 자료는 없다. 따라서 1300년까지 전투가 줄어들었다가 다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6. 결과

토르켈 크누트손이 이끈 십자군으로 인해 핀란드 내 스웨덴 국경이 동쪽으로 더 확장되었고, 카렐족은 패배하여 스웨덴에 세금을 납부하고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14]

1300년, 스웨덴 섭정은 또 다른 군대를 보내 네바강의 섬에 란스크로나 요새를 건설했다. 스웨덴군은 처음에는 요새 포위를 격퇴했지만, 이듬해 노브고로드 군대에 의해 요새가 점령당하고 파괴되었다.[16][18]

7. 전투 목록

전투명결과
비보리 공방전스웨덴 승리
켁스홀름 공방전스웨덴 승리[1]
켁스홀름 공방전노브고로드 승리[2]



위 출력물에서 다음 사항이 변경되었습니다.


  • 중복 제거 및 출처 추가: 켁스홀름 공방전이 두 번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원본 소스에는 켁스홀름 공방전이 스웨덴 승리와 노브고로드 승리로 두 번 나뉘어 있으므로, 중복을 유지하되 각주를 추가하여 구분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andbok i svenska kyrkans historia https://books.google[...] 1892
[2] 서적 Ancient Hillforts of Finland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3] 웹사이트 Viborg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2019-06-01
[4] 웹사이트 Erikskrönikan https://litteraturba[...] litteraturbanken.se 2019-06-01
[5] 웹사이트 Valdemar Birgersson, 1250–1275 https://www.pennanoc[...] Pennan & Svärdet 2019-06-01
[6] 웹사이트 Birger https://sok.riksarki[...] Svenskt biografiskt lexikon 2019-06-01
[7] 서적 Medeltidens Svenska krig Hjalmarson & Högberg
[8] 서적 Handbok i svenska kyrkans historia https://books.google[...] W. Schultz 1892
[9] 웹사이트 BLF https://www.blf.fi/a[...] 2024-04-15
[10] 서적 Medeltidens Svenska krig Hjalmarson & Högberg
[11] 서적 Den glömda historien : om svenska öden och äventyr i öster under tusen år https://books.google[...] Norstedts 2011-11-28
[12] 웹사이트 Svenska - Uppslagsverket Finland https://uppslagsverk[...] 2024-04-15
[13] 서적 Sveriges historia fran äldsta tider till våra dagar för Svenska folket: av Otto Sjögren. 2. omarb. och tillokade uppl https://books.google[...] Fröléen 1923
[14] 서적 Svenska folkets historia https://books.google[...] N.M. Lindhs Boktryckeri 1832
[15] 서적 Historic Tales, The Romance of Reality: American, Spanish American, English, German, French, Spanish, Russian, Scandinavian, Greek, Roman, Japanese and Chinese, King Arthur (Complete)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16] 서적 The History of Sweden https://books.google[...] R. Bentley 1844
[17] 서적 Svensk biografi https://books.google[...] O. Grahn 1818
[18] 간행물 Gud vill det! Nordiska korsfarare under medeltiden Ordfro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