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통신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 여단으로,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전투 부대 및 임무 파트너를 지원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유럽에 주둔했다. 2023년 기준으로 독일 비스바덴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바덴 - 제66군사정보여단
제66군사정보여단은 1944년 유럽 전선에서 방첩 활동을 위해 창설되어 냉전 시대에는 독일에서 소련 및 동유럽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을 담당하며 서독의 안보를 지원했고, 2008년 여단으로 승격되어 현재 다양한 정보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미국 중부 육군
미국 중부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미국 육군 사령부로,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중동 지역의 안보 협력 및 위기 대응을 담당하는 미국 중앙 사령부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제95민사여단
제95민사여단은 미국 육군의 민사 작전 부대로서, 과거 일본 점령 임무와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지역에서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유일한 정규군 민사여단이다. - 1955년 해체된 단체 - 제3원정수송여단
제3원정수송여단은 대한민국 군 수송 부대로서, 2차 세계 대전부터 한국 전쟁, 그리고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수송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제3군수사령부 예하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1955년 해체된 단체 - 서남지구전투사령부
서남지구전투사령부는 한국 전쟁 중 서남 지구의 공비 토벌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창설되어 백야전사령부에 예속되었고, 지리산 일대에서 집중적인 토벌 작전을 수행하다 1955년 해체되었다.
제2통신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칭 | 탁월한 여단 |
모토 | "Brigade of Excellence" (탁월한 여단) |
색상 | 주황색과 흰색 |
본부 | 루시우스 D. 클레이 카제르네, 독일 |
현재 사령관 | 마이클 R. 칼루스티안 대령 |
![]() | |
웹사이트 | 제2통신여단 |
임무 및 구조 |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통신 |
유형 | 여단 |
규모 | 여단 (5개 대대, 1개 집단) |
명령 체계 | NETCOM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
역사 | |
창설 | 1944년 10월 24일 |
해체 | 1946년 3월 13일 |
재창설 | 1946년 5월 9일 |
해체 | 1955년 4월 4일 |
재창설 | 1961년 6월 21일 |
해체 | 1971년 10월 23일 |
재창설 | 1974년 6월 1일 |
현재 | 현재 |
참전 |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
2. 역사
제2통신여단은 여러 차례 해산과 재창설을 반복했다. 1961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을 지원했다. 이후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 1971년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하였다.[1]
1974년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유럽에 주둔, 제5통신사령부 예속부대가 되었다. 2017년 제5통신사령부 해체 후,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1. 창설 및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나치로부터 해방된 프랑스에서 1944년 10월 24일에 제3348통신근무단으로 창설되었다. 부대는 1946년 3월 13일까지 프랑스에 주둔하고 해산하였다.[1]1946년 5월 9일에 뉴저지주 포트 몬마우스에서 다시 소집되었고, 1955년 4월 4일 조지아주 캠프 고든에서 해산하였다.[1]
2. 2. 전후 재창설 및 베트남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나치로부터 해방된 프랑스에서 1944년 10월 24일에 제3348통신근무단으로 창설되었다. 부대는 1946년 3월 13일까지 프랑스에 주둔하고 해산하였다.[1]1946년 5월 9일에 뉴저지주 포트 몬마우스에서 재소집되었고, 1955년 4월 4일 조지아주 캠프 고든에서 해산하였다.[1]
1961년 6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참가하여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지원하였다. 전쟁 막바지에 제2통신단은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하고 워싱턴주의 포트 루이스에서 1971년 10월 23일에 해산하였다. 제1통신여단은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주한 미국 육군의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3. 한국과의 인연
제2통신여단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을 지원하였다. 전쟁 막바지에 제2통신여단은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하였고, 제1통신여단은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주한 미국 육군의 통신부대가 되었다.[1]2. 4. 유럽 복귀 및 냉전
1974년 6월 1일에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두번째 유럽 주둔이 시작되었고, 한달 뒤인 7월 1일에 창설된 제5통신사령부의 예속부대가 되었다.[1] 2017년 8월 4일, 제5통신사령부가 부대기 반납식을 거행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자,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1]2. 5. 냉전 이후 및 현재
1974년 6월 1일에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두 번째 유럽 주둔이 시작되었고, 한 달 뒤인 7월 1일에 창설된 제5통신사령부의 예속부대가 되었다.2017년 8월 4일, 제5통신사령부가 부대기 반납식을 거행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
3. 부대 구성 (2023년 기준)
4. 임무
제2통신여단 (미국)의 임무는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전투 부대와 임무 파트너를 지원하여 모든 수준과 전쟁 단계에서 의사 결정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통합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극장 통신 및 사이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3]
5. 계보
- 1944년 10월 24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348th Signal Service Group|제3348통신근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으로 창설됨.
- 1947년 3월 14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2d Signal Service Group|제2통신근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 1949년 3월 1일, 정규군에 할당됨.
- 1949년 12월 16일, Headquarters, 2d Signal Service Group|제2통신근무단, 본부영어로 개편됨.
- 1953년 3월 25일, Headquarters, 2d Signal Group|제2통신단, 본부영어로 개편됨.
- 1961년 4월 2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2d Signal Group|제2통신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 1979년 10월 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d Signal Brigade|제2통신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6. 참전 기록
제2통신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구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