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통신여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 여단으로,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전투 부대 및 임무 파트너를 지원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유럽에 주둔했다. 2023년 기준으로 독일 비스바덴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바덴 - 제66군사정보여단
    제66군사정보여단은 1944년 유럽 전선에서 방첩 활동을 위해 창설되어 냉전 시대에는 독일에서 소련 및 동유럽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을 담당하며 서독의 안보를 지원했고, 2008년 여단으로 승격되어 현재 다양한 정보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미국 중부 육군
    미국 중부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미국 육군 사령부로,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중동 지역의 안보 협력 및 위기 대응을 담당하는 미국 중앙 사령부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제95민사여단
    제95민사여단은 미국 육군의 민사 작전 부대로서, 과거 일본 점령 임무와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지역에서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유일한 정규군 민사여단이다.
  • 1955년 해체된 단체 - 제3원정수송여단
    제3원정수송여단은 대한민국 군 수송 부대로서, 2차 세계 대전부터 한국 전쟁, 그리고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수송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제3군수사령부 예하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1955년 해체된 단체 - 서남지구전투사령부
    서남지구전투사령부는 한국 전쟁 중 서남 지구의 공비 토벌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창설되어 백야전사령부에 예속되었고, 지리산 일대에서 집중적인 토벌 작전을 수행하다 1955년 해체되었다.
제2통신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2통신여단 어깨 소매 휘장
제2통신여단 어깨 소매 휘장
별칭탁월한 여단
모토"Brigade of Excellence" (탁월한 여단)
색상주황색과 흰색
본부루시우스 D. 클레이 카제르네, 독일
현재 사령관마이클 R. 칼루스티안 대령
부대 식별 휘장
웹사이트제2통신여단
임무 및 구조
소속미국 육군
병과통신
유형여단
규모여단 (5개 대대, 1개 집단)
명령 체계NETCOM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역사
창설1944년 10월 24일
해체1946년 3월 13일
재창설1946년 5월 9일
해체1955년 4월 4일
재창설1961년 6월 21일
해체1971년 10월 23일
재창설1974년 6월 1일
현재현재
참전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2. 역사

제2통신여단은 여러 차례 해산과 재창설을 반복했다. 1961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을 지원했다. 이후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 1971년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하였다.[1]

1974년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유럽에 주둔, 제5통신사령부 예속부대가 되었다. 2017년 제5통신사령부 해체 후,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1. 창설 및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나치로부터 해방된 프랑스에서 1944년 10월 24일에 제3348통신근무단으로 창설되었다. 부대는 1946년 3월 13일까지 프랑스에 주둔하고 해산하였다.[1]

1946년 5월 9일에 뉴저지주 포트 몬마우스에서 다시 소집되었고, 1955년 4월 4일 조지아주 캠프 고든에서 해산하였다.[1]

2. 2. 전후 재창설 및 베트남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나치로부터 해방된 프랑스에서 1944년 10월 24일에 제3348통신근무단으로 창설되었다. 부대는 1946년 3월 13일까지 프랑스에 주둔하고 해산하였다.[1]

1946년 5월 9일에 뉴저지주 포트 몬마우스에서 재소집되었고, 1955년 4월 4일 조지아주 캠프 고든에서 해산하였다.[1]

1961년 6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참가하여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지원하였다. 전쟁 막바지에 제2통신단은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하고 워싱턴주의 포트 루이스에서 1971년 10월 23일에 해산하였다. 제1통신여단은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주한 미국 육군의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3. 한국과의 인연

제2통신여단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제1통신여단 예하 부대로서 주월 미군에 통신을 지원하였다. 전쟁 막바지에 제2통신여단은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하였고, 제1통신여단은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주한 미국 육군의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4. 유럽 복귀 및 냉전

1974년 6월 1일에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두번째 유럽 주둔이 시작되었고, 한달 뒤인 7월 1일에 창설된 제5통신사령부의 예속부대가 되었다.[1] 2017년 8월 4일, 제5통신사령부가 부대기 반납식을 거행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자,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1]

2. 5. 냉전 이후 및 현재

1974년 6월 1일에 독일에서 재소집되어 두 번째 유럽 주둔이 시작되었고, 한 달 뒤인 7월 1일에 창설된 제5통신사령부의 예속부대가 되었다.

2017년 8월 4일, 제5통신사령부가 부대기 반납식을 거행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 직속 통신부대가 되었다.

3. 부대 구성 (2023년 기준)

2023년 기준으로 제2통신여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1]

부대주둔지
제2통신여단
비스바덴 (독일)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비스바덴
제39전략통신대대(39th SSB)시에브르 공군기지(벨기에)
제128통신중대네덜란드 스히넨
제518통신중대독일 린더호페
제132통신중대독일 기센
제581통신중대독일 브레머하펜
제44원정통신대대(44th ESB)바움홀더
제52전략통신대대(52nd SSB)슈투트가르트
제102전략통신대대(102nd SSB)비스바덴
제228통신중대독일 프랑크푸르트
제232통신중대독일 보름스
제261통신중대독일 하나우
제6981시민지원단(6981st CSG)게르머스하임



제509전략통신대대는 미국 육군 남유럽 임무 부대, 아프리카에 배속되었다.[2]

4. 임무

제2통신여단 (미국)의 임무는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전투 부대와 임무 파트너를 지원하여 모든 수준과 전쟁 단계에서 의사 결정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통합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극장 통신 및 사이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3]

5. 계보


  • 1944년 10월 24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348th Signal Service Group|제3348통신근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으로 창설됨.
  • 1947년 3월 14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2d Signal Service Group|제2통신근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 1949년 3월 1일, 정규군에 할당됨.
  • 1949년 12월 16일, Headquarters, 2d Signal Service Group|제2통신근무단, 본부영어로 개편됨.
  • 1953년 3월 25일, Headquarters, 2d Signal Group|제2통신단, 본부영어로 개편됨.
  • 1961년 4월 2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2d Signal Group|제2통신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 1979년 10월 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d Signal Brigade|제2통신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로 명칭 변경됨.

6. 참전 기록

제2통신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유럽 전구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6.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스트리머에 글귀 없음


6. 2.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7. 수훈

스트리머내역명령서
육군 공로부대표창
베트남 전쟁, 1965년 5월 1일 ~ 1967년 4월 30일제2통신단, 1968년 4월 28일, 육군부 일반명령 제68-17[6]
베트남 전쟁, 1967년 3월 1일 ~ 1968년 2월 29일제2통신단, 1968년 10월 8일, 육군부 일반명령 제68-54[7]
육군 우수부대표창
2004년 1월 14일 ~ 2005년 1월 19일제2통신여단, 2009년 12월 29일, 육군부 일반명령 제2009-08호[8]
2009년 5월 1일 ~ 2010년 5월 15일제2통신여단, 2013년 9월 5일, 육군부 일반명령 제2013-34호[9]

참조

[1] 웹사이트 2nd Theater Signal Brigade units https://www.2sigbde.[...] 2nd Theater Signal Brigade 2023-05-02
[2] 웹사이트 Army Southern European Task Force, Africa https://www.setaf-af[...] Army Southern European Task Force, Africa 2023-05-02
[3] 웹사이트 2d Theater Signal Brigade - Mission Statement https://www.2sigbde.[...] 2023-11-10
[4]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d SIGNAL BRIGADE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2019-04-18
[5] 웹인용 2d Signal Brigade http://tioh.army.mil[...] The Institute of Heraldry 2020-09-24
[6] 웹인용 General Orders No. 68-17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20-09-24
[7] 웹인용 General Orders No. 68-54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20-09-24
[8] 웹인용 General Orders No. 2009-08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20-09-24
[9] 웹인용 General Orders No. 2013-34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20-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