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사단 (육상자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사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사단으로,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3관구 총감부로 창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23년 지역 배치 사단으로 전환되었다. 사단은 주요 간부와 예하 부대를 두고 있으며, 재해 파견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타미시 - 아마가사키번
아마가사키번은 에도 시대 셋쓰국 아마가사키에 존재했던 번으로, 다케베 가문이 처음 다이묘가 되어 성립되었으나 이후 도다 가문, 아오야마 가문을 거쳐 마쓰다이라 가문이 다스렸으며, 마쓰다이라 다다오키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으로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다. - 이타미시 - 이나노역
이나노역은 1921년 개업한 한큐 이타미선의 지상역으로, 1995년 지진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05년 사고로 대체 수송역으로 지정되었고, 2013년 역 번호가 도입되었으며, 2023년 하루 평균 6,826명이 이용한다.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0사단 (육상자위대)
제10사단은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사령부를 둔 육상자위대 사단으로, 중부 지역의 방위, 재해 지원,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을 수행하며, 1959년 창설 이후 여러 개편을 거쳐 2024년 지역 배치 사단으로 재편되었다.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사단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 동부방면대 소속인 제1사단은 1950년 경찰예비대 제1관구로 창설되어 1962년 재편성되었으며, 도쿄도 네리마구에 사령부를 두고 수도권을 포함한 7개 현의 방위 경비와 재해 파견을 담당한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제3사단 (육상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부대 명칭 | 제3사단 |
원어 명칭 | 第3師団 (다이 산 시단) |
창설일 | 1962년 1월 18일 |
군종 | 육상자위대 |
병과 | 보통과 |
종류 | 보병 사단 |
규모 | 약 6,400명 |
상위 부대 | [[File:JGSDF Middle Army.svg|23px]] 중부방면대 |
주둔지 | 이타미 센조 주둔지 |
담당 지역 | 긴키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고바야시 시게루 중장 |
기타 정보 |
2. 역사
제3사단은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 "제3관구"(第3管区|다이 산 칸쿠일본어) 총감부로 창설되었다.[3] 초기에는 이타미 주둔지를 중심으로 부대를 편성하였으며, 1951년 제7보통과연대와 제63특과연대(1954년 제3특과연대로 개칭) 등이 편성되었다. 1954년 육상자위대 발족과 함께 제3관구대가 개편되었고, 1962년 제3사단으로 정식 편성되었다.[8]
이후 사단은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다. 1970년에는 제45보통과연대를 창설하며 갑종 사단으로 개편되었고, 1994년에는 제45보통과연대와 제3대전차대를 해체하며 을종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006년에는 근접전투(CQB) 및 대량살상무기(NBC)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제3특과연대를 대급 부대로 축소하는 등 즉응 근대화 사단으로 개편되었으며,[9] 2023년에는 제3전차대대와 제3정찰대를 통합하여 제3정찰전투대대를 창설하는 등 지역 배치 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14][15][16][17]
사단은 창설 이후 한신·아와지 대지진(1995년), 나홋카호 원유 유출 사고(1997년), JR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2005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 오사카부 북부 지진(2018년) 등 주요 재난 발생 시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해왔다. 또한 자위대 이라크 파견 부대 편성(2005년) 등 국제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2. 1. 창설 초기 (경찰예비대 제3관구)
'''경찰예비대'''- 1950년 12월 29일: 경찰예비대 제3관구 총감부가 설치되었다.[3] 제3관구(第3管区|다이 산 칸쿠일본어)는 제3사단의 전신이다.
- 1951년
- * 1월 12일: 제3관구 총감부가 미즈시마 주둔지에서 우지 주둔지(구 일본 육군 화약창 터)로 이전하였다.[3]
- * 3월 22일: 제3관구 총감부 및 소속 부대 편성이 완료되었다.
- * 4월 20일: 이타미 주둔지가 개설됨에 따라 제3관구 총감부가 우지 주둔지에서 이타미 주둔지로 이전하였다.[3]
- * 5월 1일: 제3관구대가 편성을 완료하고 경비 담당 구역이 정해졌다. 최초 담당 구역은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히로시마, 가가와, 에히메, 고치였다.[4]
::※ 편성 당시 부대 구성: 제3관구 총감부, 총감부 부속 중대(이타미 주둔지), 제7보통과연대(미즈시마 주둔지, 후쿠야마 주둔지, 마이즈루 주둔지), 제8연대(히로 주둔지, 카이타이치 주둔지, 요나고 주둔지), 제9연대(젠쓰지 주둔지, 마쓰야마 주둔지), 제63특과연대(히메지 주둔지), 제3시설대대, 제3무기 중대, 제3보급 중대(젠쓰지 주둔지), 제3위생대대, 제3통신 중대, 제3정찰 중대(마이즈루 주둔지)[5]
- * 8월 16일: 제3보급 중대가 젠쓰지 주둔지에서 이타미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 * 12월 3일: 제3관구 총감부 개청식이 열렸다.[3] 제3위생대대, 제3통신 중대, 제3정찰 중대가 마이즈루 주둔지에서 이타미 주둔지로 이전하였다.[5]
- 1952년 1월 23일: 센조 주둔지가 개설됨에 따라 제3시설대대, 제3무기 중대가 젠쓰지 주둔지에서 이전하였다.
'''보안대'''
- 1954년
- * 1월 10일: 제3관구 항공대가 하마마쓰 주둔지에 편성되었다.[3]
- * 2월 1일: 제1관구대의 경비 담당 구역 중 아이치현, 기후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의 경비 임무가 제3관구대로 이관되었다.[3]
'''육상자위대'''
- 1954년
- * 7월 1일: 육상자위대가 발족하였다. 이에 따라 제7, 제8, 제9연대는 각각 제7보통과연대, 제8보통과연대, 제9보통과연대로, 제63연대는 제3특과연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육상자위대 발족 당시 경비 담당 구역: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6]
- * 9월 10일: 부대 신편 및 개편이 이루어졌다.
::# 제15보통과연대가 젠쓰지 주둔지에 새로 창설되었다.
::# 제3관구 항공대가 제3항공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관구대 증설에 따라 경비 담당 구역이 조정되어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히로시마, 도쿠시마, 가가와, 에히메, 고치로 변경되었다.[7]
- * 9월 30일: 제9보통과연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전하여 제2관구대 예하로 편성이 변경되었다.
- * 10월 5일: 제3특차대대가 이마즈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하였다.
- 1957년
- * 2월 1일: 제3관구 총감 직할 부대로서 제10특과연대가 히메지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하였다.
- * 3월 5일: 제10특과연대가 오쿠보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 1958년 6월 26일: 제10혼성단이 신편됨에 따라 제10특과연대가 제10혼성단 예하로 편성 변경되었다.
- 1959년 12월 20일: 제3관구 총감부가 이타미 주둔지에서 센조 주둔지로 이전하였다.[3]
- 1960년 1월 14일: 방면대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중부방면대가 창설되었고, 제3관구대는 중부방면총감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 1960년경 주요 편성
: 제7보통과연대, 제8보통과연대, 제15보통과연대, 제3특과연대, 제3특차대대
2. 2. 보안대 시기
1950년 12월, 경찰예비대의 "제3관구"(第3管区|다이 니 칸구일본어) 총감부로 처음 창설되었다. 1951년 1월에는 교토부 우지시로, 같은 해 4월에는 효고현 이타미시로 부대 위치를 옮겼다. 이 과정에서 새로 창설된 제7보통과연대와 제63특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 1954년 육상자위대가 발족하면서 제63특과연대는 제3특과연대로 부대 번호가 변경되었다.2. 3. 육상자위대 발족 이후
1954년 (쇼와 29년)- 7월 1일: 육상자위대 발족. 제7·제8·제9연대가 각각 제7보통과연대, 제8보통과연대, 제9보통과연대로, 제63연대가 제3특과연대로 명칭 변경.
::※육상자위대 발족 당시의 경비 담당 구역은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이었다.[6]
- 9월 10일: 부대 신설 및 개편.
- * 제15보통과연대가 젠쓰지 주둔지에 신편.
- * 제3관구 항공대가 제3항공대로 명칭 변경.
- * 관구대 증설에 따라 경비 담당 구역은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히로시마, 도쿠시마, 가가와, 에히메, 고치가 됨[7]。
- 9월 30일: 제9보통과연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전하여 제2관구대 예하로 편성 변경.
- 10월 5일: 제3특차대대가 이마즈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
1957년 (쇼와 32년)
- 2월 1일: 제3관구 총감 직할 부대로서 제10특과연대가 히메지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
- 3월 5일: 제10특과연대가 오쿠보 주둔지로 이전.
1958년 (쇼와 33년)
- 6월 26일: 제10혼성단 신편에 따라 제10특과연대가 동 단 예하로 편성 변경.
1959년 (쇼와 34년)
1960년 (쇼와 35년)
- 1월 14일: 방면대 창설에 따라 중부방면대가 창설되고, 중부방면총감 예하로 편입됨.
- 1960년경 주요 편성: 제7·제8·제15보통과연대, 제3특과연대, 제3특차대대
1970년 (쇼와 45년)
- 3월: 관구에서 갑종 사단으로 편제를 바꾸고 창설된 제45보통과연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
1975년 (쇼와 50년)
- 8월: 사단 음악대인 제3음악대를 창설.
1994년 (헤이세이 6년)
- 3월: 을종 사단으로 개편됨에 따라, 제45보통과연대와 제3대전차대가 해체됨. 센조 주둔지의 제3시설대대는 오쿠보 주둔지로, 오쓰 주둔지의 제3후방지원연대는 센조 주둔지로 이전.
2005년 (헤이세이 17년)
- 6월 16일: 사단 예하 제7보통과연대에 고마쓰 LAV 20대가 배치됨.
2006년 (헤이세이 18년)
- 3월: 제3특과연대를 대급 부대로 축소하고, 근접전투(CQB)와 대량살상무기(NBC)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각 보통과연대에 저격반을 편성함. 화학방호대를 특수무기방호대로 개편하면서 즉응 근대화 사단으로 개편됨.
2. 4. 제3사단으로 개편
1962년 1월 18일, 제3관구총감부가 제3사단사령부로 개편되면서 제3사단 편성이 완료되었다. 경비 담당 구역은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아와지섬 제외), 나라현, 와카야마현으로 결정되었다.[8]- 제3관구 총감부는 제3사단 사령부로, 제3특차대대는 제3전차대대로, 제3정찰중대는 제3정찰대로, 제3통신중대는 제3통신대대로, 제3위생대대는 제3위생대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 제7보통과연대를 모체로 제36보통과연대가 이타미 주둔지에, 제37보통과연대가 시노다야마 주둔지에 창설되었다.
- 제3대전차대가 오쓰 주둔지에 창설되었다.
- 제3수송대가 센조 주둔지에 창설되었다.
- 제3항공대가 중부 방면 항공대 예하로 변경되었다.
- 당시 편성은 사단 사령부, 사단 사령부 부대, 제7·제36·제37보통과연대, 제3특과연대, 제3전차대대, 제3통신대대, 제3정찰대, 제3대전차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1965년경 주요 편성
:제7·제36·제37보통과연대, 제3특과연대, 제3전차대대
1970년 3월 10일, 사단이 정원 9,000명 규모의 갑종 사단으로 개편되면서 예하 부대도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 제45보통과연대가 오쿠보 주둔지에 창설되었다.
- 제3특과연대에 제4대대와 제5대대 제12중대가 히메지 주둔지와 이마즈 주둔지에 각각 창설되었다.
- 제3전차대대에 제4전차중대가 창설되었다.
- 제3무기대가 이타미 주둔지에서 센조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1975년 8월 1일, 제3음악대가 창설되었다.
;1990년경 주요 편성
:제7·제36·제37·제45보통과연대, 제3특과연대, 제3전차대대
1991년 (헤이세이 3년) 3월 29일, 전차 북부 방면 집중 배치 사업의 영향으로 제3전차대대 제4전차중대가 폐지되었다.
1992년 (헤이세이 4년) 3월 27일, 사단 근대화 개편이 이루어졌다.
- 제7·제36·제37·제45보통과연대가 자동차화연대로 개편되었다.
- 제3무기대, 제3보급대, 제3수송대, 제3위생대를 통합하여 제3후방지원연대가 창설되었다.
- 제3특과연대 제6대대가 제3고사특과대대로 분리 독립하여 사단 직할 부대가 되었다.
- 제3정찰대에 전자정찰소대가 창설되었다.
- 제3사단 사령부 부대에 화학 방호 소대가 창설되었다.
1994년 (헤이세이 6년) 3월 27일, 일부 부대가 폐지되었다.
- 제45보통과연대 (오쿠보 주둔지)가 폐지되었다.
- 제3특과연대 제4대대 (히메지 주둔지)와 제5대대 제12중대 (이마즈 주둔지)가 폐지되었다.
- 제3대전차대 (오쓰 주둔지)가 폐지되었다.
1994년 (헤이세이 6년) 3월 28일, 사단이 을종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 제7·제36·제37보통과연대 예하에 대전차중대가 창설되었다.
- 중부 방면 항공대 소속이었던 제3비행대가 제3사단 예하로 편입되었다.
- 제3시설대대가 센조 주둔지에서 오쿠보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 제3후방지원연대 위생대가 오쓰 주둔지에서 센조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3월 23일).
1995년 (헤이세이 7년) 1월,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으로 101일간 재해 파견 활동을 수행하였다.
1996년 (헤이세이 8년) 3월 29일, 조직 및 부대 개편이 있었다.
- 제3사단 사령부 제4부장이 제3후방지원연대장과의 겸임을 해제하고 독립적인 직책이 되었다.
- 제3후방지원연대 무기대가 무기대대로 개편되었다.
1997년 (헤이세이 9년) 1월, 나홋카호 원유 유출 사고에 따른 재해 파견 활동을 수행하였다.
1998년 (헤이세이 10년)
- 4월 5일, 아카시 해협 대교 개통에 따라 아와지섬의 경비 담당이 제2혼성단에서 제3사단으로 이관되었다.
- 7월, 북방 기동 특별 연습을 실시하였다.
2000년 (헤이세이 12년) 7월, 북방 기동 특별 연습을 실시하였다.
2002년 (헤이세이 14년) 1월, 제13차 UNDOF 파견 수송대를 파견했다.
2005년 (헤이세이 17년)
- 4월 25일, JR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 발생으로 재해 파견 활동을 수행하였다.
- 4월 26일, 제3사단을 기간으로 하는 제6차 이라크 부흥 지원군이 편성되었으며, 군장에는 제36보통과연대장인 스즈키 준지 1등육좌가 임명되었다.
- 6월 16일, 제7보통과연대에 경장갑기동차 (LAV) 약 20대가 배치되어 수령 보고식이 거행되었다.
2006년 (헤이세이 18년) 3월 27일, 즉응 근대화 사단으로 개편되었다.[9]

- 각 보통과연대의 대전차중대 및 본부 관리중대 관리 정비 소대가 폐지되고, 대전차중대를 기간으로 제5보통과중대가 창설되었다. 저격반이 창설되었다.
- 제3특과연대 (히메지 주둔지)는 정원 약 1,300명에서 약 500명 규모의 제3특과대로 축소되었다. 주요 장비인 FH70 155mm 곡사포는 45문에서 20문으로 감축되었다.
- 제3전차대대 제3전차중대가 폐지되었다.
- 후방 지원 체제 개편에 따라 무기대대가 폐지되고, 제1정비대대와 제2정비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3사단 사령부 부대 화학 방호 소대(정원 약 20명)가 사단 직할 부대인 제3화학 방호대(정원 약 50명)로 개편되었으며, 화학 방호차나 제염차 등의 장비가 증강되었다.
2007년 (헤이세이 19년) 3월 28일, 제3화학 방호대가 제3특수 무기 방호대로 개편되었다.[10]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5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발생에 따라 약 500명, 차량 200대로 구성된 제3사단 생활 지원대를 편성하여 재해 파견 활동을 수행하였다.[11] 대장에는 제3후방지원연대장인 구로마루 이쓰로 1등육좌가 임명되었다.[11]
2014년 (헤이세이 26년) 4월, 제3특수 무기 방호대가 NBC 정찰차 도입에 따라 개편되었다.[10]
2018년 (헤이세이 30년)
- 6월 18일, 오사카부 북부 지진 발생에 따라 오사카부 지사의 요청으로 이타미 주둔지의 제36보통과연대와 센조 주둔지의 제3후방지원연대에서 급수차를 파견하여 급수 지원 활동을 실시하였다.[12][13]
- 6월 26일, 오사카부 지사의 철수 요청에 따라 모든 활동을 종료하였다.[12]
;2020년경 주요 편성
:제7·제36·제37보통과연대, 제3특과대, 제3고사특과대대, 제3전차대대
2023년 (레이와 5년) 3월 16일, 지역 배치 사단으로 개편되었다.[14] 제3전차대대와 제3정찰대가 폐지·통합되어 제3정찰전투대대가 창설되었다.[15][16][17]
2024년 (레이와 6년) 3월 21일, 제3특과대가 폐지되고, 중부 방면 특과연대 본부·본부중대·정보중대·제1대대로 개편되었다.
3. 편제
3개의 보통과연대를 기간으로 하는 지역 배비 사단으로 분류된다. 제3경비지구(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인 킨키 2부 4현의 방위 경비, 재해 파견을 임무로 하는 것 외에 민생 협력 및 국제 공헌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사단 사령부 및 지휘하의 13개 부대는 교토부(후쿠치야마 주둔지, 오쿠보 주둔지), 오사카부(시노다야마 주둔지, 야오 주둔지), 효고현(이타미 주둔지, 센조 주둔지, 히메지 주둔지), 시가현(이마즈 주둔지)의 8개 주둔지에 배치되어 있다. 나라현과 와카야마현에는 육상자위대 부대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사단 방침은 '''『무인의 긍지』'''[2]이다.
3. 1. 주요 부대 상세
제3사단의 주요 부대 및 주둔지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 | 주둔지 (소재 도시) | 주요 편성 및 장비 |
---|---|---|
사단 사령부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
제7보통과연대 | 후쿠치야마 주둔지 (후쿠치야마시) | 1 × 본부 중대, 5 × 보병 중대, 1 × 120mm 박격포 중대 |
제36보통과연대 | 이타미 주둔지 (이타미시) | 1 × 본부 중대, 5 × 보병 중대, 1 × 120mm 박격포 중대 |
제37보통과연대 | 시노다야마 주둔지 (이즈미시) | 1 × 본부 중대, 5 × 보병 중대, 1 × 120mm 박격포 중대 |
제3전차대대 | 이마즈 주둔지 (다카시마시) | 2 × 74식 전차 중대 |
제3정찰대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
제3특과대 | 히메지 주둔지 (히메지시) | |
제3고사특과대대 | 히메지 주둔지 (히메지시) | 81식 지대공 미사일 및 93식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운용 |
제3비행대 | 야오 주둔지 (야오시) | UH-1J 및 OH-6D 헬기 운용 |
제3설비대대 (공병) | 오쿠보 주둔지 (우지시) | |
제3후방지원연대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제1정비대대, 제2정비대대, 보급대, 의무대, 수송대 |
제3통신대대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
제3특수무기방호대 (NBC 방호)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
제3음악대 | 센조 주둔지 (이타미시) |
4. 주요 간부
겸 센조 주둔지 사령관
예비자위관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