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 산악 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산악 보병 사단으로,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했다. 이후 노르웨이 침공, 소련 북극 지역 점령을 위한 은빛 여우 작전에 참여했으며, 동부 전선에서 레닌그라드, 벨리키에 루키, 스탈린그라드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다. 1945년 실레지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했으며, 주요 참전 전투로는 폴란드 침공, 베저위붕 작전, 나르비크 전투, 은빛 여우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 벨리키에 루키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산악사단 - 제4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제4산악사단은 1940년 10월 창설되어 발칸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 에델바이스 작전에 참전, 코카서스 점령 실패 후 여러 지역에서 후퇴하다 1945년 5월 소련군에 항복한 독일 국방군 소속의 산악 사단이다.
  • 독일의 산악사단 - 제1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제1산악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창설되어 주요 전선에 투입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에서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미군에 항복한 산악 사단이다.
  • 1938년 설립 - 허시 베어스
    허시 베어스는 초콜릿 제조업체 밀턴 허시가 설립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아이스하키팀 중 하나로, 1932년 창단되어 13회의 캘더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워싱턴 캐피털스의 AHL 제휴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38년 설립 - 공주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는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초등교사 양성을 목표로 12개의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교육대학원 및 국제 교류를 실시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3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대 배지 1940
부대 배지 1940년
이름제3산악사단
원어 이름3. Gebirgs-Division
활동 기간1938년 4월 1일 – 1945년 5월 8일
국가나치 독일
군대독일 국방군
병과산악엽병
역할산악전
규모사단
주둔지그라츠
별명해당사항 없음
전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지휘관
주요 지휘관Eduard Dietl
배속 부대
배속 부대제138 산악보병연대
제139 산악보병연대
제112 포병연대
제68 자전거 분견대
제48 대전차 분견대
제83 산악 공병 분견대
제68 산악 통신 분견대
1940년 명령 체계제14군의 XVIII 군단

2. 부대 역사

제3 산악 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국방군 소속 산악 보병 사단으로, 여러 주요 전선에서 활동했다. 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한 것을 시작으로, 1940년 노르웨이 침공에 참여하여 전략적 요충지인 나르비크 점령 작전을 수행했다.

1941년에는 핀란드 방면으로 이동하여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부인 은여우 작전에 가담하여 북극권 무르만스크 점령을 시도했으나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다. 이후 재편성을 거쳐 1942년부터는 주로 동부 전선에 투입되어 레닌그라드 인근 전투, 벨리키예 루키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구원 시도 등 격렬한 전투에 참여했다.

전쟁 후반기에는 소련군의 공세에 밀려 우크라이나,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지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후퇴했으며, 1945년 전쟁 말기 슐레지엔 지역에서 소련군에게 항복하며 부대 역사를 마감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제3 산악 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에 남부 집단군의 일원으로 참전했으나, 작전 종료 전에 서부 방벽으로 이동하여 주둔했다.[1][2] 1940년에는 노르웨이 침공에 참여했으며, 특히 에두아르트 디틀 장군의 지휘 아래 제139 산악 연대를 파견하여 나르비크의 부동항을 점령했다.[1][2] 연합국은 잠시 나르비크 전투에서 이 도시를 탈환했지만, 황색 작전 이후 독일군에게 다시 내주었다.[1]

1941년, 사단은 핀란드의 라플란드로 이동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소련 북극 지역을 공격하는 은여우 작전에 참여했다. 그러나 무르만스크 점령에는 실패했다.[1][2] 그해 말,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독일로 철수했지만, 제139 산악 보병 연대는 핀란드에 남아 독립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1][2]

재편성 후 1942년, 제3 산악 사단은 다시 노르웨이로 돌아가 예비대로 배치되었다.[1][2] 이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북부 집단군의 예비대로서 레닌그라드 근처에서 소련군과 싸웠다.[1][2] 1942년 11월에는 벨리키예 루키 전투에서 소련군에게 포위된 전선에 투입되었고, 이후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구원하려는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했다.[1][2] 사단은 전쟁의 남은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 헝가리, 슬로바키아를 거치며 후퇴했고, 전쟁 말기 슐레지엔에서 소련군에게 항복했다.[1][2]

1945년 1월 1일 기준으로, 제3 산악 사단(당시 A 집단군 소속 하인리치 집단군 예하)의 병력은 9,805명이었다.[3]

2. 2. 북극권과 동부 전선

1941년 제3 산악 사단은 핀란드의 라플란드로 이동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소련 북극 지역을 공격하는 은여우 작전에 참여했다. 그러나 무르만스크를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해 말,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독일로 철수했지만, 제139 산악 보병 연대는 핀란드에 남아 독립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재편성 후 사단은 1942년 노르웨이로 돌아가 예비대로 배치되었다. 이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북부 집단군 소속 예비대로서 레닌그라드 근처에서 활동했다. 1942년 11월에는 벨리키예 루키 전투에서 소련군에게 포위된 전선에 투입되었고,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독일군 구원 작전을 지원했다.

제3 산악 사단은 전쟁의 남은 기간 동안 동부 전선 남부에서 전투를 계속했으며, 전선이 점차 후퇴함에 따라 우크라이나, 헝가리, 슬로바키아를 거쳐 후퇴했다. 결국 전쟁 말기인 1945년 슐레지엔에서 붉은 군대에게 항복했다.

1945년 1월 1일 기준으로 제3 산악 사단은 A 집단군 예하 하인리치 집단군 소속이었으며 병력은 9,805명이었다.

2. 3. 후퇴와 항복

1942년, 제3산악사단은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북부 집단군 예비대로 레닌그라드 근처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소련군이 벨리키예 루키 전투에서 포위한 독일군을 구원하기 위해 투입되었다. 이후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구원 작전을 돕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제3산악사단은 계속해서 남부 전선에서 싸웠다. 전선이 점차 밀리면서 사단은 우크라이나, 헝가리, 슬로바키아를 거쳐 후퇴를 거듭했다.

1945년 1월 1일 기준으로, 제3산악사단(당시 A 집단군의 하인리치 집단군 소속)의 병력은 9,805명이었다.

결국 전쟁 말기, 슐레지엔 지역에서 소련군에게 항복했다.

3. 주요 참전 전투

제3산악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에 남부 집단군 소속으로 참전했으나, 작전이 끝나기 전에 서부 방벽으로 이동하여 주둔했다.

1940년에는 노르웨이 침공에 참여했다. 특히 에두아르트 디틀 장군 지휘 아래 제139산악연대가 나르비크의 부동항을 점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합국 군대가 나르비크 전투에서 잠시 도시를 탈환하기도 했으나, 황색 작전의 영향으로 다시 독일군에게 내주었다.

1941년, 사단은 핀란드 라플란드 지역으로 이동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인 은빛 여우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 작전은 소련 북극 지역을 공격하여 무르만스크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같은 해 말,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독일로 철수했지만, 제139산악보병연대는 핀란드에 남아 독립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재편성 후 1942년에 사단은 다시 노르웨이로 이동하여 예비대로 배치되었다. 이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북부 집단군 예비대로서 레닌그라드 인근에서 활동했다. 1942년 11월에는 벨리키예 루키 전투에서 소련군에게 포위된 아군을 구원하기 위해 투입되었고,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구원 시도를 지원했다.

전쟁 후반기에는 전선 상황에 따라 우크라이나, 헝가리, 슬로바키아를 거쳐 후퇴하며 전투를 지속했고, 전쟁이 끝날 무렵 슐레지엔에서 소련군에게 항복했다.

연도주요 전투 및 작전
1939년폴란드 침공
1940년베저위붕 작전 (노르웨이 침공)
1940년나르비크 전투
1941년바르바로사 작전
1941년은빛 여우 작전
1942년벨리키예 루키 전투
1942년-1943년스탈린그라드 전투 구원 시도


4. 부대 편제

제3 산악 사단은 기본적으로 2개의 산악엽병 연대(제138, 제144)와 1개의 산악 포병 연대(제112)를 핵심 전투 부대로 편성했다.[3] 이 외에 정찰 부대, 대전차 부대, 산악 공병 대대, 사단 지원 부대 등이 배속되었다.[3] 전쟁 기간 동안 핵심 연대의 구성은 유지되었으나, 정찰 부대와 대전차 부대 등 일부 지원 부대의 명칭과 편제는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3] 자세한 시기별 편제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1939년

제3 산악 사단 조직:[3]

1939년 편성
부대 종류부대명
산악엽병 연대제138 산악엽병 연대
산악엽병 연대제144 산악엽병 연대
산악 포병 연대제112 산악 포병 연대
정찰 부대제112 정찰 부대
대전차 부대제48 대전차 부대
산악 공병 대대제83 산악 공병 대대
사단 지원 부대제68 사단 지원 부대


4. 2. 1942년

제3 산악 사단 1942년 조직[3]
부대명
제138 산악엽병 연대
제144 산악엽병 연대
제112 산악 포병 연대
제95 자전거 부대
제95 대전차 부대
제83 산악 공병 대대
제68 사단 지원 부대


4. 3. 1944년 말

제3 산악 사단 (1944년 말)[3]
부대 종류부대 명칭
산악엽병제138 산악엽병 연대
산악엽병제144 산악엽병 연대
산악포병제112 산악 포병 연대
정찰대제83 정찰 부대
대전차부대제95 대전차 부대
산악공병제83 산악 공병 대대
사단 지원 부대제68 사단 지원 부대


5. 역대 지휘관

계급성명재임 기간
대장에두아르트 디틀1938년 – 1940년 6월 14일
산악병대장율리우스 링겔1940년 6월 14일 – 1940년 10월 23일
산악병대장한스 크라이징1940년 10월 23일 – 1943년 8월 10일
중장에크베르트 피커1943년 8월 10일 – 1943년 8월 26일
보병대장지크프리트 라스프1943년 8월 26일 – 1943년 9월 10일
중장에크베르트 피커1943년 9월 10일 – 1943년 9월 29일
중장아우구스트 비트만1943년 9월 29일 – 1944년 7월 3일
중장파울 클라트1944년 7월 3일 – 1945년 5월 8일


6. 기사십자장 수훈자

wikitext

연도날짜이름
1940년6월 20일한스 로흐르, 한스 쉴레브뤼게, 빅토르 쇤베크, 루드비히 쉬타우트너, 알로이스 빈디쉬
9월 4일볼프 하게만, 아르투어 하우셀
9월 5일에두아르트 디틀
1941년1월 11일안톤 홀칭거
1942년7월 31일발터 기흐를
1943년1월 4일파울 클라트
1월 25일한스 마이
2월 8일볼프하르트 비케
2월 12일프리드리히 프리드만
3월 3일프란츠 리스트
4월 2일쿠르트 트리펜제
10월 25일발터 브라이트
10월 30일율리우스 그룬트
11월 4일카를 팝스트
12월 7일알베르트 라데징스키
12월 11일요한 베네딕트
12월 30일호르스트 하인리히
1944년4월 15일헤르베르트 호두렉
6월 4일안톤 로르히
6월 9일한스 비텐젤너
7월 15일테오도어 메링
9월 10일율리우스 스파리
11월 26일막스 클로스
12월 12일카를 젤링거
1945년4월 17일마테우스 헤체나우어


참조

[1] 서적 German Mountain & Ski Troops 1939–45 https://play.google.[...] Bloomsbury 2012-05-20
[2] 서적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3] 웹사이트 3. Gebirgsdivision - Lexikon der Wehrmacht https://www.lexikon-[...] 2023-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