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캐나다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캐나다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캐나다 육군 사단으로, 현재는 캐나다 육군의 4개 사령부 중 하나로 재편성되어 서부 캐나다를 관할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서부 전선에서 활약했으며, 주요 전투로 마운트 소렐 전투, 비미 능선 전투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참여하여 주노 해변에 상륙했으며, 캉 전투, 팔레즈 포위전 등에서 활약했다. 1991년 육상 병력 서부 지역으로 창설되었고, 2013년 제3캐나다사단으로 재설립되어 현재 제1캐나다 기계화 여단, 제38·39·41 캐나다 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사단 부대 표식은 프랑스 회색 패치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사단 - 제2캐나다사단
제2캐나다사단은 캐나다 육군의 사단으로,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디에프 상륙 작전, 캉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퀘벡주를 관할하며 국내 작전에도 참여한다. - 캐나다의 사단 - 제4캐나다사단
제4캐나다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1991년 재창설된 후 온타리오주 지역 방위, 예비군 훈련, 재난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캐나다의 사단 - 제2캐나다사단
제2캐나다사단은 캐나다 육군의 사단으로,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디에프 상륙 작전, 캉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퀘벡주를 관할하며 국내 작전에도 참여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캐나다의 사단 - 제4캐나다사단
제4캐나다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1991년 재창설된 후 온타리오주 지역 방위, 예비군 훈련, 재난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캐나다의 사단 - 제2캐나다사단
제2캐나다사단은 캐나다 육군의 사단으로,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디에프 상륙 작전, 캉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퀘벡주를 관할하며 국내 작전에도 참여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캐나다의 사단 - 제4캐나다사단
제4캐나다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1991년 재창설된 후 온타리오주 지역 방위, 예비군 훈련, 재난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제3캐나다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명 | 물에 사는 쥐들 |
창설 | 1915년-1919년 1940년 5월 17일 - 1945년 11월 23일 1945년 6월 1일 - 1946년 6월 20일 2014년 6월 6일 - 현재 |
국가 | 캐나다 |
병과 | 캐나다 원정군 캐나다 육군 |
종류 | 기계화 보병 |
역할 | 해당사항 없음 |
규모 | 해당사항 없음 |
지휘 구조 | 해당사항 없음 |
사령관 | 준장 스티브 그레이엄 |
부사관 | 주임원사 웨인 밴톡 |
주둔지 | 해당사항 없음 |
의전상 수장 | 해당사항 없음 |
연대장 | 해당사항 없음 |
수호성인 | 해당사항 없음 |
모토 | 해당사항 없음 |
색상 | 해당사항 없음 |
행진곡 | 해당사항 없음 |
마스코트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공식 URL |
기념일 | 해당사항 없음 |
참전 전투 | |
참전 전투 |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D-Day, 주노 해변 노르망디 전투 스헬더 전투 |
주요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맬컴 S. 머서 루이스 립세트 프레더릭 O.W. 루미스 어니스트 W. 샘섬 C.B. 프라이스 로드니 F.L. 켈러 대니얼 C. 스프라이 랄프 H. 키플러 |
2. 역사
1915년 프랑스에서 말콤 머서의 지휘 아래 제3캐나다사단이 편성되었다. 이들은 서부 전선에서 1918년 11월 11일 종전일까지 복무했으며, 이프르에 주둔하였다. 머서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최고위 캐나다 장교가 되었고, 제8보병여단을 지휘했던 여단장 V. A. 윌리엄스도 몽트소렐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머서의 뒤를 이어 루이스 리프세트가 사단장이 되었지만, 1918년 9월 전투에서 전사하였다.[20]
1940년 5월 17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캐나다보병사단의 편성이 승인되었다. 첫 사단장은 10월 26일에 임명되었고, 오타와의 카메론 하일랜더는 아이슬란드 Z 부대에 배치되었다. 1940년 12월부터 1941년 9월까지 제8, 제9, 제7 캐나다 보병여단이 순차적으로 영국에 도착했다. 사단은 영국 제2군 소속으로 노르망디 상륙을 위한 훈련을 받았고, 주노 해변 상륙 작전에 투입되어 큰 성과를 거두었다.
스헬더 강 전투에서 버나드 로 몽고메리 원수는 제3캐나다보병사단에게 "물에 사는 쥐들(Water Rats)"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이는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브레스켄즈 포위전 등 어려운 환경에서 전투를 수행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다.[21] 이후 제3캐나다사단은 캉 전투, 팔레즈 포위전, 영국 해협 항구 정리, 브레스켄즈 포위전 등에 참전하였다.
1991년 9월 1일, 육상 병력 서부 지역(LFWA)이 설립되어 프레이리 군관구와 태평양 군관구를 지휘했으며, 매니토바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까지 서부 캐나다 전체를 관할했다.[28] 1999년 4개 군관구 병력이 3개의 캐나다 여단집단으로 개편되었고, 2013년 LFWA는 제3캐나다사단의 재설립을 승인했다. 201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을 맞아 제3캐나다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옛 제3캐나다보병사단의 패치와 역사적 연계성을 물려받았다.[19]
제3캐나다사단의 역대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지휘관 | 기간 |
---|---|
어니스트 윌리엄 샌섬 소장 | 1940년 ~ 1941년 |
찰스 바실 프라이스 소장 | 1941년 ~ 1942년 |
로드 켈러 소장 | 1942년 ~ 1944년 |
다니엘 스프리 소장 | 1944년 ~ 1945년 |
랄프 홀리 키플러 소장 | 1945년 |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5년 프랑스에서 말콤 머서 소장의 지휘 아래 제3캐나다사단이 편성되었다.[20][2] 이들은 서부 전선에서 1918년 11월 11일 종전일까지 복무했다. 이프르에 주둔하는 동안 말콤 머서 소장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최고위 캐나다 장교가 되었고, 제8보병여단을 지휘했던 V. A. 윌리엄스 준장은 마운트 소렐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최고위 캐나다 장교가 되었다.[20][2]루이스 립셋이 머서의 뒤를 이어 사단장이 되었지만, 1918년 9월 전투에서 전사했다.[2] 프레데릭 루미스 소장이 사단장으로 제1차 세계 대전을 마무리했다.[2]
2. 1. 1. 서부 전선 주요 전투
제3캐나다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서부 전선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20][2]'''1916년'''
- 마운트 소렐 전투 – 6월 2일~13일
- 플레르-쿠르셀레트 전투 – 9월 15일~22일
- 모르발 전투 – 9월 25일
- 티프발 전투 – 9월 26일~28일
- 르 트랑스루아 전투 – 10월 1일~18일
- 앙크르 고지 전투 – 10월 1일~11일
'''1917년'''
- 비미 능선 전투 – 4월 9일~14일
- 라 쿨로트 공격 – 4월 23일
- 스카르프 강 제3차 전투 – 5월 3일~4일
- 수셰 강 남쪽 교전 – 6월 3일~25일
- 아비옹 점령 – 6월 26일~29일
- 힐 70 전투 – 8월 15일~25일
- 파스샹달 제2차 전투 – 10월 26일~11월 10일
'''1918년'''
- 아미앵 전투 – 8월 8일~11일
- 다메리 주변 작전 – 8월 15일~17일
- 스카르프 강 전투 – 8월 26일~30일 (몽시-르-프뢰 점령 포함)
- 노르 운하 전투 – 9월 27일~10월 1일 (부르롱 숲 점령 포함)
- 캉브레 전투 – 10월 8일~9일 (캉브레 점령 포함)
- 발랑시엔 전투 – 11월 1일~2일
- 몽스까지 추격전 - 11월 11일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5월 17일, 제3캐나다보병사단 편성이 승인되었다. 초대 사단장은 10월 26일에 임명되었다. 편성 과정에서 오타와의 카메론 하일랜더는 아이슬란드의 Z 부대로 분리되었다가 영국으로 이동했다. 1941년 7월과 9월, 제8, 제9, 제7 캐나다 보병여단이 차례로 영국에 도착했다.
이후 3년간 영국 제2군 소속으로 훈련을 받다가,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일환으로 주노 해변에 상륙하여 제1캐나다군에 합류했다.
스헬더 강 전투에서 버나드 로 몽고메리 원수는 제3캐나다보병사단에게 "물에 사는 쥐들(Water Rats)"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이는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브레스켄즈 포위전 등 열악한 환경에서 싸운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다.[21]
제3캐나다사단은 캉 전투, 팔레즈 포위전, 영국 해협 항구 정리, 브레스켄즈 포위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2. 2. 1. 주노 해변 상륙





주노 해변은 약 8.05km 너비였으며 쿠르셀쉬르메르 양쪽으로 뻗어 있었다. 이곳은 영국 육군 병력이 담당하는 소드 해변과 골드 해변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제2 캐나다 기갑 여단의 지휘를 받는 제3캐나다보병사단은 제7캐나다보병여단과 제8캐나다보병여단의 두 여단 그룹으로 상륙했다. 각 여단에는 세 개의 보병 대대와 지원을 위한 기갑 연대, 두 개의 포병 야전 연대, 전투 공병 중대 및 영국 제79기갑사단의 특수 부대가 있었다. 제10기갑연대 (포트 개리 기병대) 전차는 왼쪽에서 상륙하는 제7여단을 지원했고, 제6기갑연대 (제1후사르) 전차는 오른쪽 상륙을 지원했다. 사단에는 포병 구성 요소를 두 배로 늘리는 추가 포병 및 대전차 부대가 배정되었다.
제9캐나다보병여단은 예비대로 유지되어 그날 늦게 상륙하여 선두 여단을 통과하여 진격했다. 제27기갑연대 (셔브룩 퓨질리어 연대)는 전차 지원을 제공했다.
초기 공격은 다음 부대에 의해 수행되었다.
- 노스 쇼어 연대는 생토뱅 (난 레드 해변)에서 좌측 담당
- 퀸스 오운 라이플스는 베르니에르 (난 화이트 해변)에서 중앙 담당
- 레지나 라이플스는 쿠르셀 (난 그린 해변)에서 담당
- 로열 위니펙 라이플스는 쿠르셀 서쪽 가장자리 (마이크 레드 및 마이크 그린 해변)에서 담당
캐나다 공군, 육군 및 해군은 D-Day에 약 95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대부분은 제3캐나다사단의 군인이었다.[22] 그날 주노 해변에 상륙한 21,400명의 병력 중[26] 정오까지 사단 전체가 상륙했으며 선두 부대는 세유르강의 다리를 점령하기 위해 몇 킬로미터 내륙으로 진격했다. 오후 6시까지 생토뱅쉬르메르 마을을 점령했다. 제1후사르 기갑 부대가 캐나다 퀸스 오운 라이플스의 병력과 함께 목표 지점에 도달하여 밤이 되기 전에 두 부대 모두 15km 내륙으로 이동하여 캉-바뵈 고속도로를 건넜다.[23] 그러나 이 부대는 지원 보병을 지나쳐야 했기 때문에 후퇴해야 했다. D-Day가 끝날 무렵, 사단은 다른 어떤 연합군보다 프랑스 내륙으로 더 깊숙이 진입했지만, 두 독일 기갑 사단의 병력이 반격을 가해 4주 동안 더 이상의 주요 진격을 막았다.
제3캐나다사단을 포함한 어떤 공격 사단도 D-Day 목표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캐나다군은 다른 어떤 연합군보다 목표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24] 실제로, 제8여단의 퀸스 오운 라이플스는 D-Day 목표를 점령한 유일한 연합군 대대였다.[25] 다음 날 말까지 캐나다군은 소드 해변에 상륙한 영국군과 연결되었다.[26]

2. 2. 2. 노르망디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5월 17일 창설된 제3캐나다보병사단은 노르망디 상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6월 6일, 주노 해변에 상륙한 제3캐나다사단은 해안 교두보를 확보하고 내륙으로 진격했다.
D-데이 다음날, 사단 부대는 연합군 중 D-데이 목표를 처음으로 확보했다.
상륙 당일, 캐나다군은 약 950명의 사상자를 냈지만,[22] 정오에는 전 사단이 해안에 도착하여 내륙으로 수 킬로미터를 진격했다. 제1후사르기갑부대와 캐나다 여왕의 소총대는 캉-바이외 고속도로를 넘어 15km나 진격했지만, 보병 지원 부족으로 철수해야 했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3캐나다사단은 다른 연합군 부대보다 더 깊숙이 내륙으로 진격하는 데 성공했다.[24]
다음 날, 캐나다군은 소드 해변에 상륙한 영국군과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초기 목표였던 카르피케 비행장 점령에는 실패했다.[26]
이후, 제12SS기갑사단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여 오티와 카르피케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5일 동안 계속된 독일군의 반격은 캐나다군의 완강한 저항과 연합군의 지원으로 격퇴되었고, 제12SS기갑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1944년 7월 4일, 제3캐나다사단은 윈저 작전을 개시하여 카르피케 비행장을 점령했고, 7월 8일에는 찬우드 작전에 참여하여 캉 북부 지역을 확보했다.
7월 18일, 애틀랜틱 작전에서 제3캐나다사단은 콜롱비에르를 점령하고 베르리에르 능선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선과 마주했다. 폭우와 진흙탕으로 인해 기갑 지원과 공중 지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제2캐나다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그러나 제3캐나다사단의 제8여단은 독일군의 반격을 막아냈다.
연합군의 공세는 독일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잠시 중단되었지만, 7월 25일 코브라 작전이 시작되면서 제3캐나다사단은 다시 진격할 수 있었다.
2. 3. 전후 재창설 및 현대
1991년 9월 1일, 육상 병력 서부 지역(LFWA)이 설립되어 프레이리 군관구와 태평양 군관구를 지휘했으며, 온타리오 북부 호수 지역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서부 캐나다 전체를 관할했다.[28] 1999년에는 4개 군관구 병력이 3개의 캐나다 여단집단으로 개편되었다. 2013년, LFWA는 제3캐나다사단의 재설립을 승인했고, 2014년 6월 6일, 사단이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한 지 70주년이 되는 날에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사단은 옛 제3캐나다보병사단의 패치와 역사적 연계성을 물려받았다.[19]1990년대 초, 캐나다 육군의 4개 지역 사령부 중 하나로 육군 서부 지역(LFWA)이 창설되었다. LFWA는 매니토바, 서스캐처원, 앨버타, 브리티시컬럼비아에 주둔하는 정규군 및 예비군 부대를 관할했다. LFWA의 주요 부대로는 제1 캐나다 기갑 여단, 제38 캐나다 여단, 제39 캐나다 여단, 제41 캐나다 여단 등이 있었다.
여단 외에도 LFWA는 제1 지역 지원단과 그 기지, 캐나다 레인저의 제4 캐나다 레인저 순찰대, 서부 지역 훈련 센터로 구성되었다. LFWA는 국내 작전뿐만 아니라 20년 이상 발칸 반도와 아프가니스탄 등 해외 파병 임무에도 크게 기여했다.
2014년 6월 6일,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을 기념하여 LFWA는 제3 캐나다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같은 날, 제3 캐나다 사단은 프랑스 회색 패치를 영구적으로 부여받았다.
3. 구조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제3캐나다사단의 편제는 변화를 겪었다.
1915년 프랑스에서 말콤 머서의 지휘 하에 편성된 제3캐나다사단은 1918년 11월 11일 종전일까지 서부 전선에서 복무하였다.[20]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1940년 5월 17일 제3캐나다보병사단의 편성이 공인되었으며, 첫 사단장은 1940년 10월 26일에 임명되었다.[4]
현재 제3캐나다사단은 CFB 에드먼턴에 사령부를 두고 서부 캐나다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19][28]
3. 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편제
1915년 프랑스에서 말콤 머서의 지휘 하에 편성된 제3캐나다사단은 서부 전선에서 1918년 11월 11일 종전일까지 복무하였다.[20]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3캐나다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제7 보병 여단:'''[2]
- 로열 캐나다 연대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대 (1915년 12월 24일 – 1918년 11월 11일)
- 제42 (로열 하이랜더) 캐나다 보병 대대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 제49 (에드먼턴) 캐나다 보병 대대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제8 보병 여단:'''[2]
- 제1 대대, 캐나다 기병 소총병, CEF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 제2 대대, 캐나다 기병 소총병, CEF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 제4 대대, 캐나다 기병 소총병, CEF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 제5 대대, 캐나다 기병 소총병, CEF (1915년 12월 – 1918년 11월 11일)
'''제9 보병 여단''' (1916년 1월 사단에 합류):[2]
- 제43 (캐머론 하이랜더) 캐나다 보병 대대 (1916년 1월 – 1918년 11월 11일)
- 제52 (노스 온타리오) 캐나다 보병 대대 (1916년 1월 – 1918년 11월 11일)
- 제58 (센트럴 온타리오) 캐나다 보병 대대 (1916년 1월 – 1918년 11월 11일)
- 제60 (빅토리아 소총병) 캐나다 보병 대대 (1916년 1월 – 1917년 4월 30일, 해산)
- 제116 (온타리오 카운티 보병) 캐나다 보병 대대 (1917년 4월 – 1918년 11월 11일)
'''개척대:'''[2]
3. 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편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40년 5월 17일, 제3캐나다보병사단의 편성이 군 당국에 의해 공인되었다.[4] 여단 및 사단 편성은 9월 5일까지 지연되었고, 첫 사단장은 10월 26일에 임명되었다.[4]여단 | 대대 | 기타 부대 |
---|---|---|
제7 캐나다 보병 여단 | 제7 보병 여단 지상 방어 소대 (로른 스코츠) | |
제8 캐나다 보병 여단 | 제8 보병 여단 지상 방어 소대 (로른 스코츠) | |
제9 캐나다 보병 여단 | 제9 보병 여단 지상 방어 소대 (로른 스코츠) | |
사단 부대 | ||
colspan="2" | | ||
사단 로열 캐나다 포병대 | ||
colspan="2" | | ||
사단 로열 캐나다 공병대 | ||
colspan="2" | |
3. 3. 현재 편제
CFB 에드먼턴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제3캐나다사단은 서부 캐나다를 관할한다.[19][28]- 제1캐나다 기계화여단: CFB 에드먼턴, CFB 샤일로 주둔
- 제38캐나다여단: 위니펙 주둔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온타리오 북서부 관할)
- 제39캐나다여단: 밴쿠버 주둔 (브리티시컬럼비아 관할)
- 제41캐나다여단: 캘거리 주둔 (앨버타 관할)
- 제3캐나다사단 지원단: CFB 에드먼턴 주둔
- 제1헌병연대: CFB 에드먼턴 주둔
- 제6정보대대 (예비대): 에드먼턴 주둔
- 제1캐나다 레인저 정찰대대: CFNA 본부 옐로나이프 주둔 (노스웨스트 준주, 유콘, 누나부트 순찰)
- 제4캐나다 레인저 정찰대대: CFB 에스콰이멀트 주둔 (브리티시컬럼비아, 앨버타,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순찰)
- 제3캐나다사단 훈련센터: CFB 웨인라이트, CFB 샤일로, CFB 에드먼턴
4. 부대 표식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캐나다 군단의 각 대대는 전투에서 지휘 및 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식별 패치를 착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916년 8월, 제3사단은 처음에는 흰색 패치를 사용했으나, 10일 후 검정색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917년 5월에는 검정색 패치가 눈에 잘 띄지 않아 프랑스 회색으로 변경되었다.[14] 이 패치는 군복 상의와 외투의 옷깃 바로 아래에 가로 약 7.62cm, 세로 약 5.08c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부착되었으며, 이후 소매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1941년에 이 패치가 다시 사용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캐나다사단(CAOF)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제3사단과 구별하기 위해 프랑스 회색 패치 아래에 약 2.54cm 너비의 프랑스 회색 가로 막대를 추가했다.[16]
2014년에 다시 창설된 제3캐나다사단은 프랑스 회색 부대 패치를 채택했다. 많은 논의 끝에 Pantone Grey 535C가 채택되었는데,[17] 이 색상은 실제로는 "Blue Range"에 속하며, 다양한 역사적 전시 유물을 비교하여 결정되었다. 이 색상은 국방부 산하 역사 및 유산 관리국의 승인을 받았다.[18]
참조
[1]
웹사이트
Army in Western Canada {{!}} 3rd Canadian Division {{!}} Canadian Army
http://www.army-arme[...]
2020-08-17
[2]
웹사이트
3rd Canadian Division page at canadiansoldiers.com
http://canadiansoldi[...]
[3]
웹사이트
3rd Canadian Division
http://www.1914-1918[...]
2007-11-20
[4]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page on 3rd Canadian Infantry Division
http://canadiansoldi[...]
[5]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page on the Normandy Landings
http://canadiansoldi[...]
[6]
서적
Battle Diary
[7]
서적
Century of Service
[8]
웹사이트
Queen's Own Rifles
http://www.junobeach[...]
2016-03-14
[9]
뉴스
The longest day
https://web.archive.[...]
2004-06-06
[10]
논문
[11]
간행물
Volume III The Victory Campaign: The Operations in North-West Europe, 1944-1945
http://www.ibiblio.o[...]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2009-06-24
[12]
서적
Battery Flashes of W.W. II
D.W. Falconer
[13]
서적
On Active Service
Service Publications, Ottawa, ON
[14]
서적
Distinguishing Patches
Service Publications, Ottawa, ON
[15]
서적
Dressed to Kill
Service Publications, Ottawa, ON
[16]
서적
Distinguishing Patches
Service Publications, Ottawa, ON
[17]
문서
"Restoring Canadian Army Identity SITREP 04 – 28 April 2014"
[18]
웹사이트
Western Sentinel - October 10, 2013 - 0008
https://web.archive.[...]
2022-01-17
[19]
뉴스
Small patch carries huge honour for 3 Cdn Div
2014-06-19
[20]
웹사이트
3rd Canadian Division page at canadiansoldiers.com
http://canadiansoldi[...]
[21]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page on 3rd Canadian Infantry Division
http://canadiansoldi[...]
[22]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page on the Normandy Landings
http://canadiansoldi[...]
[23]
서적
Battle Diary
[24]
서적
Century of Service
[25]
웹인용
Queen's Own Rifles
http://www.junobeach[...]
2016-03-14
[26]
뉴스
The longest day
https://web.archive.[...]
2010-04-23
[27]
서적
Battery Flashes of W.W. II
D.W. Falconer
[28]
웹인용
Domestic Military Organization 1900-1999
Canadian Soldiers.com
2013-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