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망디 상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망디 상륙은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이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에 감행한 대규모 상륙 작전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서유럽 전선 해방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소련의 지속적인 서부 전선 형성을 위한 요구와 1943년 테헤란 회담의 약속에 따라, 연합군은 파드칼레 해협의 강력한 방어를 피해 노르망디를 상륙 지점으로 결정하고, 오버로드 작전과 넵튠 작전을 통해 상륙을 준비했다. 연합군은 기만 작전, 공중 폭격, 해상 포격, 공수 부대 투입 등을 통해 독일군의 방어를 무력화하려 했으며, 5개의 해변(유타, 오마하, 골드, 주노, 소드)에 병력을 상륙시켰다. 독일군은 방어 태세의 문제점과 연합군의 기만 작전에 속아 초기 대응에 실패했고, 히틀러의 늦은 기갑사단 투입 허가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은 서유럽 해방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독일군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노르망디 지역에는 상륙 작전을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관과 유적지가 존재한다.

2. 배경

1940년 프랑스 항복 이후, 소련은 독일에 대항하기 위해 서부 전선 형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1942년 5월 말, 소련과 미국은 “…1942년 유럽에 제2전선을 형성하는 시급한 임무에 관해 완전한 합의에 도달”했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윈스턴 처칠 영국 수상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을 설득하여 서유럽 침공 예정을 연기하도록 설득했다. 미국의 도움이 있더라도 연합군은 그러한 공격에 동원할 수 있는 충분한 병력을 당장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프랑스 탈환을 바로 시도하는 대신 연합군은 영국 육군이 이미 주둔하고 있던 지중해를 중심으로 공세를 시작했다. 1943년 중반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을 몰아낸 연합군은 같은 해 7월 시칠리아를 침공하고, 9월에는 이탈리아 본토에 상륙한다. 그러는 동안 동부전선의 소련군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결정적 승리를 거두어 그동안의 수세를 공세로 전환하기 시작한다.

1943년 5월에 워싱턴에서 열린 트라이던트 회담에서 이듬해까지 영불해협을 건너 프랑스를 침공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초기 계획 단계는 다소 삐걱거렸는데, 상륙주정의 상당수가 지중해 및 태평양 전쟁에서 사용되어 동원할 수 있는 상륙주정의 수가 매우 적었기 때문이다.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루스벨트와 처칠은 스탈린에게 1944년 5월까지 제2장기전선을 개전할 것을 약속했다.

연합국 원정군 최고사령부(SHAEF)의 1944년 2월 1일 회의.
앞줄: 아서 테더 공군대장,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육군대장, 버나드 로 몽고메리 육군대장.
뒷줄: 오마 브래들리 육군중장, 베트람 렘세이 제독, 트래퍼드 리맬러리 공군대장, 월터 벤델 스미스 육군중장.


상륙 후보지는 브르타뉴, 코탕탱, 노르망디, 파드칼레의 4개였다. 브르타뉴와 코탕탱은 반도였기 때문에 독일군이 좁은 지협을 잡고 연합군의 진격을 차단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기각되었다. 파드칼레는 유럽 대륙과 영국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이기 때문에 독일군은 이곳이 가장 가능성 높은 상륙지점이라고 예상하고 있었고, 매우 강력한 요새화가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파드칼레는 강과 운하가 주위에 널려 있었기에 상륙해도 팽창하기가 쉽지 않았다. 반면 노르망디의 광전면은 훨씬 서쪽 브르타뉴의 셰르부르 항만으로 인한 위협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었고, 파리로의 육상공격 및 이후 이어질 독일 진격에도 유리했다. 하여 노르망디가 상륙지점으로 낙찰되었다. 노르망디 해안의 가장 심각한 약점은 상륙할 항만시설의 부재였는데, 인공적인 가설항만을 개발하여 이 점은 해결되었다. 또 노르망디의 가파른 해안과 같은 환경을 극복하고 해변 위에서 근접지원을 할 수 있도록 퍼니 전차라는 특수 전차들이 개발되었다.

연합군은 1944년 5월 1일 노르망디 침공을 개시하기로 계획했다. 1943년 8월 퀘벡 회담에서 계획서 초안이 받아들여졌고, 미국 육군대장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연합국 원정군 최고사령부(SHAEF)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영국 육군대장 버나드 로 몽고메리는 제21군집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작전에 동원되는 모든 지상군을 통괄하도록 했다. 1943년 12월 31일, 아이젠하워와 몽고메리는 3개 사단을 동원하고 2개 사단이 보조하는 수륙양용작전 계획서를 처음 받아보았다. 두 장군은 보다 넓은 전선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셰르부르 항만 점령을 서두르기 위해서 최초 상륙 병력 규모가 5개 사단은 되어야 하며, 3개 사단을 공수로 강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확장된 규모에 맞게 추가 장비를 마련하거나 새로 생산하기 위해 작전은 6월까지 연기되었다.

3. 연합군의 작전 계획

노르망디 상륙 작전 개요도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 계획도. 빨간색은 독일군 부대. 수송로가 짧은 파드칼레(칼레)를 피하고, 낙하산 부대 강하와 함선에 의한 포격, 상륙을 병행하고 있다.


계획 수립 과정은 연합군 총사령부 참모진에 의해 1943년 1월에 시작되었다.[17] 1944년 4월 28일에는 남데번에서 상륙 훈련인 "타이거 훈련"이 실시되었지만 실패하여 미국군에서 749명의 사망자를 냈다. 연합군 수뇌부는 이 실패가 독일에 전달되어 대규모 상륙 작전 준비가 발각될 것을 우려했다. 하지만 독일군 정보부는 그 정도로 자세한 정보는 입수하지 못했다.

영국 본토 기지에서 출격하는 연합군 전투기의 항속거리는 상륙 지점 선택을 매우 제한했다. 지리적으로 상륙 지점은 파드칼레(칼레 항)와 노르망디 두 곳으로 압축되었다. 파드칼레가 영국 본토에서 거리상으로 가장 가까워 상륙 지점으로 최적이었지만, 당연히 독일군도 연합군의 파드칼레 상륙을 경계하고 있어 방어가 강력했기 때문에 연합군은 상륙 지점으로 노르망디를 선택했다.

1942년 캐나다군의 디에프 공격 실패로부터 연합군은 최초 상륙에서 프랑스 항구를 직접 공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노르망디 전선으로의 광범위한 상륙은 독일군에게 브르타뉴 서해안의 쉘부르 항과 수도 파리에서 독일 국경으로 향하는 두 방향의 공격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노르망디는 독일군의 병력이 적은 지점이었지만, 전략적으로는 독일의 방어를 교란시켜 분산시킬 가능성이 있는 공격 지점이었다.

오버로드 작전은 대륙에 대규모로 상륙하는 작전의 작전명이었다. 첫 번째 단계인 수륙 양용 상륙 작전과 안전한 교두보 확보는 넵튠 작전이라는 작전명으로 진행되었다. 성공적인 상륙 작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공중 우세를 확보하기 위해 연합군은 독일 항공기 생산, 연료 공급 및 비행장을 표적으로 하는 폭격 작전(포인트블랭크 작전)을 실시했다.

상륙 작전의 시기와 장소를 독일군이 알아채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보디가드 작전이라는 이름의 정교한 기만 작전이 상륙 작전 전 몇 달 동안 실시되었다. 전반적인 작전인 보디가드 작전의 일환으로 연합군은 연합군 상륙 작전의 시기와 장소를 독일군에게 오인하게 하기 위한 여러 보조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포티튜드 작전에는 노르웨이 공격을 예상하게 하기 위해 허위 무선 교신을 사용한 포티튜드 노스 작전이 포함되었고, 포티튜드 사우스는 중장 조지 S. 패튼 장군 지휘하에 가상의 미국 제1군집단을 창설하는 대규모 기만 작전으로, 이는 켄트주와 서식스주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포티튜드 사우스는 독일군이 주요 공격이 칼레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제21군집단의 진짜 무선 메시지는 먼저 육상 통신망을 통해 켄트주로 전송된 다음 방송되어 독일군에게 연합군 대부분이 그곳에 주둔해 있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 패튼은 7월 6일까지 영국에 주둔하여 독일군이 칼레에서 두 번째 공격이 있을 것이라고 믿도록 계속 속였다.

상륙 작전을 준비하기 위해 프랑스 해안의 많은 독일 레이더 기지가 파괴되었다. 또한, 침공 전날 밤, 소규모 영국 특수공작부대 대원들이 르 아브르와 이지니에 가짜 강하병을 투하했다. 이 가짜 강하병들은 독일군으로 하여금 추가적인 공중 상륙이 이루어졌다고 믿게 만들었습니다. 같은 밤, 택서블 작전에서 영국 왕립 공군 제617 비행대는 "윈도우", 즉 독일 레이더 운영자들이 르 아브르 근처의 해군 호송대로 잘못 해석한 레이더 반사를 일으킨 금속박 조각을 투하했습니다. 이 환상은 소형 선박들이 기구식 방어 풍선을 끌고 다니는 것으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영국 왕립 공군 제218 비행대가 글리머 작전에서 파드칼레 지역의 불로뉴쉬르메르 근처에서 유사한 기만 작전을 수행했다.

가상의 미국 제1군집단 부대를 위해 디자인된 어깨 패치.


상륙 작전 계획자들은 달의 위상, 조류, 시간대를 포함하는 일련의 조건들을 결정했는데, 이 조건들은 매달 며칠 동안만 만족할 만한 것이었습니다. 만월은 항공기 조종사에게 조명을 제공하고 최고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바람직했습니다. 연합군은 저조와 고조의 중간 지점, 즉 만조가 시작되는 새벽 직전에 상륙 작전을 계획했습니다. 이는 해변의 장애물을 더 잘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병사들이 야외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했다. 아이젠하워는 6월 5일을 공격 개시일로 잠정적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6월 4일, 상륙에는 부적절한 조건이었습니다. 강풍과 높은 파도로 상륙정을 발진할 수 없었고, 낮은 구름으로 인해 항공기가 목표물을 찾을 수 없었다.

|thumb|6월 5일의 전선을 보여주는 일기도 지도

영국 공군(RAF)의 제임스 스태그(James Stagg) 그룹 주장은 6월 4일 저녁 아이젠하워를 만났습니다. 그와 그의 기상 팀은 6월 6일에 상륙 작전을 진행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날씨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필요한 조석 조건을 갖춘 다음 날짜(하지만 바람직한 만월은 없음)는 2주 후인 6월 18일부터 20일까지였습니다. 상륙 작전을 연기하면 이미 영국 해협을 건너기 위해 위치를 잡은 병력과 함선을 소환해야 했고, 상륙 작전 계획이 발각될 가능성이 증가했을 것입니다. 다른 고위 지휘관들과 많은 논의 끝에, 아이젠하워는 6월 6일에 상륙 작전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노르망디 해안을 강타한 큰 폭풍으로 인해 해변 상륙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연합군의 대서양 장악은 독일 기상학자들이 연합군보다 접근하는 기상 패턴에 대한 정보가 적다는 것을 의미했다. 파리에 있는 ''독일 공군'' 기상 센터는 2주 동안 폭풍우가 칠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에, 많은 베르마흐트 지휘관들은 전쟁 게임에 참석하기 위해 자신의 부대를 떠났고, 많은 부대의 병사들은 휴가를 받았다. 에르빈 롬멜(Erwin Rommel) 원수는 아내의 생일에 맞춰 독일에 돌아가 히틀러에게 추가적인 전차 사단을 요청했다.

4. 독일군의 방어 태세

아돌프 히틀러는 1942년 디에프 기습과 생나제르 습격 이후 스페인에서 노르웨이에 이르는 대서양 연안에 대서양 방벽 건설을 명령했다.[34] 그는 30만 명의 병력을 배치할 15,000개의 포대 시설을 계획했지만, 콘크리트와 인력 부족으로 대부분 건설되지 못했다. 특히 침공 예상 지역인 파드칼레가 강력하게 방어되었고, 노르망디 지역에서는 셰르부르 항구와 생말로에 방어 시설이 집중되었다.

에르빈 롬멜B 집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네덜란드에서 셰르부르까지 이어지는 해안 방어 시설 건설을 감독했다. 롬멜은 노르망디 해안이 상륙 지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해안에 콘크리트 포탑, 나무 말뚝, 금속 삼발이, 지뢰, 대전차 장애물 등을 설치하도록 지시했다. 또한, 연합군이 고조 때 상륙할 것을 예상하여 고조선에 많은 장애물을 설치했고, 해안가에 지뢰를 3배로 늘렸다. 롬멜의 아스파라거스라 불리는 부비트랩식 말뚝을 설치하여 공수 부대 강하를 막으려 했다.

그러나 독일군의 방어 태세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동부 전선에서의 손실로 병력이 부족했고, 노르망디 지역 병사들은 오스트레기오넨(동방 군단) 출신이 많아 사기가 저하된 상태였다. 이들은 주로 신뢰할 수 없는 노획 장비를 지급받았고 기동 수단이 부족했다.

25px
제709 정적 보병 사단은 카를-빌헬름 폰 슐리벤 소장 휘하 12,32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당수는 소련 포로 출신으로 모집된 (Ostlegionen) 비독일 징집병이었다.

25px
제352보병사단은 디트리히 크라이스 소장 지휘하에 롬멜이 투입한 약 12,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추가로 두 개의 연대가 증원되었다.

30px
제716 정적 보병사단은 빌헬름 릭터 소장 지휘하에 7,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당히 병력이 부족했다.

15px
제21 기갑사단은 에드가르 포이히팅거 소장 지휘하에 전차 146대와 돌격포 50대, 그리고 지원 보병 및 포병이 포함되어 있었다.

노획한 프랑스 전차를 사용하는 독일군


독일군 내부에서는 방어 전략에 대한 의견 대립이 있었다.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는 기갑 부대를 후방에 배치하여 반격하는 전략을 주장한 반면, 롬멜은 해안 방어에 중점을 두고 기갑 부대를 해안 가까이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히틀러는 이 둘의 절충안을 채택하여 3개의 기갑사단은 레오 가이어 폰 슈펜베르크에게, 3개는 롬멜에게 작전 통제권을 부여하고, 4개 사단은 자신의 직접 명령 없이는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

독일군은 연합군의 주 공격 목표를 칼레로 예상하고 노르망디 방어를 소홀히 했다. 빌헬름 카나리스 해군 대장이 지휘하는 아프베어(국방군 정보부)는 BBC 방송이 베를렌의 가을의 노래를 암호로 방송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연합군의 상륙이 임박했음을 알렸지만, 롬멜을 비롯한 독일군 수뇌부는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53]

독일 공군은 독일 상공 공습으로 인해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있었고, 노르망디 상륙 당시 연합군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의 항공기만을 동원할 수 있었다.

5. 연합군 상륙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노르망디 해안의 5개 해변(유타, 오마하, 골드, 주노, 소드)에 상륙했다. 상륙에 앞서 영국 제6공수사단과 미군 제82, 제101공수사단이 노르망디 일대에 강하하여 교량 점령, 독일군 교란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제1군 사령관 오마 브래들리 대장은 73,000명의 병력을 지휘했으며, 이 중 15,600명은 공수부대원이었다.

해변에서 보이는 침공 지역의 지도로, 기뢰 제거 지역, 포격에 참여하는 함선의 위치, 그리고 해안가의 목표물들을 보여주고 있다.


노르망디 폭격은 2,200대 이상의 미-영 연합군 폭격기가 해안가와 내륙 지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오마하 해변에서는 먹구름으로 인해 폭격이 비효율적이었고, 많은 폭격기들이 공격을 지연시켜 해안 방어물을 제대로 공격하지 못했다. 독일군은 노르망디와 저지대 국가에 570대의 비행기를 배치했고, 독일에 964대가 더 있었다.

기뢰 제거 함선들은 자정 이후 해협의 기뢰를 제거했고, 새벽에 작업을 완료했다. 서부 특수 부대는 USS 아칸소 (BB-33), USS 네바다 (BB-36), USS 텍사스 등 8대의 순양함과 28대의 구축함, 1대의 감시선으로 구성되었다. 동부 특수부대는 HMS 라밀리에, HMS 워스파이트, HMS 로버트, 12대의 순양함, 37대의 구축함으로 이루어졌다. 해안가 포격은 5시 45분부터 5시 50분까지 지속되었다.

대형 상륙정 호송이 1944년 6월 6일 영국 해협을 통과하고 있음


역사가 코렐리 바넷은 상륙 작전의 해상 작전을 "전례 없는 기획의 걸작"이라고 묘사했다. 전체 작전 지휘는 버트럼 램지 영국 해군 제독이 맡았다. 상륙 함대는 8개국 해군에서 온 6,939척의 함선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은 영국과 캐나다에서 지원되었다. 연합군 해군 병력은 195,700명이 참여했다. 침공 함대는 서부 특수부대와 동부 특수부대로 나뉘었다. 연합군은 5대의 전투함, 20대의 순양함, 65대의 구축함, 2대의 감시선을 이용할 수 있었다. 당시 노르망디 지역에 있던 독일군 함선은 3대의 어뢰정, 29대의 고속정, 36대의 R 보트, 36대의 기뢰정과 순찰선이었다. 독일군은 U보트도 사용 가능했으며, 모든 접근은 기뢰로 차단되었다.

상륙의 성공은 해안 상륙 거점을 확장하여 병력 증강을 허용하는 것에 달려 있었다. 적의 반격을 막기 위해 공수 부대가 다리, 교차로 등을 확보해야 했다. 미군 제82 및 제101공수사단은 유타 해변의 목표 지점에 배정되었고, 영국군 제6공수사단은 동쪽 측면에서 캉 운하와 오른 강의 다리를 점령하고 디브스 강의 다리 5개와 메빌레 포탑을 파괴하는 임무를 맡았다.

미군 공수부대의 강하는 6월 6일 오전 12시 15분에 시작되었다. 패스파인더들은 먹구름으로 인해 주행이 어려웠고, 낙하산 부대원들의 투하 지점 중 5분의 1만이 레이다 신호와 알디스 탐조등으로 표시되었다. 101공수사단의 낙하산 대원들은 오전 1시 30분부터 강하를 시작했으며, 유타 해변의 출구를 통제하고 도브 강의 교량을 파괴하는 임무를 맡았다. 82공수사단의 병력은 오전 2시 30분부터 도착하기 시작했고, 메데르 강 위의 다리 2개를 점령하고 도브 강의 다리 2개를 폭파시키는 것이 목표였다. 새벽 4시에 글라이더로 추가 강화 병력이 도착했고, 9시에는 추가 병력과 중화기가 도착했다.

D-Day의 첫 연합군 임무는 데드스틱 작전으로, 00:16에 캉 운하의 페가수스 다리와 호르사 다리에 대한 글라이더 공격이었다. 디브 강의 5개의 다리는 제3공수여단에 의해 파괴되었다. 한편, 제9공수사단 예하 3여단 9대대의 600명 중 150여명만이 메르빌에 도착해 포탑 제거 임무를 수행했다.

완전 무장을 한 채로 미군 공격 부대가 유타 해변에 상륙 중이다. 상륙 주정이 뒤에 보인다.


유타 해변은 919척탄병 연대의 2개 군단으로부터 방어되고 있었다. 제4보병사단의 제8보병여단은 6시 30분에 상륙을 시작했다. 그들의 상륙 주정은 강한 해류에 의해 남쪽으로 이동했고, 예정했던 상륙 지역보다 2000 야드 떨어진 곳에 도착했다.

LCVP 상륙정에 탑승한 공격 병력이 오마하 해변으로 접근 중이다.


오마하 해변은 노르망디 지역에서 가장 잘 방어된 해변이었으며, 제1보병사단과 제29보병사단이 배정받았다. 강한 해류가 많은 상륙 주정을 예상했던 동쪽 지점으로 몰고 가거나 지체되게 만들었다.

골드 해변에서는 강한 바람이 상륙 주정의 상황을 어렵게 만들었고, DD 전차도 원래 계획과는 달리 해안가에 직접 또는 해안가 가까이에서 발진했다.

주노 해변으로의 상륙은 파도가 높이 이는 바다로 인해 지연되었고, 지원 장비 이전에 병사들이 도착하여 상륙 중 많은 손실이 발생했다.

소드 해변에서는 25대 중 21대의 DD 전차가 7시 30분부터 상륙을 개시한 보병들을 위해 지원 사격을 제시하기 위해 해안가에 무사히 상륙했다.

6. 상륙 이후

노르망디 상륙 이후, 독일군의 대응은 혼란의 연속이었다.[186][187][188] 연합군 상륙에 대한 첫 보고는 새벽 2시 11분에 제716사단에서 제84군단 사령부로 전달되었으나, 사령관 마르크스는 생일 파티 후 참모들과 전술 훈련 준비 중이었다.[186] 이 보고는 즉시 제7군의 벰젤 참모장에게 보고되었고, 벰젤은 B군 집단 참모장 한스 슈파이델 중장에게 "낙하산 강하는 중대한 공격 작전의 선구자입니다. 게다가 바다에서는 배의 기계 소리가 들립니다."라고 보고했다.[187] 그러나 B군 집단 사령부는 전투의 긴박감을 느끼지 못했고, 슈파이델은 "적의 행동은 전적으로 국지적인 것이다"라고 판단하여 롬멜에게 보고하지 않았다.[187]

서부 총군 사령부에도 공수부대와 교전 중이라는 보고와 함께 연합군이 허수아비를 대량 투하했다는 보고가 동시에 들어왔다. 서부 총군의 보도 치머만 작전부장은 연합군의 기만 작전에 넘어가 "적의 행동은 대규모 공중 강하 작전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라며 룬트슈테트에게 보고하지 않았다.[188] 다른 여러 보고가 각 독일군 사령부에 접수되었지만, 연합군의 기만 작전으로 인해 새벽까지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었다.[109]

베르히테스가르텐의 베르크호프에 머물렀던 히틀러는 수면제를 복용하고 늦게 잠들었고, 오전 8시에 보고를 받은 뒤 "신사 여러분, 이것은 침공입니다."라고 말하며 노르망디 상륙을 예측했다고 자신만만하게 말했다.[189] 그러나 기갑사단 투입은 허가되지 않았다. 전선에서는 기갑사단 투입을 촉구했지만, OKW는 "적 상륙 부대의 주력은 완전히 다른 장소에 습격할 예정이다."라며 거절했고, 실제 이유는 " (기갑사단 투입의) 결정은 총통 각하 한 사람뿐이다"라고 히틀러가 아직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84]

정오 작전 회의에서 히틀러는 "이 이상의 좋은 소식은 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말하며[191], 오후 3시가 되어서야 기갑사단의 전장 투입을 허가했다. 이 지연으로 인해 독일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제12SS기갑사단은 해질녘까지 움직일 수 없었다.[192] 롬멜은 뒤늦게 연락을 받고 "나는 어리석었다. 바보였다."라고 한탄하며[193] 즉시 제21기갑사단 단독으로 반격하도록 명령했지만, 연합군의 공습과 영국군 제27기갑여단과의 전투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다.[196]

히틀러는 기갑사단 투입을 결정한 후 더욱 강경해져 현실과 동떨어진 명령을 내렸다. 제7군은 "6월 6일 저녁까지 적을 섬멸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참모장은 거부했다. 히틀러와 OKW는 연합군의 공중 위협을 경시했고, 제12SS기갑사단과 기갑교도사단 투입으로 연합군을 격퇴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기갑교도사단이 연합군의 공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98]

독일 해군 총사령관 카를 되니츠는 U보트를 배치하고, 소형 함정으로 연합군에 저항했지만 역부족이었다. 6월 6일 새벽, 제5어뢰정대의 어뢰정들이 스벤네르를 격침시켰지만,[200] "벼룩코끼리를 문 것과 같은" 저항이었다.[111] 브르타뉴 해전에서 독일군 구축함대는 궤멸되었고,[200] 르 아브르와 볼로뉴쉬르메르의 독일 해군 기지는 연합군의 폭격으로 파괴되어, 연합군에 대항할 수 있는 해상 전력은 궤멸되었다.[201]

1944년 6월 6일 24시 상황 지도


연합군의 상륙 장면


오마하 해변에 상륙하는 미국 제2보병사단


프랑스 레지스탕스 대원과 연합군 공수 부대원이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군은 상륙 거점 확보 후, 멀베리를 설치하여 물자를 상륙시켰다. 해안에 배치된 독일군 방어 부대는 훈련 및 보급 부족, 폭격으로 저항이 약화되었다. 미국군 공수부대는 광범위하게 강하하여 독일군의 대응을 어렵게 만들었다.

포티튜드 작전은 계속 기능하여, 독일군 상층부는 노르망디 상륙이 양동 작전이라고 의심하여 칼레 방면의 병력을 이동시키는 타이밍을 놓쳤다. 제21기갑사단은 반격에 성공했지만, 대전차포와 공중 공격의 우려로 후퇴했다. 연합군은 신속하게 전선을 강화했고, 제공권과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철도망 파괴는 독일군의 수송을 방해했다.

유타와 오마하 후방 지역은 보카주(생울타리)로 인해 진격이 지연되었고, 쉘부르로의 진격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쉘부르의 독일군 지휘관은 6월 26일에 항복했고, 이에 히틀러는 격노했다.

프랑스 레지스탕스는 연합군 상륙 전후로 철도, 통신 시설 파괴 등 다양한 방해 공작을 통해 독일군을 혼란에 빠뜨렸다. 남동쪽에서는 6월 6일 52대의 기관차가 파괴되었고 철도 선로가 500곳 이상에서 차단되었으며, 노르망디는 6월 7일부터 고립되었다.

연합군은 캉(6월 25일-7월 20일 에프솜·굿우드 작전), 생로(7월 25일-8월 2일 생로 전투), 팔레즈(8월 10일-19일 팔레즈 포위전)에서 격전을 벌였고, 8월 25일에 파리를 해방했다.

연합군의 상륙을 허용한 룬트슈테트 원수는 7월 2일에 해임되었고, 귄터 폰 클루게가 서부 방면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롬멜은 7월 17일 캐나다 공군의 기총 사격으로 중상을 입고 전선을 이탈했다. 소련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호응하여 동부 전선에서 바그라티온 작전을 실행했다.

7. 분석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성공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우선, 독일군은 대서양 방벽 건설을 완료하지 못했고, 자원 부족으로 인해 일부 지역은 18%만 완성된 상태였다. 연합군은 포티튜드 작전을 통해 독일군을 기만하여 병력을 분산시켰다. 또한, 연합군은 제공권을 장악하여 독일군의 정찰 및 폭격을 차단했다.

프랑스 레지스탕스는 연합군 폭격과 함께 프랑스 내 수송 시설을 파괴하여 독일군의 증원 및 보급을 방해했다. 초기 폭격이 목표에서 벗어나거나 집중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지만, 특수 무기는 오마하 해변을 제외한 지역에서 효과적인 포격 지원을 제공했다. 독일군 최고 사령부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구조도 연합군의 성공에 일조했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안 침공이었던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는 5,000척의 상륙 및 공격 주정, 289대의 지원함, 277대의 지뢰 제거함이 투입되었다. D-Day 당일 약 16만 명의 병력이 영국 해협을 건넜으며, 6월 말에는 87만 5천 명이 상륙했다. 첫날 연합군 사상자는 만여 명으로 추산되며, 4,414명이 사망했다. 독일군은 1,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당초 연합군은 카랑탕, 생로, 캉, 바이외를 점령하고 모든 상륙 지점을 연결하여 해안으로부터 10~16km까지 진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어느 목표도 달성하지 못했다. 5개의 거점은 6월 12일이 되어서야 연결되었고, 연합군은 해안으로부터 97km, 내륙으로 24km까지 진출했다. 핵심 목표였던 캉은 7월 21일까지 독일군 수중에 있었다. 독일군은 노르망디 전투 지역에서 프랑스 시민들에게 대피를 명령했으며, 침공 당일과 다음 날까지 3,000명의 시민 사상자가 발생했다.

8. 역사적 의미 및 영향

노르망디 상륙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환점으로, 서유럽 해방의 시작을 알렸다. 이 작전으로 연합군은 프랑스 상륙에 성공하여 제2전선을 구축했고, 독일군은 이탈리아 전선과 동부 전선에서 소련 적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워져 전쟁 수행 능력을 크게 잃었다.

전술적으로는 쉘부르와 캉 점령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멀베리의 가동으로[221] 물자 부족 문제는 해결되었다. 독일군은 강력하게 저항하여 연합군의 진격을 늦췄지만, 노르망디 상륙은 나치 독일 붕괴를 가속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44년 여름 이후 독일군의 손실은 파괴적이었고, 국민돌격대 편성 등 무모한 병력 증강책을 강구했지만 전세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작전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 작전으로 기록되었지만, 이후의 상륙 작전 전술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는 한국 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에서 유럽 전선보다는 자신이 경험한 태평양 전선의 상륙 작전 방식을 따랐다. 인천 상륙 작전은 성공하여 조선인민군의 저항을 뚫고 3일 만에 서울을 탈환했다.

9. 기념관들과 관광객

노르망디 상륙과 관련된 다양한 기념관과 유적지가 노르망디 지역에 산재해 있다. 오마하 해변에는 미 육군 주방위군(National Guard) 기념관이 과거 독일군 요새 자리에 있으며, 멀베리 인공항의 일부와 해변 장애물이 남아 있다. 포앵트뒤오크는 1944년 당시 모습이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폭격으로 생긴 분화구와 콘크리트 벙커를 볼 수 있다. 콜빌쉬르메르에는 노르망디 미군 묘지가 있다. 생트마리뒤몽에는 유타 상륙 작전 박물관이, 생메르에글리즈에는 미군 공수부대원들을 기념하는 박물관이 있다.

영국군과 캐나다군의 활약을 기리는 기념관도 있다. 페가수스 다리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초기 격전지로, 원래 다리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고, 1994년에 복제 다리가 건설되었다. 아로망슈 해안에는 멀베리 인공항 B의 잔해가 남아 있으며, 근처에 롱그쉬르메르 포대가 보존되어 있다. 주노 해변에는 2003년 개장한 주노 해변 센터가 있다. 골드 해변 위에는 2021년에 개장한 영국 노르망디 기념관이 있다.

프랑스 정부는 5년마다 전쟁터에 과거 교전국 수뇌부를 초청하여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의 계승국으로서 참가해 왔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받아 2024년 식전에는 러시아 대통령블라디미르 푸틴이 초청받지 못했다.[222]

참조

[1] 서적 Avgörandes Ögonblick: Invasionen i Normandie Norstedts Förlag 2004
[2] Harvnb (제목 없음) 2011a
[3]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4]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5]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6]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7]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8] 웹사이트 Normandy Invasion:World War II https://www.britanni[...] 2024-06-29
[9] 웹사이트 D-Day and the Normandy Campaign https://www.national[...] 2024-06-29
[10] 웹사이트 数字で見るノルマンディー上陸作戦 ── 数々の映画に描かれた「史上最大の作戦」とは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2024-06-07
[11] 웹사이트 D-Day:史上最大の作戦 https://natgeotv.jp/[...] 나시오날 지오그래픽 2024-06-07
[12] 웹사이트 史上最大の作戦 ノルマンディー上陸 https://www.nhk.jp/p[...] NHK 2024-06-07
[13] 웹사이트 ノルマンディー上陸作戦 写真特集 https://www.jiji.com[...] 時事通信(JIJI.COM) 2024-06-07
[14] Harvnb (제목 없음) 1967
[15] Harvnb (제목 없음) 2005
[16] Harvnb (제목 없음) 1967
[17] Harvnb (제목 없음) 1967
[18] Harvnb (제목 없음) 1967
[19] Harvnb (제목 없음) 2011a
[20] Harvnb (제목 없음) 1962
[21] 웹사이트 Operation Forager and the Battle of the Philippine Sea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22-06-02
[22] Harvnb (제목 없음) 1966
[23] Harvnb (제목 없음) 1966
[24] Harvnb (제목 없음) 1999
[25] Harvnb (제목 없음) 1967
[26] Harvnb (제목 없음) 1967
[27] 서적 라이프 유럽 제2전선
[28] Harvnb (제목 없음) 1967
[29] Harvnb (제목 없음) 1979
[30] Harvnb (제목 없음) 2005
[31] Harvnb (제목 없음) 1967
[32] Harvnb (제목 없음) 1967
[33] Harvnb (제목 없음) 1972
[34] Harvnb (제목 없음) 2005
[35] Harvnb (제목 없음) 1971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웹사이트 Saipan: The Beginning of the End https://www.ibiblio.[...] U.S. Marine Corps 2022-06-03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7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웹사이트 Canada on D-Day by the Numbers https://www.junobeac[...] Juno Beach Centre 2025-04-06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웹사이트 ノルマンディーの地で反撃に出るも、やむを得ず後退させられたドイツ装甲師団 https://www.kk-bests[...] KK Bestsellers 2022-05-17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웹사이트 THE BEDFORD BOYS https://citizen-sold[...] Schatz Strategy Group 2022-05-06
[203]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웹사이트 Photo Finish: The Battle of Tarawa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WWII MUSEUM 2022-05-11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논문
[212] 논문
[213]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214] 논문
[215]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216] 웹사이트 How Many Were Killed on D-Da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2-05-06
[217] 논문
[218] 논문
[219] 서적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in World War II,: Final Report, 7 December 1941 to 31 December 1946 http://www.ibiblio.o[...] Statistical and Accounting Branch, Office of the Adjutant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1953-06-01
[220] 논문
[221] 서적 ライフ ヨーロッパ第2戦線
[222] 뉴스 ノルマンディー 対露象徴に/上陸80年式典 欧米首脳ら参加/ゼレンスキー氏 招待結束訴え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6-29
[223] 서적 史上最大の決断 「ノルマンディー上陸作戦」を成功に導いた賢慮のリーダーシップ https://www.diamond.[...] ダイヤモンド社 2024-06-08
[224] 웹사이트 史上最大の作戦 ノルマンディー上陸 - 映像の世紀バタフライエフェクト https://www.nhk.jp/p[...] 日本放送協会 2024-05-21
[225] 서적 マンガ 本当にあった! 世界の珍兵器コレクション 宝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