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션 임파서블》은 1966년부터 1973년까지 CBS에서 방영된 미국의 첩보 드라마이다. 미국 정부의 비밀 임무를 수행하는 IMF(Impossible Missions Force) 팀의 활약을 그렸으며, 정교한 속임수, 변장, 첨단 기술을 활용한 작전이 특징이다. 원작은 영화 《토프카피》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1988년에는 리바이벌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미션 임파서블》은 에미상, 골든 글로브상 등을 수상하며 첩보물에 큰 영향을 미쳤고, 5/4 박자의 주제곡과 오프닝 시퀀스는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으며, 톰 크루즈 주연의 영화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드라마 - 울트라맨
울트라맨은 M78성운 광의 나라에서 온 우주 경비대원으로, 과학특수대 대원 하야타 신과 일심동체가 되어 베타캡슐로 변신하여 지구를 침략하는 괴수와 외계인에 맞서 싸우는 40m의 거대 영웅이며, 스페시움 광선과 격투 기술을 사용하고 3분의 활동 시간 제한을 가진다. - 1966년 드라마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1966년 드라마)
1966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무라카미 겐조의 소설 『겐지』를 원작으로, 겐페이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 미션 임파서블 - 미션 임파서블 (영화)
1996년 개봉한 스파이 액션 영화 미션 임파서블은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톰 크루즈 주연 및 제작으로, 1966년 TV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여 IMF 팀의 누명을 쓴 에단 헌트가 진실을 밝히는 이야기를 그린다. - 미션 임파서블 -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년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영화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인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은 톰 크루즈 주연, 크리스토퍼 맥쿼리 연출로 IMF 해체 후 에단 헌트 팀이 신디케이트에 맞서는 액션 스파이 영화이다. - C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넘버스 (드라마)
넘버스 (드라마)는 FBI 요원과 수학자가 수학 이론을 범죄 수사에 활용하는 과정을 그린 미국의 드라마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개의 시즌으로 제작되었으며, 수학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C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에드 설리번 쇼
1948년부터 1971년까지 CBS에서 방영된 《에드 설리번 쇼》는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출연시켜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즈의 출연은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흑인 아티스트들의 출연으로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했지만, 논란과 사회 분위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영되어 현재는 편집판 DVD와 유튜브로 시청할 수 있는 미국의 장수 오락 프로그램이다.
제5전선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액션 스파이 픽션 |
방송 시간 | 50분 |
제작 | 브루스 겔러 |
출연 | 스티븐 힐 바버라 베인 그레그 모리스 피터 루퍼스 피터 그레이브스 마틴 랜도 레너드 니모이 리 메리웨더 레슬리 앤 워렌 샘 엘리엇 린다 데이 조지 바버라 앤더슨 |
주제곡 작곡가 | 랄로 시프린 |
오프닝 테마 | " |
국가 | 미국 |
제작사 | 데실루 프로덕션 (1966–1968) (시즌 1–2) 파라마운트 텔레비전 (1968–1973) (시즌 2–7) |
방송사 | CBS |
처음 방송 | 1966년 9월 17일 |
마지막 방송 | 1973년 3월 30일 |
시즌 수 | 7 |
에피소드 수 | 171 |
에피소드 목록 | 미션 임파서블 (1966년 TV 시리즈) 에피소드 목록 |
관련 작품 | 미션 임파서블 (1988–1990) |
2. 역사
2. 1. 제작 배경
줄스 다신의 1964년 영화 《토프카피》는 정교한 강도 사건을 체계적으로 묘사하여 혁신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는데, 《미션 임파서블》은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제작자 브루스 겔러는 범죄자 대신 비밀 요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최소한의 대사, 두드러진 음악, 다양한 전문가 팀의 정확한 실행이라는 영화의 스타일을 유지했다. 여러 에피소드에서는 시한부 상황에서 일하는 긴장감을 전달하기 위해 요원의 손목시계를 클로즈업해서 보여주기도 한다.겔러는 또한 캐릭터 개발을 최소화하여 잠입 수사에서 더 설득력 있게 보이도록 하고,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겔러는 작가들이 주요 등장인물을 개발하려는 시도를 거부했으며, 겔러가 쇼에서 하차한 후에도 요원들은 "실제" 삶에서 거의 보이지 않았고, 펠프스의 아파트에서 그들이 교류하는 장면은 단 한 번뿐이었다.
《미션 임파서블》의 제작자들은 단명한 ABC 쇼 《21 비콘 스트리트》의 제작자들에게 표절 혐의로 고소당했지만, 소송은 법정 밖에서 해결되었다. 겔러는 이전에 그 쇼를 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21 비콘 스트리트》의 스토리 편집자이자 파일럿 스크립트 작가인 로렌스 히스는 나중에 《미션 임파서블》의 여러 에피소드를 썼다.
작가 윌리엄 리드 우드필드는 데이비드 마우러의 1940년 논픽션 책 《사기꾼》 (《스팅》의 비공식적인 영감이 되기도 함)의 팬이었고, 많은 에피소드가 책에 묘사된 사기와 매우 유사하다.
테이프 장면은 1964년 12월에 출판된 닉 카터-킬마스터 소설 《사이공》과 1966년 소설 《데인저 키》 (1966년 2월 저작권 등록)에 반복되는 묘사와 매우 유사하다. 소설에서 비밀 요원 카터는 상사로부터 받은 소포를 받는데, 소포를 작동시키면 한 번 재생 후 자동 파괴되는 테이프 녹음 메시지가 재생된다.
2. 2. 방영 및 종영 (1966-1973)
《미션 임파서블》은 1966년 9월 17일 CBS에서 첫 방송되었으며, 1973년 3월 30일까지 총 7시즌, 171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이 시리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시즌 5 동안 새로운 프로듀서인 브루스 랜스베리는 국제적인 임무들을 점차 줄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촬영 비용이 더 많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IMF는 조직 범죄와 자주 싸우는 모습으로 나타났지만, 시즌 5는 여전히 국제적인 작전을 더 많이 특징으로 했다. 갱단의 보스들은 일반적으로 "신디케이트"라고 불리는 조직이나 그 프랜차이즈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녹음된 메시지는 목표가 "일반적인 법 집행"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언급했다. 그러한 임무의 목표는 법원에서 증거로 채택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었으며, 종종 갱스터들을 속여 자백하게 하는 형태를 취했다.
랜스베리는 또한 피터 루퍼스를 샘 엘리엇으로 교체하려 했으나, 팬들의 반발로 루퍼스는 마지막 두 시즌에 남아 더 많은 분량의 화면 시간과 더 까다로운 임무를 맡게 되었다.
파라마운트는 7번째 시즌 이후에 이 시리즈를 신디케이션하는 것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었기 때문에 종영을 결정했다.[7]
방영 시간대는 다음과 같다.
방송사 | 요일 및 시간 | 기간 |
---|---|---|
CBS | 토요일 오후 9시~10시 | 1966년 9월 17일 – 1967년 1월 7일 |
CBS | 토요일 오후 8시 30분~9시 30분 | 1967년 1월 14일 – 4월 22일 |
CBS | 일요일 오후 10시~11시 | 1967년 9월 10일 – 1970년 3월 29일 |
CBS | 토요일 오후 7시 30분~8시 30분 | 1970년 9월 19일 – 1971년 3월 17일 |
CBS | 토요일 오후 10시~11시 | 1971년 9월 18일 – 1972년 12월 9일 |
CBS | 금요일 오후 8시~9시 | 1972년 12월 22일 – 1973년 3월 30일 |
2. 3. 리바이벌 시리즈 (1988-1990)
1988년 미국 작가 조합 파업으로 인해 새로운 대본 수급에 차질이 생기자, ABC는 미션 임파서블의 리바이벌 시리즈를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 시리즈는 피터 그레이브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출연진을 교체하고, 원래 시리즈의 대본을 업데이트하여 사용했다. 제작비 절감을 위해 호주에서 촬영되었으며, 첫 번째 시즌은 퀸즐랜드에서, 두 번째 시즌은 멜버른에서 촬영되었다. 이는 호주에서 촬영된 최초의 미국 상업 네트워크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원래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캐릭터들을 그대로 가져오는 리메이크 형식이 될 예정이었으나, 촬영 직전 짐 펠프스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들은 새로운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새로운 시리즈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저렴한 제작비 덕분에 ABC에서 2시즌 동안 방영될 수 있었다. 작가 파업이 비교적 빨리 해결되면서, 실제 리메이크는 단 4개의 에피소드에 불과했다. 캐릭터 이름과 배경을 변경하기로 한 결정과 함께 이 시리즈는 단순한 리메이크가 아닌 원래 시리즈의 연속으로 간주되었다.
1980년대의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는 이전 시리즈의 공식을 대부분 따랐지만, IMF의 규모가 커지고,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는 등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IMF 요원들이 꿈을 기록하는 장치나, 특수 카드의 표면을 변경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부활 시리즈에는 린다 데이 조지를 비롯한, 그렉 모리스가 바니 콜리어로 특별 출연했고, 필 모리스는 그의 아들인 그랜트 콜리어로 출연했다. 또한 알렉스 코드, 시게타 준, 바바라 루나, 마이클 페이트 등 오리지널 시리즈 출연진 4명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분류:미션 임파서블
분류:1988년 드라마
분류:1989년 드라마
분류:1990년 드라마
분류: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파라마운트 텔레비전 스튜디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첩보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호주에서 촬영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1988년 미국 작가 조합 파업
분류:TV 시리즈 속편
3. 등장인물
- 댄 브릭스 (스티븐 힐, 시즌 1): IMF의 초대 리더이다. 냉정하고 쿨한 성격으로, 변장 등을 통해 작전에 참여한다.[29] 정통 유대교인이었던 힐은 종교적 관습으로 인해 금요일 오후 4시에 해가 지기 전에 집에 가야 했고, 다음 날 해가 진 후에야 업무에 복귀할 수 있었다. 제작 일정 때문에 이 조항을 지키기가 어려웠고, 시즌이 진행되면서 브릭스의 출연 빈도는 점점 줄어들었다. 결국 힐은 두 번째 시즌에 공식적인 설명 없이 피터 그레이브스로 교체되었다.
- 짐 펠프스 (피터 그레이브스, 시즌 2-7): 댄 브릭스의 뒤를 이어 IMF의 2대 리더가 되었다. 건스모크의 제임스 아르네스의 형제인 피터 그레이브스는 장기간 리더를 맡았으며, 냉정하고 쿨한 성격으로 작전에 참여한다.
- 롤린 핸드 (마틴 랜도, 시즌 1-3): 배우 출신으로 변장과 성대모사의 달인이다. "백만 개의 얼굴을 가진 남자"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인물로 변장하여 상대를 속인다.[30] 실제 부부였던 바버라 베인과 함께 세 번째 시즌을 끝으로 시리즈를 떠났다.
- 시나몬 카터 (바바라 베인, 시즌 1-3): 전직 모델로, 미모를 무기로 상대에게 접근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시나몬 카터 역으로 3년 연속 에미상을 수상했다.
- 바니 콜리어 (그레그 모리스, 시즌 1-7): 전자 및 기계 공학 전문가로, 콜리어 일렉트로닉스의 소유자이다. 특수 기재의 개발, 설계, 제작, 조작을 담당한다. 모리스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전체 기간 동안 출연한 유일한 배우 중 한 명이다.
- 윌리 아미티지 (피터 루퍼스, 시즌 1-7): 역도 선수 출신으로 세계 기록 보유자이며, 괴력을 지닌 인물이다. 주로 힘을 쓰는 역할이나 운반책을 담당한다.

- 파리스 (레너드 니모이, 시즌 4-5): 롤린 핸드를 대신하여 합류한 변장과 성대모사의 전문가이다. "위대한 파리"로 불리며, "변장의 달인"으로 알려져 있다.
- 더그 로버트 (샘 엘리엇, 시즌 5-6): 의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 다나 램버트 (레슬리 앤 워런, 시즌 5): 여성 멤버로, 미모를 무기로 작전에 참여한다. 무대 및 영화 배우 출신이다.
- 리사 케이시 (린다 데이 조지, 시즌 6-7): 여성 멤버이며, 미용사 겸 변장의 명인이다. 그녀의 이름은 1988~1989년 부활 시리즈에서 처음 밝혀졌다.[33]
- 미미 데이비스 (바버라 앤더슨, 시즌 7): 여성 멤버로, 린다 데이 조지가 출산 휴가를 가는 동안 리사가 부재 중일 때 작전에 참여한다. 아이언사이드에 출연했다.[34]
3. 1. 주요 등장인물
- 댄 브릭스 (스티븐 힐, 시즌 1): IMF의 초대 리더이다. 냉정하고 쿨한 성격으로, 변장 등을 통해 작전에 참여한다. 정통 유대교인이었던 힐은 종교적 관습으로 인해 금요일 오후 4시에 해가 지기 전에 집에 가야 했고, 다음 날 해가 진 후에야 업무에 복귀할 수 있었다. 제작 일정 때문에 이 조항을 지키기가 어려웠고, 시즌이 진행되면서 브릭스의 출연 빈도는 점점 줄어들었다. 결국 힐은 두 번째 시즌에 공식적인 설명 없이 피터 그레이브스로 교체되었다.
- 짐 펠프스 (피터 그레이브스, 시즌 2-7, 1988년 시리즈): 댄 브릭스의 뒤를 이어 IMF의 2대 리더가 되었다. 건스모크의 제임스 아르네스의 형제인 피터 그레이브스는 장기간 리더를 맡았으며, 냉정하고 쿨한 성격으로 작전에 참여한다.
- 롤린 핸드 (마틴 랜도, 시즌 1-3): 배우 출신으로 변장과 성대모사의 달인이다. "백만 개의 얼굴을 가진 남자"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인물로 변장하여 상대를 속인다. 실제 부부였던 바버라 베인과 함께 세 번째 시즌을 끝으로 시리즈를 떠났다.
- 시나몬 카터 (바버라 베인, 시즌 1-3): 전직 모델로, 미모를 무기로 상대에게 접근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시나몬 카터 역으로 3년 연속 에미상을 수상했다.
- 바니 콜리어 (그렉 모리스, 시즌 1-7, 1988년 시리즈): 전자 및 기계 공학 전문가로, 콜리어 일렉트로닉스의 소유자이다. 특수 기재의 개발, 설계, 제작, 조작을 담당한다. 모리스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전체 기간 동안 출연한 유일한 배우 중 한 명이며, 1988년 시리즈의 두 에피소드에도 출연했다.
- 윌리 아미티지 (피터 루퍼스, 시즌 1-7): 역도 선수 출신으로 세계 기록 보유자이며, 괴력을 지닌 인물이다. 주로 힘을 쓰는 역할이나 운반책을 담당한다.
- 파리스 (레너드 니모이, 시즌 4-5): 롤린 핸드를 대신하여 합류한 변장과 성대모사의 전문가이다. "위대한 파리"로 불리며, "변장의 달인"으로 알려져 있다.
- 더그 로버트 (샘 엘리엇, 시즌 5-6): 의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 다나 램버트 (레슬리 앤 워런, 시즌 5): 여성 멤버로, 미모를 무기로 작전에 참여한다. 무대 및 영화 배우 출신이다.
- 리사 케이시 (린다 데이 조지, 시즌 6-7): 여성 멤버이며, 미용사 겸 변장의 명인이다. 그녀의 이름은 1988~1989년 부활 시리즈에서 처음 밝혀졌다.
- 미미 데이비스 (바버라 앤더슨, 시즌 7): 여성 멤버로, 린다 데이 조지가 출산 휴가를 가는 동안 리사가 부재 중일 때 작전에 참여한다. 아이언사이드에 출연했다.
배우 | 캐릭터 | 시즌 | ||||||
---|---|---|---|---|---|---|---|---|
1 | 2 | 3 | 4 | 5 | 6 | 7 | ||
스티븐 힐 | 댄 브릭스 | 주연 | colspan="6"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바버라 베인 | 시나몬 카터 | 주연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그렉 모리스 | 버나드 "바니" 콜리어 | 주연 | ||||||
피터 루푸스 | 윌리엄 "윌리" 아미티지 | 주연 | ||||||
피터 그레이브스 | 짐 펠프스 |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주연 | |||||
마틴 랜도 | 롤린 핸드 | 조연 | 주연 | colspan="6"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레너드 니모이 | 파리 | colspan="3"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주연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레슬리 앤 워렌 | 다나 램버트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주연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샘 엘리엇 | 더그 로버트 박사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주연 | colspan="4"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
린다 데이 조지 | 리사 케이시 | colspan="5"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주연 | |||||
바버라 앤더슨 | 미미 데이비스 | colspan="6" style="background:#ececec; color:gray;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class="table-na"| | 조연 |
3. 2. 한국 배우 및 배역
4. 줄거리 및 특징
미국 정부가 손을 쓸 수 없는 극비 임무를 수행하는 스파이 조직인 '''IMF'''('''I'''mpossible '''M'''ission '''F'''orce, 불가능한 임무 수행 팀) 멤버들의 활약을 그린 액션 드라마이다.[23] 원제의 "Mission: Impossible"은 "실행 불가능한 지령"을 의미한다.
== 기본 구성 ==
각 에피소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4]
# 대부분의 에피소드는 댄 브리그스(스티븐 힐 분) 또는 짐 펠프스(피터 그레이브스 분)가 임무를 설명하는 사진과 정보가 담긴 봉투와 함께 숨겨진 테이프 레코더(또는 축음기 레코드)를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4] 녹음은 거의 항상 "안녕, 브리그스/펠프스 씨."로 시작한다. (유일한 예외는 브리그스가 등장하지 않는 시즌 1 에피소드 "액션!(Action!)"으로, 시나몬 카터가 브리핑을 듣는다.) 테이프 메시지는 대개 "당신, 댄/짐은 이 임무를 수락할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임무의 목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제공한다.
# 결론 부분에서 청취자는 "언제나 그렇듯, 당신이나 당신의 IM 부대가 체포되거나 사망할 경우, 국무장관은 당신의 행동에 대해 일체 부인할 것입니다."라고 상기된다. 테이프의 지시는 로버트 클리블랜드 "밥" 존슨이 읽었다.
# 지시가 끝나면 펠프스/브리그스는 "이 테이프는 5초(또는 때때로 "10초") 후에 자동 소멸됩니다. 행운을 빕니다, 댄/짐."이라는 알림을 받는다. 테이프가 자동으로 파괴되면서 레코더에서 연기가 솟아오른다.
#* 초기 에피소드 중 일부에서는 브리그스가 테이프에 화학 물질을 바르고 공기를 불어넣어 녹음을 파괴하는 반응을 유발하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이 방법은 비용 때문에 포기되었고, 그 효과는 레코더를 통해 연기를 통과시켜 재현되었다.
#* "자동 소멸"이라는 단어는 적어도 1950년대부터 존재했지만,[5] 이 시리즈에 의해 대중화되어 마치 새로 발명된 것처럼 주장되기도 한다.[6]
# 몇몇 에피소드, 주로 시즌 1에서는 사진과 자동 소멸 테이프를 사용하는 임무 브리핑에서 벗어났다.
#* 이 시리즈의 파일럿 에피소드에서는 밀봉된 플라스틱 봉투에 브리그스에게 전달된 축음기 레코드가 등장했는데, 공기에 노출되면 "봉인을 깬 지 1분 후에 분해"되었다.
#* 다른 에피소드에 사용된 레코드는 빈티지 축음기에서 재생해야 했는데, 이 축음기는 브리핑이 완료되면 레코드를 너무 심하게 긁어 재생할 수 없도록 조작되어 있었다.
#* 또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브리그스가 드라이브 인 영화관의 스피커를 통해 지시를 받았다.
#* 몇몇 경우, 테이프는 청취자에게 직접 테이프를 폐기하라는 지시로 끝났다. 브리그스/펠프스는 테이프를 소각로 또는 기타 편리한 장치에 버려 파괴했다.
# 첫 해가 지난 후, 전체 시즌의 "테이프 장면"은 대개 나머지 에피소드 제작 전에 한꺼번에 촬영되었다. 음성 지시는 나중에 추가되었고, 출연진과 제작진은 어떤 에피소드에 어떤 테이프 장면이 등장할지 방송될 때까지 전혀 알지 못했다.
# 테이프 장면 다음에는 브리그스 또는 펠프스가 아파트에서 잠긴 서랍에서 대형 가죽 바인딩 폴더를 꺼내 이용 가능한 IMF 요원들의 자료를 확인하는 장면이 나온다. 브리그스/펠프스는 선택된 요원들의 자료를 커피 테이블에 던진다. 초기 시즌에는 선택된 요원들이 일반 팀이 갖지 못한 특정 기술을 가진 요원 역할을 하는 게스트 스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 후기 시즌에는 팀이 더 고정되어 레귤러 출연진으로 구성되었고 게스트 요원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었다. 세 번째 시즌에 이르러서는 파일 장면이 다소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져 게스트 요원을 소개할 필요가 있을 때만 등장했다. 파일 장면은 시즌 4에 여성 팀원이 없었기 때문에 자주 등장했다. 시즌 5부터는 완전히 삭제되었다.
# 파일럿 에피소드에서 녹음된 메시지는 팀 리더가 팀을 선택하는 데 무제한의 자원과 폭넓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 오프닝 시퀀스의 세 번째 부분에서, 팀은 리더의 아파트에서 마지막 브리핑을 위해 모였다. 이 시리즈는 컬러로 촬영되었지만, 아파트는 흑백 및 회색 색상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카메라 밖에서는 흑백 방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 아파트 장면은 예고편 역할을 했다. 팀원들은 임무의 성공적인 수행에 필요한 준비에 대해 모호하게 언급했지만, 대부분의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팀원들은 계획의 측면에 대해 질문하거나 대안이 고려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문하여 작가에게 plot holes, 플롯 구멍을 미리 설명할 기회를 제공했다. 펠프스는 요약할 때, 종종 그들이 수행하려는 행동의 어려움이나 임무가 완료되어야 하는 마감일과 같이 성공에 필수적인 계획의 핵심 요소를 강조했다.
# 제작진은 다섯 번째 시즌에 녹음기와 아파트 장면을 점차 없애고 서류 장면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 시즌이 끝날 무렵 테이프와 아파트 장면이 복원되었지만, 서류 장면은 시리즈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제거되었다. 1980년대 부활에서는 펠프스가 새로운 팀을 선택하는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서류 장면"이 복원되었지만, 동일한 팀이 후속 에피소드에 등장했기 때문에 다른 서류 장면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 대부분의 경우 작전은 마지막 순간까지 이어졌다. 마지막에 자주 사용되는 극적인 장치는 IMF 팀이 도주하는 동안 목표가 그의 동료에 의해 살해될 때 멀리서 들리는 총성이나 비명 소리였다. 대부분은 특징 없는 패널 트럭을 타고 떠나며, 에피소드는 프리즈 프레임으로 끝난다.
# 지령 전달에 있어서, "당국"의 인간과 리더는 직접 만나지 않는다. 리더는 사전에 어떠한 연락 방법으로 전달받은 지령 전달 장소로 향한다. 그곳에 있는 사진을 보면서 레코드 또는 소형 오픈 릴 식 테이프 레코더 등에 녹음된 지령을 듣는다.[24] 지령은 "안녕, (리더의 성, 예를 들어 제1시리즈에서는) 브리그스 군"으로 시작하여, 마지막은 "예와 같이, 너, 혹은 너의 멤버가 체포되거나 살해당해도, 당국은 일절 관여하지 않으니 그럴 생각으로."로 끝난다. 지령이 끝나면 "덧붙여, 이 테이프 (또는 레코드나 디스크 등)는 자동으로 소멸한다. 건투를 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설치되어 있던 폭탄이 기폭되거나, 발화 장치가 작동하여 파괴된다. 예외로 소각 시설 옆이나 수면 등 테이프 처분이 용이한 장소에서 지령을 받는 경우, 리더에게 테이프 등 지령에 사용된 물품을 처분하도록 메시지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지령 없이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 주요 특징 ==
IMF 팀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교하고 복잡한 속임수를 사용한다. 이는 종종 심리 조작, 위조 문서, 가짜 방송 등을 포함한다.[2] 팀원들은 변장의 달인으로, 특수 분장과 연기를 통해 다른 인물로 위장하여 임무를 수행한다.[25] 특히 롤린 핸드는 마틴 보어만과 아돌프 히틀러 등 주요 나치 인물을 사칭하기도 했다.[2] IMF 팀은 당시로서는 첨단 기술에 해당하는 장비들을 사용한다. 이는 소형 카메라, 무선 통신 장비, 특수 제작된 도구 등을 포함한다.
시리즈의 배경은 냉전 시대로, 주로 공산권 국가나 독재 국가를 상대로 임무를 수행한다.[2] 초기에는 루비앙카 감옥과 같이 철의 장막 뒤의 특정 장소가 언급되었고, 많은 표적들이 "유럽 인민 공화국"과 "동유럽 공화국"을 포함한 가상의 슬라브 국가의 지도자들로 나타난다. 또한 동유럽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냉전 외에도 제3세계 국가의 정치인과 독재자를 몰락시키는 임무도 맡았으며,[2] 1966년 당시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합법이었던 노예 제도("The Slave")와 아파르트헤이트("Kitara")와 같은 관행이 표적이 되기도 했다.
IMF 팀원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팀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댄 브릭스: 초대 리더로, 냉정하고 쿨한 성격이다. 변장 등을 통해 작전에 참여하며,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표적 인물과 원래 면식이 있었다는 등의 이유로 작전 실행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 로랑 핸드: 배우 출신으로 변장과 성대모사의 달인이다. 고무 재질의 페이스 마스크나 특수 분장을 활용하여 다양한 인물로 변장하여 상대를 속인다. 리더 대행을 맡기도 했다.[25]
- 시나몬 카터: 전직 모델로, 잡지 『엘리트』의 커버걸도 맡았던 미모의 소유자이다. 간호사 자격증도 가지고 있다. 여성 특유의 다양한 역할로 변장하여 작전에 참여하며, 타고난 미모를 무기로 상대에게 접근하는 색기 담당 역할도 많았다. 폐쇄 공포증이 있다.[27]
- 버니 콜리어: '콜리어 일렉트로닉스사' 사장으로, 전자·기계 공학 전문가이다. 작전에 필요한 특수 기재의 개발, 설계, 제작, 조작 등을 담당한다.
- 윌리 아미티지: 역도 전 세계 챔피언 출신으로, 괴력을 지녔으며 근육질이다. 주로 군인, 경찰관, 경비원, 운전사 등으로 변장하여 작전에 참여한다.
- 짐 펠프스: 2대 리더로, 이후 장기간 리더를 맡는다. 초대 리더와 마찬가지로 냉정하고 쿨하며, 실행 부대로서 많은 작전에 참여한다.
- 어메이징 파리스: 로랑 핸드를 대신하여 합류. 변장 등과 성대모사의 전문가. 도쿄에서의 작전에서는 가부키 배우로 변장하여 일본인도 속을 정도로 변장, 분장하여 일본어를 구사했다(시즌 5 제7화「「괴물」분쇄작전」).
- 더그 로버트: 의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 다나 람버트, 리사 케이시, 미미 데이비스: 여성 멤버들로 여성 특유의 역할로 분장하고, 미모를 최대 무기로 작전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리사 케이시는 변장의 명인이었다.
- 트레이시: 준 레귤러 여성 멤버로, 7개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4. 1. 기본 구성
각 에피소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4]대부분의 에피소드는 댄 브리그스(스티븐 힐 분) 또는 짐 펠프스(피터 그레이브스 분)가 임무를 설명하는 사진과 정보가 담긴 봉투와 함께 숨겨진 테이프 레코더(또는 축음기 레코드)를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4] 녹음은 거의 항상 "안녕, 브리그스/펠프스 씨."로 시작한다. (유일한 예외는 브리그스가 등장하지 않는 시즌 1 에피소드 "액션!(Action!)"으로, 시나몬 카터가 브리핑을 듣는다.) 테이프 메시지는 대개 "당신, 댄/짐은 이 임무를 수락할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임무의 목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제공한다. 결론 부분에서 청취자는 "언제나 그렇듯, 당신이나 당신의 IM 부대가 체포되거나 사망할 경우, 국무장관은 당신의 행동에 대해 일체 부인할 것입니다."라고 상기된다. 테이프의 지시는 로버트 클리블랜드 "밥" 존슨이 읽었다. 지시가 끝나면 펠프스/브리그스는 "이 테이프는 5초(또는 때때로 "10초") 후에 자동 소멸됩니다. 행운을 빕니다, 댄/짐."이라는 알림을 받는다. 테이프가 자동으로 파괴되면서 레코더에서 연기가 솟아오른다.
초기 에피소드 중 일부에서는 브리그스가 테이프에 화학 물질을 바르고 공기를 불어넣어 녹음을 파괴하는 반응을 유발하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이 방법은 비용 때문에 포기되었고, 그 효과는 레코더를 통해 연기를 통과시켜 재현되었다. "자동 소멸"이라는 단어는 적어도 1950년대부터 존재했지만,[5] 이 시리즈에 의해 대중화되어 마치 새로 발명된 것처럼 주장되기도 한다.[6]
몇몇 에피소드, 주로 시즌 1에서는 사진과 자동 소멸 테이프를 사용하는 임무 브리핑에서 벗어났다. 이 시리즈의 파일럿 에피소드에서는 밀봉된 플라스틱 봉투에 브리그스에게 전달된 축음기 레코드가 등장했는데, 공기에 노출되면 "봉인을 깬 지 1분 후에 분해"되었다. 다른 에피소드에 사용된 레코드는 빈티지 축음기에서 재생해야 했는데, 이 축음기는 브리핑이 완료되면 레코드를 너무 심하게 긁어 재생할 수 없도록 조작되어 있었다. 또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브리그스가 드라이브 인 영화관의 스피커를 통해 지시를 받았다. 몇몇 경우, 테이프는 청취자에게 직접 테이프를 폐기하라는 지시로 끝났다. 브리그스/펠프스는 테이프를 소각로 또는 기타 편리한 장치에 버려 파괴했다.
첫 해가 지난 후, 전체 시즌의 "테이프 장면"은 대개 나머지 에피소드 제작 전에 한꺼번에 촬영되었다. 음성 지시는 나중에 추가되었고, 출연진과 제작진은 어떤 에피소드에 어떤 테이프 장면이 등장할지 방송될 때까지 전혀 알지 못했다.
테이프 장면 다음에는 브리그스 또는 펠프스가 아파트에서 잠긴 서랍에서 대형 가죽 바인딩 폴더를 꺼내 이용 가능한 IMF 요원들의 자료를 확인하는 장면이 나온다. 브리그스/펠프스는 선택된 요원들의 자료를 커피 테이블에 던진다. 초기 시즌에는 선택된 요원들이 일반 팀이 갖지 못한 특정 기술을 가진 요원 역할을 하는 게스트 스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기 시즌에는 팀이 더 고정되어 레귤러 출연진으로 구성되었고 게스트 요원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었다. 세 번째 시즌에 이르러서는 파일 장면이 다소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져 게스트 요원을 소개할 필요가 있을 때만 등장했다. 파일 장면은 시즌 4에 여성 팀원이 없었기 때문에 자주 등장했다. 시즌 5부터는 완전히 삭제되었다.
파일럿 에피소드에서 녹음된 메시지는 팀 리더가 팀을 선택하는 데 무제한의 자원과 폭넓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오프닝 시퀀스의 세 번째 부분에서, 팀은 리더의 아파트에서 마지막 브리핑을 위해 모였다. 이 시리즈는 컬러로 촬영되었지만, 아파트는 흑백 및 회색 색상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카메라 밖에서는 흑백 방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아파트 장면은 예고편 역할을 했다. 팀원들은 임무의 성공적인 수행에 필요한 준비에 대해 모호하게 언급했지만, 대부분의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팀원들은 계획의 측면에 대해 질문하거나 대안이 고려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문하여 작가에게 plot holes, 플롯 구멍을 미리 설명할 기회를 제공했다. 펠프스는 요약할 때, 종종 그들이 수행하려는 행동의 어려움이나 임무가 완료되어야 하는 마감일과 같이 성공에 필수적인 계획의 핵심 요소를 강조했다.
제작진은 다섯 번째 시즌에 녹음기와 아파트 장면을 점차 없애고 서류 장면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 시즌이 끝날 무렵 테이프와 아파트 장면이 복원되었지만, 서류 장면은 시리즈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제거되었다. 1980년대 부활에서는 펠프스가 새로운 팀을 선택하는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서류 장면"이 복원되었지만, 동일한 팀이 후속 에피소드에 등장했기 때문에 다른 서류 장면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작전은 마지막 순간까지 이어졌다. 마지막에 자주 사용되는 극적인 장치는 IMF 팀이 도주하는 동안 목표가 그의 동료에 의해 살해될 때 멀리서 들리는 총성이나 비명 소리였다. 대부분은 특징 없는 패널 트럭을 타고 떠나며, 에피소드는 프리즈 프레임으로 끝난다.
지령 전달에 있어서, "당국"의 인간과 리더는 직접 만나지 않는다. 리더는 사전에 어떠한 연락 방법으로 전달받은 지령 전달 장소로 향한다. 그곳에 있는 사진을 보면서 레코드 또는 소형 오픈 릴 식 테이프 레코더 등에 녹음된 지령을 듣는다.[24] 지령은 "안녕, (리더의 성, 예를 들어 제1시리즈에서는) 브리그스 군"으로 시작하여, 마지막은 "예와 같이, 너, 혹은 너의 멤버가 체포되거나 살해당해도, 당국은 일절 관여하지 않으니 그럴 생각으로."로 끝난다. 지령이 끝나면 "덧붙여, 이 테이프 (또는 레코드나 디스크 등)는 자동으로 소멸한다. 건투를 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설치되어 있던 폭탄이 기폭되거나, 발화 장치가 작동하여 파괴된다. 예외로 소각 시설 옆이나 수면 등 테이프 처분이 용이한 장소에서 지령을 받는 경우, 리더에게 테이프 등 지령에 사용된 물품을 처분하도록 메시지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지령 없이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4. 2. 주요 특징
IMF 팀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교하고 복잡한 속임수를 사용한다. 이는 종종 심리 조작, 위조 문서, 가짜 방송 등을 포함한다.[2] 팀원들은 변장의 달인으로, 특수 분장과 연기를 통해 다른 인물로 위장하여 임무를 수행한다.[25] 특히 롤린 핸드는 마틴 보어만과 아돌프 히틀러 등 주요 나치 인물을 사칭하기도 했다.[2] IMF 팀은 당시로서는 첨단 기술에 해당하는 장비들을 사용한다. 이는 소형 카메라, 무선 통신 장비, 특수 제작된 도구 등을 포함한다.시리즈의 배경은 냉전 시대로, 주로 공산권 국가나 독재 국가를 상대로 임무를 수행한다.[2] 초기에는 루비앙카 감옥과 같이 철의 장막 뒤의 특정 장소가 언급되었고, 많은 표적들이 "유럽 인민 공화국"과 "동유럽 공화국"을 포함한 가상의 슬라브 국가의 지도자들로 나타난다. 또한 동유럽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냉전 외에도 제3세계 국가의 정치인과 독재자를 몰락시키는 임무도 맡았으며,[2] 1966년 당시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합법이었던 노예 제도("The Slave")와 아파르트헤이트("Kitara")와 같은 관행이 표적이 되기도 했다.
IMF 팀원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팀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댄 브릭스: 초대 리더로, 냉정하고 쿨한 성격이다. 변장 등을 통해 작전에 참여하며,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표적 인물과 원래 면식이 있었다는 등의 이유로 작전 실행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 로랑 핸드: 배우 출신으로 변장과 성대모사의 달인이다. 고무 재질의 페이스 마스크나 특수 분장을 활용하여 다양한 인물로 변장하여 상대를 속인다. 리더 대행을 맡기도 했다.
- 시나몬 카터: 전직 모델로, 간호사 자격증도 가지고 있다. 여성 특유의 다양한 역할로 변장하여 작전에 참여하며, 타고난 미모를 무기로 상대에게 접근하는 색기 담당 역할도 많았다. 폐쇄 공포증이 있다.
- 버니 콜리어: '콜리어 일렉트로닉스사' 사장으로, 전자·기계 공학 전문가이다. 작전에 필요한 특수 기재의 개발, 설계, 제작, 조작 등을 담당한다.
- 윌리 아미티지: 역도 전 세계 챔피언 출신으로, 괴력을 지녔으며 근육질이다. 주로 군인, 경찰관, 경비원, 운전사 등으로 변장하여 작전에 참여한다.
- 짐 펠프스: 2대 리더로, 이후 장기간 리더를 맡는다. 초대 리더와 마찬가지로 냉정하고 쿨하며, 실행 부대로서 많은 작전에 참여한다.
- 어메이징 파리스: 로랑 핸드를 대신하여 합류. 변장 등과 성대모사의 전문가.
- 더그 로버트: 의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 다나 람버트, 리사 케이시, 미미 데이비스: 여성 멤버들로 여성 특유의 역할로 분장하고, 미모를 최대 무기로 작전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리사 케이시는 변장의 명인이었다.
- 트레이시: 준 레귤러 여성 멤버이다.
|thumb|upright|right|린다 데이 조지(Lynda Day George)와 크리스토퍼 조지(Christopher George)가 1971년 《미션 임파서블》에 출연]]
5. 한국과의 관계
5. 1. 한국 방영
후지 TV 계열에서 첫 방송을 하였다.[36] 총 171화를 방송하였으며, 일본과 미국에서는 방영 순서가 다르다. 또한, 미국 내에서의 오리지널 버전 방송도 프로그램 촬영 순서가 아니다.[36] 오프닝 타이틀에서 "미션 임파서블"의 문자가 폭발하는 애니메이션은 일본어 더빙판에서의 연출이다. 때문에 근래의 소프트 버전 및 TV 방영에서는 영상은 미국판이기 때문에 영상과 효과음이 맞지 않아 폭발음만 부자연스럽게 울린다. 오프닝 타이틀에서의 나레이션(목소리: 오야마다 무네노리)은 "미션 임파서블, 실행 불가능한 지령을 받아, 두뇌와 체력의 한계를 다해, 이를 수행하는 프로페셔널들의 비밀 기관의 활약이다".[36] 일본어 더빙판에서는, 프로그램 초반에 지령을 받고, 리더가 작전 참가 멤버를 파일에서 선택하는 장면에서, 리더 자신이 작전의 개요를 이야기하고 있는(나레이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리지널 버전에는 작전 개요의 이야기(나레이션)는 들어 있지 않다.[36]일본어 더빙판 제작 스탭은 다음과 같다.
- 연출: 우치이케 모치히로, 아사히야 요
- 번역: 야마다 미노루
- 제작: 도호쿠 신샤
5. 2. 한국 관련 에피소드 또는 내용
6. 평가 및 영향
6. 1. 수상 경력
《미션 임파서블》은 에미상, 골든 글로브상, 에드거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연도 | 부문 | 후보 | 에피소드 | 결과 |
---|---|---|---|---|
1967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조셉 간트만 및 브루스 겔러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 마틴 랜도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 바바라 베인 | |||
드라마 부문 최우수 각본 | 브루스 겔러 | "파일럿" | ||
영화 및 사운드 편집 부문 개인 업적상 | 폴 크라스니 및 로버트 와츠 | |||
음악 부문 개인 업적 – 작곡 | 랄로 시프린 | |||
1968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조셉 간트만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 마틴 랜도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 바바라 베인 | |||
드라마 부문 최우수 연출 | 리 H. 카츠린 | "살인" | ||
드라마 부문 최우수 각본 | 앨런 발터 및 윌리엄 리드 우드필드 | "봉인" | ||
미술 감독 및 무대 디자인 부문 최우수 업적 | 빌 로스 | "어제의 메아리" | ||
영화 편집 부문 최우수 업적 | 데이비드 웨이즈 | "사진사" | ||
로버트 와츠 | "배신자" | |||
음악 작곡 부문 최우수 업적 | 랄로 시프린 | "봉인" | ||
개인 업적 특별 분류 | 조셉 G. 소로킨 | "생존자" | ||
1969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브루스 겔러 | ||
최우수 드라마 프로그램 | 앨런 발터 및 윌리엄 리드 우드필드 | "처형"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 피터 그레이브스 | |||
마틴 랜도 | ||||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 바바라 베인 | |||
시리즈 부문 남우조연상 | 그렉 모리스 | |||
미술 감독 및 무대 디자인 부문 최우수 업적 | 루시앙 하플리 및 빌 로스 | "벙커" | ||
음악 작곡 부문 최우수 업적 | 랄로 시프린 | "후계자" | ||
1970 | 드라마 부문 남우조연상 | 그렉 모리스 | ||
드라마 프로그램 또는 장편 영화를 위한 미술 감독 또는 무대 디자인 부문 최우수 업적 – 시리즈 또는 특집 프로그램의 단일 프로그램 | 루시앙 M. 하플리 (세트 장식) 및 깁슨 홀리 (미술 감독) | |||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래밍 촬영 부문 최우수 업적 – 시리즈 또는 시리즈의 단일 프로그램 | 알 프란시스 | |||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래밍 영화 편집 부문 최우수 업적 – 시리즈 또는 시리즈의 단일 프로그램 | 아서 데이비드 힐튼 | |||
영화 사운드 믹싱 부문 최우수 업적 | 고든 L. 데이 및 도미니크 개피 | |||
창의적인 기술 공예의 모든 분야에서 최우수 업적 | 조니 버크 (특수 시각 효과) | |||
1971 | 영화 사운드 편집 부문 최우수 업적 | 돈 크로스비, 더글러스 H. 그린드스타프, 조 카비간, 척 페리 및 프랭크 화이트 | ||
메이크업 부문 최우수 업적 | 로버트 던 | |||
1972 | 드라마 부문 남우조연상 | 그렉 모리스 | ||
드라마 프로그램 또는 텔레비전을 위해 제작된 장편 영화, 시리즈의 단일 프로그램 또는 특집 프로그램을 위한 미술 감독 또는 무대 디자인 부문 최우수 업적 | 루시앙 M. 하플리 (세트 장식) 및 깁슨 홀리 (미술 감독) | |||
1973 |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계속) | 린다 데이 조지 | ||
드라마 프로그램 또는 텔레비전을 위해 제작된 장편 영화, 시리즈의 단일 프로그램 또는 특집 프로그램을 위한 미술 감독 또는 무대 디자인 부문 최우수 업적 | 루시앙 M. 하플리 (세트 장식) 및 깁슨 홀리 (미술 감독) |
연도 | 부문 | 후보 | 결과 |
---|---|---|---|
1968 | TV 시리즈 – 드라마 | ||
TV 시리즈 – 드라마 남우주연상 | 마틴 랜도 | ||
TV 시리즈 – 드라마 여우주연상 | 바바라 베인 | ||
1969 | TV 시리즈 – 드라마 남우주연상 | 피터 그레이브스 | |
1970 | TV 시리즈 – 드라마 남우주연상 | 피터 그레이브스 | |
1971 | TV 시리즈 – 드라마 남우주연상 | 피터 그레이브스 | |
TV 부문 여우조연상 | 레슬리 앤 워렌 | ||
1972 | TV 시리즈 – 드라마 여우주연상 | 린다 데이 조지 | |
- 최우수 TV 시리즈 에피소드 - 제롬 로스, "Operation Rogosh"로 1967년 수상
- 미션 임파서블(작품)
- * 1967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 * 1968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 * 1968년: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 브루스 겔러 (각본)
- * 1967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각본상 (「핵탄두를 탈취하라」)
- 랄로 시프린 (작곡)
- * 1968년: 그래미상 영화·텔레비전 사운드트랙 부문
- 바바라 베인 (시나몬 역)
- * 1967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 * 1968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 * 1969년: 에미상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 마틴 랜도 (로란 역)
- * 1968년: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 피터 그레이브스 (짐 역)
- * 1971년: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6. 2.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미션 임파서블》은 첩보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후 수많은 영화, 드라마, 게임 등에 영향을 미쳤다.[3] 특히, 오프닝 시퀀스의 도화선 장면과 5/4 박자의 주제곡은 대중문화에서 널리 패러디되거나 차용되었다.[8]타이틀 시퀀스는 도화선에 불이 붙는 장면으로 시작되었는데, 이는 현재도 시리즈 텔레비전에서 매우 드문 방식이다.[3] 성냥을 든 손은, 6번째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제작자 브루스 겔러의 것이었다. 리바이벌 시리즈에서는, 그 손은 성냥을 들고 있는 모습이 보여진 피터 그레이브스의 것이었다.[3]
메인 테마는 랄로 시프린이 작곡했으며, 5/4 박자로 유명하다.[8] 시프린은 특이한 박자에 대해 "사람들은 두 다리로 춤을 추기 때문에 2/4 박자나 4/4 박자를 사용한다. 나는 다섯 다리를 가진 외계인을 위해 이 곡을 썼다."라고 농담했다.[8] 작곡가 랄로 시프린(Lalo Schifrin)은 이 시리즈를 위해 여러 독창적인 곡을 썼으며, 메인 오프닝 시퀀스의 시각적인 컷은 (특이하게) 5/4 박자로 쓰인 주제곡의 비트와 마디에 맞춰졌다.[8]
시프린은 첫 번째 시즌의 음악 작업으로 제10회 그래미상에서 두 개의 그래미를 수상했다.[10]
일본에서는 텔레비전, 라디오 프로그램 등에서 "작전" 등을 실행하는 듯한 이미지의 장면 등에서, 《스파이 대작전》의 주제 음악이 사용되거나, 오프닝 영상에서 도화선에 성냥으로 불을 붙이는 영상을 모방한 영상이 사용되기도 한다.
6. 3. 영화 시리즈
1970년대 초, 시즌 2의 2부작 에피소드인 ''The Council''은 ''미션 임파서블 vs. 마피아''(Mission: Impossible vs. the Mob)라는 제목의 장편 영화로 유럽의 영화관, 극장, 시네마에 배급되었다. 이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장편 영화는 1978년에 처음 제안되었으며, TV용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 이것은 1980년대 동안의 여러 시도 중 첫 번째였지만, 장편 영화 제작은 실현되지 않았다.이후, 에단 헌트 역의 톰 크루즈가 출연하고 제작한 7편의 장편 영화가 개봉되었으며, 한 편이 더 제작될 예정이다.
- ''미션 임파서블'' (1996)
- ''미션 임파서블 2'' (2000)
- ''미션 임파서블 3'' (2006)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 (2023)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투'' (2025)
원작 시리즈에서 짐 펠프스 역을 맡은 피터 그레이브스는 이 영화들의 첫 번째 작품에서 조연으로 출연하며, 존 보이트가 연기했다. 다른 영화들에는 텔레비전 시리즈의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는다.
2000년대 초, ''미션 임파서블''은 파라마운트 픽쳐스의 유일한 성공적인 프랜차이즈였다.[17]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How Lucille Ball Made STAR TREK Happen
http://badassdigest.[...]
[2]
논문
Mission Impossible: The CIA and the Cult of Covert Action in the Middle East
http://www.blackwell[...]
2004-11
[3]
간행물
25 Classic TV Title Sequences
https://ew.com/galle[...]
[4]
웹사이트
The Mission: Impossible Tape Scenes
http://www.mjq.net/m[...]
[5]
OED
self-destruct (verb)
[6]
웹사이트
self-destruct
https://www.etymonli[...]
2019-05-27
[7]
뉴스
"2 Successful Series Out."
The Atlanta Constitution
1973-04-22
[8]
간행물
They Shot, He Scored
https://ew.com/artic[...]
2024-01-06
[9]
서적
Music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
Hal Leonard
2011
[10]
웹사이트
1967 Grammy Awards
http://www.grammy.co[...]
2012-03-07
[11]
MusicBrainz
[12]
웹사이트
La-La Land Records on Twitter
https://twitter.com/[...]
[13]
웹사이트
MeTV Network – Shows
http://metvnetwork.c[...]
[14]
웹사이트
Mission: Impossible
http://www.cbs.com/s[...]
[15]
웹사이트
Mission: Impossible DVD news: Announcement for Mission: Impossible – The Complete Television Collection
http://www.tvshowson[...]
TVShowsOnDVD.com
2013-05-11
[16]
웹사이트
Mission: Impossible DVD news: Announcement for The Complete Original Television Series – TVShowsOnDVD.com
http://tvshowsondvd.[...]
[17]
논문
'“More Than Meets the Eye”: Transformers and the Complexities of Franchise Film Production in Contemporary Hollywood'
2015
[18]
Citation
Mission: Impossible Invades Facebook with New Ghost Protocol Game Tie-In
http://www.gamerlive[...]
Gamer live
2011-11-24
[19]
Citation
Adventure International
http://www.if-legend[...]
If legends
[20]
뉴스
The History of... Impossible Mission
Imagine Publishing
2013-12
[21]
웹사이트
Mission: Impossible (1967) – Comic Book DB
http://comicbookdb.c[...]
[22]
웹사이트
Mission Impossible (1996) – Comic Book DB
http://comicbookdb.c[...]
[23]
웹사이트
イントロダクション
https://paramount.jp[...]
Paramount Japan
[24]
문서
第2シリーズ以降フェルプス君
[25]
문서
第2シーズン第21話「第三の町」など。
[26]
문서
第1シーズン第23話「偽造フィルムを暴露せよ」で、リーダー役の俳優が出演しないため。誰が作戦を立て人選をしたのかは不明。作戦中のリーダーはローラン。
[27]
문서
第3シーズン第12話「スパイ交換作戦」。
[28]
문서
VHS「厳選 スパイ大作戦」で第2シーズン以降の一部エピソードの日本語吹替がパッケージ化された際にオリジナルキャスト([[若山弦蔵]]と[[山東昭子]]を除く。ゲスト側も可能な限り当時と同じ声優を起用)で追加吹替が行われた。DVD化された際は、第1シーズンではVHSで不参加だった若山も含めてオリジナルキャストでの追加吹替が行われたが、第4シーズン以降はほぼ全員が代役に切り替わっている。
[29]
문서
宗教上の理由から金曜日夜間の撮影に参加できないという制約があり、指示の受取から作戦の立案までしか姿を見せない、あるいは全く登場しないエピソードが一部存在する。詳細は「[[スティーヴン・ヒル]]」の項目を参照。
[30]
문서
第1シーズンにはゲスト扱いでクレジットされているが、実際にはほとんどの話に出演しており、第2シーズンから正式にレギュラー扱いになった。
[31]
문서
第4シーズン以降
[32]
문서
準レギュラーとして、7エピソードに出演。
[33]
문서
プライベートでの出産に伴う休暇のため、第7シーズンは一時出演していない。
[34]
문서
リサ役のリンダ・デイ・ジョージの出産に伴う休暇のため、代役で出演。
[35]
문서
第1シーズンなど一部用語の差し替えを中心に追加収録が行われた。第4シーズン以降は代役が担当
[36]
뉴스
日本テレビ系列である青森放送では日曜日22:30から、TBS系列である岩手放送では金曜日22:30からそれぞれ放送
東奥日報, 河北新報
2015-08-06
[37]
문서
放送当時の日本語吹き替えの音声のみ収録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