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르주 오귀스트 쿠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주 오귀스트 쿠통은 프랑스 혁명 시기의 정치인으로, 공포 정치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1755년 오베르뉴에서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 1791년 입법 의회 대의원을 거쳐 국민 공회에 선출되었다. 자코뱅 클럽에 가입하여 급진적인 정치 노선을 따랐으며, 로베스피에르, 생 쥐스트와 함께 몽테뉴파를 이끌었다. 공안위원회 서기로 임명되어 리옹 반란 진압에 참여했으나, 테르미도르의 반동으로 체포되어 1794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견의원 - 폴 바라스
    폴 바라스는 프랑스 혁명기에 자코뱅파로 활동하다 테르미도르 반동을 주도하여 총재 정부를 수립했지만, 나폴레옹의 등장으로 몰락한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파견의원 - 조제프 푸셰
    프랑스 혁명부터 왕정 복고 시대까지 권력의 핵심에서 활동한 정치가이자 경찰 장관 조제프 푸셰는 뛰어난 정보력과 정치적 수완으로 '정치적 카멜레온'이라 불렸으며, 리옹 반란 진압 당시 잔혹한 처형으로 악명을 얻기도 했지만 나폴레옹의 신임을 받아 프랑스 사회의 안정을 도모했다.
  •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 1793년 프랑스 헌법
    1793년 프랑스 헌법은 프랑스 혁명기에 국민공회에서 채택된 프랑스 최초의 공화정 헌법으로, 인민주권, 직접 민주주의적 요소, 보통선거권을 포함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프랑스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 공포 정치
    공포 정치는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으로, 혁명 지도자들이 내전과 반혁명에 맞서 공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했으며, 많은 사람들의 처형과 과도한 폭력으로 비판받다가 로베스피에르의 몰락과 함께 종식되었다.
  • 국민공회 의장 -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는 프랑스 혁명 시기 사상가이자 정치가로,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를 저술하고 국민의회 의원, 총재 정부 집정관 등을 역임했으며,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를 통해 나폴레옹의 집권을 도왔다.
  • 국민공회 의장 - 라자르 카르노
    라자르 카르노는 프랑스 혁명 시기 공안위원회에서 징병제를 통해 혁명군을 강화하고 "승리의 조직자"로 불렸으며, 수학, 물리학, 공학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한 수학자, 물리학자, 공학자, 정치가이자 군인이다.
조르주 오귀스트 쿠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랑수아 본빌 – 조르주 쿠통의 초상화 (1755-1794), 국민 공회 의원 - P16 - 카르나발레 박물관
프랑수아 본빌이 그린 조르주 쿠통의 초상화 (1790년 추정)
이름조르주 오귀스트 쿠통
출생일1755년 12월 22일
출생지오르세, 프랑스 왕국
사망일1794년 7월 28일
사망지혁명 광장, 파리, 프랑스 제1공화국
국적프랑스
정당산악파
서명Couthon signature, French politician during the French Revolution.jpg
공직
공안위원회 위원임기 시작: 1793년 7월 10일
임기 종료: 1794년 7월 28일
국민 공회 의장임기 시작: 1793년 12월 21일
임기 종료: 1794년 1월 5일
이전: 장 앙리 불랑
다음: 자크 루이 다비드
국민 공회 대의원임기 시작: 1792년 9월 20일
임기 종료: 1794년 7월 10일
지역구: 퓌드돔주
다음: 질베르 아마블 주르드
기타 정보
직업변호사

2. 생애

퓌드돔 주 오르세트 마을 출신으로, 1785년 클레르몽페랑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그는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사회 봉사에 힘써 주변으로부터 정직하고 자비로운 사람이라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몸이 약해 두 다리가 마비되어 휠체어 생활을 해야 했다.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초기에는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는 자유주의자로서 활동했으며, 1791년 입법 의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11] 이후 자코뱅 클럽에 가입하여 점차 급진적인 노선을 따랐고,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생 쥐스트와 함께 공포 정치를 이끄는 핵심 인물이 되었다. 1794년 테르미도르의 반동으로 로베스피에르 등과 함께 체포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혁명 이전 활동

1755년 12월 22일 오베르뉴 지방 오르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공증인이었고 어머니는 상점 주인의 딸이었다. 쿠통의 가족은 대대로 하층 부르주아 계급에 속했다.[4] 아버지의 뒤를 이어 법률을 공부하여 1785년 퓌드돔 주 클레르몽페랑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는 공증인으로 활동하며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병원과 자선 사업을 옹호하는 등 사심 없이 사회에 봉사하여, 주변으로부터 정직하고 자비로운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었다.[6]

1780년경 쿠통의 휠체어, 카르나발레 박물관, 파리


그러나 쿠통은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관절 문제를 겪었다. 그의 건강 상태는 1782년부터 심각하게 악화되기 시작하여 1791년에는 지팡이를 사용해야 했고, 1793년에는 완전히 휠체어에 의존하게 되었다.[7] 1792년 의사들은 그에게 수막염 진단을 내렸지만, 쿠통 자신은 젊은 시절의 잦은 성관계가 마비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8][9] 그는 광천수 목욕으로 상태를 호전시키려 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결국 손으로 바퀴를 돌리는 휠체어 없이는 생활하기 어렵게 되었다.[8][9]

1786년 12월 11일, 그는 클레르몽의 산모리스 랏지에 가입하여 프리메이슨의 일원이 되었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1790년 클레르몽페랑에서 가입했다고도 한다.[10]) 그는 클레르몽페랑의 문학 단체에서 활동하며 "인내"라는 주제에 대한 토론으로 명성을 얻기도 했다.[10] 1787년에는 오베르뉴 지방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첫 정치 경험을 쌓았다.[4] 같은 해 마리 브루네와 결혼하여 첫 아들 앙투안을 얻었고, 1790년에는 둘째 아들 이폴리트가 태어났다.[5]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클레르몽 지방 자치 단체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L'Aristocrate converti프랑스어를 발표했다. 이 글에서 그는 스스로를 자유주의자이자 입헌군주제 지지자라고 밝혔다. 그의 정치적 열망은 1791년 퓌드돔을 대표하는 입법 의회 대의원으로 선출되는 결과로 이어졌다.[11]

2. 2. 프랑스 혁명과 정치 활동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클레르몽 지방 자치 단체의 일원이었던 쿠통은 'L' Aristocrate converti'라는 글을 발표하며 자신을 자유주의자이자 입헌군주제 지지자라고 밝혔다. 그는 1786년 12월 11일 클레르몽의 산모리스 랏지에서 프리메이슨에 가입했고,[10] 1787년에는 오베르뉴 지방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정치 경험을 쌓았다.[4]

1791년, 쿠통은 클레르몽 법원의 재판장이 되었고, 같은 해 9월 퓌드돔을 대표하는 입법 의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파리로 갔다.[11] 그는 파리의 자코뱅 클럽에 가입했으며, 초기에는 의회 내 좌익에 속했으나 급진주의자들과는 거리를 두려 했다.[12] 그는 능숙한 연설가로도 알려졌다.[13] 국왕 루이 16세 일가의 바렌 도주 사건 이후 그의 정치적 입장은 점차 과격해져 부르봉 왕가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냈다.

1792년 9월, 쿠통은 국민 공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처음에는 어느 파벌에 속할지 망설였고,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장군과 교류하며 한때 지롱드당 합류를 고려하기도 했다.[14] 그러나 헌법 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지롱드파에 의해 배제된 후, 그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를 중심으로 한 몽테뉴파(산악파)에 완전히 합류했다. 쿠통은 루이 16세 재판에서 국민 투표 실시에 반대하고 항소 없는 사형에 찬성표를 던지며[15] 몽테뉴파 내 입지를 굳혔다. 이후 로베스피에르, 생 쥐스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몽테뉴파의 주요 인물이자 로베스피에르의 측근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특히 로베스피에르와 종교관을 공유하며 최고 존재의 제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793년 5월 30일, 쿠통은 공안위원회의 서기로 임명되었다. 그는 생 쥐스트 등과 함께 1793년 프랑스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16] 위원회 임명 사흘 뒤에는 지롱드파 의원들의 체포를 처음으로 요구하는 등[17] 공포 정치를 주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선천적인 질병으로 두 다리가 마비되어 정치 활동 내내 휠체어를 사용해야 했다.[7][8][9]

2. 3. 리옹 반란 진압

BOYER 607 - 조르주 쿠통


1793년 5월 30일, 쿠통은 공안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 당시 리옹에서는 2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불안이 커지고 있었고, 결국 7월 5일 국민공회는 리옹 시를 "반란 상태"로 규정했다.[18]

8월, 쿠통은 반혁명적인 움직임을 보인 리옹으로 파견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도시 포위를 강화하기 위해 국민 개병 제도를 정비하고, 뒤부아-크랑세가 6만 명의 병력을 모아 리옹을 포위한 상황을 감찰했다. 또한,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아시냐(assignats, 프랑스 혁명 당시 발행된 지폐)를 판매하는 사람에게 20년 동안 쇠사슬에 묶여 감옥에 가두는 법을 시행했다.[20] 9월 8일에는 외국에 투자하는 행위를 사형에 처하는 법을 추가로 시행했다.[20] 9월까지 공안위원회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쿠통을 포함한 대표를 리옹에 파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8]

10월 9일, 리옹은 항복했고 쿠통은 대표로서 도시에 도착했다. 그는 불안한 분위기를 감지하고 봉기를 우려하여 지역 자코뱅들이 서로 만나는 것을 금지했다.[19] 10월 12일, 공안위원회는 리옹을 본보기로 삼기 위해 도시 파괴를 명령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결의안은 리옹에서 가장 부유한 집들을 철거하고 반역자와 배반자를 처형하도록 규정했으며, 쿠통은 이를 위해 특별 법정을 설치했다. 다만 가난한 사람들의 집은 남겨두도록 했다.[21]

그러나 쿠통은 리옹의 완전한 파괴를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재산 파괴 명령을 적극적으로 실행하지는 않았다.[22] 결국 그는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고, 공안위원회는 10월 말 그를 대체할 인물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23] 11월 3일, 쿠통은 장마리 콜로 도르부아와 조제프 푸셰 등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콜로 도르부아 등이 주도하여 리옹의 파괴는 철저하게 이루어졌고, 공화주의자들의 잔혹 행위가 시작되어 1794년 4월까지 1,880명의 리옹 시민이 처형되었다.[24]

2. 4. 프레리알 22일 법과 공포정치

리옹에서 파리로 돌아온 쿠통은 1793년 12월 21일에 국민공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794년 3월에는 에베르파당통파(관용파)의 기소를 도왔다. 이 시기 생쥐스트와 로베스피에르의 노선에 대한 그의 입장은 명확하지 않지만, 기소와 처형에는 동의했다.[25] 이후 몇 달간 공안위원회에서 활동을 계속했다.

삼두정치 (왼쪽부터) 생쥐스트, 로베스피에르, 쿠통


1794년 6월 10일(프랑스 공화력 2년 프레리알 22일), 쿠통은 로베스피에르의 도움을 받아 프레리알 22일 법(통칭 "공포 정치법") 초안을 작성했다. 이 법은 혁명 재판소의 재판 절차를 간소화한다는 명분 아래, 피고인이 변호사의 도움을 받거나 변호를 위한 증인을 내세울 권리를 박탈했다.[26] 혁명 재판소는 피고인에게 무죄 또는 사형 판결만을 신속하게 내리도록 지시받았다. 이 법은 지방에서 진행되던 즉흥적인 재판과 처형에 대한 사법 절차 표준화의 필요성이라는 명분도 있었다.

쿠통은 이 법안을 공안위원회의 다른 위원들과 상의 없이 제안했는데, 쿠통과 로베스피에르 모두 위원회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27] 국민공회는 이 조치에 반대했지만, 쿠통은 "자유로운 사회의 존재가 위협받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 범죄가 일반 범죄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주장하며 법안을 정당화했다. 그는 또한 "유죄는 그러한 권리가 없고, 무죄는 어떤 권리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며 변호인 선임권 박탈을 정당화했다.[28] 로베스피에르는 쿠통을 지원하며, 이 법안에 반대하는 의원은 공화국에 대한 반역자로 드러날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암시했다.[29] 콜로 다르부아, 푸셰, 탈리앵 등은 지방에서 혁명 정부에 대한 반대를 진압하면서 저지른 군사적 과잉 행위 때문에 자신들의 안위를 걱정했다.[30] 거의 모든 대표가 위험을 느꼈고, 쿠통은 동료들에 대한 "조치에 참여한 것으로 의심받기보다는" 사임하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31]

테르미도르 반동


프레리알 22일 법이 통과되자 파리의 처형률은 급격히 증가했다. 법 통과 두 달 전(제르미날)에는 하루 평균 5건의 처형이 있었으나, 프레리알 동안에는 매일 17건, 다음 달인 메시도르에는 매일 26건으로 늘어났다.[32] 법이 제정된 1794년 6월 10일부터 7월 말까지 나시옹 광장(당시 플라스 드 트론-랑베르세)에서 1,515건의 처형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1793년 3월부터 1794년 8월까지 발생한 총 2,639건의 처형 중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33] 이 법률로 인해 자코뱅 산악파에 의한 공포 정치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공포 정치의 강화와 함께 많은 의원들이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반감을 품게 되었다. 결국 산악파 독재 타도를 목표로 하는 테르미도르의 반동이 발발했다. 쿠통은 사전에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남프랑스행 계획을 취소하고 파리에 머물렀다. 예상대로 그는 로베스피에르, 생쥐스트와 함께 공포 정치의 삼두정치 일원으로 비난받고 체포되었다. 한때 파리 시청으로 도피했으나, 다시 습격당했을 때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계단에서 굴러떨어져 재체포되었다. 결국 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2. 5. 테르미도르 반동과 죽음

1794년 7월 28일 단두대로 향하는 쿠통, 비방 드농의 스케치


쿠통은 공포 정치를 이끄는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 1793년 12월 21일 국민공회 의장으로 선출된 후, 자코뱅 좌파인 에베르파와 우파인 당통파의 숙청에 기여했으며, 이후 프레리알 22일 법 제정을 주도했다. 이 법은 혁명 재판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여 증언만으로도 체포가 가능하게 만들었고, 이는 공포 정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공포 정치가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국민공회 내에서는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반감이 점차 커져갔다. 테르미도르 반동의 움직임을 감지한 쿠통은 남프랑스로 가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로베스피에르와 함께 죽거나 승리하기 위해" 파리에 남기로 결심했다고 전해진다.

위기는 로베스피에르가 건강 문제 등으로 약 한 달간 정치 무대에서 물러나 있다가 복귀하면서 최고조에 달했다. 그는 복귀 연설에서 추가적인 숙청의 필요성을 암시했지만, 구체적인 대상은 언급하지 않아 공회 의원들의 불안과 공포를 자극했다. 결국 테르미도르 9일(1794년 7월 27일), 자신들의 안위를 걱정한 의원들은 로베스피에르, 쿠통, 생쥐스트,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 등 로베스피에르파 핵심 인물들의 체포를 결의했다.[34] 쿠통은 로베스피에르, 생쥐스트와 함께 공포 정치의 3두정으로 지목되어 집중적인 비난을 받았다.

체포된 쿠통 등은 잠시 지지자들의 도움으로 풀려나 파리 시청으로 피신했지만, 곧 폴 바라스가 이끄는 공회군에게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쿠통은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계단에서 굴러떨어져 중상을 입은 채 다시 체포되었다.

다음 날인 테르미도르 10일(7월 28일), 쿠통은 로베스피에르, 생쥐스트 등 21명과 함께 혁명광장(현 콩코르드 광장)의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선천적인 하반신 마비로 인해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했던 쿠통은 단두대 판에 몸을 고정시키는 데만 15분이 걸렸으며, 극심한 고통 속에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진다.[35]

3. 유산과 평가

조르주 쿠통의 흉상, 다비드 도제르 (1844).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쿠통은 초기의 우유부단한 모습에서 벗어나 점차 확고한 신념을 가진 입법자로 변모해갔다. 리옹에서의 활동과 더불어, 그의 가장 지속적인 유산은 아마도 프레리알 22일 법의 제정과 이 법으로 인해 급증한 처형자 수일 것이다. 쿠통이 주도하여 통과시킨 이 법령 이후, 처형 건수는 1794년 초 134명에서 같은 해 6월과 7월 두 달 사이에만 1,376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프레리알 22일 법은 피고인이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증인을 부를 권리를 박탈함으로써, 혁명 재판소가 귀족성직자 계층을 더욱 강하게 탄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실제로 1794년 6월과 7월에 처형된 희생자 중 38%는 귀족, 26%는 성직자 출신이었다. 또한 희생자의 절반 이상은 부유한 부르주아 계급에 속했다. 결과적으로 쿠통의 법 제정은 파리에서의 처형 속도를 현저히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4. 대중 문화에서의 등장


  • 『나폴레옹 - 사자의 시대 -』(하세가와 테츠야): 로베스피에르의 측근으로 묘사되는 점은 사료를 따랐지만, 외형은 노인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테르미도르 반동 장면에서는 갑자기 현실과 동떨어진 전투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어, 휠체어에 대포 등의 무기를 장착하고 폴 바라스가 이끄는 병사들과 싸우는 모습으로 나온다. 그의 최후는 사료와 달리 처형이 아니라, 바라스와 함께 자폭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참조

[1] 서적 The Fall of Robespierre: 24 Hours in Revolutionary Pa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6-10
[2] 웹사이트 Fall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www.worldhis[...]
[3] 서적 I segreti della Massoneria in Italia dalla prima Gran Loggia alla P2 Newton Compton Editori
[4] 논문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Georges Auguste Couthon."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1930-09
[5] 웹사이트 Family tree of Georges COUTHON https://en.geneastar[...]
[6] 서적 Twelve Who Ruled: The Year of the Terror in the French R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논문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Georges Auguste Couthon."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1930-09
[8] 서적 Twelve Who Ruled
[9] 웹사이트 Fauteuil de Georges Couthon http://www.carnavale[...] 2013-07-05
[10] 서적 Twelve Who Ruled
[11] 간행물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12] 간행물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13] 간행물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14] 간행물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15] 간행물 "The Evolution of a Terrorist,"
[16] 간행물 Couthon as a Member of the Great Committee of Public Safety, 1793-1774 https://books.google[...]
[17] 서적 The Terror: The Merciless War for Freedom in Revolutionary France Farrar, Straus and Giroux
[18] 논문 "Silk Weavers and the Social Struggle in Lyon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1789–94," French Historical Studies 1981-Spring
[19] 간행물 "Silk Weavers,"
[20] 웹사이트 FIAT MONEY INFLATION IN FRANCE How It Came, What It Brought, and How It Ended by A.D. White, p. 48 https://cdn.mises.or[...] 2022-10-30
[2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23] 간행물 "The Repression of Lyon 1793-4: Origins, Responsibility and Significance."
[2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25] 간행물 Couthon as a Member of the Great Committee of Public Safety, 1793-1774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The Law of 22 Prairial Year II (10 June 1794)," http://chnm.gmu.edu/[...] George Mason University 2012-01-23
[2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28] 웹사이트 Compte Rendu Mission d'information sur les questions mémorielles http://www.assemblee[...]
[29] 서적 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Vintage Books
[30] 웹사이트 "The Law of Prairial and the Great Terror (Fall, year IV)" http://www.marxists.[...] Marxists.org
[31] 간행물 Robespierre
[32] 서적 Citizens
[3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34] 서적 The Longman Companion to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Publishing Group
[35] 서적 Romances of the French Revolution William Heinemann
[3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French R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