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콘도티에로로, 1498년 포를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용병 부대를 이끌며 교황 레오 10세에게 고용되었고, 우르비노 전쟁과 코냐크 동맹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레오 10세 사망 후 검은색 줄무늬를 휘장에 추가하여 '검은 부대의 조반니'라는 별칭을 얻었다. 1526년 전투 중 부상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콘도티에로 시대의 종말을 상징했다. 그의 아들은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1세이며, 후손들은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왕족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8년 출생 - 정언각
    정언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33년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정미사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여러 도의 관찰사를 지냈다.
  • 1498년 출생 - 미라 바이
    미라 바이는 크리슈나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을 노래한 인도의 시인이자 성자로, 라지푸트 왕족 출신으로 메와르 왕가의 며느리가 되었으나 남편과 시아버지의 죽음 후 크리슈나 신앙에 귀의하여 시를 짓고 노래하며 바크티 운동의 정신을 보여주었다.
  • 포를리 출신 - 알리체 (가수)
    알리체는 이탈리아의 가수로, 1971년 데뷔하여 1981년 산레모 가요제에서 우승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프랑코 바티아토와 협력하여 음악적 스타일을 구축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도 참가했다.
  • 포를리 출신 - 로마노 무솔리니
    로마노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아들이며, 앨범 발매와 회고록 출판을 했고, 배우 마리아 시콜로네와 카를라 마리아 푸치니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2006년에 사망했다.
  • 1526년 사망 - 러요시 2세
    러요시 2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로, 1516년 즉위 후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여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에 영토를 빼앗기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 1526년 사망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본명루도비코 디 조반니 데 메디치
출생일1498년 4월 6일
출생지이탈리아 포를리
사망일1526년 11월 30일
사망지이탈리아 만토바
배우자마리아 살비아티
자녀코시모 1세 데 메디치
가문메디치 가문
아버지조반니 데 메디치 일 포폴라노
어머니카테리나 스포르차
이탈리아어 이름Giovanni dalle Bande Nere
이미지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의 초상화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의 초상화, 우피치 미술관 소장
직업
직업콘도티에로

2. 생애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는 1498년 이탈리아 북부 포를리에서 조반니 일 포폴라노와 카테리나 스포르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카테리나 스포르차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유명한 여성이었다.

어릴 때부터 신체 활동에 뛰어났으며, 특히 승마, 검술 등 무술에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12세에 첫 살인을 하고, 13세에 16세 소년 강간 사건에 연루되는 등 난폭한 행동으로 피렌체에서 두 번 추방되기도 했다.

교황 레오 10세의 고용으로 콘도티에로(용병대장)가 된 그는 우르비노 전쟁을 이끌었고, 기동전에 특화된 용병 회사를 조직하여 척후와 기습에 능했다. 마르케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하고, 바프리오다다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쌓았다.

교황 레오 10세가 사망하자, 조반니는 애도의 뜻으로 자신의 휘장에 검은색 줄무늬를 추가하여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검은 부대의 조반니)'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 군대에 고용되어 카프리노베르가마스코에서 프랑스군과 스위스군을 격파했다.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된 줄리오 데 메디치는 조반니의 빚을 갚아주는 대신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측에 가담할 것을 요구했다.

코냐크 동맹 전쟁에서 조반니는 포강과 민치오강 합류 지점에서 란츠크네흐트 후위 부대를 격파하는 활약을 펼쳤으나, 고베르놀로 인근 전투에서 팔코네트 포탄에 맞아 부상당했다. 만토바로 옮겨져 다리 절단 수술을 받았지만, 패혈증으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1526년 11월 30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조반니는 이탈리아 북부 도시 포를리에서 조반니 일 포폴라노[7]와 카테리나 스포르차의 아들로 태어났다. 카테리나 스포르차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의 가장 유명한 여성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유아기 때 루도비코 데 메디치라는 이름을 받았으나, 1498년 9월 아버지 조반니 일 포폴라노가 사망하자 어머니가 조반니 데 메디치로 개명하였다.

우피치에 있는 그의 조각상.


그는 성장하면서 육체 활동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특히 승마와 검술 등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12살에 첫 살인을 저지르고, 13살에는 16세 소년 강간 사건에 연루되는 등 난폭한 행동으로 피렌체에서 두 차례나 추방당하기도 했다.[8]

2. 2. 군사 경력

조반니는 교황 레오 10세(조반니 디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고용되어 콘도티에로, 즉 용병대장이 되었다. 1516년 3월 5일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를 상대로 한 우르비노 전쟁을 이끌었다.[7] 그는 기동전에 특화된 용병 회사를 조직하여 척후와 기습에 능했다.

1520년, 마르케에서 발생한 여러 남작들의 반란을 진압했다. 1521년, 프랑수아 1세에게서 밀라노, 파르마, 피아첸차를 되찾기 위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동맹을 맺은 레오 10세는 조반니를 프로스페로 콜론나 휘하에 소집했다. 조반니는 1522년 11월 바프리오다다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8]

교황 레오 10세가 사망하자, 조반니는 애도의 상징으로 휘장에 검은색 줄무늬를 추가했다. 이로 인해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검은 부대의 조반니)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1523년 8월, 제국군에 고용된 조반니는 1524년 1월 카프리노베르가마스코에서 프랑스군과 스위스군을 격파했다. 같은 해,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이 클레멘스 7세로 즉위했다. 클레멘스 7세는 조반니의 빚을 갚아주는 대신,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측에 가담할 것을 요구했다. 조반니는 파비아 전투에는 참전하지 않았지만, 척후 중 부상을 입고 베네치아에서 요양해야 했다.[9]

1526년, 코냐크 동맹 전쟁이 발발했다. 우르비노 공작이 이끄는 동맹군은 게오르크 폰 프룬즈베르크가 이끄는 제국군에 밀려 밀라노를 포기했다. 조반니는 포강과 민치오강 합류 지점에서 란츠크네흐트 후위 부대를 격파했다.

2. 3. 죽음

1526년 11월 25일 밤, 조반니는 고베르놀로 인근 전투에서 팔코네트 포탄에 맞았다.[10] 루이지 귀차르디니의 기록에 따르면,[11] 포탄이 그의 오른쪽 무릎 위를 부숴버렸고, 그는 바뇰로산비토 인근 산니콜로포(San Nicolò Po)로 옮겨졌지만, 그곳에서 의사를 찾을 수 없었다. 조반니는 만토바에 있는 카스텔고프레도의 후작 알로이시오 곤차가의 궁전으로 옮겨졌고, 외과의 아브라모(Abramo)가 그의 다리를 절단했다. 수술을 위해 아브라모는 고통스러워하는 조반니를 붙잡아 줄 10명의 남자를 요청했다.

피에트로 아레티노는 프란체스코 알비치(Francesco Albizi)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 '20초도 되지 않아', 조반니는 웃으며 '나를 붙잡아주겠나'라고 말했고, 그는 한 손으로 양초를 붙잡아, 스스로 양초에 불을 붙였다, 나는 달렸고, 두 목소리만이 들리는 내 귀를 닫았다, 부르는 소리가 들려 내가 그에게 도착하였고, 그가 나에게 말을 걸길 : '나는 다 나았네', 크게 호전되어 그는 매우 기뻐하였다.

수술에도 불구하고, 조반니 데 메디치는 패혈증으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5일 뒤인 1526년 11월 30일에 사망하였다.[12]

2012년, 1966년 아르노 강 홍수로 손상된 조반니와 그의 아내의 시신을 발굴하여 보존하고 사망 원인을 밝혀냈다.[10] 초기 조사 결과, 조반니의 다리는 무릎 아래에서 절단되었다. 포탄에 맞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넓적다리에는 어떠한 손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아래쪽 다리뼈인 경골과 비골은 절단되어 짧았다. 대퇴골에는 손상이 없었다.[13] 오늘날 학자들은 조반니가 괴저로 사망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4]

3. 가계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가계도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는 카테리나 스포르차와 조반니 일 포폴라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를 시조로 하는 메디치 가문의 방계인 포폴라니 가문 출신이다.

3. 1. 조상

4대에 걸친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로도비코 데 메디치)
어머니아버지아버지 쪽 할아버지아버지 쪽 증조할아버지아버지 쪽 고조할아버지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로도비코 데 메디치)카테리나 스포르차 (포를리 백작부인)조반니 일 포폴라노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 (장남)로렌초 데 메디치 (장남) (메디치 포폴라니 가문)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메디치 가문의 창시자)


3. 2. 후손


4. 유산

조반니의 이른 죽음은 콘도티에로 시대의 종말을 은유하기도 하였으며, 그들의 전투 방식(말에 탄 중무장한 기사들이 강조되는)은 이동식 야전 캐넌에 의해 사실상 쓸모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는 최후의 이탈리아 콘도티에로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지속적인 평판은 조반니의 절친이자 그의 일부 위업에서도 동반했었던 르네상스 시대의 작가, 풍자가, 극작가이자 "재앙의 왕자"라고 불리던 피에트로 아레티노 덕에 잘 보전되었다.[1]

5. 평가

조반니의 이른 죽음은 콘도티에로 시대의 종말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말에 탄 중무장한 기사들을 중심으로 하는 전투 방식은 이동식 야전 캐넌의 등장으로 사실상 쓸모없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최후의 이탈리아 콘도티에로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명성은 르네상스 시대의 작가이자 풍자가이며, 극작가이자 "군주들의 채찍"이라고 불리던 피에트로 아레티노 덕분에 잘 보전되었다. 아레티노는 조반니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그의 일부 위업에도 동반하였다.[1]

"이유 없이 칼을 뽑지 않고, 덕(德) 없이 칼을 잡지 않는다." (Non mi snudare senza ragione, non m'impugnare senza valore|논 미 스누다레 센차 라조네, 논 밈푸냐레 센차 발로레it)[1]

"내가 앞으로 나아갈 때는, 모두 나를 따르라. 만약 내가 물러서려거든, 나를 죽여라!"[1]

6. 기타


  • 1930년, 이탈리아 해군의 순양함이 조반니 델레 반데 네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 에르마노 올미의 2001년 영화 무기의 직업은 조반니 델레 반데 네레가 롬바르디아 시골의 차갑고 습한 들판에서 황제군과 교전하는 마지막 한 주를 충실히 따라간다.[2]

참조

[1] 서적 Forbidden Friendships: Homosexuality and Male Culture in Renaissance Flo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 웹사이트 Riesumato Giovanni delle Bande Nere http://www.unipi.it/[...] Università di Pisa 2012-11-27
[3] 서적 Il Sacco di Roma Paris 1664
[4] 웹사이트 Tomb of Renaissance Warrior Reveals Mystery Amputation http://www.livescien[...] livescience.com 2012-11-21
[5] 웹사이트 Famed Warrior Medici Died From Gangrene https://www.seeker.c[...] Seeker
[6] 브리태니커 Giovanni de' Medici Italian leader https://www.britanni[...]
[7] 문서 조반니 데 메디치(1467년 10월 21일–1498)가 본명으로 일 포폴라노(il Popolano)는 인민주의자라는 뜻이다. 공화주의자로 장자 가문인 메디치 가문의 본가가 공화정을 무시하고 사실상 귀족정이라고 할 수 있는 지배가문으로서의 독재를 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1494년에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추방당한후 공화정 수립에 앞장섰다.
[8] 서적 Forbidden Friendships: Homosexuality and Male Culture in Renaissance Flo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문서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10] 웹인용 Riesumato Giovanni dalle Bande Nere http://www.unipi.it/[...] Università di Pisa 2012-11-27
[11] 서적 Il Sacco di Roma 파리 1664
[12]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13] 웹인용 Tomb of Renaissance Warrior Reveals Mystery Amputation http://www.livescien[...] livescience.com 2012-11-21
[14] 웹인용 Famed Warrior Medici Died From Gangrene http://news.discover[...] News Discovery 2016-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