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병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병갑은 조규순의 서자이자 조두순의 서조카로, 민영준에게 뇌물을 주고 매관매직으로 고부 군수가 되었다. 고부 군수 재직 시절 만석보를 축조하고 수세를 징수하는 등 가혹한 수탈을 자행하여 농민들의 반발을 샀으며, 모친상 부조금을 이유로 사람을 곤장으로 때려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그의 폭정은 동학 농민 혁명의 원인이 되었으며, 이후 복권되어 최시형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고등재판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양주 조씨 - 조기숙
    조기숙은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원,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새로운미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고, 저서로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등이 있다.
  • 양주 조씨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1912년 사망 - 이시카와 다쿠보쿠
    이시카와 다쿠보쿠는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로, 빈곤과 질병 속에서도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쳐 『일각의 모래』와 같은 대표적인 시집을 남겼으며, 그의 작품과 일기는 일본 근대 단가 문학에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1912년 사망 - 이용구
    이용구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으로 망명하여 친일 활동을 하다가 시천교를 창설하고 한일 합방을 주도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조병갑
기본 정보
조병갑
조병갑
이름조병갑
한자 표기趙秉甲
로마자 표기Jo Byeong-gap
출생1844년
사망1911년
본관풍양(豊壤)
관력
주요 관직고부군수

2. 생애

조병갑은 조규순의 서자이자 조두순의 서조카로 알려져 있다. 동학 농민 운동으로 1년여 동안 강진군 고금도에서 근신하는 척하다가 복권되었고,[6] 이후 동학 교주 최시형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고등재판관으로 승진하였다.[6]

2. 1. 고부 군수 재직 시절

조규순의 서자이자, 조두순의 서조카로 알려져 있다. 조병갑은 민영준을 통해 민비에게 70000냥을 뇌물로 바쳐 매관매직으로 고부 군수가 되었다. 1892년 고부 군수 재직 중 관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만석보를 쌓았다. 그는 이곳의 물을 받는 논에 첫해에는 수세를 물리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수세를 징수하였다. 이후 조병갑의 폭정에 격분한 농민들은 1894년 1월 관아를 습격하고 만석보를 헐었다.[2]

그 뒤 자신의 모친상 때 부조금 2000냥을 거둬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창혁[3]에게 곤장형을 가하여 때려죽였다.[4]

조병갑은 악행, 악정(惡政)으로 굶주린 주민들을 착취하는 것으로 악명높았다. 무고한 이를 잡아다 온갖 죄를 뒤집어씌워 보석금을 지불하게 하는가 하면, 대동미를 쌀 대신에 돈으로 거두고 그것으로 저질의 쌀로 교환해 중앙에 상납하고 차액은 횡령, 착복했다. 이는 전봉준 등 농민들의 반발을 초래했고 동학 농민 혁명을 초래하였다. 전라도 고부 지역에서 시작된 동학 농민 혁명은 주변 지역으로 삽시간에 확대됐다.[5]

2. 2. 동학 농민 혁명의 원인 제공

조병갑은 조규순의 서자이자, 조두순의 서조카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민영준을 통해 민비에게 7만 냥을 뇌물로 바쳐 매관매직으로 고부 군수가 되었다.[2] 1892년 고부 군수 재직 중 관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만석보를 쌓고, 물을 받는 논에 첫해에는 수세를 물리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수세를 징수하였다. 1894년 1월 조병갑의 폭정에 격분한 농민들은 관아를 습격하고 만석보를 헐었다.[2]

이후 조병갑은 자신의 모친상 때 부조금 2000냥을 거둬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창혁[3]에게 곤장형을 가하여 때려죽였다.[4]

조병갑은 악행과 악정(惡政)으로 굶주린 주민들을 착취하는 것으로 악명 높았다. 무고한 사람을 잡아다 온갖 죄를 뒤집어씌워 보석금을 지불하게 하는가 하면, 대동미를 쌀 대신 돈으로 거두고 그것으로 저질의 쌀로 교환해 중앙에 상납하고 차액을 횡령, 착복했다. 이는 전봉준 등 농민들의 반발을 초래했고 동학 농민 혁명을 초래하였다. 전라도 고부 지역에서 시작된 동학 농민 혁명은 주변 지역으로 삽시간에 확대됐다.[5]

중앙 정계에 든든한 배경을 갖고 있었던 그는 동학 농민 운동으로 1년여 동안 당시 강진군 고금도에서 근신하는 척하다가 복권되었다.[6] 그 뒤 동학 교주 최시형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고등재판관으로 승진하였다.[6]

2. 3. 동학 농민 혁명 이후

조병갑은 민영준을 통해 민비에게 7만 냥을 뇌물로 바쳐 고부 군수가 되었다.[2] 1892년 고부 군수 재직 중 관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만석보를 쌓았다. 그는 이곳의 물을 받는 논에 첫해에는 수세를 물리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수세를 징수하였다. 이후 조병갑의 폭정에 격분한 농민들은 1894년 1월 관아를 습격하고 만석보를 헐었다.[2] 그 뒤 자신의 모친상 때 부조금 2000냥을 거둬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창혁[3]에게 곤장형을 가하여 때려죽였다.[4]

조병갑은 악행, 악정(惡政)으로 굶주린 주민들을 착취하는 것으로 악명높았다. 무고한 이를 잡아다 온갖 죄를 뒤집어씌워 보석금을 지불하게 하는가 하면, 대동미를 쌀 대신에 돈으로 거두고 그것으로 저질의 쌀로 교환해 중앙에 상납하고 차액은 횡령, 착복했다. 이는 전봉준 등 농민들의 반발을 초래했고 동학 농민 혁명을 초래하였다. 전라도 고부 지역에서 시작된 동학 농민 혁명은 주변지역으로 삽시간에 확대됐다.[5]

중앙 정계에 든든한 배경을 갖고 있었던 그는 동학 농민 운동으로 1년여 동안 당시 강진군 고금도에서 근신하는 척하다가 복권되었다.[6] 그 뒤 동학교주 최시형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고등재판관으로 승진하였다.[6]

3. 가계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조영극(趙榮克)
증조부조종철(趙宗喆, 1737 ~ ?)
조부조진익(趙鎭翼, 1762 ~ 1825 이후)
조모반남 박씨박종악의 딸
큰아버지조두순(趙斗淳, 1796 ~ ?)
큰아버지조태순(趙台淳, 1798 ~ ?)
아버지조규순(趙奎淳, 1799 ~ ?)태인 군수를 지냄
어머니미상(? ~ 1893 추정)
형님조병섭(趙秉燮)교관, 큰아버지 조두순(趙斗淳)에게 입양
형님조병협(趙秉協, 1830 ~ ?)대교
전처전주 이씨 이병양(李秉兩)판서 이병문(李秉文)의 딸
장남조강희(趙岡熙, 1889 ~ ?)
손자조중완(趙重完)
후처청송 심씨부사 심영규(沈永奎)의 딸
차남조찬희(趙瓚熙, 1880 ~ ?)진사 역임
장녀김태규(金泰圭)에게 시집 감
삼남조창희(趙昌熙, 1876 ~ ?)생원시 급제[7]
사남조승희(趙昇熙)
오남조정희(趙晶熙)[8]
숙조부조진정(趙鎭靖)
숙조부조진민(趙鎭敏)
숙조부조진강(趙鎭剛, 1775 ~ ?)숙증조부 조의철(趙宜喆)에게 입양.
숙증조부조인철(趙寅喆)
숙증조부조헌철(趙憲喆, 1742 ~ ?)
숙증조부조의철(趙宜喆, 1745 ~ ?)
숙증조부조우철(趙宇喆)


4. 대중매체에서의 묘사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peoplepow[...]
[2] 뉴스 만석보에 테마공원 세운다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3] 문서 [[전봉준]]의 부친
[4] 웹사이트 monthly.chosun.com http://monthly.chosu[...]
[5] 웹사이트 ::: 미디어오늘 ::: http://www.mediatoda[...]
[6] 웹사이트 밤중에 받은 뇌물, 아침이면 소문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7] 웹사이트 조창희의 사마방목 http://people.aks.ac[...] 2015-02-11
[8] 문서 위의 조승희와 조정희는 조창희의 사마방목에 조창희의 아우로 기재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