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부군은 삼한 시대 마한의 고비리국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백제 점령 후 고사부리군으로 변경되었다가 한자화되어 고부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정읍군과 부안군으로 분할 편입되었으며, 동학 농민 운동의 주요 배경지였다. 현재는 정읍시와 부안군의 일부 지역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안군의 역사 - 태인군
    태인군은 1914년 일제에 의해 정읍군에 통합된 전라북도의 옛 군으로,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았고, 식민 지배 체제 강화 및 자원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남아있다.
  • 부안군의 역사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는 1993년 악천후와 과적으로 침몰하여 292명의 사망자를 낸 해상 사고로, 대한민국 교통부 장관 경질 및 선박 안전 규제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정읍시의 역사 - 태인군
    태인군은 1914년 일제에 의해 정읍군에 통합된 전라북도의 옛 군으로,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았고, 식민 지배 체제 강화 및 자원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남아있다.
  • 정읍시의 역사 - 정읍 존속살인 사건
    정읍 존속살인 사건은 2018년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김모 씨가 정신 질환을 앓던 중 어머니를 흉기로 살해한 사건으로, 법원은 김 씨의 심신미약 상태를 인정했으나 살해 의도를 인정하여 징역 10년과 치료감호를 선고했다.
  • 한국의 폐지된 군 - 영평군 (경기도)
    영평군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경기도 포천 지역의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 구역 변화를 겪으며 영흥현, 영평현을 거쳐 영평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 포천군에 편입, 한국 전쟁 이후 잠시 북포천군으로 존재하다 다시 포천군에 통합되어 현재 포천시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 한국의 폐지된 군 - 태인군
    태인군은 1914년 일제에 의해 정읍군에 통합된 전라북도의 옛 군으로,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았고, 식민 지배 체제 강화 및 자원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남아있다.
고부군
지도
기본 정보
설치1895년
폐지1914년
위치전라북도 정읍군
정치
소속전라북도
군청 소재지고부면
행정 구역
고부면
덕림면
소성면
무장면
공음면
성내면
상리면
이평면
칠보면
태인면
역사
설치1895년 음력 5월 1일 고부군으로 설치
폐지1914년 3월 1일 정읍군에 통합되며 폐지
기타
현재전라북도 정읍시의 일부

2. 역사

삼한시대에 마한고비리국백제에 점령되면서 고사부리군으로 바뀌었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고부라는 이름이 탄생하였다.

1914년 일제 조선 총독부의 강제에 의한 행정구역[1] 통폐합으로 고부군 지역은 정읍군과 부안군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상평리/하평리/남산리/외남리/허문리 일부/남정리 일부/(동부면)허문리 일부, 작산리/관청리/기동/신기리/송정리 일부/(서부면)송정리/청룡리/구고리, 영광리/남정리 일부/허문리 일부/남복리 일부, 안영리/덕안리/진선리/육선리/회동 일부/진장리 일부/입석리 일부, 토정리/신정리/분토리/신화리/만화리 일부/신중리 일부/(서부면)서고리, 해항리/학항리/탑동/신룡리/앵등리/남흥리/운흥리/(동부면)발입리 일부, 신장리/성촌/입석리 일부/진장리 일부/만화리 일부정읍군고부면고부리, 관청리, 남복리, 덕안리, 만화리, 용흥리, 입석리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용등리/강고리 일부/종암리 일부/마항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 백운리/구룡리/용수리/반룡리/노승리/용출리/초하리/서룡리/화산리 일부/중리 일부/(성포면)금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양협리 일부, 죽교리/주산리/강고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구중리, 용회리/파산리/도산리/홍원리 일부/(남부면)송정리 일부/서흥리 일부/(부안군 입상면)영수리 일부/진영동 일부/(부안군 건선면)율지리 일부강고리, 백운리, 신중리, 신흥리
고부군 북부면(北部面) 흔랑리/미전리 일부/앵성리 일부/덕성리 일부/(덕림면)신광리 일부/대흥리 일부/인천리 일부/표정리 일부, 금곡리/학송리/서당리/태동/신평리/운학리, 갈선리/두만리/신탑리/탑립리/모산리/지사리/은선리, 신성리/주천리/덕성리 일부/미전리 일부/(궁동면)장재리 일부/백양리 일부/청량리 일부/(거마면)쌍교리 일부영원면앵성리, 운학리, 은선리, 장재리
고부군 동부면(東部面) 신영리/은동/발입리 일부/부지리 일부, 청용리/음지리/등전리/양지리/월천리/장문리/허문리 일부/(남부면)남복리 일부, 연지리/풍촌 일부/월현리 일부/(서부면)홍원리 일부/(덕림면)율포리 일부, 효죽리/가납리/후지리/용동/신기리/부지리 일부/풍촌 일부/(북부면)효문리신영리, 장문리, 풍월리, 후지리
고부군 소정면(所井面) 복룡리 일부/신기리 일부/공평리 일부/(정읍군 서이면)하평리 일부/하모리 일부/농소리 일부, 등계리/내기리/대동, 상만리/하만리/주안리/서당리 일부, 구암리/신덕리/상흑리/성동/금구리/용계리 일부/정문리 일부/하흑리 일부/공평리 일부/(우덕면)대암리 일부, 주동/반월리/향자리 일부/와룡리 일부/대마리 일부, 광산리/중광리/소원리/(성포면)원청리/상정리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작천리 일부, 신흥리/흑암리/하흑리 일부/정문리 일부/용계리 일부소성면공평리, 등계리, 만수리, 용계리, 주천리, 중광리, 흑암리
고부군 성포면(聲浦面) 소교리/대고리/대석리/석우리/주정리/신연리/재경리/양천리/연동 일부/화룡리 일부/저동 일부/(남부면)회동 일부/(서부면)종암리 일부/(소정면)서당리 일부, 후천리/기린리 일부/원두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조동 일부, 보화리/와석리/원두리 일부/하정리 일부/계동 일부/입석리 일부/(소정면)춘수리 일부/(흥덕군 일동면)금평리 일부/와석리 일부, 봉양리/필동/정동/율치리/당산리/문동/안양리/(정읍군 서일면)안양동 일부/엄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용전리 일부, 신천리/삼거리/저동 일부/(소정면)부안리 일부/춘수리 일부/서당리 일부, 막촌/계화리/죽동/애당리 일부/두암리 일부/용산리 일부/작천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은동 일부/죽동 일부, 기동/외동리/상정리 일부/하정리 일부/용산리 일부/대안리 일부/입석리 일부/계동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 산교리/전곡리/구생리/용전리/화룡리 일부/금동리 일부/연동 일부고교리, 기린리, 보화리, 봉양리, 신천리, 애당리, 용정리, 화룡리
고부군 답내면(畓內面) 월평리/금학리/덕정리/한교리/도계리/신장리 일부/산매리 일부, 포용리/운전리/황전리/국정리/창전리 일부/두전리 일부/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 두지리/무릉리/도원리/상신리/중신리/하신리 일부/현동 일부/화랑리 일부/평령리 일부/(오금면)오신리 일부, 연화리/석전리/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창전리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 돈지리/장춘리/산신리/산매리 일부/한수리 일부/(궁동면)신송리 일부, 팔선리/석정리/용전리/서산리 일부/현동 일부/예동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 세곡리/지지리/평령리 일부/한수리 일부/화랑리 일부/(궁동면)지지리 일부, 목교리/예동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서산리 일부이평면도계리, 두전리, 두지리, 마항리, 산매리, 팔선리, 평령리, 하송리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송곡리/장내리/사거리/월산리 일부/석지리 일부/(답내면)금반리 일부/(거마면)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 송산리/소송리/광사리/주산리/신송리 일부, 신월리/연지리/도천리/궁월리/청량리 일부/백양리 일부장내리, 창동리, 청량리
고부군 우덕면(優德面) 천곡리/동곡리/부례리/내오리/외오리/수침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대암리 일부/(우일면)석교리 일부/(소정면)복룡리 일부, 상학리/학전리/동죽리/용곡리/학림리/하학리 일부, 용전리/시목리/배장리/연촌/쌍정리/내촌/두지리/만종리/(우일면)송덕리 일부, 중학리/장문리/신복리/가정리/하학리 일부/(답내면)신장리 일부덕천면망제리, 상학리, 우덕리, 하학리
고부군 달천면(達川面) 야리/용두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우덕면)제우리, 신월리/삼봉리/쌍봉리/부정리/송산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덕면)신기리달천리, 신월리
고부군 우일면(雨日面) 오산리/점촌/분토동/원당리/두현리/단촌/이문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야리 일부/유대리 일부/송덕리 일부, 성동/내기리/도찬리/남산리 일부, 화야리/가전리/순목리/조동/부동/마동/한교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가곡리/석교리 일부/송덕리 일부/(정읍군 북면)방하리 일부/기산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수침리 일부우순면남산리, 대산리, 우일리, 화해리, 영파리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시동/송배리/비선리/서당리/소산리/사포리 일부/원두리 일부/사거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남산리 일부, 송내리/신기리/양지리/내장리/후복리/외장리 일부/천덕리 일부/망담리 일부, 장재리/석만리/영춘리/여정리/산정리/석거리/연동/화복리/상학리 일부/사포리 일부/사거리 일부/원두리 일부/(정읍군 북면)사거리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 창납리/연봉리/연지리/신성리 일부/천덕리 일부/외장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유대리 일부/(수금면)좌두리 일부우산리, 장순리, 장학리, 초강리
고부군 벌미면(伐未面) 배양리/대사리/마동/(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 산북리/소사리/삼산리/(수금면)대정리/신복리 일부/삼동 일부/(답내면)예동 일부/(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상삼리 일부/오리 일부, 덕성리/화천리 일부/덕촌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 괴동/와룡리/신기리/정토리/회룡리 일부/(수금면)규촌 일부정토면대사리, 산북리, 화천리, 회룡리
고부군 수금면(水金面) 신흥리/월성리/삼동 일부/좌두리 일부/야리 일부/규촌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장순면)신성리 일부수금리
고부군 오금면(梧琴面) 오정리/대양리/양지리/대동/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답내면)하신리 일부오금리
고부군 백산면(白山面) 금판리/신성리/신복리/고잔리/고신리/금호리/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감상리 일부/(덕림면)석천리 일부/신포리 일부/(김제군 홍산면)흑곶리 일부/상포리 일부, 신화리/용계리/회포리/산내리/감상리 일부/석동리 일부/봉선리 일부/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백산리 일부/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김제군 부량면)신정리 일부/구정리 일부/사정리 일부/(태인군 용산면)정길리, 내촌리/봉서리/곡신리/원천리/(거마면)월평리 일부/(태인군 용산면)고잔리 일부부안군백산면금판리, 용계리, 원천리
고부군 거마면(巨麻面) 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남평리 일부/하청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 송월리/석교리/월평리 일부/남평리 일부/대수리 일부/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수성리 일부/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하청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월산리 일부, 국성리/대죽리/응봉리 일부/쌍교리 일부/사거리 일부/(궁동면)청량리 일부/장재리 일부, 덕신리 일부/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평교리 일부/(백산면)백산리 일부/(부안군 상동면)묵정리 일부, 신기리/광북리/신평리/광상리 일부/(덕림면)구야리 일부, 계동리/반월리/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오곡리 일부/초장리 일부/거룡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봉선리 일부/석동리 일부/백산리 일부, 외거리/제내리/죽림리/평교리 일부/금추리 일부/봉동리 일부/초장리 일부/임방리 일부/응봉리 일부, 괴정리/하청리 일부/수성리 일부/사거리 일부/봉동리 일부/오곡리 일부/거룡리 일부/대수리 일부거룡리, 대수리, 대죽리, 덕신리, 신평리, 오곡리, 평교리, 하청리
고부군 덕림면(德林面) 죽림리/신야리/신광리 일부/구공리 일부/대흥리 일부/하구리 일부/구야리 일부/(북부면)앵성리 일부/(부안군 하동면)석하리 일부/(부안군 소산면)사정리 일부/공장리 일부죽림리


  • 고부면은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과 서부면(西部面)을 합하여 군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소성면은 고부군 '''소'''정면(所井面)과 '''성'''포면(聲浦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영원면은 고부군 북부면(北部面)과 동부면(東部面)을 병합할 때, 북부면 태동(台洞)에 있었던 瀛原驛(영원역)에서 이름을 따왔고, 이름은 같지만 한자 획수를 줄인 (永元)으로 바꾸었다.
  • 덕천면은 고부군 우'''덕'''면(優德面)과 달'''천'''면(達川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이평면은 고부군 답내면(畓內面)과 궁동면(宮洞面)을 합하여 이 곳 평야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정우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우'''일면과 장'''순'''면을 우순면(雨順面)으로, 벌미면, 수금면, 오금면을 합하여 정토산(淨土山)의 이름을 따서 정토면(淨土面)으로 병합하여 각각 정읍군에 편입하였다. 1935년 우순면의 화해리(花海里), 남산리(南山里), 영파리(暎波里)를 북면(北面)에 편입하고, 나머지 두 면을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 백산면은 고부군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이 통합된 것으로, 유일하게 부안군으로 편입되었다.

2. 1. 삼한시대 ~ 통일신라

삼한시대에 마한고비리국백제에 점령되면서 고사부리군으로 바뀌었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고부라는 이름이 탄생하였다.

2. 2. 고려시대

삼한시대에 마한고비리국백제에 점령되면서 고사부리군으로 바뀌었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고부라는 이름이 탄생하였다.

2. 3. 조선시대

삼한시대에 마한고비리국백제에 점령되면서 고사부리군으로 바뀌었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고부라는 이름이 탄생하였다.

2. 4. 일제강점기



1914년 일제 조선 총독부의 강제에 의한 행정구역[1] 통폐합으로 고부군 지역은 정읍군과 부안군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상평리/하평리/남산리/외남리/허문리 일부/남정리 일부/(동부면)허문리 일부, 작산리/관청리/기동/신기리/송정리 일부/(서부면)송정리/청룡리/구고리, 영광리/남정리 일부/허문리 일부/남복리 일부, 안영리/덕안리/진선리/육선리/회동 일부/진장리 일부/입석리 일부, 토정리/신정리/분토리/신화리/만화리 일부/신중리 일부/(서부면)서고리, 해항리/학항리/탑동/신룡리/앵등리/남흥리/운흥리/(동부면)발입리 일부, 신장리/성촌/입석리 일부/진장리 일부/만화리 일부정읍군고부면고부리, 관청리, 남복리, 덕안리, 만화리, 용흥리, 입석리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용등리/강고리 일부/종암리 일부/마항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 백운리/구룡리/용수리/반룡리/노승리/용출리/초하리/서룡리/화산리 일부/중리 일부/(성포면)금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양협리 일부, 죽교리/주산리/강고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구중리, 용회리/파산리/도산리/홍원리 일부/(남부면)송정리 일부/서흥리 일부/(부안군 입상면)영수리 일부/진영동 일부/(부안군 건선면)율지리 일부강고리, 백운리, 신중리, 신흥리
고부군 북부면(北部面) 흔랑리/미전리 일부/앵성리 일부/덕성리 일부/(덕림면)신광리 일부/대흥리 일부/인천리 일부/표정리 일부, 금곡리/학송리/서당리/태동/신평리/운학리, 갈선리/두만리/신탑리/탑립리/모산리/지사리/은선리, 신성리/주천리/덕성리 일부/미전리 일부/(궁동면)장재리 일부/백양리 일부/청량리 일부/(거마면)쌍교리 일부영원면앵성리, 운학리, 은선리, 장재리
고부군 동부면(東部面) 신영리/은동/발입리 일부/부지리 일부, 청용리/음지리/등전리/양지리/월천리/장문리/허문리 일부/(남부면)남복리 일부, 연지리/풍촌 일부/월현리 일부/(서부면)홍원리 일부/(덕림면)율포리 일부, 효죽리/가납리/후지리/용동/신기리/부지리 일부/풍촌 일부/(북부면)효문리신영리, 장문리, 풍월리, 후지리
고부군 소정면(所井面) 복룡리 일부/신기리 일부/공평리 일부/(정읍군 서이면)하평리 일부/하모리 일부/농소리 일부, 등계리/내기리/대동, 상만리/하만리/주안리/서당리 일부, 구암리/신덕리/상흑리/성동/금구리/용계리 일부/정문리 일부/하흑리 일부/공평리 일부/(우덕면)대암리 일부, 주동/반월리/향자리 일부/와룡리 일부/대마리 일부, 광산리/중광리/소원리/(성포면)원청리/상정리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작천리 일부, 신흥리/흑암리/하흑리 일부/정문리 일부/용계리 일부소성면공평리, 등계리, 만수리, 용계리, 주천리, 중광리, 흑암리
고부군 성포면(聲浦面) 소교리/대고리/대석리/석우리/주정리/신연리/재경리/양천리/연동 일부/화룡리 일부/저동 일부/(남부면)회동 일부/(서부면)종암리 일부/(소정면)서당리 일부, 후천리/기린리 일부/원두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조동 일부, 보화리/와석리/원두리 일부/하정리 일부/계동 일부/입석리 일부/(소정면)춘수리 일부/(흥덕군 일동면)금평리 일부/와석리 일부, 봉양리/필동/정동/율치리/당산리/문동/안양리/(정읍군 서일면)안양동 일부/엄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용전리 일부, 신천리/삼거리/저동 일부/(소정면)부안리 일부/춘수리 일부/서당리 일부, 막촌/계화리/죽동/애당리 일부/두암리 일부/용산리 일부/작천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은동 일부/죽동 일부, 기동/외동리/상정리 일부/하정리 일부/용산리 일부/대안리 일부/입석리 일부/계동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 산교리/전곡리/구생리/용전리/화룡리 일부/금동리 일부/연동 일부고교리, 기린리, 보화리, 봉양리, 신천리, 애당리, 용정리, 화룡리
고부군 답내면(畓內面) 월평리/금학리/덕정리/한교리/도계리/신장리 일부/산매리 일부, 포용리/운전리/황전리/국정리/창전리 일부/두전리 일부/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 두지리/무릉리/도원리/상신리/중신리/하신리 일부/현동 일부/화랑리 일부/평령리 일부/(오금면)오신리 일부, 연화리/석전리/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창전리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 돈지리/장춘리/산신리/산매리 일부/한수리 일부/(궁동면)신송리 일부, 팔선리/석정리/용전리/서산리 일부/현동 일부/예동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 세곡리/지지리/평령리 일부/한수리 일부/화랑리 일부/(궁동면)지지리 일부, 목교리/예동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서산리 일부이평면도계리, 두전리, 두지리, 마항리, 산매리, 팔선리, 평령리, 하송리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송곡리/장내리/사거리/월산리 일부/석지리 일부/(답내면)금반리 일부/(거마면)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 송산리/소송리/광사리/주산리/신송리 일부, 신월리/연지리/도천리/궁월리/청량리 일부/백양리 일부장내리, 창동리, 청량리
고부군 우덕면(優德面) 천곡리/동곡리/부례리/내오리/외오리/수침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대암리 일부/(우일면)석교리 일부/(소정면)복룡리 일부, 상학리/학전리/동죽리/용곡리/학림리/하학리 일부, 용전리/시목리/배장리/연촌/쌍정리/내촌/두지리/만종리/(우일면)송덕리 일부, 중학리/장문리/신복리/가정리/하학리 일부/(답내면)신장리 일부덕천면망제리, 상학리, 우덕리, 하학리
고부군 달천면(達川面) 야리/용두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우덕면)제우리, 신월리/삼봉리/쌍봉리/부정리/송산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덕면)신기리달천리, 신월리
고부군 우일면(雨日面) 오산리/점촌/분토동/원당리/두현리/단촌/이문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야리 일부/유대리 일부/송덕리 일부, 성동/내기리/도찬리/남산리 일부, 화야리/가전리/순목리/조동/부동/마동/한교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가곡리/석교리 일부/송덕리 일부/(정읍군 북면)방하리 일부/기산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수침리 일부우순면남산리, 대산리, 우일리, 화해리, 영파리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시동/송배리/비선리/서당리/소산리/사포리 일부/원두리 일부/사거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남산리 일부, 송내리/신기리/양지리/내장리/후복리/외장리 일부/천덕리 일부/망담리 일부, 장재리/석만리/영춘리/여정리/산정리/석거리/연동/화복리/상학리 일부/사포리 일부/사거리 일부/원두리 일부/(정읍군 북면)사거리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 창납리/연봉리/연지리/신성리 일부/천덕리 일부/외장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유대리 일부/(수금면)좌두리 일부우산리, 장순리, 장학리, 초강리
고부군 벌미면(伐未面) 배양리/대사리/마동/(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 산북리/소사리/삼산리/(수금면)대정리/신복리 일부/삼동 일부/(답내면)예동 일부/(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상삼리 일부/오리 일부, 덕성리/화천리 일부/덕촌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 괴동/와룡리/신기리/정토리/회룡리 일부/(수금면)규촌 일부정토면대사리, 산북리, 화천리, 회룡리
고부군 수금면(水金面) 신흥리/월성리/삼동 일부/좌두리 일부/야리 일부/규촌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장순면)신성리 일부수금리
고부군 오금면(梧琴面) 오정리/대양리/양지리/대동/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답내면)하신리 일부오금리
고부군 백산면(白山面) 금판리/신성리/신복리/고잔리/고신리/금호리/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감상리 일부/(덕림면)석천리 일부/신포리 일부/(김제군 홍산면)흑곶리 일부/상포리 일부, 신화리/용계리/회포리/산내리/감상리 일부/석동리 일부/봉선리 일부/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백산리 일부/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김제군 부량면)신정리 일부/구정리 일부/사정리 일부/(태인군 용산면)정길리, 내촌리/봉서리/곡신리/원천리/(거마면)월평리 일부/(태인군 용산면)고잔리 일부부안군백산면금판리, 용계리, 원천리
고부군 거마면(巨麻面) 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남평리 일부/하청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 송월리/석교리/월평리 일부/남평리 일부/대수리 일부/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수성리 일부/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하청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월산리 일부, 국성리/대죽리/응봉리 일부/쌍교리 일부/사거리 일부/(궁동면)청량리 일부/장재리 일부, 덕신리 일부/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평교리 일부/(백산면)백산리 일부/(부안군 상동면)묵정리 일부, 신기리/광북리/신평리/광상리 일부/(덕림면)구야리 일부, 계동리/반월리/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오곡리 일부/초장리 일부/거룡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봉선리 일부/석동리 일부/백산리 일부, 외거리/제내리/죽림리/평교리 일부/금추리 일부/봉동리 일부/초장리 일부/임방리 일부/응봉리 일부, 괴정리/하청리 일부/수성리 일부/사거리 일부/봉동리 일부/오곡리 일부/거룡리 일부/대수리 일부거룡리, 대수리, 대죽리, 덕신리, 신평리, 오곡리, 평교리, 하청리
고부군 덕림면(德林面) 죽림리/신야리/신광리 일부/구공리 일부/대흥리 일부/하구리 일부/구야리 일부/(북부면)앵성리 일부/(부안군 하동면)석하리 일부/(부안군 소산면)사정리 일부/공장리 일부죽림리


  • 고부면은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과 서부면(西部面)을 합하여 군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소성면은 고부군 '''소'''정면(所井面)과 '''성'''포면(聲浦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영원면은 고부군 북부면(北部面)과 동부면(東部面)을 병합할 때, 북부면 태동(台洞)에 있었던 瀛原驛(영원역)에서 이름을 따왔고, 이름은 같지만 한자 획수를 줄인 (永元)으로 바꾸었다.
  • 덕천면은 고부군 우'''덕'''면(優德面)과 달'''천'''면(達川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이평면은 고부군 답내면(畓內面)과 궁동면(宮洞面)을 합하여 이 곳 평야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정우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우'''일면과 장'''순'''면을 우순면(雨順面)으로, 벌미면, 수금면, 오금면을 합하여 정토산(淨土山)의 이름을 따서 정토면(淨土面)으로 병합하여 각각 정읍군에 편입하였다. 1935년 우순면의 화해리(花海里), 남산리(南山里), 영파리(暎波里)를 북면(北面)에 편입하고, 나머지 두 면을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 백산면은 고부군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이 통합된 것으로, 유일하게 부안군으로 편입되었다.

2. 4. 1. 1914년 이후 행정 구역 변화



1914년 일제 조선 총독부의 강제에 의한 행정구역[1] 통폐합으로 고부군 지역은 정읍군과 부안군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상평리/하평리/남산리/외남리/허문리 일부/남정리 일부/(동부면)허문리 일부, 작산리/관청리/기동/신기리/송정리 일부/(서부면)송정리/청룡리/구고리, 영광리/남정리 일부/허문리 일부/남복리 일부, 안영리/덕안리/진선리/육선리/회동 일부/진장리 일부/입석리 일부, 토정리/신정리/분토리/신화리/만화리 일부/신중리 일부/(서부면)서고리, 해항리/학항리/탑동/신룡리/앵등리/남흥리/운흥리/(동부면)발입리 일부, 신장리/성촌/입석리 일부/진장리 일부/만화리 일부정읍군고부면고부리, 관청리, 남복리, 덕안리, 만화리, 용흥리, 입석리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용등리/강고리 일부/종암리 일부/마항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 백운리/구룡리/용수리/반룡리/노승리/용출리/초하리/서룡리/화산리 일부/중리 일부/(성포면)금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양협리 일부, 죽교리/주산리/강고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구중리, 용회리/파산리/도산리/홍원리 일부/(남부면)송정리 일부/서흥리 일부/(부안군 입상면)영수리 일부/진영동 일부/(부안군 건선면)율지리 일부강고리, 백운리, 신중리, 신흥리
고부군 북부면(北部面) 흔랑리/미전리 일부/앵성리 일부/덕성리 일부/(덕림면)신광리 일부/대흥리 일부/인천리 일부/표정리 일부, 금곡리/학송리/서당리/태동/신평리/운학리, 갈선리/두만리/신탑리/탑립리/모산리/지사리/은선리, 신성리/주천리/덕성리 일부/미전리 일부/(궁동면)장재리 일부/백양리 일부/청량리 일부/(거마면)쌍교리 일부영원면앵성리, 운학리, 은선리, 장재리
고부군 동부면(東部面) 신영리/은동/발입리 일부/부지리 일부, 청용리/음지리/등전리/양지리/월천리/장문리/허문리 일부/(남부면)남복리 일부, 연지리/풍촌 일부/월현리 일부/(서부면)홍원리 일부/(덕림면)율포리 일부, 효죽리/가납리/후지리/용동/신기리/부지리 일부/풍촌 일부/(북부면)효문리신영리, 장문리, 풍월리, 후지리
고부군 소정면(所井面) 복룡리 일부/신기리 일부/공평리 일부/(정읍군 서이면)하평리 일부/하모리 일부/농소리 일부, 등계리/내기리/대동, 상만리/하만리/주안리/서당리 일부, 구암리/신덕리/상흑리/성동/금구리/용계리 일부/정문리 일부/하흑리 일부/공평리 일부/(우덕면)대암리 일부, 주동/반월리/향자리 일부/와룡리 일부/대마리 일부, 광산리/중광리/소원리/(성포면)원청리/상정리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작천리 일부, 신흥리/흑암리/하흑리 일부/정문리 일부/용계리 일부소성면공평리, 등계리, 만수리, 용계리, 주천리, 중광리, 흑암리
고부군 성포면(聲浦面) 소교리/대고리/대석리/석우리/주정리/신연리/재경리/양천리/연동 일부/화룡리 일부/저동 일부/(남부면)회동 일부/(서부면)종암리 일부/(소정면)서당리 일부, 후천리/기린리 일부/원두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조동 일부, 보화리/와석리/원두리 일부/하정리 일부/계동 일부/입석리 일부/(소정면)춘수리 일부/(흥덕군 일동면)금평리 일부/와석리 일부, 봉양리/필동/정동/율치리/당산리/문동/안양리/(정읍군 서일면)안양동 일부/엄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용전리 일부, 신천리/삼거리/저동 일부/(소정면)부안리 일부/춘수리 일부/서당리 일부, 막촌/계화리/죽동/애당리 일부/두암리 일부/용산리 일부/작천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은동 일부/죽동 일부, 기동/외동리/상정리 일부/하정리 일부/용산리 일부/대안리 일부/입석리 일부/계동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 산교리/전곡리/구생리/용전리/화룡리 일부/금동리 일부/연동 일부고교리, 기린리, 보화리, 봉양리, 신천리, 애당리, 용정리, 화룡리
고부군 답내면(畓內面) 월평리/금학리/덕정리/한교리/도계리/신장리 일부/산매리 일부, 포용리/운전리/황전리/국정리/창전리 일부/두전리 일부/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 두지리/무릉리/도원리/상신리/중신리/하신리 일부/현동 일부/화랑리 일부/평령리 일부/(오금면)오신리 일부, 연화리/석전리/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창전리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 돈지리/장춘리/산신리/산매리 일부/한수리 일부/(궁동면)신송리 일부, 팔선리/석정리/용전리/서산리 일부/현동 일부/예동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 세곡리/지지리/평령리 일부/한수리 일부/화랑리 일부/(궁동면)지지리 일부, 목교리/예동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서산리 일부이평면도계리, 두전리, 두지리, 마항리, 산매리, 팔선리, 평령리, 하송리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송곡리/장내리/사거리/월산리 일부/석지리 일부/(답내면)금반리 일부/(거마면)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 송산리/소송리/광사리/주산리/신송리 일부, 신월리/연지리/도천리/궁월리/청량리 일부/백양리 일부장내리, 창동리, 청량리
고부군 우덕면(優德面) 천곡리/동곡리/부례리/내오리/외오리/수침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대암리 일부/(우일면)석교리 일부/(소정면)복룡리 일부, 상학리/학전리/동죽리/용곡리/학림리/하학리 일부, 용전리/시목리/배장리/연촌/쌍정리/내촌/두지리/만종리/(우일면)송덕리 일부, 중학리/장문리/신복리/가정리/하학리 일부/(답내면)신장리 일부덕천면망제리, 상학리, 우덕리, 하학리
고부군 달천면(達川面) 야리/용두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우덕면)제우리, 신월리/삼봉리/쌍봉리/부정리/송산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덕면)신기리달천리, 신월리
고부군 우일면(雨日面) 오산리/점촌/분토동/원당리/두현리/단촌/이문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야리 일부/유대리 일부/송덕리 일부, 성동/내기리/도찬리/남산리 일부, 화야리/가전리/순목리/조동/부동/마동/한교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가곡리/석교리 일부/송덕리 일부/(정읍군 북면)방하리 일부/기산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수침리 일부우순면남산리, 대산리, 우일리, 화해리, 영파리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시동/송배리/비선리/서당리/소산리/사포리 일부/원두리 일부/사거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남산리 일부, 송내리/신기리/양지리/내장리/후복리/외장리 일부/천덕리 일부/망담리 일부, 장재리/석만리/영춘리/여정리/산정리/석거리/연동/화복리/상학리 일부/사포리 일부/사거리 일부/원두리 일부/(정읍군 북면)사거리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 창납리/연봉리/연지리/신성리 일부/천덕리 일부/외장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유대리 일부/(수금면)좌두리 일부우산리, 장순리, 장학리, 초강리
고부군 벌미면(伐未面) 배양리/대사리/마동/(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 산북리/소사리/삼산리/(수금면)대정리/신복리 일부/삼동 일부/(답내면)예동 일부/(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상삼리 일부/오리 일부, 덕성리/화천리 일부/덕촌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 괴동/와룡리/신기리/정토리/회룡리 일부/(수금면)규촌 일부정토면대사리, 산북리, 화천리, 회룡리
고부군 수금면(水金面) 신흥리/월성리/삼동 일부/좌두리 일부/야리 일부/규촌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장순면)신성리 일부수금리
고부군 오금면(梧琴面) 오정리/대양리/양지리/대동/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답내면)하신리 일부오금리
고부군 백산면(白山面) 금판리/신성리/신복리/고잔리/고신리/금호리/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감상리 일부/(덕림면)석천리 일부/신포리 일부/(김제군 홍산면)흑곶리 일부/상포리 일부, 신화리/용계리/회포리/산내리/감상리 일부/석동리 일부/봉선리 일부/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백산리 일부/팔왕리 일부/신금리 일부/(김제군 부량면)신정리 일부/구정리 일부/사정리 일부/(태인군 용산면)정길리, 내촌리/봉서리/곡신리/원천리/(거마면)월평리 일부/(태인군 용산면)고잔리 일부부안군백산면금판리, 용계리, 원천리
고부군 거마면(巨麻面) 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남평리 일부/하청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 송월리/석교리/월평리 일부/남평리 일부/대수리 일부/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수성리 일부/거룡리 일부/산전리 일부/하청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월산리 일부, 국성리/대죽리/응봉리 일부/쌍교리 일부/사거리 일부/(궁동면)청량리 일부/장재리 일부, 덕신리 일부/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평교리 일부/(백산면)백산리 일부/(부안군 상동면)묵정리 일부, 신기리/광북리/신평리/광상리 일부/(덕림면)구야리 일부, 계동리/반월리/대산리 일부/임방리 일부/오곡리 일부/초장리 일부/거룡리 일부/(백산면)용출리 일부/백선리 일부/봉선리 일부/석동리 일부/백산리 일부, 외거리/제내리/죽림리/평교리 일부/금추리 일부/봉동리 일부/초장리 일부/임방리 일부/응봉리 일부, 괴정리/하청리 일부/수성리 일부/사거리 일부/봉동리 일부/오곡리 일부/거룡리 일부/대수리 일부거룡리, 대수리, 대죽리, 덕신리, 신평리, 오곡리, 평교리, 하청리
고부군 덕림면(德林面) 죽림리/신야리/신광리 일부/구공리 일부/대흥리 일부/하구리 일부/구야리 일부/(북부면)앵성리 일부/(부안군 하동면)석하리 일부/(부안군 소산면)사정리 일부/공장리 일부죽림리


  • 고부면은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과 서부면(西部面)을 합하여 군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소성면은 고부군 '''소'''정면(所井面)과 '''성'''포면(聲浦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영원면은 고부군 북부면(北部面)과 동부면(東部面)을 병합할 때, 북부면 태동(台洞)에 있었던 瀛原驛(영원역)에서 이름을 따왔고, 이름은 같지만 한자 획수를 줄인 (永元)으로 바꾸었다.
  • 덕천면은 고부군 우'''덕'''면(優德面)과 달'''천'''면(達川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이평면은 고부군 답내면(畓內面)과 궁동면(宮洞面)을 합하여 이 곳 평야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정우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우'''일면과 장'''순'''면을 우순면(雨順面)으로, 벌미면, 수금면, 오금면을 합하여 정토산(淨土山)의 이름을 따서 정토면(淨土面)으로 병합하여 각각 정읍군에 편입하였다. 1935년 우순면의 화해리(花海里), 남산리(南山里), 영파리(暎波里)를 북면(北面)에 편입하고, 나머지 두 면을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 백산면은 고부군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이 통합된 것으로, 유일하게 부안군으로 편입되었다.

3. 동학 농민 운동

3. 1. 배경

3. 2. 전개 과정

3. 3. 결과와 의의

4. 행정 구역

4. 1. 변천 과정

4. 2. 현재의 행정 구역

5.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