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인민군의 정치 및 사상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김정일 시대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 영향력이 감소했다. 총정치국은 조직부, 선전부, 검열부 등 다양한 부서를 두고 있으며, 산하에 인민군 관련 출판사, 영화 제작소, 체육단 등을 운영한다. 역대 총정치국장 목록이 있으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1950년 설립 -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대한민국 원의 발행권을 가지며 통화신용정책 수립 및 집행, 금융기관에 대한 여신 업무, 한국은행권 발행 등을 수행하는 무자본 특수법인이다.
  • 1950년 설립 - 카투사
    카투사는 한국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의 합의로 창설되어 미군에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로,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군의 작전 및 행정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병무청 추첨과 영어 성적을 통해 선발되지만, 법적 근거 미비 등의 논란도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선인민군 총정치국
로마자 표기JoseonInmingun Chongjyeongchiguk
한자 표기朝鮮人民軍總政治局
설립일1950년 10월 21일
소속조선인민군
본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서성구역 석봉동
주요 정보
유형국방성 산하 부서
국장정경택
국장 직책조선인민군 대장
이전
기타

2. 역사

총정치국은 형식적으로는 국방성 소속이지만, 조선인민군 총참모부와 함께 국방성보다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국방상보다 고위직인 최고위 인물이 총정치국장에 임명된다. 실제로는 지배 정당인 조선로동당중앙위원회조직지도부 제1부 제13과(인민무력성 담당)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는다.

역대 총정치국장은 다음과 같다.

취임일이름비고
1950년 10월박헌영1951년 8월까지 재임
1950년 10월김재욱1953년 8월까지 재임
1953년 8월최종학1958년 2월까지 재임
1958년 2월김태근1958년 7월까지 재임
1958년 7월서철1959년까지 재임
1960년 1월최기철1960년 8월까지 재임
1960년 8월허봉학1967년 4월까지 재임
1967년 4월오진우1968년 12월까지 재임
1969년 1월안영환1970년 12월까지 재임
1970년 12월한익수1973년 8월까지 재임
1973년 8월리용무1977년 10월까지 재임
1977년 10월서철1979년 9월까지 재임
1979년 9월오진우1995년 2월까지 재임
1995년 10월조명록2010년 10월까지 재임
2012년 4월최룡해2014년 4월까지 재임
2014년 5월황병서2018년까지 재임
2018년김정각2018년 5월까지 재임
2018년 5월김수길2021년 1월까지 재임
2021년 1월권영진2022년 6월까지 재임
2022년 6월정경택현재 재임 중


2. 1. 초기 역사 (1946년 ~ 1953년)

1946년 8월 15일, 보안간부훈련대대부가 창설될 당시, 총참모부, 포병사령부, 후방부와 함께 문화부가 설치되었다.[1] 대대부 부사령관 겸 문화부사령관에는 김일이 임명되었다.[2] 1947년 5월 17일 보안간부훈련대대부는 인민집단군 총사령부로 발전했다.[1] 김일은 부사령관 겸 문화부사령관으로 유임되었다.[2]

194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이 공식적으로 창설되고, 인민집단군 총사령부는 인민군 총사령부로 재편되었다.[1] 이때에도 김일은 부사령관 겸 문화부사령관으로 유임되었고, 문화부장에는 고려인 김일이 임명되었다.[2] 같은 해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북조선인민위원회 민족보위국이 민족보위성으로 승격되었다.[1] 인민군 총사령부는 민족보위성에 흡수되었고, 김일은 민족보위성 부상 겸 문화훈련국장, 김일은 문화훈련국 부국장에 임명되었다.[2]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10월 21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및 정치국 결정에 따라 민족보위성 문화훈련국은 인민군 총정치국으로 개편되었다. 당시 김일은 실각하였고, 초대 총정치국장에는 남로당파의 박헌영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사실은 박헌영의 숙청과 함께 역사에서 삭제되었다.[1]

2. 2. 김정일 시대 (1994년 ~ 2011년)

김정일의 ‘선군’(군사중시) 시대에 총정치국은 수십 년 동안 비교적 독립적이고 변화가 없었다. 2010년에 열린 제3차 당 대표자회의에서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다.[1] 이 기간 동안, 총정치국은 인민군 내부의 정치국으로 불렸다.

2. 3. 김정은 시대 (2011년 ~ 현재)

김정일의 ‘선군’(군사중시) 시대에는 총정치국(GPB)이 수십 년 동안 비교적 독립적이고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 이후 총정치국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2016년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 이후, 당은 총정치국에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충분한 권력을 되찾았다. 그 결과, 2017년 당 중앙위원회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총정치국에 대한 검열을 실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검열은 최룡해에 의해 수행되었다.[2] 총정치국장 황병서는 처벌을 받고 상임위원직에서 해임되었다.[1]

2017년11월 20일,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은 조선로동당 지도부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의 "불순한 태도"를 문제 삼아 20년 만에 총정치국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했다.[3] 황병서 국장과 김원홍 제1부국장 등이 처벌받았다는 정보도 공개했다.[3] 2018년 2월 9일,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군사퍼레이드를 전하는 보도에서 김정각을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직함으로 소개하며, 황병서의 총정치국장 해임과 김정각의 취임이 확인되었다.[4]

2021년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8차 대회에서 총정치국은 중앙위원회와 더 이상 동등한 지위를 갖지 못하도록 강등되었다. 총정치국의 일부 기능은 새로 설립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군사정치지도부로 이관되기도 했다.[1]

3. 조직

김정일의 ‘선군’(군사중시) 시대에 총정치국은 수십 년 동안 비교적 독립적이고 변화가 없었다. 2010년 제3차 당 대표자회의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1] 이 기간 동안 인민군 내부 정치국으로 불렸다.

김정은 집권 후 총정치국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2016년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 이후, 당은 총정치국에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충분한 권력을 되찾았다. 2017년 당 중앙위원회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총정치국 검열을 명령했고, 최룡해가 검열을 수행했다.[2] 황병서 총정치국장은 처벌받고 상임위원직에서 해임되었다.[1] 2021년 조선로동당 제8차 대회에서 총정치국은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잃었고, 일부 기능은 새로 설립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군사정치지도부로 이관되었다.[1]

3. 1. 주요 부서

총정치국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각 부장은 소장~중장급이며, 부부장은 소장, 과장은 대좌급이다.[1]

부서명주요 업무
조직부당 조직 지도부 제1부 제13과를 통해 하달되는 당의 정책 방침에 따라 군에 대한 당 조직·인사 사업을 관장한다. 산하에 군단담당과, 본부지도과, 해외지도과, 외화지도과, 당원등록과, 당생활지도과, 조직간부과, 행정간부과, 통보과, 가족과가 있다.
선전부산하에 본부지도과, 해외선전과, 국내선전과, 행사과, 강연과, 사적과, 예술과, 출판과가 있다.
검열부산하에 종합과, 검열1과, 검열2과, 검열3과, 특수검열과가 있다.
근로단체부산하에 청년동맹과, 여성동맹과, 직업동맹과, 농업동맹과가 있다.
문화연락부
교육부
간부부당 간부가 장관 인사를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한다.
공장당사업부산하에 공장담당, 피복공장, 병기공장, 병기수리 부서가 있다.
총무부
감찰부군 내 당 사업 전반에 대한 검열을 실시한다.
판문점대표부
적군와해공작국
통계부군 내 정치 사업에 관한 모든 통계 자료의 수집과 보관, 및 통계 자료 작성을 임무로 한다.
공보부군 내 보도, 홍보에 관련된 사업을 조직, 실행한다.
특별정치부군 내에 당의 노선과 정책을 관철시키기 위한 모든 사업의 기획, 운영을 담당한다.
청년동맹지도부군 내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에 대한 조직 생활의 지도를 담당한다.



선전부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기관들이 있다.


  • '''인민군출판사''': 군 관련 각종 인쇄물, 단행본의 발행, 간행에 관한 임무를 맡는다.
  • '''인민군신문사''': 인민군신문의 편집, 발행을 임무로 한다.
  • '''4.25영화촬영소''': 군사 관계 영화를 제작하여 각 군과 부대에 배포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
  • '''4.25체육단''': 군 내에 직업 체육팀을 육성·운용하고 각종 대회에 참가시킨다.
  • '''조선인민군협주단''': 군 내의 연예 단체로서 각 부대에 위문 공연을 한다.


'''적공부'''는 한국군 병사와의 접촉 공작, 납치, 월북 공작, 비무장지대에서의 확성기 방송, 출판물 배포 등을 평시 임무로 한다. 전시에는 점령 지역에서 주민 대책 사업을 실시하고, 반동 분자의 색출과 한국 측의 역량 측정을 임무로 한다. 일종의 심리전 부서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한국군 소위 살해 사건 당시, 북한 적공부 관련설이 수사 당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총정치국은 심리전과 관련된 특수 작전을 위해 563군 부대라는 준특수부대도 운용하고 있다고 한다.

3. 2. 하부 조직

부서담당 업무
조직부당 조직 지도부 제1부 제13과를 통해 하달되는 당의 정책 방침에 따라 군에 대한 당 조직·인사 사업을 관장한다.
선전부
검열부
근로단체부
문화연락부심리전술을 담당하고, 군 내 심리전을 운용한다.
교육부
간부부당 간부가 장관 인사를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한다.
공장당사업부
총무부
감찰부군 내 당 사업 전반에 대한 검열을 실시한다.
판문점대표부
적군와해공작국한국군 병사와의 접촉 공작, 납치, 월북 공작, 비무장지대에서의 확성기 방송, 출판물 배포 등을 평시 임무로 한다. 전시에는 점령 지역에서 주민 대책 사업을 실시하고, 반동 분자의 색출과 한국 측의 역량 측정을 임무로 한다.



총정치국 각 부장은 소장~중장급이며, 부부장은 소장, 과장은 대좌급이다.[1]


  • '''조직부''' 산하: 군단담당과, 본부지도과, 해외지도과, 외화지도과, 당원등록과, 당생활지도과, 조직간부과, 행정간부과, 통보과, 가족과[1]
  • '''선전부''' 산하: 본부지도과, 해외선전과, 국내선전과, 행사과, 강연과, 사적과, 예술과, 출판과[1]
  • '''인민군출판사''': 군 관련 각종 인쇄물, 단행본의 발행, 간행에 관한 임무를 맡는다.[1]
  • '''인민군신문사''': 인민군신문의 편집, 발행을 임무로 한다.[1]
  • '''4.25영화촬영소''': 군사 관계 영화를 제작하여 각 군과 부대에 배포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1]
  • '''4.25체육단''': 군 내에 직업 체육팀을 육성·운용하고 각종 대회에 참가시킨다.[1]
  • '''조선인민군협주단''': 군 내의 연예 단체로서 각 부대에 위문 공연을 한다.[1]
  • '''검열부''' 산하: 종합과, 검열1과, 검열2과, 검열3과, 특수검열과[1]
  • '''근로단체부''' 산하: 청년동맹과, 여성동맹과, 직업동맹과, 농업동맹과[1]
  • '''공장당사업부''' 산하: 공장담당, 피복공장, 병기공장, 병기수리[1]
  • '''통계부''': 군 내 정치 사업에 관한 모든 통계 자료의 수집과 보관, 및 통계 자료 작성을 임무로 한다.[1]
  • '''공보부''': 군 내 보도, 홍보에 관련된 사업을 조직, 실행한다.[1]
  • '''특별정치부''': 군 내에 당의 노선과 정책을 관철시키기 위한 모든 사업의 기획, 운영을 담당한다.[1]
  • '''적공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한국군 소위 살해 사건 당시, 북한 적공부 관련설이 수사 당시 화제가 된 적이 있다.[1] 총정치국은 심리전과 관련된 특수 작전을 위해 563군 부대라는 준특수부대도 운용하고 있다고 한다.[1]
  • '''청년동맹지도부''': 군 내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에 대한 조직 생활의 지도를 담당한다.[1]


총정치국은 하부에 총참모부와 대칭적인 하부 기구를 조직하고 있다.[1] 즉, 군종사령부 정치부, 군단 정치부, 사단 정치부, 여단 정치부, 부대 정치부, 구분대 정치부, 중대 정치지도원이 배치되어 있다.[1]

4. 역대 총정치국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박헌영1950년 10월 ~ 1951년 8월
2김재욱1950년 10월 ~ 1953년 8월
3최종학1953년 8월 ~ 1958년 2월
4김태근1958년 2월 ~ 1958년 7월
5서철1958년 7월 ~ 1959년
6최기철1959년 ~ 1960년 8월
7허봉학1960년 8월 ~ 1967년 4월
8오진우1967년 4월 ~ 1968년 12월
9안영환1969년 1월 ~ 1970년 12월
10한익수1968년 12월 ~ 1973년 8월
11리용무1973년 8월 ~ 1977년 10월
12서철1977년 10월 ~ 1979년 9월
13오진우1979년 9월 ~ 1995년 2월
14조명록1995년 10월 ~ 2010년 10월
15최룡해2012년 4월 ~ 2014년 4월
16황병서2014년 5월 ~ 2018년
17김정각2018년 ~ 2018년 5월
18김수길2018년 5월 ~ 2021년 1월
19권영진2021년 1월 ~ 2022년 6월
20정경택2022년 6월 ~


5. 대중문화

조선인민군을 소재로 한 대한민국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주인공 리정혁의 아버지가 총정치국 국장으로 등장하여, 총정치국(GPB)이 권력과 권위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hanging Status and Rol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https://www.globalas[...] 2023-06-25
[2] 웹사이트 Party reasserts power over military with inspection of General Political Bureau http://www.dailynk.c[...] 2017-11-23
[3] 뉴스 北朝鮮が軍総政治局を20年ぶり検閲 局長ら処罰か=韓国情報機関 https://jp.yna.co.kr[...] 2017-11-20
[4] 뉴스 【北朝鮮情勢】金正恩氏夫人、李雪主氏に「女史」の呼称 軍総政治局長の交代確認 https://www.sankei.c[...] 2018-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